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13B1 -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13B1
KR101849913B1 KR1020170176233A KR20170176233A KR101849913B1 KR 101849913 B1 KR101849913 B1 KR 101849913B1 KR 1020170176233 A KR1020170176233 A KR 1020170176233A KR 20170176233 A KR20170176233 A KR 20170176233A KR 101849913 B1 KR101849913 B1 KR 10184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lide door
moving
moun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7017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88Lock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는,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홈부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수용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고, 문틀의 레일에 끼워지는 장착돌부를 형성하는 이동부와, 이동부를 바디부에서 하강하여 록킹하고,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조립시 이동부를 바디부에서 상승하여 록킹하므로 조립과정과 조립후에 장착돌부가 외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LOCKING DEVICE FOR A SLIDE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의 레일에 조립함에 있어 록킹장착부를 하강하여 록킹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배치한 후, 록킹장착부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승시켜 문틀의 레일에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록킹장착부의 걸림 작동과 걸림해제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걸림 작동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도어는 보통 도어본체 하측에 장착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문틀에 있는 하측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슬라이드 도어는 하측에는 롤러가 구비되지만, 상측에는 슬라이드 도어의 조립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측 장착돌부가 구비되어 문틀의 상측 레일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드 도어을 문틀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하측 롤러와 상측 장착돌부로 인해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경사지게 하여 상측 장착돌부를 문틀의 강측 레일에 먼저 삽입한 후, 하측 롤러를 하측 레일에 삽입하여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조립한다.
최근에는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된 하측 롤러를 상측으로 이동한 후,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설치하고, 상승된 롤러를 나사구조를 이용하여 다시 하강하도록 하여 하측 레일에 설치하고, 상측의 장착돌부는 승강구조를 이용하여 하강한 후 다시 복귀하여 상측 레일에 삽입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장착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슬라이드 도어의 장착돌부는 승강구조가 복잡하여 작동이 어렵고 장착돌부의 누름 상태가 슬라이드 도어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쉽게 누름 해제되므로 슬라이드 도어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10934호(2011.11.24, 고안의 명칭: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의 레일에 조립함에 있어 록킹장착부를 하강하여 록킹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배치한 후, 록킹장착부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승시켜 문틀의 레일에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록킹장착부의 걸림 작동과 걸림해제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걸림 작동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는,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홈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고, 문틀의 레일에 끼워지는 장착돌부를 형성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바디부에서 하강하여 록킹하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상기 문틀에 조립시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바디부에서 상승하여 록킹하므로 조립과정과 조립후에 상기 장착돌부가 외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상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부에 삽입 설치되고, 수용홈부를 구비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전측을 커버하도록 양측으로 벌려져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에는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바디부의 수용홈부 내측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안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장착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커버부에 개방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이동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조절되는 탄성조절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구부려지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림 구속되는 구속편; 및 상기 탄성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을 수 있고, 상기 탄성편을 젖혀 상기 구속편의 걸림을 해제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속편에 구비된 상측안착부와 하측안착부가 각각 안착되도록 하측결합부와 상측결합부가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장착부는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바디부에서 탄성력으로 승강시키는 스프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에 설치되어상기 바디부에 대해 상기 이동부를 상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는,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의 레일에 조립함에 있어 록킹장착부를 하강하여 록킹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배치한 후, 록킹장착부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승시켜 문틀의 레일에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록킹장착부의 걸림 작동과 걸림해제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걸림 작동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제한부에 의해 바디부에서 이동부의 상측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를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하여 문틀의 레일에 장착한 샅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전측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후측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전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후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상승 록킹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하강 록킹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하강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해제 과정을 거쳐 상측에 록킹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를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하여 문틀의 레일에 장착한 샅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전측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후측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전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후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상승 록킹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하강 록킹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하강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해제 과정을 거쳐 상측에 록킹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는, 바디부(100), 이동부(200) 및 록킹장착부(300)릎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부(100)는 슬라이드 도어(20)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홈부(11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바디부(100)는 슬라이드 도어(20)의 상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부(50)에 설치된다.
