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816A - 도어용 힌지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용 힌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816A
KR20190133816A KR1020180058551A KR20180058551A KR20190133816A KR 20190133816 A KR20190133816 A KR 20190133816A KR 1020180058551 A KR1020180058551 A KR 1020180058551A KR 20180058551 A KR20180058551 A KR 20180058551A KR 20190133816 A KR20190133816 A KR 20190133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sition adjusting
door
horizont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567B1 (ko
Inventor
윤용선
Original Assignee
윤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선 filed Critical 윤용선
Priority to KR1020180058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힌지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시 전후좌우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문틀에 고정되는 몸체에 수평판이 연장되고 상기 수평판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홀과 맞닿게 배치되고 중심부에 위치조절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장홀 측면에 위치가변고정구가 구비된 수평위치조절부재 및, 상부면에 상기 결합홀과 장홀을 관통하는 고정바가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축받침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힌지조립체{Hinge assembly for a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에 힌지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시 전후좌우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조립체는 주택이나 현관의 도어 한쪽측면에 힌지부가 장착되고 기둥에 지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상호결합됨으로써 도어가 기둥에 대하여 회전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기존의 힌지조립체는 등록실용신안 20-0283706(특허문헌1) 및 20-0120970(특허문헌2)에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상부/하부 문틀힌지(10a,10b)에 상부/하부 문짝힌지(20a,20b)가 결합되는 구조로 있어 있다. 여기서, 상부/하부 문틀힌지(10a,10b)와 상부/하부 문짝힌지(20a,20b)를 문틀과 문짝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2에서는 기둥에 장착되는 브래킷(2)의 요홈부(5a)에 좌우조절판(3)의 요홈부(5b)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고, 좌우조절판(3)에 지지축이 구비되는 지지구(4)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개 요홈부(5a)과 요홈부(5b)가 상호 결합될 때 미세한 미세한 위치조절은 편리하게 이루어지지만, 도어를 장착하여 하중이 가해질 때 결합된 요홈부(5a,5b)에 쉽게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변형이 발생되면 분해 및 재조립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구(4)가 좌우조절판(3)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의 하중에 따른 상하방향으로 위치변동을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브래킷(2)에 대하여 좌우 조절판(3)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83706 등록실용신안 20-0120970
제1 과제는 힌지조립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의 하중을 받더라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힌지조립체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제2 과제는 도어프레임에 힌지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은 물론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힌지조립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제1구현예는, 몸체에 수평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홀과 맞닿게 배치되고 중심부에 위치조절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장홀 측면에 위치가변고정구가 구비된 수평위치조절부재 및, 몸체 상부면에 상기 결합홀과 위치조절장홀을 관통하는 고정바가 연장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베어링부재가 구비되어 지지축에 결합되는 축받침부재를 포함한다.
본 제2구현예는 외측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1쌍의 수직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장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드홈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몸체 일측에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상하위치조절부재와, 상기 결합홀과 맞닿게 배치되고 중심부에 위치조절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장홀 측면에 위치가변고정구가 구비된 수평위치조절부재 및, 상부면에 상기 결합홀과 위치조절장홀을 관통하는 고정바가 연장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베어링부재가 구비되어 지지축에 결합되는 축받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위치조절장홀 양측면에 지지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위치가변고정구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바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조절부재는 하부면에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돌출턱이 연장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하위치조절부재는 몸체 측면을 따라 리브가 연장형성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도어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하부면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장홀이 형성된 위치조절와셔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홀과 위치조절와셔의 장홀을 관통한 고정바와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 의하면, 도어프레임에 힌지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의 지지축과 일치되지 않은 축받이부재의 위치를 수평위치조절부재를 통하여 가변하여 도어의 지지축과 일치시킬 수 있다. 