KR102200587B1 - 방탄초소 - Google Patents

방탄초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87B1
KR102200587B1 KR1020200066778A KR20200066778A KR102200587B1 KR 102200587 B1 KR102200587 B1 KR 102200587B1 KR 1020200066778 A KR1020200066778 A KR 1020200066778A KR 20200066778 A KR20200066778 A KR 20200066778A KR 102200587 B1 KR102200587 B1 KR 10220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proof
opening
guard post
elevating
clo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관
강민철
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와이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지엠 filed Critical (주)와이지엠
Priority to KR102020006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탄초소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적어도 복수 개의 측면부재와 이 측면부재 전체에 걸쳐 지지되는 상면부재로 이루어진 방탄 재질의 방탄초소몸체부, 복수 개의 측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탄 재질의 도어, 상면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탄 재질의 개폐덮개, 개폐덮개가 상면부재의 개방측을 개방시 상면부재의 개방측을 통해 방탄초소몸체부 내부로 진입 또는 방탄초소몸체부의 외부로 비행하는 비행체, 및 개폐덮개에 대응되는 방탄초소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개폐덮개의 개폐 여부에 따라 높이 가변되며 비행체가 놓이는 상하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방탄초소를 방탄 성능이 있는 재질로 제작하여 내부 근무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비행하면서 주위를 감시하거나 적을 공격하는 비행체(드론)를 방탄초소의 내부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방탄초소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덮개의 개방 후 비행체를 비행 유도함에 따라 근무자가 방탄초소 내부에서 외부의 상황을 관찰하거나 감시할 수 있음으로써 근무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탄초소{PROTECTION SHELTER FOR AGAINST}
본 발명은 방탄초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탄초소를 방탄 성능이 있는 재질로 제작하여 내부 근무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비행하면서 주위를 감시하거나 적을 공격하는 비행체(드론)를 방탄초소의 내부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방탄초소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덮개의 개방 후 비행체를 비행 유도함에 따라 근무자가 방탄초소 내부에서 외부의 상황을 관찰하거나 감시할 수 있음으로써 근무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하고자 하는 방탄초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용 방호초소는 취약지구에 설치된 군경용이나, 공항이나 국가 보안지역에 설치된 것 또는 해안선의 군용 초소등에는 사주경계를 위해 감시창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각각의 초소에 설치된 감시창은 단순한 창호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우발적인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오히려 경계근무자 생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초소는 고정용으로 그 위치를 이동할 수 없고, 테러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경계근무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방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66862호로 "초소용 방호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바, 감시창에 설치된 초소의 방호장치로서,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에는 전방을 감시하도록 전방주시부가 통공된 전면보호벽과, 전면보호벽과 연결되고 측면주시부가 통공된 측면보호벽과, 전면보호벽과 측면보호벽 사이에 일정한 프레임에 전방주시부와 측면주시부를 커버하도록 방탄유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드론플랫폼과, 전면보호벽과 측면보호벽을 지지하는 바닥보호벽 및 지붕을 포함하며, 전면보호벽과 인접된 측면보호벽 사이에 거리가 축소되도록 일정 높이의 걸림단이 형성되어 드론플랫폼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불특정 지역에 발생되는 비상상황에 대해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경계초소를 설치할 수 있으며, 경계초소에 대한 총격이나 화염물질의 투척에 대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방호하기 위해 방탄되는 방호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개폐시켜 수행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여러군데 설치된 복수개의 경계초소를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일괄적으로 방호창을 개폐시켜 근무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효과적인 경계근무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방호장치용 초소는 경계초소에 대한 총격이나 화염물질의 투척에 대하여 방호하기 위해 방탄되는 방호창을 개폐시 군인 등 내부인이 다치는 등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탄초소를 방탄재질로 제작하여 총격이나 폭발물로부터 내부 근무자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방탄초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비행하면서 주위를 감시하거나 적을 공격하는 비행체(드론)를 방탄초소의 내부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방탄초소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덮개의 개방 후 비행체를 비행 유도함에 따라, 근무자가 방탄초소 내부에서 외부의 상황을 관찰하거나 감시하거나 또는 위험요소에 폭격을 가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음으로써 근무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하고자 하는 방탄초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탄초소는: 내부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적어도 복수 개의 방탄 성능을 갖는 재질의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 전체에 걸쳐 지지되는 상면부재로 이루어진 방탄초소몸체부; 복수 개의 측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탄 재질의 도어; 상기 