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469B1 -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469B1
KR101774469B1 KR1020160075048A KR20160075048A KR101774469B1 KR 101774469 B1 KR101774469 B1 KR 101774469B1 KR 1020160075048 A KR1020160075048 A KR 1020160075048A KR 20160075048 A KR20160075048 A KR 20160075048A KR 101774469 B1 KR101774469 B1 KR 10177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housing
c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철우
이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이동성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2016007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3Hydraulic power-locks, e.g. with electrically operated hydraulic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에 있어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한 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일측에 수직 가이드홈(110)이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100); 중공의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상하측 힌지핀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단에 결합된 상하측 브래킷(120)(130)에 각각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된 회전체(200); 상기 회전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20)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개폐판(300); 상기 회전체(20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0)의 밀고 당김에 따른 회전시 유압 완충력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후 서서히 초기상태에 자동 위치되도록 하는 제1 힌지(400) 및 제2 힌지(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샤워부스 등에 설치시 사용자가 도어를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고 또한 자동 닫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a door hinge}
본 발명은 전후방 개폐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샤워부스 등에 적용되는 도어의 회전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방(밀고) 또는 후방(당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시 유압 완충력과 함께 스프링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도어의 훼손방지와 더불어 도어의 안정된 개폐 그리고 내부에서의 사고 발생 우려를 해소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어는 건축 구조물 등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구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한 도어의 개폐는 도어와 도어틀에 연결 설치되는 도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
종래 도어는 사람이 드나들때 스스로 도어를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더욱이 급작스럽게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부상의 우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후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어힌지에 유압 완충력과 스프링 복원력을 가지도록 한 제품이 출시된 바 있으며, 상기와 같이 완충력과 복원력이 제공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 자동 닫힘기능을 수행하게 되었고, 상기한 유압 완충력을 통해 도어 개폐시 적절한 개폐 속도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급작스런 도어 개폐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어 열림 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도어에 완충력 및 스프링 복원력이 제공되는 경우 도어의 개방이 당기거나 또는 미는 방향 중 어느 한 쪽 방향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어 샤워부스에 적용된 경우 도어는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도어를 안쪽으로 밀어서 개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자칫 샤워부스 내에서 물건 또는 의식 불명의 사람이 위치되는 경우 도어가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0676호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샤워 부스용 도어 힌지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힌지 장치는, 도어의 개폐 동작이 스프링력과 오일유로의 조정을 통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힘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개방 동작시 전후방으로 회전은 물론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회전후 일정각도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유압력과 스프링 복원력이 하나의 도어힌지에 위치하고 있어 도어에 설치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고, 도어의 개폐동작에 있어 한쪽에서만 유압 및 스프링력이 작용됨에 따라 도어가 휘게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특허공개 제10-2009-0100676호 공개일 2009년 09월 24일 KR 실용신안등록 제20-0468702호 공고일 2013년 08월 29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폐도어가 한 쪽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밀거나 혹은 당기능 개폐 상태에서도 유압 완충력과 함께 스프링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오랜 사용시에도 안정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있어서,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한 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일측에 수직 가이드홈이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 중공의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상하측 힌지핀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단에 결합된 상하측 브래킷에 각각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개폐판; 상기 회전체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의 밀고 당김에 따른 회전시 유압 완충력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후 서서히 초기상태에 자동 위치되도록 하는 제1 힌지 및 제2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시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의 상부 내측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며 고정되고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홈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가이더와; 중심에 안내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더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측에 "V" 형으로 상향 개방된 안내홈이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승하강캠과; 원통형으로 외경이 상기 하우징의 내경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이 상기 승하강캠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는 유로안내파이프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의 내측에 위치되며 중심에 오일이 하향 안내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는 유압조절부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을 폐쇄시키고 중심에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의 체크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을 조절하게 되는 유압조절핀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압조절홀이 형성된 하부 