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78B1 -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78B1
KR102583978B1 KR1020220011860A KR20220011860A KR102583978B1 KR 102583978 B1 KR102583978 B1 KR 102583978B1 KR 1020220011860 A KR1020220011860 A KR 1020220011860A KR 20220011860 A KR20220011860 A KR 20220011860A KR 102583978 B1 KR102583978 B1 KR 10258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oor
door frame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5171A (ko
Inventor
장영근
Original Assignee
장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근 filed Critical 장영근
Priority to KR102022001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7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의 상부프레임 일측에는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의 상부수평대의 일측에는 삽입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포함된 고정축을 상부로 함몰되게 밀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삽입부에 포함된 축공을 상기 고정축의 하부에 일치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을 하강시켜 축공에 삽입되어 문틀과 도어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틀과 도어의 설치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문틀과 도어의 탈착이 용이하여 부품의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hinged upper part of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의 일측 상부에는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문틀의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의 일측 상부에는 삽입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삽입부에 고정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여닫이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거나 또는 건물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각 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1개 또는 2개의 도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는 일측 상,하부와 상기 문틀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힌지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밀거나 잡아당겨 회동시켜 출입구를 개방함으로써, 내외부로 사람이 드나들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가 문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장치는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왔는바, 그 일예로 특허등록 제10-1085556호의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구성은 문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장착브라켓; 상기 제1장착브라켓에 대해 이격 및 접근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장착브라켓; 상기 제2장착브라켓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제1힌지부재; 및 도어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부재 측에 피벗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브라켓이 상기 제1장착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의 피벗가능한 조립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의 피벗가능한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제2장착브라켓은 상기 제1장착브라켓 측에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장착브라켓 또는 문틀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힌지부재는 상기 제2장착브라켓의 일면에 직교하게 연결된 제1스템부(first stem portion) 및 상기 제1스템부에 형성된 피벗축을 가지고,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서 직교하게 연결된 제2스템부 및 상기 제2스템부에 형성된 피벗홈을 가지며, 상기 피벗축이 상기 피벗홈 내에 피벗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의 피벗가능하게 조립된 제1스템부 및 제2스템부는 은폐부재에 의해 은폐되고, 상기 은폐부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은폐부재의 하단 일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제2힌지부재의 제2연결부가 끼워지며, 상기 은폐부재의 하단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힌지부재의 제1연결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등록 제10-1774469호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의 구성은 도어에 있어서,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한 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일측에 수직 가이드홈(110)이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100); 중공의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상하측 힌지핀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단에 결합된 상하측 브래킷(120)(130)에 각각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된 회전체(200); 상기 회전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20)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개폐판(300); 상기 회전체(20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0)의 밀고 당김에 따른 회전시 유압 완충력과 탄성복원력을 통해 이동후 서서히 초기상태에 자동 위치되도록 하는 제1 힌지(400) 및 제2 힌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여닫이 문에 적용되는 힌지장치는 문틀과 도어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085556호 특허등록 제10-1774469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의 상부프레임 일측에는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의 상부수평대의 일측에는 삽입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포함된 고정축을 상부로 함몰되게 밀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삽입부에 포함된 축공을 상기 고정축의 하부에 일치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을 하강시켜 축공에 삽입되어 문틀과 도어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틀과 도어의 설치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문틀과 도어의 탈착이 용이하여 부품의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 하부프레임 및 한쌍의 측면프레임이 사각 형태로 조립되어 건물의 출입구 또는 구획된 내부 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과,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하부 수평대와 한쌍의 측면수직대가 사각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여닫이 문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상부프레임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도어의 상부수평대의 일측 상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의 