상면부재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덮개;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을 개방시,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을 통해 상기 방탄초소몸체부 내부로 진입 또는 상기 방탄초소몸체부의 외부로 비행하는 비행체; 및 상기 개폐덮개에 대응되는 상기 방탄초소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비행체의 이륙과 착륙을 위해 높이 가변 설정되는 상하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재는 투명창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창은 방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재와 상기 도어는 방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위치설정부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상호 교차되게 링크 연결되어, 교차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시 높이가 상이해지는 승하강링크작동부재; 상기 승하강링크작동부재의 상하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원; 및 상기 승하강링크작동부재에 놓여지고, 상기 비행체를 지지하는 어퍼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개폐덮개가 센싱부재에 의해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에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감지된 후, 상기 승하강링크작동부재의 작동을 위해 구동되고, 상기 어퍼패널은 상승시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위치설정부는, 상기 어퍼패널의 승하강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덮개를 회동시키며 상기 개방홀을 개폐하는 연동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개폐부는, 상기 어퍼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향되게 연장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내롤러; 상기 개방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방탄초소몸체부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어퍼패널의 승하강시, 상기 안내롤러를 구름 회전 안내하는 승하강안내레일;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하강샤프트; 상기 승하강샤프트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어퍼패널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바; 및 상기 승하강샤프트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링크바에 힌지 연결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어퍼패널을 밀어 완전히 젖히거나 당겨 상기 개방홀을 막는 전후진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방탄초소몸체부는 상기 승하강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고정블록을 복수 개 구비하고, 설정된 위치의 고정블록은 상기 전후진작동부재의 작동 시점 검출을 위해 근접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탄초소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방탄초소를 방탄재질로 제작하여 총격이나 폭발물로부터 내부 근무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행하면서 주위를 감시하거나 적을 공격하는 비행체(드론)를 방탄초소의 내부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방탄초소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덮개의 개방 후 비행체를 비행 유도함에 따라, 근무자가 방탄초소 내부에서 외부의 상황을 관찰하거나 감시하거나 또는 위험요소에 폭격을 가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음으로써 근무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의 방탄초소의 내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방탄초소의 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의 개폐를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상하위치설정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탄초소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의 방탄초소의 내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방탄초소의 내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의 개폐를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상하위치설정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10)는 방탄초소몸체부(20), 도어(30), 개폐덮개(40), 비행체(50) 및 상하위치설정부(60)를 포함한다.
방탄초소몸체부(20)는 방탄초소(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21)을 형성한다. 특히, 방탄초소몸체부(20)는 내부공간(21)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복수 개의 측면부재(22)에 의해 둘레면을 형성하고, 일정궤적을 따라 이웃하여 접하게 배치되는 측면부재(22) 전체에 걸쳐 상부에 지지되는 상면부재(23)에 의해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방탄초소몸체부(20)는 측면부재(22) 전체에 걸쳐 하부를 지지하는 하면부재(24)에 의해 하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방탄초소몸체부(20)는 이동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측면부재(22)는 방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방탄초소몸체부(20)는 외부의 공격 특히 군사적 공격으로부터 파손이 방지된다.
물론, 방탄초소몸체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도어(30)는 복수 개의 측면부재(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22)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근무자는 도어(30)를 통해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30)는 방탄 성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어(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특정한 측면부재(22)는 출입구(32)를 형성하고, 도어(30)는 출입구(3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해당 측면부재(22)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개폐덮개(40)는 상면부재(23)의 개방홀(26)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개폐덮개(40)는 상면부재(23)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덮개부재가 개방홀(26)을 개방시,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공간(21)이 개방홀(26)을 통해 개방된다.