고정캡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폐쇄하며 중심에 안내홀이 형성됨 상부 고정캡: 하단에 상기 승하강캠의 안내홀에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안내봉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상부 고정캡의 안내홀을 통과하여 상측 브래킷에 결합되는 상기 상측 힌지핀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에 양쪽으로 상기 안내홈에 각각 슬라이드 맞춤 되도록 경사돌기가 형성된 회전캠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회전체의 하측에 위치되어 회전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 내측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중심에 안내홀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수직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하측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V" 형상의 안내홈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 탄성캠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탄성캠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탄성 지지하는 상부캡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하측 힌지핀이 통과되도록 안내홀이 형성된 하부캡과; 상단에 상기 탄성캠의 안내홈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탄성캠을 승강시키도록 경사돌기가 양쪽에 형성되며 하측 중심에 상기 하부캡의 안내홀을 통과하여 하측 브래킷에 회전방지상태로 결합되는 상기 하측 힌지핀이 구비되는 탄성 회전캠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따라 도어에 해당하는 개폐판의 회전시 제1 힌지가 유압력을 그리고 제2 힌지가 스프링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계폐판의 어느 방향 회전에도 초기위치로 안정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샤워부스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개폐도어가 한 쪽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밀거나 혹은 당기는 개폐 상태에서도 유압 완충력과 함께 스프링 복원력이 작용되면서 도어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장점은 물론 샤워부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해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의 설치 상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제1 도어힌지를 분리시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서 제2 도어힌지를 분리시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유압 조절과정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8은 도 3에서 회전캠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5에서 탄성캠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9의 도시에 의하여, 도어의 정면에 사람이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를 밀고 당기면서 개폐하도록 된 개폐형 도어에 있어,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한 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일측에 수직 가이드홈(110)이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100)과, 중공의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상측 및 하측 힌지핀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단에 결합된 상하측 브래킷(120)(130)에 각각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회전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20)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개폐판(300)과, 상기 회전체(20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0)의 밀고 당김에 따른 회전시 유압 완충력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후 서서히 초기상태에 자동 위치되도록 하는 제1 힌지(400) 및 제2 힌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성형된 것이며, 일측 수직면이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일측 벽면에 세워져 고정되고, 타측에 수직 가이드홈(110)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에는 상측 브래킷(120)이 고정되고, 하측에는 하측 브래킷(130)이 서로 대응되게 일체형으로 위치 고정된다.
상기 상하측 브래킷(120)(130)이 표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다각홈(122)(13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200)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알루미늄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다각홈(210)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판(300)은, 판상으로 금속, 목재, 합성수지, 유리 소재가 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고정홈(220)에 끼워져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힌지(400)는, 상기 회전체(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0)의 회전후 초기상태로의 탄성 복귀시 상기 개폐판(300)이 서서히 닫힘 되도록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 힌지(400)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가이더(420)와, 상기 가이더(420)의 내측에 일방향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하강 되는 승하강캠(430)과, 상기 하우징(410)의 내경과 이격되게 접하여 틈새를 통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로안내파이프(440)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승하강캠(430)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중심에 오일 압력을 제어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452)가 형성되는 유압조절부(450)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45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60)과,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를 폐쇄하며 유압조절핀(474)이 결합되는 하부 고정캡(470)과, 상기 하우징(410)의 상측을 폐쇄하는 상부 고정캡(480)과, 상측 힌지핀(494)이 상기 상부 고정캡(480)을 통과하여 상측 브래킷(120)의 다각홈(122)에 끼워져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되며 양방향 각각 90도 회전시 상기 승하강캠(430)을 밀어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는 회전캠(4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0)은, 상기 회전체(200)의 상부 내측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더(420)는, 상기 하우징(410)에 삽입시 외측면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벽에 밀착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422)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캠(430)은, 중심에 안내홀(431)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더(420)의 가이드홈(422)에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가이드돌기(432)가 형성되며, 상측에 "V" 형으로 상향 개방된 안내홈(433)이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양쪽의 안내홈(433)에 의해 형성된 마루부분에는 소정면적의 슬라이드 구간(436)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는, 원통형으로 외경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경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공지와 같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이 상기 승하강캠(43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된다.
상기 유압조절부(450)는,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중심에 오일이 하향 안내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452)가 구비된다.
