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60Y1 - 바닥 레벨러 - Google Patents

바닥 레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60Y1
KR200398760Y1 KR20-2005-0020263U KR20050020263U KR200398760Y1 KR 200398760 Y1 KR200398760 Y1 KR 200398760Y1 KR 20050020263 U KR20050020263 U KR 20050020263U KR 200398760 Y1 KR200398760 Y1 KR 200398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nut
height
level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준
Original Assignee
박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준 filed Critical 박해준
Priority to KR20-2005-0020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결정하여 바닥면의 평활도를 향상시키는 수평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받침구와 상부 조절구가 나사봉에 체결된 한쌍의 너트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나사봉삽입공이 뚫리고 상부에 넓은 면이 형성된 조절구; 나사봉삽입공이 뚫리고 하부에 형성된 넓은 면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받침구; 두개의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나사봉삽입공에 양측부가 끼워지며, 너트에 의해 끼워지는 깊이가 조절되어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으로 구성된 바닥 레벨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닥 레벨러{A laveler for fla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결정하여 바닥면의 평활도를 향상시키는 수평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받침구와 상부 조절구가 나사봉에 체결된 한쌍의 너트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닥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벽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형성시키기 위하여 그 두께를 미리 결정하고, 평활도를 맞추어 시공하여야 한다. 상기 두께를 맞추기 위하여 보조적인 수단으로 레벨러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로 타설할 높이를 지시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면을 수평으로 맞추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각종 공장 특히 정밀부품공장을 비롯하여, 대형창고 등 모든 건축물의 바닥의 평활도는 관리되어져야 한다.
즉, 바닥면이 정밀하게 수평으로 타설되어야, 이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들이 제대로 수평을 맞추어 설치되어 장비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이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도 향상된다. 그리고 창고의 경우 지게차 등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 평활도는 매우 중요한 건축의 요소로 되어 그 시공부터 철저히 관리되어야 하는데, 콘크리트 타설면을 수평되게 지시하는 것이 바로 레벨러이다.
종래의 레벨러의 구조는 상부의 조절구와, 하부의 받침구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구와 받침구의 일측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며,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라 그 높이가 결정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벨러는 조절구와 받침구만으로 높이가 결정되므로 높이 결정의 한계가 있고, 현장에서 결합을 하기는 나사체결방식이라 매우 번거로우며, 제조상에 있어서도 암나사부는 가공에 의해 이루어져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두꺼운 콘크리트 바닥의 두께도 지시할 수 있도록 긴 높이를 가지고,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그 높이가 대략적으로 결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장에서는 나사체결방식이 아니라 꼽아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바닥 레벨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의 두께를 결정하는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하부 받침구와, 상부 조절구와, 두개의 너트가 체결된 나사봉의 3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입설된 나사봉의 하부에는 받침구가 삽입되고, 상부에는 조절구가 삽입되는데, 나사체결방식이 아니고 각각 받침구와 조절구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봉이 끼워지는 간편한 구조이다. 또한 나사봉에 체결된 두개의 너트는 각각 받침구와 조절구의 사이 간격을 결정하므로 전체적으로 레벨러의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구조는, 나사봉삽입공(1)이 뚫리고 상부에 넓은 면이 형성된 조절구(2); 나사봉삽입공(1)이 뚫리고 하부에 형성된 넓은 면에 다수개의 체결공(3)이 형성된 받침구(4); 두개의 너트(5)가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나사봉삽입공(1)에 양측부가 끼워지며, 너트(5)에 의해 끼워지는 깊이가 조절되어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6);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조절구(2)의 상부면에는 너트(5)와 같은 형상의 체결돌부(7)가 형성되어, 너트체결용 공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받침구(4)의 상단에는 너트(5)의 형상과 같은 너트고정공(8)이 형성되어, 나사봉(6)에 체결된 너트(5)가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체결구(9)가 받침구(4)의 체결공(3)에 삽입된 후 거푸집(10)에 고정되어 사용되고, 레벨러의 상단에 맞게 콘크리트를 맞추어 타설하게 되는데, 이의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본 고안은 나사봉(6)과 이에 체결된 두개의 너트(5)에 의해 우선적으로 높이가 결정된다. 즉, 개략적인 높이를 나사봉(6)과 너트(5)로써 미리 맞추어 두고, 현장에서는 나사봉(6)을 그냥 받침구(4)와 조절구(2)의 나사봉삽입공(1)에 끼워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조는 종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조립되어 현장에서 설치된다. 종래의 경우는 받침구(4)와 조절구(2)에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가 형성되어, 현장에서 나사체결시켜 사용되었는데, 이와 같이 나사체결시키는 것과 구멍에 나사봉(6)을 그냥 끼우는 것은 편리성에 있어 매우 차이가 나게 된다.
본 고안은 나사봉(6)에 두개의 너트(5)를 미리 체결하되, 너트(5)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레벨러의 높이가 결정되므로, 미리 너트(5)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현장에 공급된다.
현장에서는 체결구(9)를 받침구(4)의 체결공(3)에 삽입하여 레벨러를 고정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거푸집(10)에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다수개의 받침구(4)를 고정한 후에 너트(5)가 체결된 나사봉(6)의 일측을 받침구(4)의 나사봉삽입공(1)에 끼우게 된다.
받침구(4)의 상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고정공(8)이 너트(5)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받침구(4)의 나사봉삽입공(1)에 삽입된 나사봉(6)에 체결된 하측의 너트(5)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조절구(2)의 나사봉삽입공(1)을 나사봉(6)의 상부에 끼우게 되면, 조절구(2)의 하단부는 상측에 체결된 너트(5)에 얹혀 고정된다. 물론 나사봉삽입공(1)과 나사봉(6)의 체결은 헐거우면 안되며, 어느 정도 압입되는 수준을 가져야 한다. 즉, 조절구(2)를 회전시키면 나사봉(6)도 함께 회전되는 정도의 압입된 상태면 족하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상기의 조절구(2)를 나사봉(6)에 끼우는 단순한 방법이 사용됨에 특징이 있다. 즉, 조절구(2)의 나사봉삽입공(1)을 나사봉(6)에 끼우고, 조절구(2)의 상단을 손으로 누르거나 고무망치 등으로 두드려 삽입시키는데,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구(2)는 나사봉(6)의 상단에 체결된 너트(5)까지 한번에 삽입되면서 그 설치 높이가 미리 세팅된 너트(5)에 의해 결정된다. 즉 조절구(2)는 회전되어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손이나 고무망치 등으로 눌려져 바로 너트(5)까지 삽입되는 간단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완전 체결된 구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나사봉(6)에 체결된 너트(5)의 간격에 의해 결국 레벨러의 높이가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처음의 나사봉(6)에 체결된 너트(5)의 간격조절만으로 레벨러의 높이가 적절하였다면 이와 같이 하여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높이 조절을 하여야 할 것 같으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5)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즉, 현장에서 너트(5)를 목표하는 높이로 회전시키는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장치의 소켓(11)을 너트(5)에 체결한 후 회전시켜 적절위치의 높낮이로 조절하거나, 나사봉(6)에 삽입된 조절구(2)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돌부(7)에 소켓(11)을 끼워 회전시켜 조절하면 된다. 상기의 체결돌부(7)는 너트(5)의 형상과 같으므로, 소켓(11)은 너트(5) 또는 체결돌부(7) 중 어느 것에도 맞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나사봉(6)과 너트(5)에 의해 높이를 결정하게 되므로, 나사봉(6)의 길이에 따라 얼마든지 높게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는 조절구(2)와 받침구(4)에 의해서만 높이가 결정되므로 그 높이 조절이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나사봉(6)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경우는 조절구(2)와 받침구(4) 자체에 나사산을 형성시켜 사용하였으므로, 레벨러의 제작을 위하여는 별도로 나사산을 가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단품으로 제조되어 사용되는 나사봉(6)을 그대로 활용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나사봉(6)과 이에 체결된 너트(5)에 의해 높이를 결정하게 되므로, 두꺼운 콘크리트 바닥도 지시할 수 있고, 현장에서는 나사체결방식이 아니라 그냥 간편하게 꼽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제품의 제조에 있어 나사산의 가공이 불요하므로 제품의생산성 또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너트를 이용하여 높이를 결정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 조정구를 이용하여 높이를 결정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사봉삽입공 2 : 조절구
3 : 체결공 4 : 받침구
5 : 너트 6 : 나사봉
7 : 체결돌부 8 : 너트고정공
9 : 체결구 10 : 거푸집
11 : 소켓