특히, 축받이부재는 수평위치조절부재의 위치조절장홀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이동되고, 수평위치조절부재가 360도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좌우 위치는 물론 360도 전체방향에 대하여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지지축에 맞추어서 힌지조립체의 위치설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위치조절부재를 통해 힌지조립체의 미세한 위치설정까지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평판 또는 수평위치조절부재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지지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힌지조립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의 하중을 받더라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결합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수펑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수펑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 수평위치조절부재(40) 및 축받침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10)는 고정부재(20)에 수평판(24)이 결합되고, 수평판(24)의 상하부에 수평위치조절부재(40)와 축받침부재(50)가 각각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도어프레임(DF)에 고정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판(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21)의 양쪽에는 도어프레임(DF)에 고정되는 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22)의 사이에 상기 수평판(24)의 결합돌기(25)가 삽입되는 결합홈(23)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22)은 도어프레임(DF)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바가 관통된 상태로 위치조절와셔(28)와 체결구(29)를 통해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와셔(28)는 하부에 걸림턱(28a)이 형성되어 체결홀(22)에 삽입되고, 장홀(28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와셔(28)는 체결홀(22)에 걸림턱(28a)이 걸려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장홀(28a)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도어프레임(DF)에 고정부재(20)의 설정위치를 부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판(24)은 한쪽 선단에 결합돌기(25)가 연장되어 상기 몸체(21)의 결합홈(23)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판(24)은 중앙에 결합홀(2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돌출턱(46)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24)은 고정부재(20)와 하나의 몸체로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몸체(21)와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상기 수평판(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홀(26)과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몸체(42)의 중앙에 위치조절장홀(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장홀(43)의 양측으로 지지블록(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44)에 위치가변고정구(45)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가변고정구(45)는 후술하는 축받침부재(50)의 고정바(54)의 측면에 맞닿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축받침부재(50)의 수평위치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44)과 위치가변고정구(45)는 상기 위치조절장홀(43)의 한쪽에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하부면에 상기 수평판(24)의 결합홀(26) 내주면에 끼워지는 돌출턱(46)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46)은 상기 수평판(24)의 결합홀(26)에 삽입되어 회전은 가능하지만 전후/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돌출턱(46)이 결합홀(26)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고, 위치조절장홀(43)의 위치가 360도 방향으로 위치전환 될 때 상기 축받침부재(50)의 수평방향에서 좌우위치, 전후위치는 물론 360도 전방향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축받침부재(50)는 몸체(52)의 상부면에 고정바(54)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52)의 내부에 수용홈(5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바(54)는 상부에 나사산(54a)이 형성되어 체결구(55)를 죄어서 상기 수평판(24)의 결합홀(24)과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축받침부재(50)는 수용홈(52a)에 장착된 베어링(56)의 중심부에 도어힌지축(미도시)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힌지조립체(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의 수평판(24) 상하부에 수평위치조절부재(40)와 축받이부재(50)가 결합되어 축받이부재(50)의 수평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축받이부재(50)는 수평판(24)의 결합홀(26) 반경범위에서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축받이부재(50)의 위치조정은 크게 좌우위치조정과 전후위치조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조절부재(40)를 회전시키지 않고 위치가변고정구(45)의 오른쪽을 풀고 왼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위치가변고정구(45)의 왼쪽을 풀고 오른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조절부재(40)를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위치가변고정구(45)의 오른쪽을 풀고 왼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뒷쪽에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위치가변고정구(45)의 왼쪽을 풀고 오른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앞쪽에서 뒷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축받이부재(50)는 수평위치조절부재(40)를 90도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위치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예컨대 360도 전방향에 대하여 그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의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힌지조립체(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 상하위치조절부재(30), 수평위치조절부재(40) 및 축받침부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힌지조립체(10)는 고정부재(20)에 결합되는 상하위치조절부재(30) 상하부에 수평위치조절부재(40)와 축받침부재(50)가 각각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도어프레임(DF)에 고정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에 연장된 1쌍의 