여기서, 오일이 상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체크밸브(452)를 이루는 체크볼이 오일안내홀(451)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60)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45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 고정캡(470)은, 상기 스프링(460)을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하우징(410)의 하단을 폐쇄시키고 중심에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450)의 체크밸브(452)를 제어하여 유압을 조절하게 되는 유압조절핀(474)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압조절홀(4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외측에는 상기 유압조절홀(472)와 연통되는 유로홀(47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캡(480)은, 상기 하우징(410)의 상측을 폐쇄하며 중심에 후술될 상기 상측 힌지핀(494)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안내홀(48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캠(490)은, 하단에 상기 승하강캠(430)의 안내홀(431)에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안내봉(491)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상부 고정캡(480)의 안내홀(482)을 통과하여 상측 브래킷(120)에 결합되는 상기 상측 힌지핀(494)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에 양쪽으로 상기 승하강캠(430)의 양쪽 안내홈(433)에 각각 슬라이드 맞춤 되도록 경사돌기(492)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 힌지핀(494)의 단부는 상기 상측 브래킷(120)의 다각홀(122)에 끼워맞춤 되도록 다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캡(480)과 하부 고정캡(470)의 외측에는 탄성소재의 오링이 구비되며, 상기 오링은 상기 하우징(410)에 결합시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기밀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힌지(4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하우징(410)에 가이더(42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승하강캠(430)과 유압조절부(450)이 일체를 이루도록 한 다음, 상기 가이더(420)에 상기 승하강캠(430)을 슬라이드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더(420)에 대해 상기 승하강캠(430)이 상하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10)의 상측으로 회전캠(490)을 결합시키되 상기 회전캠(490)의 양쪽 경사돌기(492)가 상기 승하강캠(430)의 안내홈(433)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하우징(410)의 하측으로 유로안내파이프(440), 스프링(460)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상부 고정캡(480)을 그리고 하부에는 하부 고정캡(470)을 결합시킨다. 이후 하부 고정캡(470)의 중심에 형성된 유압조절홀(472)에 유압조절핀(474)를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하부 고정캡(470)에 지지되는 스프링(460)의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450)을 탄성 지지하도록 조립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측 힌지핀(494)이 회전되면 회전캠(490)의 경사돌기(492)가 상기 안내홈(433)의 양쪽 중 선택된 회전방향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경사면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캠(430)이 하강하며 스프링(460) 압축과 함께 오일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오일은 체크밸브(452)의 닫힘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 고정캡(470)의 유압조절홀(472)과 유로홀(473)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유로안내파이프(440) 외벽과 하우징(410)의 내벽 사이 틈새를 통해 상측으로 전달되면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고 동시에 닫힘력이 제공되면 오일이 체크밸브(452)를 통해 이동되어져 서서히 닫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즉, 후술될 제2 힌지(500)의 스프링력 발생시 유압력을 제공하여 서서히 닫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500)는, 상기 회전체(2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0)의 회전시 탄성 변형되며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500)는, 상기 회전체(200)의 하부 내측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하우징(510)과, 상기 하우징(510)에 결합되는 가이더(520)와, 상기 가이더(520)에 회전 방지상태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탄성캠(530)과, 상기 하우징(51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캠(53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40)과, 상기 하우징(5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540)을 탄성 지지하는 상부캡(550)과, 상기 하우징(5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560)과, 상기 개폐판(300)의 회전시 상기 탄성캠(530)을 회전시켜 상기 개폐판(300)의 초기상태로 복귀시 상기 스프링(540)에 탄성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탄성 회전캠(5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10)은, 외측에 가이드돌기(51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20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다각홈(210)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더(520)는, 상기 하우징(510)에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52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캠(530)은, 중심에 안내홀(531)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수직 가이드홈(522)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가이드돌기(532)가 형성되고 하측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V" 형상의 안내홈(533)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40)은, 상기 하우징(51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탄성캠(5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캡(550)은, 상기 하우징(5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54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캡(560)은, 상기 하우징(5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하측 힌지핀(584)이 통과되도록 안내홀(56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회전캠(570)은, 상단에 상기 탄성캠(530)의 안내홈(533)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안내홈(533)의 경사면과 접하면서 상기 탄성캠(530)을 승강시키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돌기(574)가 양쪽에 형성되며 하측 중심에 상기 하부캡(560)의 안내홀(562)을 통과하여 하측 브래킷(130)에 회전방지상태로 결합되는 상기 하측 힌지핀(584)이 구비된다. 상기 하측 힌지핀(584)의 단부는 다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측 브래킷(130)의 다각홈(132)에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어져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조립시에는,