측면부재(22) 및 도어(30)는 방탄 성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특정 측면부재(22) 또는 모든 측면부재(22)는 투명창(25)을 구비한다. 그래서, 근무자는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공간(21)에서 외부를 안전하게 외부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명창(25)은 방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투명창(25)은 공지의 방탄유리인 것으로 한다.
한편, 비행체(50)는, 개폐덮개(40)가 상면부재(23)의 개방홀(26)을 개방시, 개방홀(26)을 통해 방탄초소몸체부(20) 내부로 진입하거나 또는 방탄초소몸체부(20)의 외부로 비행한다. 이때, 비행체(50)는 드론인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비행체(50)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를 공중에서 감시할 수도 있고, 특정한 대상을 공격할 수도 있다.
그래서, 근무자가 안전하게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공간(21)에서, 비행체(50)를 통해 방탄초소몸체부(20)의 외부를 관찰할 수 있고, 적을 공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무자는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에서 조작컨트롤러(52)를 이용하여 비행체(50)를 조작한다.
한편, 상하위치설정부(60)는 닫힌 상태의 개폐덮개(40)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공간(21)에 구비되고, 개폐덮개(40)의 개폐 여부에 따라 높이 가변되며, 비행체(50)가 놓이게 된다.
즉, 개폐덮개(40)가 개방홀(26)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하위치설정부(60)는 비행체(50)의 대기 위치를 낮추게 된다. 이에 따라, 근무자는 비행체(50)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나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폐덮개(40)가 개방홀(26)을 열게 되면, 상하위치설정부(60)는 비행체(50)를 방탄초소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비행체(50)는 방탄초소몸체부(20)의 간섭 없이 비행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하위치설정부(60)는 베이스패널(61),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 구동원(63), 어퍼패널(64) 및 연동개폐부(100)를 포함한다.
베이스패널(61)은 상하위치설정부(60)의 하측에 위치하여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 및 어퍼패널(6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패널(61)은 평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는 상호 교차되게 링크 연결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하측이 베이스패널(61)에 연결 지지된다. 이때, 각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는 하측이 베이스패널(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는 링크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전체 높이가 높아지거나(전진) 또는 낮아진다(후진).
그리고, 어퍼패널(64)은 적어도 한 쌍의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의 상부에 놓이거나 연결되고, 비행체(50)를 지지한다.
즉, 비행체(50)는 어퍼패널(64)에서 이륙하거나 착륙한다. 그래서, 어퍼패널(64)은 적어도 한 쌍의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아울러, 구동원(63)은 한 쌍씩의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끼리를 연결하여 외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를 전진하거나 후진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동원(63)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끼리를 연결하는 실린더(65), 및 실린더(65)의 전후진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재(66)를 포함한다. 조작부재(66)는 공기압축기나 모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구동원(63)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어퍼패널(64)은 완전히 상승시 개방홀(26)의 내측에 위치한다. 어퍼패널(64)의 테두리가 개방홀(26)의 내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어퍼패널(64)은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방탄초소몸체부(20)는 내부공간(21)에 작업대(70)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대(70)는 근무자가 작업이나 업무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하위치설정부(60)는 작업대(7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를 통해,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의 전진 이동 거리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특히, 방탄초소몸체부(20)는 측면부재(22)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감시모듈(90)을 구비할 수 있다. 