수직연장부(2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연장부(27)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27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하위치조절부재(30)의 결합돌기(34)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0)의 몸체(21)는 양쪽에 도어프레임(DF)에 고정하는 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22)은 도어프레임(DF)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바가 관통된 상태로 위치조절와셔(28)와 체결구(29)를 통해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와셔(28)는 하부에 걸림턱(28a)이 형성되어 체결홀(22)에 삽입되고, 장홀(28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와셔(28)는 체결홀(22)에 걸림턱(28a)이 걸려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장홀(28b)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도어프레임(DF)에 고정부재(20)의 설정위치를 부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위치조절부재(30)는 몸체(32)의 일측에 결합돌기(34)가 연장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결합홀(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32)는 측면을 따라 리브(33)가 형성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리브(33)의 길이(H)는 몸체(32)의 상판 두께(t) 보다 2배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34)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수직연장부(27)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7a)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상하위치조절부재(30)는 제1실시예의 수평판(24)과 대응되는 구성이지만, 제1실시예의 수평판(24)과 달리 고정부재(20)의 수직연장부(26)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상기 수평판(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홀(26)과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몸체(42)의 중앙에 위치조절장홀(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장홀(43)의 양측으로 지지블록(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44)에 위치가변고정구(45)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가변고정구(45)는 후술하는 축받침부재(50)의 고정바(54)의 측면에 맞닿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축받침부재(50)의 수평위치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블록(44)과 위치가변고정구(45)는 상기 위치조절장홀(43)의 한쪽에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평위치조절부재(40)는 하부면에 상기 수평판(24)의 결합홀(26) 내주면에 끼워지는 돌출턱(46)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46)은 상기 수평판(24)의 결합홀(26)에 삽입되어 회전은 가능하지만 전후/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축받침부재(50)는 몸체(52)의 상부면 가이드부(53)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3)의 중심부에 고정바(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받침부재(50)는 몸체(52)의 내부에 수용홈(52a)이 형성되어 베어링(56)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53)는 상기 상하위치조절부재(30)의 리브(33)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바(54)는 상부에 나사산(54a)이 형성되어 체결구(55)를 죄어서 상기 상하위치조절부재(30)의 결합홀(36)과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축받침부재(50)는 수용홈(52a)에 장착된 베어링(56)의 중심부에 도어힌지축(미도시)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에 따른 힌지조립체(1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에 상하위치조절부재(30)가 위치설정되고, 상하위치조절부재(30)의 상하부에 수평위치조절부재(40)와 축받이부재(50)가 결합되어 축받이부재(50)의 수평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축받이부재(50)는 수평판(30)의 결합홀(36) 반경범위에서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그 수평위치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힌지조립체(10)는 제1실시예와 달리, 고정부재(2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위치조절부재(30)를 통해 축받이부재(50)의 상하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조절부재(40)를 회전시키지 않고 위치가변고정구(45)의 오른쪽을 풀고 왼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위치가변고정구(45)의 왼쪽을 풀고 오른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조절부재(40)를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위치가변고정구(45)의 오른쪽을 풀고 왼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뒷쪽에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위치가변고정구(45)의 왼쪽을 풀고 오른쪽을 죄게 되면, 축받이부재(50)의 고정바(54)가 수평위치조절부재(40)의 위치조절장홀(43)을 따라 앞쪽에서 뒷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축받이부재(50)는 수평위치조절부재(40)를 90도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위치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예컨대 360도 전방향에 대하여 그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축받이부재(50)의 상하위치는 고정부재(20)에 대하여 상하위치조절부재(30)를 이동시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한다.
10 : 힌지조립체 20 : 고정부재
21 : 몸체 22 : 체결홀
23 : 결합홈 24 : 수평판
25 : 결합돌기 26 : 결합홀
27 : 수직연장부 28 : 위치조절와셔
29 : 체결구 30 : 상하위치조절부재
32 : 몸체 33 : 보강리브
34 : 결합돌기 36 : 결합홀
40 : 수평위치조절부재 42 : 몸체
43 : 위치조절장홀 44 : 지지블록
45 : 위치가변고정구 46 : 돌출턱
50 : 축받침부재 52 : 몸체
53 : 가이드부 54 : 고정바
55 : 체결구 56 : 베어링
DF : 도어프레임

Claims (5)

  1. 몸체에 수평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결합홀과 맞닿게 배치되고 중심부에 위치조절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장홀 측면에 위치가변고정구가 구비된 수평위치조절부재; 및
    몸체 상부면에 상기 결합홀과 장홀을 관통하는 고정바가 연장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축받침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힌지조립체.