하우징(510)의 내측에 가이더(520)를 삽입시켜 고정하고, 상기 가이더(520)에 탄성캠(530)을 결합시켜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기 하우징(510)의 상측에 스프링(540)을 삽입시키고 동시에 상부캡(550)을 결합시킨다. 이후 탄성 회전캠(570)을 결합시키되, 양쪽 경사돌기(574)가 상기 탄성캠(530)의 안내홈(533)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하부캡(560)을 상기 하우징(510)의 하부에 조임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측 힌지핀(584)가 회전되면 탄성 회전캠(570)의 경사돌기(574)가 회전되면서 서로 경사지게 접한 상기 탄성캠(530)을 상향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탄성캠(530)이 스프링(540)을 압축시키고 상기 경사돌기(574)의 선단이 상기 안내홈(533)의 상사점 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구간(536)에 위치되면 회전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 회전캠(570)을 초기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경사돌기(574)의 단부가 상기 안내홈(533)에 위치되고 이때 스프링(540) 복원력이 발생되어 상기 탄성캠(530)이 초기상태로 위치되고 동시에 하측 힌지핀(584)이 초기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의 설치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한 쪽에 프레임(100)을 세워서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측에 상하측 브래킷(120)(130)을 각각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상기 회전체(200)의 일측 고정홈(220)에 개폐판(3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연속해서 상기 회전축(200)의 상측에는 제1 힌지(400)를 결합시키되 힌지핀이 상향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200)의 하측에는 제2 힌지(500)를 결합시키되 힌지핀이 하향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회전체(200)를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 가이드홈(110)에 세워서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힌지(400)의 상측 힌지핀(494)을 상측 브래킷(120)에 그리고 상기 제2 힌지(500)의 하측 힌지핀(584)을 하측 브래킷(130)에 회전방지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작동시에는,
도어에 해당되는 개폐판(300)을 사용자가 밀거나 혹은 당기는 경우 상하측 브래킷(120)(130)에 고정된 상하측 힌지핀(484)(584)를 중심으로 제1 힌지(400) 및 제2 힌지(500)의 하우징(410)(51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힌지(500)를 통해서는 스프링 압축 복원력이 그리고 제1 힌지(400)를 통해서는 유압 완충력이 제공되어 개폐판(300)이 서서히 개방 또는 서서히 자동 닫힘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유압조절핀(474)의 하단에 원형의 기어판(478)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000의 일측에 상기 기어판(478)이 노출되어 별도의 공구를 통해 상기 기어판(478)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조절홀(202)을 관통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기어판(478)의 회전을 통해 유압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100: 프레임
110: 수직 가이드홈
120: 상측 브래킷 122: 다각홀
130: 하측 브래킷 132: 다각홀
200: 회전체 202: 조절홀
210: 다각홈 220: 고정홈
300: 개폐판
400: 제1 힌지
410: 하우징 412: 가이드돌기
420: 가이더 422: 수직 가이드홈
430: 승하강캠
431: 안내홀 432: 수직 가이드돌기
433: 안내홈 436: 슬라이드 구간
440: 유로안내파이프
450: 유압조절부
451: 오일 안내홀 452: 체크밸브
460: 스프링
470: 하부 고정캡
472: 유압 조절홀 473: 유로홀
480: 상부 고정캡 482: 안내홀
490: 회전캠
491: 안내봉 492: 경사돌기
494: 상측 힌지핀
500: 제2 힌지
510: 하우징 512: 가이드 돌기
520: 가이더 522: 수직 가이드홈
530: 탄성캠
531: 안내홀 532: 수직 가이드돌기
533: 안내홈 536: 슬라이드 구간
540: 스프링
550: 상부캡
560: 하부캡 562: 안내홀
570: 탄성 회전캠
584: 하측 힌지핀

Claims (4)

  1. 도어에 있어서,
    출입을 위한 개폐구의 한 쪽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일측에 수직 가이드홈(110)이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100);
    중공의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상하측 힌지핀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단에 결합된 상하측 브래킷(120)(130)에 각각 회전 방지상태로 결합된 회전체(200);
    상기 회전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20)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개폐판(300);
    상기 회전체(20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0)의 밀고 당김에 따른 회전시 유압 완충력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후 서서히 초기상태에 자동 위치되도록 하는 제1 힌지(400) 및 제2 힌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400)는,
    상기 회전체(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시 유압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200)의 상부 내측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에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며 고정되고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홈(422)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가이더(420)와;
    중심에 안내홀(431)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더(420)의 가이드홈(422)에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가이드돌기(432)가 형성되며, 상측에 "V" 형으로 상향 개방된 안내홈(433)이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승하강캠(430)과;
    원통형으로 외경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경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이 상기 승하강캠(43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는 유로안내파이프(440)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중심에 오일이 하향 안내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는 유압조절부(450)와;
    상기 유로안내파이프(4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45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60)과;
    상기 스프링(460)을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하우징(410)의 하단을 폐쇄시키고 중심에 상단이 상기 유압조절부(450)의 체크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을 조절하게 되는 유압조절핀(474)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압조절홀(472)이 형성된 하부 고정캡(470);