상부프레임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체 형태로 구비되되, 상부면 양측에는 각각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하향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에는 승강홈이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삽입공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승강관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며, 외주연 소정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고정관에 삽착될 수 있도록 타측 상부면에 삽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승강관의 승강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고정관에 삽착되어 상기 연결대의 타측 상부를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을 지지하는 와샤 및 상기 고정관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어 상기 연결대와 부싱 및 와샤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도어의 상부수평대의 상부면 일측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로 삽입,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의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의 고정블럭은 타측 상부면에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럭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과 깊이로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의 전,후방에 가이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의 바닥면에는 소정 폭으로 이동홈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 저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향되게 돌출,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힌지축이 축설될 수 있도록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어 상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고정블럭의 가이드턱에 안착되어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부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날개와, 저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고정블럭에 이동블럭이 안착되어 이동체의 조절공과 고정블럭의 지지대에 형성된 조절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공에 순차적으로 나사 체결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타단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문틀과 도어의 설치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문틀과 도어의 탈착이 용이하게 하여 부품의 교체 및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를 발췌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를 발췌해 보인 결합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의 요부인 고정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의 요부인 삽입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의 삽입부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는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 하부프레임(12)(14) 및 한쌍의 측면프레임(16)이 사각 형태로 조립되어 건물의 출입구 또는 구획된 내부 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10)과,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하부 수평대(22)(24)와 한쌍의 측면수직대(26)가 사각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문틀(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로 이루어지는 여닫이 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틀(10)에 설치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삽입부(200)로 크게 구성된다.
즉, 상기 문틀(10)의 상부프레임(12)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도어(20)의 상부수평대(22)의 일측 상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삽입부(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100)는 고정플레이트(110)와 승강관(120), 고정관(130), 스프링(140), 힌지축(150), 연결대(160), 부싱(170), 와샤(180) 및 고정나사(19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200)는 고정블럭(210)과 이동블럭(220) 및 위치조절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00)의 고정플레이트(110)는 상기 문틀(10)의 상부프레임(12)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체 형태로 구비되되, 상부면 양측에는 각각 다수의 체결공(11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11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승강관(120)은 상기 힌지축(150)이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하향 출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하향 관통된 금속 재질의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그 양측에는 각각 소정 폭의 승강홈(122)을 수직으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관(130)은 상기 연결대(160)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삽입공(114)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 내주연에는 나사산(13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승강관(120)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힌지축(15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코일형으로 구비하면 된다.
상기 힌지축(150)은 단차진 상부의 내주연에 상기 스프링(14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외주연 소정 위치에는 결합공(15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대(160)는 상기 힌지축(150)을 승,하강시키는 지렛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판체를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구비하되, 상기 고정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타측 상부면에 삽착공(162)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일측은 결합돌기(164)를 "ㅓ"자 형태로 돌출시켜 상기 결합돌기(164)를 상기 힌지축(150)에 형성된 결합공(152)에 삽입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부싱(170)은 상기 고정관(130)에 삽착되어 상기 연결대(160)의 타측 상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금속 단관 형태로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와샤(180)는 상기 고정관(130)에 삽착되어 상기 부싱(17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나사(190)는 상기 연결대(160)와 부싱(170) 및 와샤(180)가 상기 고정관(1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관(130)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132)과 나사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도어(20)의 상부수평대(22)의 상부면 일측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럭(210)과, 상기 고정블럭(210)의 