  2. 외측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1쌍의 수직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장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슬라이드홈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몸체 일측에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상하위치조절부재;
    상기 결합홀과 맞닿게 배치되고 중심부에 위치조절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장홀 측면에 위치가변고정구가 구비된 수평위치조절부재; 및
    몸체 상부면에 상기 결합홀과 장홀을 관통하는 고정바가 연장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축받침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용 힌지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장홀 양측면에 지지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에 상기 위치가변고정구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바의 측면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조절부재는 하부면에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돌출턱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조립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도어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하부면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장홀이 형성된 위치조절와셔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홀과 위치조절와셔의 장홀을 관통한 고정바와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어용 힌지조립체.
KR1020180058551A 2018-05-23 2018-05-23 도어용 힌지조립체 KR10214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51A KR102147567B1 (ko) 2018-05-23 2018-05-23 도어용 힌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51A KR102147567B1 (ko) 2018-05-23 2018-05-23 도어용 힌지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16A true KR20190133816A (ko) 2019-12-04
KR102147567B1 KR102147567B1 (ko) 2020-08-24

Family

ID=6900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551A KR102147567B1 (ko) 2018-05-23 2018-05-23 도어용 힌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51B1 (ko) * 2020-03-09 2021-05-31 권오숙 다중 잠금형 도어 핸들
KR102429577B1 (ko) * 2021-03-22 2022-08-03 박정원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20220137204A (ko) * 2021-04-01 2022-10-12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7954B2 (en) * 2021-03-07 2023-07-11 Whirpool Corporation Adjustable door hinge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970Y1 (ko) 1995-04-26 1998-10-15 윤용선 대문의 문짝지지용 상부힌지
KR19990064501A (ko) * 1999-03-02 1999-08-05 김문식 선회식 도어의 회동힌지장치
KR200283706Y1 (ko) 2002-05-02 2002-07-27 윤용선 문짝지지용 힌지
JP2010138633A (ja) * 2008-12-12 2010-06-24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101055953B1 (ko) * 2009-11-04 2011-08-09 윤용선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970Y1 (ko) 1995-04-26 1998-10-15 윤용선 대문의 문짝지지용 상부힌지
KR19990064501A (ko) * 1999-03-02 1999-08-05 김문식 선회식 도어의 회동힌지장치
KR200283706Y1 (ko) 2002-05-02 2002-07-27 윤용선 문짝지지용 힌지
JP2010138633A (ja) * 2008-12-12 2010-06-24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101055953B1 (ko) * 2009-11-04 2011-08-09 윤용선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51B1 (ko) * 2020-03-09 2021-05-31 권오숙 다중 잠금형 도어 핸들
KR102429577B1 (ko) * 2021-03-22 2022-08-03 박정원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20220131799A (ko) * 2021-03-22 2022-09-29 박정원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20220137204A (ko) * 2021-04-01 2022-10-12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67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3816A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US8739367B2 (en) Hidden door hinge
US7017231B2 (en) Hinge
US6918158B2 (en) Hinge
KR101525382B1 (ko) 서랍용 전방 조정 수단, 및 서랍
US10494849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US10072450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US20130099080A1 (en) Clamp window rods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TW202117166A (zh) 可調整門鉸鏈
CN211431765U (zh) 一种内隐托架以及使用该内隐托架的家具
JPH10259681A (ja) 蝶 番
JP2602937Y2 (ja) 調整蝶番
KR200256062Y1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구조
JP2017218879A (ja) 扉用ヒンジ
KR102413503B1 (ko) 커튼봉 고정장치
JP4583405B2 (ja) 扉取り付け金具
KR200309593Y1 (ko) 냉장고 도어의 상부 힌지 조립체
CN111852218A (zh) 一种可伸缩撑挡
JPH10196196A (ja) 蝶 番
JP5841928B2 (ja) 戸車及び建具
EP1828515B1 (en) Adjustable door hinge
CN214498729U (zh) 一种可调节铰链组件及相应的开合装置
KR102532350B1 (ko) 여닫이용 하부 힌지장치
CN219471918U (zh) 一种无轨平移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