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87B1 -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87B1
KR101849987B1 KR1020170074547A KR20170074547A KR101849987B1 KR 101849987 B1 KR101849987 B1 KR 101849987B1 KR 1020170074547 A KR1020170074547 A KR 1020170074547A KR 20170074547 A KR20170074547 A KR 20170074547A KR 101849987 B1 KR101849987 B1 KR 10184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operating
case
ang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버의 회전을 위한 작동레버가 고정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장착되므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작동부를 회전시켜 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루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잠금부의 조작으로 작동부를 잠금 및 잠금을 해제하므로 루버의 인위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louver system of 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버의 회전을 위한 작동레버가 고정프레임의 일측방향으로 장착되므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작동부를 회전시켜 각도조절홈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루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함과 아울러 잠금부의 조작으로 작동부를 잠금 및 잠금을 해제하므로 루버의 인위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폭이 좁은 판을 비스듬히 일정간격으로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으로, 건축에서 미늘살이나 미늘살창이라고도 하며, 채광(採光), 인공조명, 일조조정(日照調整), 통풍, 환기(換氣)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통풍이나 환기를 위해서는 빗물이 스며드는 관계로 루버를 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채광, 인공조명, 일조조정에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루버형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즉, 가로, 세로 또는 격자창으로 하든지, 이것들의 변형을 응용해서 여러 가지 종류를 택할 수 있다.
빛에 관해서 루버를 사용하게 되면 겨울철에는 직사일광을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루버는 환기창이나 실외기실 또는 폴딩도어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루버는 이상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데 불편함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루버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973호로 루버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루버는 틀을 형성하는 제1,2몸체가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 내부에 고정되어 기어가 형성되는 가이드가 구성되며, 손잡이의 조작으로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작동부가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으로 회전하여 공간을 개폐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선 등록된 루버는,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기어에 맞물려 있는 가이드가 승하강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의 기어에 맞물린 회전기어가 회전하면서 루버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루버는 손잡이가 몸체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폴딩도어를 접을 경우 손잡이 때문에 완전히 접어지지 않아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의 조작으로 루버를 회전시키면 루버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여야 하나 상기 루버가 회전기어에 의해 쉽게 회전되어 각도가 변경되거나 루버가 닫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루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973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작동부의 작동레버가 고정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게 하면서 슬림한 구조를 채용하여 다수 개로 연결된 루버시스템을 접더라도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측에 일정 각도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어 루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부의 조작으로 작동부를 잠금 및 잠금을 해제하므로 루버가 인위적으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는,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고정판에 의해 연동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루버가 구성된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관통되는 작동공;
상기 작동공을 수용하도록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루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홈;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작동레버를 케이스의 일측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시켜 루버의 각도 조절 및 회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지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구와 작동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가압된 상태의 작동부를 복원시키는 복원부; 및
상기 작동부의 작동으로 승강부재에 형성된 래크가 작동공 내에서 승강하면서 루버의 일측에 장착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회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작동부와 복원부 및 회동부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회동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상기 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부판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몸체 내측에 장착되며 중앙부에 안내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의 주변부 외측면에 잠금부가 장착되도록 장착편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장공의 내측면에 회동부의 회동부재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외측면 형성되어 작동부재를 잠금 설정하는 제어돌기; 상기 케이스의 몸체 외측에서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며 잠금부가 장착되도록 장착공이 형성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작동공에 삽입되어 승강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측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래크; 상기 루버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에 고정되어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중심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작동부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회동부재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잠금편이 케이스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부가 잠금설정되고 상기 잠금편이 케이스의 몸체에서 이탈되면 작동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잠금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에 의하면, 작동부의 작동레버가 고정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게 한 슬림한 구조를 채용하여 다수 개로 연결된 루버시스템을 접더라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내측에 일정 각도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루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에 의하면, 잠금부의 조작으로 작동부를 잠금 및 잠금을 해제하므로 루버가 인위적으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쇤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루버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루버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기존에 공지된 루버시스템은 격자형의 고정프레임(1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양측 내부에는 수직으로 고정판(20)이 고정되어 상기 루버(30)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20)에 고정되는 루버(30)는 얇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로 이루어져 서로 연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루버시스템의 고정프레임(10) 전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작동공(11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작동공(110)의 세로길이는 회동부(160)의 승강부재(161)보다 길게 형성되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작동부(14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판(20)에 고정된 다수의 루버(30) 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에 피니언(163)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면에는 상기 작동공(110)을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20)는, 몸체(121)의 내부 중앙부에 중심축(122)이 돌출형성되어 작동부(140), 복원부(150) 및 회동부(16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몸체(121)의 내부 일측면에는 안내레일(123)이 형성되어 회동부(160)의 승강부재(161)를 승강시키게 되며, 상기 몸체(121)의 내측에는 하부판(124)이 고정되어진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0)에는 작동부(140)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부(140)를 케이스(120)에 장착하기 전에 복원부(150)와 잠금부(17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선행해야 한다.