감시모듈(90)은 방탄초소몸체부(20)의 외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근무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이해, 방탄초소몸체부(20)는 내부에 모니터(92)를 구비하여, 감시모듈(90)을 통한 외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연동개폐부(100)는 어퍼패널(64)의 승하강 이동에 연동되어 개폐덮개(40)를 회동시키며 개방홀(26)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폐덮개(40)는 일측 가장자리가 상면부재(23)에 힌지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고, 연동개폐부(100)의 작동시 타측이 호 궤적을 따라 이동되며 개방홀(26)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연동개폐부(100)는 브라켓(110), 안내롤러(120), 승하강안내레일(130), 승하강샤프트(140), 링크바(150) 및 전후진작동부재(160)를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어퍼패널(64)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향되게 연장된다. 이때, 브라켓(110)은 어퍼패널(64)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브라켓(110)은 어퍼패널(64)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안내롤러(120)는 브라켓(11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안내롤러(120)는 개수 및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승하강안내레일(130)은 개방홀(26)에 대응되도록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측면 특히 측면부재(22)에 고정되어, 어퍼패널(64)의 승하강시, 안내롤러(120)를 구름 회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브라켓(110)이 어퍼패널(64)의 양측에 구비됨에 따라, 승하강안내레일(130)은 나란하게 한 쌍 구비된다. 물론, 승하강안내레일(13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샤프트(140)는 대응되는 브라켓(110)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어퍼패널(64)과 함께 승하강 이동된다. 이때, 브라켓(110) 각각은 승하강샤프트(140)를 연결하는 부위와 안내롤러(120)를 구비하는 부위가 상이하다. 물론, 승하강샤프트(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링크바(150)는 승하강샤프트(140)의 상측에 일측이 링크 연결되고, 타측이 어퍼패널(64)의 하측면에 힌지 연결된다. 물론, 링크바(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전후진작동부재(160)는 승하강샤프트(140)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링크바(150)에 힌지 연결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면서 어퍼패널(64)을 밀어 완전히 젖혀지게 하거나, 또는 당겨 개방홀(26)을 막도록 작동된다.
이때, 전후진작동부재(160)가 어퍼패널(64)을 밀어 열어젖힐 때, 링크바(150)가 어퍼패널(64)을 더 밀기 때문에, 어퍼패널(64)은 뒤집힌 상태로 상면부재(23)의 표면에 면접된 상태가 된다. 이는, 비행체(50)의 이륙이나 착륙시, 어퍼패널(64)이 비행체(50)에 간섭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방탄초소몸체부(20)는 승하강안내레일(130)을 지지하기 위해 고정블록(72)을 복수 개 구비한다. 이때, 고정블록(7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승하강안내레일(130)별로 2개 구비되어 설정 위치에서 승하강안내레일(130)을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설정된 위치의 고정블록(172)은 전후진작동부재(160)의 작동 시점 검출을 위해 근접센서(17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승하강안내레일(130)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블록(172) 중 상대적으로 상측의 고정블록(172)에 구비된 근접센서(174)가 브라켓(110)을 검출시, 전후진작동부재(160)가 어퍼패널(64)을 젖히도록 전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어퍼패널(64)이 하강된 초기 상태에서, 승하강안내레일(130)의 지지에 의해, 승하강샤프트(140)와 링크바(150)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 후, 어퍼패널(64)이 상승시, 링크바(150)와 승하강샤프트(140)가 승하강안내레일(130)의 상부로 이탈되면서 상면부재(23)에 힌지 연결된 개폐덮개(40)에 의해 회동되면서 개폐덮개(40)를 밀어 젖히게 된다.
반대로, 하나의 승하강안내레일(130)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블록(172) 중 상대적으로 히측의 고정블록(172)에 구비된 근접센서(174)가 브라켓(110)을 검출시, 전후진작동부재(160)가 어퍼패널(64)을 초기 위치로 잡아당기도록 후진 작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근무자가 방탄초소몸체부(20)의 내부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에서, 방탄초소몸체부(20)의 외부의 상황을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고 비행체(50)를 통해 적을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근무자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방탄초소몸체부(20)는 크레인 등을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면부재(23) 또는 측면부재(22)에 걸고리(29)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걸고리(2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닫힌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의 개폐덮개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탄초소(10)는 방탄초소몸체부(20), 도어(30), 개폐덮개(40), 비행체(50) 및 상하위치설정부(60)를 포함한다.