바디부(100)는 슬라이드 도어(20)의 설치홈부(50)에 삽입 설치되고, 수용홈부(110)를 구비하는 설치부(120)와, 설치부(120)의 전측을 커버하도록 양측으로 벌려져 슬라이드 도어(20)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120)는 상측과 후측 일부가 개방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커버부(130)는 설치부(120)의 전측을 커버하되, 양측으로 더 벌려지도록 형성되어 설치부(120)를 슬라이드 도어(20)의 설치홈부(50)에 장착한 후 슬라이드 도어(20)의 전면에 커버부(130)애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조립되는 나사 또는 볼트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50)를 슬라이드 도어(20)에 체결됨으로써, 바디부(100)를 슬라이드 도어(20)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동부(200)는 수용홈부(110)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고, 문틀(30)의 레일(40)에 끼워지는 장착돌부(210)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동부(200)는 하측과 후측 일부가 개방 형성된 사각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200)에는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부(220)는 바디부(100)의 수용홈부(110) 내측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안내부(140)에 삽입되어 바디부(100)에서 이동부(2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부(220)를 돌기 형태로 형성하고, 가이드안내부(140)는 홈부 형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록킹장착부(300)는 이동부(200)를 바디부(100)에서 하강하여 록킹하고, 슬라이드 도어(20)를 문틀(30)에 조립시 이동부(200)를 바디부(100)에서 상승하여 록킹하므로 조립과정과 조립후에 장착돌부(210)가 외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록킹장착부(20)는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커버부(130)에 개방 형성되는 관통홀부(310)와, 이동부(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고, 관통홀부(310)를 통해 조절되는 탄성조절부(320)와, 탄성조절부(320)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바디부(100)에 형성되는 걸림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부(310)는 개방구멍으로서, 손가락을 삽입하여 탄성조절부(320)를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구멍일 수 있다.
관통홀부(310)는 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탄성조절부(320)는 바디부(100)의 내측면에 구부려지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탄성편(330)과, 탄성편(33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걸림부(360)에 걸림 구속되는 구속편(3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편(330)은 좌우 비대칭인 ∩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수평방향으로 눌려지거나 누름을 해제하면 복원될 수 있는 탄성구조를 갖는다.
구속편(340)은 탄성편(33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걸림부(360)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330)의 일측에는 관통홀부(310)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을 수 있고, 탄성편(330)을 젖혀 구속편(340)의 걸림을 해제하는 그립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립부(350)는 탄성편(330)에서 관통홀부(310) 측으로 설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돌부이다.
그립부(350)는 직사각형 블록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그립부(350)는 손가락으로 잡기 유리하다면 형상에 제한받지 않는다.
걸림부(360)는 바디부(100)에 구비되고, 구속편(340)에 구비된 상측안착부(342)와 하측안착부(344)가 각각 안착되도록 하측결합부(272)와 상측결합부(374)가 형성되는 걸림편(37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편(370)에는 바디부(1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바디부(10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지지편(3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측안착부(342)와 하측안착부(344)는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부이고, 하측결합부(372)와 상측결합부(374)는 상측안착부(342)와 하측안착부(344)에 각각 끼워지는 홈부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측안착부(342)와 하측안착부(344)는 상하측에서 각각 함몰 형성되는 홈부이고, 하측결합부(372)와 상측결합부(374)는 돌출 형성되는 돌부일 수도 있다.
상측안착부(342)와 하측안착부(344)는 좌우측에 안내경사면(346)이 각각 형성되는 ∧ 또는 ∩ 형상의 돌부일 수 있다.
하측결합부(372)와 상측결합부(374)는 상,하측안착부(342)(344)의 안내경사면(34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홈부일 수 있다.
록킹장착부(300)는 이동부(200)를 바디부(100)에서 탄성력으로 승강시키는 스프링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400)는 이동부(200)와 바디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설치홈부(410)와, 설치홈부(410)에 설치되어 바디부(100)에 대해 이동부(200)를 상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홈부(410)는 홈부로서, 스프링부재(420)가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420)는 코일스프링을 일 수 있다. 물론, 스프링부재(420)는 바디부(1090)에서 이동부(20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부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동부(200)는 이동제한부(500)에 의해 바디부(100)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500)는 바디부(100)에 형성되는 이동제한홈부(510)와, 이동제한홈부(510)에 삽입 설치되어 걸리므로 바디부(100)에서 이동부(2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돌부(520)는 스프링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이동제한홈부(510)의 상측에 걸림으로써, 바디부(200)에서 이동부(200)의 상측 이옹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록킹장착부(300)의 작동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하면,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00)를 바디부(00)에서 하측으로 이동시켜 장착돌부(210)를 수용한 상태에서는 탄성조절부(320)의 구속편(340)의 상측안착부(342)가 걸림부(360)의 걸림편(370)의 하측결합부(372)에 안착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이동부(200)의 장착돌부(210)는 바디부(100)의 수용홈부(110)에서 상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를 슬라이드 도어(20)에 설치한 후 슬라이드 도어(20)를 문틀(30)의 레일(4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장착부(300)에 의해 이동부200)가 바디부(100)에서 견고한 록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장착돌부(210)가 스프링부(400)의 탄성력을 받더라고 의도하지 않게 록킹이 해제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이어,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200)를 문틀(30)에 조립한 상태에서, 록킹장착부(300)의 록킹을 해제하고자 하면, 바디부(100)에 형성된 관통홀부(310)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그립부(350)를 잡고서 좌측으로 탄성편(330)을 젖혀주면, 구속편(310)의 상측안착부(342)가 안내경사면(346)를 통홰 걸림편(370)의 하측결합부(372)를 거쳐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그 다음, 그립부(350)를 놓아주면, 스프링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200)가 바디부(100)의 수용홈부(110)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도 8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이동제한부(500)의 이동제한돌부(520)가 바디부(100)에 형성된 이동제한홈부(510)에 걸리면서 상측 이동이 제한되고, 이동부(200)의 장착돌부(210)는 문틀(30)의 레일(40)에 삽입 장착된다.