먼저, 중앙이 관통형성된 지지구(151)를 케이스(120)의 몸체(121)에 형성된 중심축(122)에 결합시킨 후, 상기 지지구(151)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돌기(미도시)에 탄성부재(152)를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구(151)는 중심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탄성부재(15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부재(14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원부재(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20)의 몸체(121) 내측에서 작동부재(141)를 결합시키되, 상기 작동부재(141)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내장공(141a)을 중심축(122)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구(151)의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52)의 단부가 작동부재(141)의 단부와 밀착되도록 하여 탄성부재(152)에 탄성이 부여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작동부재(141)는 중심축(1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도 하며, 작동레버(143)의 가압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고 복원되기도 한다.
상기 작동부재(141)가 장착되면, 상기 케이스(120)의 몸체(121) 외측에서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장착편(141b)에 잠금부(170)의 힌지축(171)을 결합하여 장착시킨 후, 상기 잠금부(170)가 장착공(143a)에 수용되도록 작동레버(143)를 작동부재(141)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작동부(140)는 작동레버(143)가 고정프레임(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고정프레임(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게 하면서 슬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루버시스템이 다수 개로 연결되어 접이식으로 접더라도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20)에 작동부(140)가 고정되면, 상기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제어돌기(142)는 복원부(150)의 탄성부재(152)에 의해 각도조절홈(13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40)의 내측에 회동부(160)의 회동부재(164)를 위치시킨 후, 상기 회동부재(164)에 관통된 통공을 케이스(120)의 중심축(122)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164)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64b)가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결합홈(141c)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회동부재(164)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64a)에는 수직으로 절곡형성된 승강부재(161)의 가이드홈(161a)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홈(161a)은 작동부(140)의 작동시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회동부(160)의 승강부재(161)가 회동부재(164)에 결합되면, 상기 케이스(120)의 몸체(121) 내측에 하부판(124)을 고정시키되, 상기 하부판(124)에 형성된 안내홈으로 승강부재(161)에 형성된 래크(162)가 돌출되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를 고정프레임(10)의 전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부(160)의 승강부재(161)가 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작동공(11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61)에 형성된 래크(162)가 루버(30)의 회동축에 장착된 피니언(163)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전면에 케이스(1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케이스(120)를 고정프레임(10)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100)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30)를 회전시키려면, 잠금부(170)의 일측을 고정프레임(10) 측으로 가압하여 잠금편(172)이 케이스(120)의 몸체(12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작동부(140)의 잠금을 해제한다.
또한, 작동레버(143)를 파지하여 루버(3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작동부재(141)가 탄성부재(152)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제어돌기(142)는 각도조절홈(13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1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41)에 결합된 회동부재(16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164)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64a)는 승강부재(161)의 가이드홈(161a) 내에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161)의 'ㄱ'자로 절곡형성된 부분이 안내레일(1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부재(161)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161)에 형성된 래크(162)는 피니언(163)을 회전시키면서 루버(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루버(30)를 회전시킨 후, 상기 작동레버(143)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41)는 탄성부재(152)의 탄성에 의해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제어돌기(142)는 다수의 각도조절홈(13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작동레버(143)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루버(30)의 회전이 완료되면, 잠금부(170)의 일측을 고정프레임(10) 측으로 가압하여 잠금편(172)이 케이스(120)의 몸체(121)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루버(3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170)의 일측을 가압하여 작동부(140)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작동레버(143)를 파지하여 루버(3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제어돌기(142)가 각도조절홈(13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143)를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상기 루버(30)가 미리 설정된 각도에 위치하게 되면, 가압된 상태의 작동레버(143) 가압력을 해제한다.