방탄초소몸체부(20), 도어(30) 및 비행체(5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개폐덮개(40)는 상면부재(23)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되는 개방홀(26)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개폐덮개(40)는 개방홀(26)을 개폐하게 된다. 덮개부재가 개방홀(26)을 개방시, 몸체부(20)의 내부공간(21)이 개방홀(26)을 통해 개방된다.
이때, 상면부재(23)는 개방홀(26)을 기준으로 양측을 따라 상측면에 나란한 가이드레일(42)을 구비한다. 그래서, 개폐덮개(40)는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되며, 개방홀(26)을 개폐하게 된다. 물론, 가이드레일(4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개폐덮개(40)는 방탄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특히, 개폐덮개(40)는 가이드레일(42)에 의해 상면부재(23)와 소정 유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악취나 가스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면부재(23)는 개방홀(26)을 기준으로 가이드레일(42)의 사이에 해당되는 양측 가장자리에 틈새막음부재(4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개방홀(26)의 가장자리는 가이드레일(42)과 틈새막음부재(43)가 이어지게 배치된다.
이때, 개폐덮개(40)는 스토퍼(45)를 구비한다. 개폐덮개(40)가 개방홀(26)을 닫은 방향으로 이동시, 스토퍼(45)가 대응되는 틈새막음부재(43)에 접할 경우, 개폐덮개(40)는 개방홀(26)을 완전히 막는 상태가 된다. 물론, 스토퍼(4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틈새막음부재(43)와 가이드레일(4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개폐덮개(40)는 눈이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면에 경사면(41)을 형성한다.
또한, 개폐덮개(40)는 근무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개폐모터(44)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될 수도 있다. 이때, 개폐모터(44)는 전기모터이고, 가이드레일(42)이 LM가이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하위치설정부(60)는 베이스패널(61),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 구동원(63) 및 어퍼패널(64)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패널(61),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 및 어퍼패널(64)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어퍼패널(64)은 적어도 한 쌍의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의 상부에 놓이거나 연결되고, 비행체(50)를 지지한다.
즉, 비행체(50)는 어퍼패널(64)에서 이륙하거나 착륙한다. 그래서, 어퍼패널(64)은 적어도 한 쌍의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특히, 구동원(63)은, 개폐덮개(40)가 센싱부재(80)에 의해 상면부재(23)의 개방측에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감지된 후, 승하강링크작동부재(62)의 작동을 위해 작동된다.
이때, 센싱부재(80)는 개폐덮개(40)가 완전히 후진된 상태를 검출하도록 상면부재(23)의 상측면에 구비되거나, 몸체부(20)의 내부에 위치한 채 개폐덮개(40)를 개방하기 위해 구동되는 개폐모터(44)의 구동 완료됨을 감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어퍼패널(64)은 완전히 상승시 개방홀(26)의 내측에 위치한다. 어퍼패널(64)의 테두리가 개방홀(26)의 내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어퍼패널(64)은 흔들림이 방지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방탄초소 20: 방탄초소몸체부
21: 내부공간 22: 측면부재
23: 상면부재 25: 투명창
26: 개방홀 30: 도어
40: 개폐덮개 41: 경사면
42: 가이드레일 43: 틈새막음부재
45: 스토퍼 50: 비행체
60: 상하위치설정부 62: 승하강링크작동부재
70: 작업대 80: 센싱부재
90: 감시모듈

Claims (8)

  1. 내부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적어도 복수 개의 방탄 성능을 갖는 재질의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 전체에 걸쳐 지지되는 상면부재로 이루어진 방탄초소몸체부; 복수 개의 측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탄 재질의 도어; 상기 상면부재에 형성되는 개방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덮개;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을 개방시,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을 통해 상기 방탄초소몸체부 내부로 진입 또는 상기 방탄초소몸체부의 외부로 비행하는 비행체; 및 상기 개폐덮개에 대응되는 상기 방탄초소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비행체의 이륙과 착륙을 위해 높이 가변 설정되는 상하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위치설정부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상호 교차되게 링크 연결되어, 교차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시 높이가 상이해지는 승하강링크작동부재; 상기 승하강링크작동부재의 상하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원; 및 상기 승하강링크작동부재에 놓여지고, 상기 비행체를 지지하는 어퍼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덮개는 위치 고정된 채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상면부재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상하위치설정부는, 상기 어퍼패널의 승하강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개폐덮개의 타측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회동시키며 상기 개방홀을 개폐하는 연동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개폐부는, 상기 어퍼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하향되게 연장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내롤러;