연이어, 수축되었던 탄성편(330)이 걸림편(370)의 일측면을 벗어나는 순간 복원되면서 우측으로 확장되어 하측안착부(344)가 안내경사면(346)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편(370)의 상측결합부(374)에 걸려져 록킹됨으로써, 장착돌부(210)가 의도하지 않게 록킹이 해제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는,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의 레일에 조립함에 있어 록킹장착부를 하강하여 록킹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를 문틀에 배치한 후, 록킹장착부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승시켜 문틀의 레일에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록킹장착부의 걸림 작동과 걸림해제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걸림 작동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제한부에 의해 바디부에서 이동부의 상측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슬라이드 도어 30 : 문틀
40 : 레일 100 : 바디부
110 : 수용홈부 120 : 설치부
130 : 커버부 140 : 가이드안내부
200 : 이동부 210 : 장착돌부
220 : 가이드레일부 300 : 록킹장착부
310 : 관통홀부 320 : 탄성조절부
330 : 탄성편 340 : 구속편
342 : 상측안착부 344 : 하측안착부
346 : 경사안내면 360 : 걸림부
370 : 걸림편 372 : 하측결합부
374 : 상측결합부 380 : 지지편
400 : 스프링부 410 : 설치홈부
420 : 스프링부재 500 : 이동제한부
510 : 이동제한홈부 520 : 이동제한돌부

Claims (7)

  1.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홈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고, 문틀의 레일에 끼워지는 장착돌부를 형성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바디부에서 하강하여 록킹하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상기 문틀에 조립시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바디부에서 상승하여 록킹하므로 조립과정과 조립후에 상기 장착돌부가 외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장착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커버부에 개방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이동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조절되는 탄성조절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구부려지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림 구속되는 구속편; 및 상기 탄성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을 수 있고, 상기 탄성편을 젖혀 상기 구속편의 걸림을 해제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속편에 구비된 상측안착부와 하측안착부가 각각 안착되도록 하측결합부와 상측결합부가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상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부에 삽입 설치되고, 수용홈부를 구비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전측을 커버하도록 양측으로 벌려져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바디부의 수용홈부 내측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안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착부는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바디부에서 탄성력으로 승강시키는 스프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에 설치되어상기 바디부에 대해 상기 이동부를 상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KR1020170176233A 2017-12-20 2017-12-20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KR101849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33A KR101849913B1 (ko) 2017-12-20 2017-12-20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33A KR101849913B1 (ko) 2017-12-20 2017-12-20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13B1 true KR101849913B1 (ko) 2018-04-19

Family

ID=6208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33A KR101849913B1 (ko) 2017-12-20 2017-12-20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63Y1 (ko) * 2001-01-04 2001-06-15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63Y1 (ko) * 2001-01-04 2001-06-15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1747B (zh) 托架裝置
JP2011524478A (ja) 引き戸
KR20010042829A (ko) 슬라이드 래치
KR101849913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록킹조립장치
KR101550404B1 (ko) 3중 연동 도어의 도어 고정장치
KR101507745B1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KR101881031B1 (ko)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 잠금장치
JP4553786B2 (ja) リッド開閉装置
KR101463600B1 (ko) 마그네틱센서의 자석이 삽입된 미서기 방충창용 락킹 핸들
JP2009185535A (ja) 戸当たり
KR101876388B1 (ko) 미닫이문용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GB2457761A (en) Door latch comprising retaining pin
KR200456204Y1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JP5531803B2 (ja) 上げ下げ窓の施錠装置
KR101130655B1 (ko) 도어용 드로와 래치의 오토락 장치
JP6173062B2 (ja) 扉体のロック装置
KR20170017525A (ko) 도어 홀더 장치
KR10188542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KR101738149B1 (ko) 미닫이식 도어의 잠금장치
CN215861159U (zh) 锁合装置及防护屏障
JP6294162B2 (ja) 扉用ピボットヒンジ
JP3946801B2 (ja) 調整ストライク
JP2009062750A (ja) 扉用ピボットヒンジ及びこれを備えた扉
JP6116252B2 (ja) 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