상기 작동레버(143)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작동부재(141)는 탄성부재(152)의 탄성에 의해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41)에 형성된 제어돌기(142)는 다수의 각도조절홈(13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루버(30)의 각도를 고정하며, 상기 작동레버(143)는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루버(30)의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잠금부(170)의 일측을 고정프레임(10) 측으로 가압하여 잠금편(172)이 케이스(120)의 몸체(121)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110: 작동공 120: 케이스
121: 몸체 122: 중심축
123: 안내레일 124: 하부판
130: 각도조절홈 140: 작동부
141: 작동부재 142: 제어돌기
143: 작동레버 150: 복원부
151: 지지구 152: 탄성부재
160: 회동부 161: 승강부재
162: 래크 163: 피니언
164: 회동부재 170: 잠금부
171: 힌지축 172: 잠금편

Claims (6)

  1.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고정판에 의해 연동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어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루버가 구성된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관통되는 작동공;
    상기 작동공을 수용하도록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루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각도조절홈;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작동레버를 케이스의 일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제어돌기가 각도조절홈에서 이탈하게 되며 작동레버를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부재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돌기에 의해 결합된 회동부재를 회전시켜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부;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지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구와 작동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가압된 상태의 작동부를 복원시키는 복원부;
    상기 작동공으로 삽입되어 승강부재에 형성된 래크가 루버의 회동축에 장착된 피니언에 맞물리며 상기 작동부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동부재의 가이드돌기는 승강부재의 가이드홈 내에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승강부재를 승강시키고, 상기 래크가 작동공 내에서 승강하면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회동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는,
    상기 작동부와 복원부 및 회동부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회동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상기 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의 몸체 내측에 장착되며 중앙부에 안내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의 주변부 외측면에 잠금부가 장착되도록 장착편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장공의 내측면에 회동부의 회동부재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외측면 형성되어 작동부재를 잠금 설정하며 각도조절홈에 결합 및 이탈되어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돌기;
    상기 케이스의 몸체 외측에서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며 잠금부가 장착되도록 장착공이 형성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동부는,
    상기 작동공에 삽입되어 승강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측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래크;
    상기 루버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에 고정되어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중심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작동부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회동부재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잠금편이 케이스의 몸체 일측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부가 잠금설정되고 상기 잠금편이 케이스의 몸체에서 이탈되면 작동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잠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KR1020170074547A 2017-06-14 2017-06-14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KR10184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47A KR101849987B1 (ko) 2017-06-14 2017-06-14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47A KR101849987B1 (ko) 2017-06-14 2017-06-14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87B1 true KR101849987B1 (ko) 2018-04-19

Family

ID=620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47A KR101849987B1 (ko) 2017-06-14 2017-06-14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106B1 (ko) * 2021-08-18 2022-04-27 정정우 루버 자동 각도조절장치
WO2024021893A1 (zh) * 2022-07-25 2024-02-01 卧安科技(深圳)有限公司 百叶窗控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5251A (en) 1999-09-17 2000-11-14 Ricci; Fernando Adjustable shutter assembly and slat control mechanism using a control gear and gear engaging positioner
JP3870335B2 (ja) 2001-12-18 2007-01-17 株式会社シブタニ ルーバ用開閉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5251A (en) 1999-09-17 2000-11-14 Ricci; Fernando Adjustable shutter assembly and slat control mechanism using a control gear and gear engaging positioner
JP3870335B2 (ja) 2001-12-18 2007-01-17 株式会社シブタニ ルーバ用開閉操作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106B1 (ko) * 2021-08-18 2022-04-27 정정우 루버 자동 각도조절장치
WO2024021893A1 (zh) * 2022-07-25 2024-02-01 卧安科技(深圳)有限公司 百叶窗控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987B1 (ko)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KR101648713B1 (ko) 회전구동장치 및 이를 사용한 슬라이딩과 회전 개폐 가능한 평레일 창호의 하부구조
CN108386088A (zh) 一种自动锁止的门窗闭合器及门窗
JP2010270587A (ja)
KR100808885B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EP2307652B1 (en)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CN210508090U (zh) 一种节能自然通风天窗
JP4879617B2 (ja) 換気窓付サンルーム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101831849B1 (ko) 닫힘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CN214659561U (zh) 窗框齐平铰链及其窗
CN203879293U (zh) 一种内平开窗开闭装置
KR011987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JP3024921B2 (ja) 天 窓
KR101884249B1 (ko) 부분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JPH11303537A (ja) ルーバー面格子
JP2016041892A (ja) 施錠装置
JP3479731B2 (ja) シャッタ−の施錠装置
JP3129712B2 (ja) 天 窓
KR102421089B1 (ko) 문짝의 개방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여닫이식 창호
CN218664859U (zh) 一种提升舱检修门门锁装置
JP4310535B2 (ja) 窓装置
KR101876811B1 (ko)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KR102654907B1 (ko) 도어용 힌지 스톱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