    상기 하우징(410)의 상측을 폐쇄하며 중심에 안내홀이 형성된 상부 고정캡(480):
    하단에 상기 승하강캠(430)의 안내홀(431)에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안내봉(491)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상부 고정캡(480)의 안내홀을 통과하여 상측 브래킷(120)에 결합되는 상기 상측 힌지핀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에 양쪽으로 상기 안내홈에 각각 슬라이드 맞춤 되도록 경사돌기(492)가 형성된 회전캠(490);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500)는,
    상기 회전체(200)의 하측에 위치되어 회전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200)의 하부 내측에 회전 방지 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의하우징(510)과;
    상기 하우징(510)에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522)이 형성된 가이더(520)와;
    중심에 안내홀(531)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수직 가이드홈(522)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수직 가이드돌기(532)가 형성되고 하측에 양쪽으로 대칭되게 "V" 형상의 안내홈(533)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 탄성캠(530);
    상기 하우징(51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탄성캠(53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40):
    상기 하우징(5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540)을 탄성 지지하는 상부캡(550);
    상기 하우징(5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하측 힌지핀이 통과되도록 안내홀(562)이 형성된 하부캡(560);
    상단에 상기 탄성캠(530)의 안내홈(533)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탄성캠(530)을 승강시키도록 경사돌기가 양쪽에 형성되며 하측 중심에 상기 하부캡(560)의 안내홀(562)을 통과하여 하측 브래킷에 회전방지상태로 결합되는 상기 하측 힌지핀이 구비되는 탄성 회전캠(5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조절핀(474)의 하단에 원형의 기어판(478)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200)의 일측에 상기 기어판(478)이 노출되어 별도의 공구를 통해 상기 기어판(478)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조절홀(202)을 관통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1020160075048A 2016-06-16 2016-06-16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10177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048A KR101774469B1 (ko) 2016-06-16 2016-06-16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048A KR101774469B1 (ko) 2016-06-16 2016-06-16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469B1 true KR101774469B1 (ko) 2017-09-04

Family

ID=5992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048A KR101774469B1 (ko) 2016-06-16 2016-06-16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4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94B1 (ko) * 2019-02-07 2020-06-01 이대성 시공이 용이하며 경첩이 필요없는 개폐조절용 도어
KR20200097072A (ko) * 2019-02-07 2020-08-18 이대성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KR20210144115A (ko) * 2020-05-21 2021-11-30 이기현 도어 회동바 내의 스프링 캠 댐핑장치
KR20220005708A (ko) * 2020-07-07 2022-01-14 이대성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KR20230115171A (ko) 2022-01-26 2023-08-02 장영근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297Y1 (ko) 2004-06-09 2004-09-07 에스씨위너스(주)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297Y1 (ko) 2004-06-09 2004-09-07 에스씨위너스(주)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94B1 (ko) * 2019-02-07 2020-06-01 이대성 시공이 용이하며 경첩이 필요없는 개폐조절용 도어
KR20200097072A (ko) * 2019-02-07 2020-08-18 이대성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KR102200793B1 (ko) * 2019-02-07 2021-01-11 이대성 경첩이 필요없는 폴딩도어 개폐조절장치
KR20210144115A (ko) * 2020-05-21 2021-11-30 이기현 도어 회동바 내의 스프링 캠 댐핑장치
KR102356366B1 (ko) * 2020-05-21 2022-01-27 이기현 도어 회동바 내의 스프링 캠 댐핑장치
KR20220005708A (ko) * 2020-07-07 2022-01-14 이대성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KR102405052B1 (ko) * 2020-07-07 2022-06-02 이대성 스프링 캠 댐핑장치가 구비된 조립 및 분해용이한 도어힌지장치
KR20230115171A (ko) 2022-01-26 2023-08-02 장영근 여닫이용 상부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469B1 (ko)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EP2441367A1 (en) Oil damper using a cam
WO2006025663A1 (en) Slim type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KR101958219B1 (ko) 도어 힌지
KR20090100925A (ko) 웜 내치기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복귀 및 정지 기능을갖는 힌지장치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CA2163068A1 (en) Convenient automatic closing system for doors
KR20220157961A (ko) 자동 폐쇄식 유압 완충 힌지
KR101726331B1 (ko) 도어캐처
KR100509724B1 (ko) 다용도 힌지장치
KR100504944B1 (ko)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101552218B1 (ko) 열림각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
KR100509725B1 (ko) 다용도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연결구조
KR20130015909A (ko) 도어 설치구조
KR102338343B1 (ko) 도어용 잠금장치
US20010052201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220161551A (ko) 유압 완충 힌지
KR200368537Y1 (ko) 연결아암을 이용한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장치
KR101817892B1 (ko) 도어 힌지장치
KR200294242Y1 (ko)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US1147336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door wings of a piece of furniture and the like
KR19980072194A (ko) 플로어힌지용 도어클로저
KR100754295B1 (ko) 도어용 유압 경첩
KR101253721B1 (ko) 다기능 도어 닫음 장치
KR20130139653A (ko)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