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837Y1 -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 Google Patents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837Y1
KR200283837Y1 KR2020020012471U KR20020012471U KR200283837Y1 KR 200283837 Y1 KR200283837 Y1 KR 200283837Y1 KR 2020020012471 U KR2020020012471 U KR 2020020012471U KR 20020012471 U KR20020012471 U KR 20020012471U KR 200283837 Y1 KR200283837 Y1 KR 200283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strate
hole
screw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김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형 filed Critical 김진형
Priority to KR202002001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837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수직바들과 결합되는 조립구멍(13)을 가진 수직편(11) 및 기판(20)과 결합되는 조립구멍(14)을 가진 수평편(12)으로 된 브래키트(10)와, 브래키트(10)가 결합되는 슬로트와 같은 조립구멍(21)을 가지며 나사부(31), 다각형헤드(32), 및 첨단부(33)를 가진 스크류봉(30)이 나사구멍(22)에 나사결합된 기판(20)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현관도어 프레임을 건물의 마감처리하기전의 바닥위에서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또 조절된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수직바들의 거리가 다른 프레임들에 대해서도 호환성있게 사용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Space adjusting device for frame of the entrance door}
본 고안은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현관 출입구쪽 바닥위에 현관도어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들의 아래쪽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는 간격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현관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들의 아래쪽과 바닥 사이에는 마감처리 공간이 있기 마련인바 종래에는 이 공간을 확보해주면서 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설치시켜주기 위해서 개구부의 바닥과 프레임 사이에 고임목이나 벽돌들을 끼워넣고 쐐기를 사용하여서 프레임을 수평상태로 가고정시켜 왔었기 때문에 프레임을 수평상태로 만들어주기가 매우 번거롭고 어려웠었을 뿐만 아니라 공사 중 가고정된 도어프레임을 통해서 출입하는 작업자나 운반되는 자재 등에 의해서 그 가고정된 상태가 쉽게 흐트러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현관도어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 할 수 있고 조절된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현관도어 프레임의 간격조절구를 제공하는데 기술적과제를 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현관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바들의 거리가 다른 현관도어프레임에 대해서도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를 제공하는데도 기술적과제를 둔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현관도어프레임의 한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간격조절구의 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2에서 보인 간격조절구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간격조절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는 도 4에서 보인 간격조절구의 종단면도.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격조절구의 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 에서 보인 간격조절구는 현관도어프레임(A)을 구성하는 내, 외측 수직바(B1), (B2)와 같은 수직바(B)의 하단부측벽에 조립되는 브래키트(10),이 브래키트(10)가 조립되는 기판(20) 및 이 기판(2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봉(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브래키트(10)는 수직바(B)의 하단부측벽과 접하는 수직편(11)과, 기판(20)과 접하는 수평편(12)을 갖고 있다.
수직편(11)에는 수직바(B)의 조립구멍(40)과 대응하는 조립구멍(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리벳이나 스크류(41)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조립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41)를 사용해서 조립해 줄 경우 브래키트(10)의 조립구멍(13)은 나사구멍으로 한다.
수평편(12)에는 기판(20)에 있는 조립구멍(21)과 대응하는 조립구멍(14)이 형성되어 있어서 기판(20)의 조립구멍(21) 아래쪽으로 부터 끼워지는 스크류(42)의나사부(43)와 나사결합되는 너트(44)로 브래키트(10)를 기판(20)에 조립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브래키트(10)의 조립구멍(14) 중 내측수직바(B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서 너트(44)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크류(42)의 나사부(43)와 직접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으로 이루어진 조립구멍(14')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기판(20)의 조립구멍(21)은 내, 외측수직바(B1), (B2)들의 거리가 다른 현관도어프레임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즉,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슬로트로 해주는 것이 좋다.
