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49B1 -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549B1
KR101458549B1 KR1020130047335A KR20130047335A KR101458549B1 KR 101458549 B1 KR101458549 B1 KR 101458549B1 KR 1020130047335 A KR1020130047335 A KR 1020130047335A KR 20130047335 A KR20130047335 A KR 20130047335A KR 101458549 B1 KR101458549 B1 KR 10145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door
base frame
shaft housing
hing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팩
Priority to KR102013004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힌지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힌지축 하우징의 위치조절 및 베이스 프레임과의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는,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오토 힌지축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이 형성된 힌지축 하우징이 안착되고, 상기 힌지축 하우징의 측면에 축볼트를 형성하여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토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편의 좌,우측으로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지지편에 볼트를 각각 체결하여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며,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건물 바닥에 매설한 후, 문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오토 힌지축을 힌지축 하우징에 형성된 힌지홈에 설치하고 문틀과 문의 틈새 또는 문의 배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조작할 때 공구의 사용시 편리함과 견고한 설치를 할 수 있고, 작업상에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힌지축 하우징의 위치조절 구조와 고정구조가 매우 간결하여 생산원가를 절감과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Auto hinge axis supporter of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힌지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힌지축 하우징의 위치조절 및 베이스 프레임과의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사무실의 출입문 중에는 문의 일측을 밀거나 당겨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닫이문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여닫이문은 대부분 강화유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을 밀거나 당겨서 사람이 출입하고나면, 문이 자동으로 닫아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오토 힌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힌지장치가 구비된 여닫이문을 시공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 바닥에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매몰되게 시공하여 설치를 완료한 다음, 그 위에 여닫이문을 설치하는데, 구체적으로 건물 바닥에 미리 매설한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힌지축 하우징의 힌지홈에 여닫이문의 하부에 설치된 오토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오토 힌지축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때, 힌지축 하우징에 형성된 힌지홈에 결합된 오토 힌지축이 수직선상으로 정확히 맞지 않고 어긋나게 되면 문짝과 문틀(또는 벽면)이 틀어져 맞지 않게 되거나 여닫이문의 위치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나가거나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가 매설된 건물 바닥을 파내고 재시공을 해야하는데,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공사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공사비용이 증가 되고 낭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힌지축 하우징의 위치조절 및 베이스 프레임과의 고정을 위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10-2007-0108961호, 도어 개폐용 오토 힌지의 힌지축 지지장치가 있는데,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의 발명자가 2012년 08월16일자 출원한 실용신안 출원 20-2012-0002784호 여닫이문용 오토 힌지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힌지축 하우징(100)과 받침구(101) 및 베이스 프레임(102)으로 구성되고, 좌,우측 4개의 위치 조절볼트(103)와 4개의 고정볼트(104)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비싸고, 특히 오토 힌지축을 힌지축 하우징에 설치하고 위치를 조절할 때 좌,우측 4개의 위치 조절볼트와 4개의 고정볼트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조절볼트와 고정볼트를 체결 또는 이완시킬 때 공구사용이 매우 어렵게 됨으로써 완벽한 시공을 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힌지축 하우징과 위치조절구조 및 고정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며,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힌지축 하우징의 위치조절구조 및 고정구조의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에 구성하여 정확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구성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는,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오토 힌지축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이 형성된 힌지축 하우징이 안착되고, 상기 힌지축 하우징의 측면에 축볼트를 형성하여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토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편의 좌,우측으로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지지편에 볼트를 각각 체결하여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건물 바닥에 매설한 후, 문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오토 힌지축을 힌지축 하우징에 형성된 힌지홈에 설치하고 문틀과 문의 틈새 또는 문의 배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조작할 때 공구의 사용시 편리함과 견고한 설치를 할 수 있고, 작업상에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힌지축 하우징의 위치조절 구조와 고정구조가 매우 간결하여 생산원가를 절감과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의 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4,5,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에 관한 구성을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는,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오토 힌지축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2)이 형성된 힌지축 하우징(1)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가운데 힌지축 하우징을 안착시킬 수 있게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힌지축 하우징을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공(1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구멍(14)이 구비된 지지편(13)과, 상기 지지편의 좌,우측으로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지지편(15)(16)이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양쪽에 호형 볼트공(3)이 형성되고 가운데 힌지홈(2)과 측면에 축볼트(4)가 형성된 힌지축 하우징(1)을 안착시키고 호형 볼트공(3)을 통해 볼트(5)로 관통시켜 양쪽에 암나사공(12)에 체결하여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 하우징(1)의 측면에 형성된 축볼트(4)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13)의 구멍(14)을 관통하여 너트(4')로 체결토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편(13)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지지편(15)(16)에 형성된 암나사공으로 볼트(15')(16')를 체결하여 힌지축 하우징(1)의 양쪽 측면에 밀착되게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51은 여닫이문, 52는 커버고정용 암나사공, 53은 수직문틀, 54는 베이스 프레임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앙카볼트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여닫이문이 설치될 위치의 바닥에 매설하고 앙카볼트(54)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축 하우징(1)의 힌지홈(2)에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50)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여닫이문(51)을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에 설치한 다음, 수직문틀(53)과 여닫이문(51)의 틈새를 넓게 조절코자할 때, 또는 여닫이문의 방향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틀어진 경우에 조절할 때에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쪽에 호형 볼트공(3)을 통해 암나사공(12)에 체결된 볼트(5)를 풀어서 힌지축 하우징(1)과 베이스 프레임(10)을 이격시키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13)의 구멍(14)을 관통한 축볼트(4)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4')를 조여주면, 힌지축 하우징(1)이 수직문틀(53)에서 멀어지게 되고, 반대로 수직문틀(53)과 여닫이문(51)의 틈새를 좁게 조절코자할 때에는 축볼트(4)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4')를 풀어주고, 면 볼트(15')(16')를 조여주면 된다.
그리고, 여닫이문의 방향이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틀어진 경우는 지지편(13)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지지편(15)(16)의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15')(16')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볼트(15')(16')가 힌지축 하우징(1)의 양쪽 측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것으로 여닫이문의 방향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하여 공구를 사용할 때 너트(4')와 볼트(15')(16')가 수직문틀(53)에서 멀리 떨어졌기 때문에 너트 또는 볼트를 조이고 풀 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축 하우징(1)을 이동시켜 여닫이문(51)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쪽에 호형 볼트공(3)을 통해 암나사공(12)에 체결된 볼트(5)를 조여서 힌지축 하우징(1)과 베이스 프레임(10)을 고정시키면 여닫이문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1: 힌지 하우징 2: 힌지홈
3: 호형 볼트공 4: 축볼트
4':너트 5,15',16': 볼트
10: 베이스 프레임 11: 안착홈
13,15,16: 지지편