Claims (3)

  1. 나사봉삽입공(1)이 뚫리고 상부에 넓은 면이 형성된 조절구(2); 나사봉삽입공(1)이 뚫리고 하부에 형성된 넓은 면에 다수개의 체결공(3)이 형성된 받침구(4); 두개의 너트(5)가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나사봉삽입공(1)에 양측부가 끼워지며, 너트(5)에 의해 끼워지는 깊이가 조절되어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6);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레벨러.
  2. 제 1항에 있어서, 조절구(2)의 상부면에는 너트(5)와 같은 형상의 체결돌부(7)가 형성되어, 너트체결용 공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바닥 레벨러.
  3. 제 1항에 있어서, 받침구(4)의 상단에는 너트(5)의 형상과 같은 너트고정공(8)이 형성되어, 나사봉(6)에 체결된 너트(5)가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바닥 레벨러.
KR20-2005-0020263U 2005-07-12 2005-07-12 바닥 레벨러 KR200398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63U KR200398760Y1 (ko) 2005-07-12 2005-07-12 바닥 레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263U KR200398760Y1 (ko) 2005-07-12 2005-07-12 바닥 레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60Y1 true KR200398760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63U KR200398760Y1 (ko) 2005-07-12 2005-07-12 바닥 레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565B1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CN211396423U (zh) 一种调平结构
KR200398760Y1 (ko) 바닥 레벨러
EP0706597B1 (en) Floor construction with parallel joists
US6550152B2 (en) Adjustable spirit level for tile and cabinet installation
KR200384367Y1 (ko) 건축용 서포트
KR101761111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US11566433B2 (en) Grout leveler tool
JP6158894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面の仕上げ方法とそれに用いる天端設定装置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KR101864988B1 (ko) 석재패널 수평조절용 패드
GB2155072A (en) Securing cladding panels
KR20040059594A (ko) 수평조절 블록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US20150075091A1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frame member and installation method
JP6698270B2 (ja) 調整機能付き下地部材および建物開口部の下地構造
KR200348948Y1 (ko) 스틸-폼의 수평조절장치
CN211114580U (zh) 调平组件
JPH0352917Y2 (ko)
KR200334387Y1 (ko) 건물용 구조재 상호접합 연결 금속구
RU84420U1 (ru) Маяк для бетонных, отделочных и монтажных работ
JP3849983B2 (ja) 内壁パネル固定金具及び内壁パネルの固定構造
KR860000411Y1 (ko) 레벨조정나사
KR200283837Y1 (ko)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KR930003848Y1 (ko) 건축용 내장판재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