    상기 개방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방탄초소몸체부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어퍼패널의 승하강시, 상기 안내롤러를 구름 회전 안내하는 승하강안내레일;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어퍼패널과 함께 승하강되는 승하강샤프트;
    상기 승하강샤프트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어퍼패널에 힌지 연결되는 링크바; 및
    상기 승하강샤프트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링크바에 힌지 연결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어퍼패널을 밀어 완전히 젖히거나 당겨 상기 개방홀을 막는 전후진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초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투명창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창은 방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초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와 상기 도어는 방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초소.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개폐덮개가 센싱부재에 의해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에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감지된 후, 상기 승하강링크작동부재의 작동을 위해 구동되고,
    상기 어퍼패널은 상승시 상기 상면부재의 개방측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초소.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초소몸체부는 상기 승하강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해 고정블록을 복수 개 구비하고,
    설정된 위치의 고정블록은 상기 전후진작동부재의 작동 시점 검출을 위해 근접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초소.
KR1020200066778A 2020-06-03 2020-06-03 방탄초소 KR10220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778A KR102200587B1 (ko) 2020-06-03 2020-06-03 방탄초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778A KR102200587B1 (ko) 2020-06-03 2020-06-03 방탄초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87B1 true KR102200587B1 (ko) 2021-01-11

Family

ID=7412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778A KR102200587B1 (ko) 2020-06-03 2020-06-03 방탄초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572A (ko) * 2014-03-03 2015-09-11 나상철 군사용 산병호(散兵壕)
KR20170017517A (ko) * 2015-08-07 2017-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KR101961668B1 (ko) * 2017-11-06 2019-03-26 대한민국 드론 보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6518472B2 (ja) * 2015-03-19 2019-05-22 セコム株式会社 離着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572A (ko) * 2014-03-03 2015-09-11 나상철 군사용 산병호(散兵壕)
JP6518472B2 (ja) * 2015-03-19 2019-05-22 セコム株式会社 離着陸装置
KR20170017517A (ko) * 2015-08-07 2017-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KR101961668B1 (ko) * 2017-11-06 2019-03-26 대한민국 드론 보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00B1 (ko) 드론 격납이 가능한 승강 폴 시스템
CN111776237B (zh) 无人机机场以及无人机系统
US10962333B2 (en) Vehicle mounted sliding type retractable mobile protective shield
KR101689269B1 (ko) 자동 방폭문
DE202018104721U1 (de) Feuerfeste Aufzugsanlage
KR20150086966A (ko)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2200587B1 (ko) 방탄초소
US4919228A (en) Rescue system for tall buildings
US20160244297A1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display of elevator hall door
KR101933458B1 (ko) 사고인지 기능이 향상된 랙 피니언 방식 터널진입차단장치
WO2024040970A1 (zh) 智能工地安防动火巡检机器人
RU134917U1 (ru) Подъемник для аварийной эвакуации из высотного здания
JP7514080B2 (ja) ドローンポート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
KR101836080B1 (ko) 이동로봇
KR102253170B1 (ko)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US9080371B2 (en) Security screen
AT10458U1 (de) Vorrichtung zum geschützten heranfahren von personen an gebäuden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CN210707674U (zh) 消防侦查机器人
KR101540387B1 (ko)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KR20180013059A (ko) 차량 방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검문 시스템
KR20210128726A (ko) 방폭셔터 장치
CN218833460U (zh) 一种消防强突机器人
CN216772489U (zh) 一种大型油罐用安全门禁装置
CN216553644U (zh) 一种防火卷帘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