Claims (2)

  1.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베이스 프레임에는 양쪽에 호형 볼트공이 형성되고 가운데 힌지홈이 형성된 힌지축 하우징을 안착시키고 호형 볼트공을 통해 볼트가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며,
    상기 힌지축 하우징의 측면에는 힌지축 하우징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축볼트가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편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지지편의 좌,우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지지편이 형성되어 힌지축 하우징의 좌우측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편에 형성된 암나사에 볼트가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들은 수직문틀의 대응하는 쪽에 형성되고, 힌지축 하우징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축볼트는 힌지축 하우징의 측면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KR1020130047335A 2013-04-29 2013-04-29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KR10145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35A KR101458549B1 (ko) 2013-04-29 2013-04-29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335A KR101458549B1 (ko) 2013-04-29 2013-04-29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549B1 true KR101458549B1 (ko) 2014-11-06

Family

ID=5228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335A KR101458549B1 (ko) 2013-04-29 2013-04-29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5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163A (ko) 2019-05-18 2020-11-26 최경민 자동닫힘형 도어 시스템
KR20200002683U (ko) 2020-12-02 2020-12-09 최경민 자동닫힘형 도어 시스템
US11208835B2 (en) * 2019-07-24 2021-12-28 Arctek Industrial Co., Ltd. Adjusting base for door closer
AT525067A4 (de) * 2021-11-26 2022-12-15 Blum Gmbh Julius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relativ zu einem stationären Träger
WO2024094711A1 (en) * 2022-10-31 2024-05-10 Fritsjurgens Holding B.V. Pivot door anchoring device
KR102670081B1 (ko) * 2024-02-22 2024-05-28 김형수 도어 힌지 조립체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74Y1 (ko) * 1999-06-15 2002-01-05 이기정 스윙도어의 힌지 가이드 장치
KR200265406Y1 (ko) * 2001-11-01 2002-02-25 조택래 대문힌지
KR100869128B1 (ko) * 2008-07-10 2008-11-17 오세진 유압식 힌지장치가 장착된 자동 닫힘 도어를 위한회전조절수단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174Y1 (ko) * 1999-06-15 2002-01-05 이기정 스윙도어의 힌지 가이드 장치
KR200265406Y1 (ko) * 2001-11-01 2002-02-25 조택래 대문힌지
KR100869128B1 (ko) * 2008-07-10 2008-11-17 오세진 유압식 힌지장치가 장착된 자동 닫힘 도어를 위한회전조절수단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163A (ko) 2019-05-18 2020-11-26 최경민 자동닫힘형 도어 시스템
US11208835B2 (en) * 2019-07-24 2021-12-28 Arctek Industrial Co., Ltd. Adjusting base for door closer
KR20200002683U (ko) 2020-12-02 2020-12-09 최경민 자동닫힘형 도어 시스템
AT525067A4 (de) * 2021-11-26 2022-12-15 Blum Gmbh Julius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relativ zu einem stationären Träger
AT525067B1 (de) * 2021-11-26 2022-12-15 Blum Gmbh Julius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relativ zu einem stationären Träger
WO2023092159A1 (de) 2021-11-26 2023-06-01 Julius Blum Gmbh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relativ zu einem stationären träger
WO2024094711A1 (en) * 2022-10-31 2024-05-10 Fritsjurgens Holding B.V. Pivot door anchoring device
KR102670081B1 (ko) * 2024-02-22 2024-05-28 김형수 도어 힌지 조립체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549B1 (ko)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US11522490B2 (en) Height adjustment bracket for roof applications
US20130308325A1 (en) Mounting assembly for hanging fixture and related installation method
KR20090106066A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JP2007332640A (ja) 手摺取付装置
KR200489481Y1 (ko) 핸드레일 고정구
TWM440327U (en) Post-installation adjustment/positioning structure of door panel and wall
JP3483699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KR101175649B1 (ko) 도어의 회전지지장치
JP2004107948A (ja) コンクリート躯体直付け用ヒンジ金物の位置調整機構
KR20110049174A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KR200449536Y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JPH08199892A (ja) 建 具
CN213686119U (zh) 一种楼宇智能化用摄像机固定机构
KR200259290Y1 (ko) 칠판용 조명등기구
JPH0714458Y2 (ja) 洗面台の固定構造
JPH044140Y2 (ko)
JP2002146862A (ja) 水栓の取付装置
US20240120874A1 (en) Height adjustment bracket for roof applications
JPH0734974Y2 (ja) 壁材の取付け構造
JPH0319586Y2 (ko)
JP3009141U (ja) 調整式戸車
JP4018490B2 (ja) 手摺の支持具
KR20160058395A (ko) 이동가능 높이조절좌
JPH01311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