상부로 삽입,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힌지축(150)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220)과, 상기 고정블럭(210)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블럭(22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럭(210)은 타측 상부면에 다수의 체결공(21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럭(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과 깊이로 유동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214)의 전,후방에 가이드턱(2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214)의 바닥면에는 소정 폭으로 이동홈(216)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 저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향되게 돌출,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217)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218)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동블럭(220)은 상부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150)이 축설될 수 있도록 중앙에 축공(224)이 형성된 베어링(222)과, 상기 고정블럭(210)의 가이드턱(215)에 안착되어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부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날개(225)와, 저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228)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체(2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조절부(230)는 상기 고정블럭(210)에 이동블럭(220)이 안착되어 이동체(228)의 조절공(228)과 고정블럭(210)의 지지대(217)에 형성된 조절공(218)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공(228)(218)에 순차적으로 나사 체결되는 조절볼트(232)와, 상기 조절볼트(232)의 타단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2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부(200)가 매립되게 설치되는 상부수평대(22) 일단과 밀착되는 측면수직대(26)의 상부 일측에는 통공(26')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이 통공(26')을 통해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를 넣어 상기 조절볼트(232)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이동블럭(220)을 고정블럭(210)의 유동홈(214) 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의 조립 및 설치는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 상에 형성된 승강관(120)의 내부로 스프링(140)과 힌지축(150)을 차례대로 삽입시키되, 상기 힌지축(150)을 완전하게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16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64)를 상기 승관관의 승강홈을 통과시킨 후 상기 힌지축(150)에 형성된 결합공(152)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결대(160)에 형성된 삽착공(162)에 고정관(13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고정관(130)에 부싱(170)과 와샤(180)를 순차적으로 삽착시키고, 상기 고정나사(190)를 고정관(130)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132)과 나사 체결하여 고정부(100)를 조립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고정부(100)는 상기 문틀(10)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12)의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12)을 통해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견고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어링(222)이 상부에 매립된 이동블록(220)을 상기 고정블럭(210)의 유동홈(214)에 삽입시켜 이동블럭(216)의 지지날개(225)가 가이드턱(215)에 안착되는 동시에 이동체(226)가 이동홈(216)을 통과하여 고정블록(210)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226)에 형성된 조절공(228)과 상기 고정블록(210)의 저면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217)에 형성된 조절공(218)이 일치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위치조절부(230)의 조절볼트(232)를 상기 한쌍의 지지대(217)에 형성된 조절공(218)과 그 사이에 위치한 이동체(226)의 조절공(228)에 나사 체결한 다음 상기 조절볼트(232)의 타단에 너트(234)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도어(20)를 형성하는 상부수평대(22)의 일측 상부면에 매립되게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블럭(2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212)을 통해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견고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가 문틀(10)과 도어(20)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의 설치는 먼저, 상기 문틀(10)의 하부에 도어(20)의 하부를 고정시키되, 상기 문틀(10)과 도어(20)가 직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삽입공(114)을 통해 드라이버를 삽입한 후 상기 연결대(160)를 위로 밀어올리면 상기 연결대(160)와 부싱(170)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140)이 압축되면서 힌지축(150)이 승강관(120)의 공간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힌지축(150)의 하단이 고정플레이트(110)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함몰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도어(20)를 움직여서 상기 이동블럭(220)에 매립된 베어링(222)의 축공(224)이 상기 힌지축(150)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드라이버를 삽입공(114)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힌지축(150)이 하강하면서 상기 축공(224)에 힌지축(150)이 축설되어 상기 문틀(10) 상에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힌지축(150)의 위치가 상기 이동블럭(220)에 매립된 베어링(222)의 축공(224)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20)의 측면수직대(26)에 형성된 통공(26')을 통해 드라이버를 삽입시켜 조절볼트(232)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블록(220)의 지지날개(225)가 가이드턱(2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홈(214)과 이동홈(216) 내에서 안정적으로 좌,우 이동하여 상기 이동블럭(220)의 축공(224)을 상기 힌지축(150)과 일치되는 위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는 문틀에 설치된 고정부의 연결대를 밀어올려 힌지축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도어에 설치된 삽입부의 베어링에 형성된 축공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연결대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강시켜 상기 힌지축이 축공에 삽입되어 문틀과 도어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문틀과 도어의 설치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문틀과 도어의 탈착이 용이하게 하여 부품의 교체 및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 : 문틀 20 : 도어
100 : 고정부 110 : 고정플레이트
120 : 승강관 122 : 승강홈
130 : 고정관 140 : 스프링