스크류봉(30)은 나사부(31)의 양쪽끝에 각각 다각형헤드(32)와 첨단부(33)가 형성되어 있어서 기판(20)의 나사구멍(22)과 나사결합되는데 스크류봉(30)의 다각형헤드(32)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나 손으로 회전시켜서 도1, 도3 및 도5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첨단부(33)가 건물의 마감처리하기 전의 바닥(C)과 접한 상태에서 기판(20)을 바닥(C)으로 부터 들어올려 주어서 소정의 간격(d)이 유지되도록 셋팅시켜 주게 된다.
도 4와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격조절구의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보인 간격조절구는 기판(20)에 내측수직바(B1)와 조립되는 수직편(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직편(23)에 상기 내측수직바(B1)의 조립구멍(40)과 대응하는 조립구멍(24)이 형성되어 있어서 리벳이나 스크류(41)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내측수직바(B1)를 기판(20)에 바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는 내측수직바(B1)만을 기판(20)에 바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기판(20)의 양단부쪽에도 상기 수직편(23)과 조립구멍(24)을 형성시켜서 외측수직바(B2)도 내측수직바(B1)처럼 브래키트(1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판(20)에 바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해 줄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는 내, 외측수직바(B1),(B2)들의 거리가 일정한 프레임에 적용된다.
본 고안은 현관도어프레임(A)을 건물의 바닥을 마감처리하기전의 바닥(C)위에서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또 조절된 수평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수직바들의 거리가 다른 현관도어프레임들에 대하여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조립구멍(13)을 가진 수직편(11) 및 조립구멍(14)을 가진 수평편(12)으로된 브래키트(10)와, 이 브래키트(10)의 조립구멍(14)과 대응하는 조립구멍(21)을 가지며 나사구멍(22)에 나사부(31), 다각형헤드(32) 및 첨단부(33)를 가진 스크류봉(30)이 나사결합되는 기판(20)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 프레임의 간격조절구.
  2. 제 1항에 있어서, 기판(20)의 조립구멍(21)이 슬로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3. 제 1항에 있어서, 기판(20)에 조립구멍(24)을 가진 수직편(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KR2020020012471U 2002-04-24 2002-04-24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KR200283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471U KR200283837Y1 (ko) 2002-04-24 2002-04-24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471U KR200283837Y1 (ko) 2002-04-24 2002-04-24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837Y1 true KR200283837Y1 (ko) 2002-07-27

Family

ID=7308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471U KR200283837Y1 (ko) 2002-04-24 2002-04-24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8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659B1 (ko) * 2002-05-15 2005-12-19 김진형 현관도어프래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659B1 (ko) * 2002-05-15 2005-12-19 김진형 현관도어프래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565B1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200283837Y1 (ko) 현관도어프레임의 간격조절구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37083B1 (ko) 흙손
KR100537659B1 (ko) 현관도어프래임
KR200148837Y1 (ko) 베란다 창틀하단막음 패널 구조
KR200275899Y1 (ko) 방화문용힌지
JP2967820B1 (ja) コンクリートpcバルコニーの構造
JP2005188131A (ja) フランス落とし装置
JPS6350323Y2 (ko)
JP2000336880A (ja) 手摺り
JP6836916B2 (ja) 簡易建物
KR200222985Y1 (ko) 격자식 이중 창호프레임의 체결구조
KR200401191Y1 (ko) 창틀 체결구조
JP3252097B2 (ja) バランスブラケット
KR200421788Y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설치장치
JP4544058B2 (ja) 階段の手摺取付構造
KR200281207Y1 (ko) 현관도어 프레임 조립용 연결구
KR200312105Y1 (ko) 창호틀 조립체
JP6698270B2 (ja) 調整機能付き下地部材および建物開口部の下地構造
JP4749264B2 (ja) 室内面格子の取付け機構
JPS589990Y2 (ja) 内外方向調整可能膳板
JPH0813919A (ja) 取付調整部材
JP2624452B2 (ja) 手摺り支柱の固定装置
KR960009418Y1 (ko) 천정판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