150 : 힌지축 152 : 결합공
160 : 연결대 162 : 삽착공
164 : 결합돌기 170 : 부싱
200 : 삽입부 210 : 고정블럭
212 : 체결공 214 : 유동홈
215 : 가이드턱 216 : 이동홈
217 : 한쌍의 지지대 218 : 조절공
220 : 이동블럭 222 : 베어링
224 : 축공 225 : 지지날개
226 : 이동체 228 : 조절공
230 : 위치조절부 232 : 조절볼트

Claims (6)

  1.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 하부프레임 및 한쌍의 측면프레임이 사각 형태로 조립되어 건물의 출입구 또는 구획된 내부 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는 문틀과,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하부 수평대와 한쌍의 측면수직대가 사각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여닫이 문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상부프레임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도어의 상부수평대의 일측 상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문틀의 상부프레임 일측 저면에 매립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체 형태로 구비되되, 상부면 양측에는 각각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하향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에는 승강홈이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삽입공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승강관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관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며, 외주연 소정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고정관에 삽착될 수 있도록 타측 상부면에 삽착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승강관의 승강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고정관에 삽착되어 상기 연결대의 타측 상부를 지지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을 지지하는 와샤 및
    상기 고정관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어 상기 연결대와 부싱 및 와샤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도어의 상부수평대의 상부면 일측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로 삽입,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의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힌지축이 축설될 수 있도록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베어링이 상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상부 전,후방으로 지지날개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이동체가 저면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고정블럭은,
    타측 상부면에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럭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과 깊이로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홈의 전,후방에 가이드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홈의 바닥면에는 소정 폭으로 이동홈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일측 저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하향되게 돌출,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공이 수평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고정블럭에 이동블럭이 안착되어 이동체의 조절공과 고정블럭의 지지대에 형성된 조절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공에 순차적으로 나사 체결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타단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KR1020220011860A 2022-01-26 2022-01-26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KR10258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60A KR102583978B1 (ko) 2022-01-26 2022-01-26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860A KR102583978B1 (ko) 2022-01-26 2022-01-26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171A KR20230115171A (ko) 2023-08-02
KR102583978B1 true KR102583978B1 (ko) 2023-10-05

Family

ID=8756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860A KR102583978B1 (ko) 2022-01-26 2022-01-26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43Y1 (ko) * 2001-02-22 2001-07-19 배복한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KR101878190B1 (ko) *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621B1 (ko) * 1999-04-30 2002-03-21 이광철 유리문의 힌지
KR101085556B1 (ko) 2010-11-16 2011-11-24 노승현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KR101774469B1 (ko) 2016-06-16 2017-09-04 이철우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43Y1 (ko) * 2001-02-22 2001-07-19 배복한 문짝의 힌지축핀 체결용 부싱
KR101878190B1 (ko) * 2017-03-14 2018-07-13 김순석 스윙도어 상부문틀과 상롯드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171A (ko)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138B1 (en) Adjustable pulley assembly for a suspended door
CA2535213C (en) Integrated sliding door/panel system
US20180184853A1 (en) Shower door
EP1267691B1 (de) Duschabtrennung
KR102583978B1 (ko)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KR101952261B1 (ko)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20190133816A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US20070029057A1 (en) Fitting for a folding sliding wall
KR10102281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EP3039207B1 (en) Leaf of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and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provided with such a leaf
KR200277264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KR101046841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20170082395A (ko) 닫힘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CN110118042B (zh) 一种平开玻璃门多维调节定位器及其安装方法
CN211115341U (zh) 一种方便旋转门安装的固定组件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KR20042881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2532350B1 (ko) 여닫이용 하부 힌지장치
CN217950066U (zh) 一种便于柜门门铰安装的机构
JP2008308845A (ja) 面材支持構造および建具
KR20200133163A (ko) 자동닫힘형 도어 시스템
CN213573613U (zh) 一种电动密封门装置
KR102500993B1 (ko) 여닫이식 도어용 하부 힌지장치
JP4822805B2 (ja) ノンレール引戸の建て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