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42Y1 -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4242Y1 KR200294242Y1 KR2020020025000U KR20020025000U KR200294242Y1 KR 200294242 Y1 KR200294242 Y1 KR 200294242Y1 KR 2020020025000 U KR2020020025000 U KR 2020020025000U KR 20020025000 U KR20020025000 U KR 20020025000U KR 200294242 Y1 KR200294242 Y1 KR 2002942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elastic
- spring
- fixing unit
- cylindric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개방시에 탄성스프링에 축적되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측 내벽에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와,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원통부의 상측과 하측에 대응하는 상부/하부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니트, 상기 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탄성스프링, 상기 원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형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1단이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을 갖춘 고정부재 및,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2단이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을 갖춘 도어회동지지부재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에는 강구를 타설하기 위한 강구수납홈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조정핀이 관통되는 탄성조정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강구수납홈에 타설된 강구의 일측면이 가이드되는 환형상의 강구가이드요홈과 상기 탄성조정핀관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탄성조정핀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조정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려진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에 대해서는 원활한 개폐를 위해 도어경첩이 설치되는 바, 그 도어경첩은 일측이 도어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도어프레임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를 위해 가해지는 인위적인 작용력에 응답하여 도어의 선회개폐를 지원하게 된다.
통상적인 도어경첩에 따르면 도어고정측과 도어프레임고정측의 상호 중첩되는 결합부위에 회동핀이 개재되어 도어프레임고정측이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핀을 중심으로 도어고정측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그러한 도어경첩의 구조에서는 개방된 도어의 자동폐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서 출/입하고나면 해당하는 도어를 인위적으로 닫아주어야만 되는 바, 그러한 불편함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도어를 열고서 출/입하고나면 자동으로 도어를 닫아주도록 설계된 도어클로저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한 도어클로저로서는 일측이 도어에 고착되고 타측은 벽면 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압유가 충전된 유압실린더를 갖추어서 유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닫아주기 위한 유압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그러한 유압식 도어클로저는 유압이 충전된 유압실린더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고,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외부적으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밖에 없어 외견상 불리하게 된다.
또, 도어의 개폐시 항시 작용하는 유압은 해당하는 도어클로저의 기능상 장애를 초래하기 쉽고,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압력의 조절이 용이하지는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닫아주도록 설계하여 소형화 및 외견상 불리함을 배제하도록 된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도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랜지를 갖추고 타측에는 상측 내벽에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와, 일측에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랜지를 갖추고 타측에는 상기 원통부의 상측과 하측에 대응하는 상부/하부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니트,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의 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의 원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형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1단이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을 갖춘 고정부재 및,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2단이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을 갖춘 도어회동지지부재를 갖추어 구성된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의 최상단 돌기에는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상부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착설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에는 강구를 타설하기 위한 강구수납홈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조정핀이 관통되는 탄성조정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강구수납홈에 타설된 강구의 일측면이 가이드되는 환형상의 강구가이드요홈과 상기 탄성조정핀관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탄성조정핀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조정공이 형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는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와 도어에 고정된 도어고정유니트의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그 탄성스프링의 제 1단이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에 고정위치되는 반면 그 탄성스프링의 제 2단은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와 연동적으로 회동하는 도어회동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고정유니트에 연동하는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2단도 회동하면서 탄성복원력이 축적되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 16: 원통부,
20: 도어고정유니트, 26a: 상부회동결합원통부,
26b: 하부회동결합원통부, 30: 원통부,
34: 베어링, 38: 도어회동지지부재,
40: 강구, 42: 탄성조정핀,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의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는 예컨대 도어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를 구비하게 되는 바, 그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는 도어프레임상에 접면결합되어지는 고정플랜지(12)를 갖추게 되고, 그 고정플랜지(12)상에는 해당하는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를 도어프레임상에 스크류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공(14)이 형성된다.
또,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에서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일측에는 그 수직방향의 길이에 비해 짧으면서 내부가 중공(中空)형태인 원통부(16)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그 원통부(16)의 상측 내면에는 나사형상부(16a)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는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에 대응하면서 예컨대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도어고정유니트(20)도 구비하게 되는 바, 그 도어고정유니트(20)는 도어상에 접면결합되어지는 고정플랜지(22)를 갖추게 되고, 그 고정플랜지(22)상에는 해당하는 도어고정유니트(20)를 도어상에 스크류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공(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에서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와의 결합시 그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에 형성된 상기 원통부(16)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면서 내부가 중공형태인 상부회동결합원통부(26a)와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가 형성된다.
그에 더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원통부(16)의 내부에는 열려진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탄성스프링(30)이 개재된다.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원통부(16)의 상측에는 고정부재(32)가 제공되는 바, 그 고정부재(32)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제 1단(30a)이고정적으로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32a)이 형성되고, 그 고정부재(32)의 하측에는 상기 나사형상부(16a)에 체결되는 나사부(32b)가 형성되며, 그 고정부재(32)의 최상단 돌기(32c)에는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면서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와의 결합시 상기 상부회동결합원통부(26a)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링(34)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와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와의 결합시 상기 원통부(16)의 상측과 상기 상부회동결합원통부(26a)의 하측의 사이에는 제 1링부재(36)가 위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의 내부에는 도어의 회동에 연동하는 도어회동지지부재(38)가 삽설되는 바, 그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상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제 2단(30b)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홈(38a)이 형성된다.
또,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하측 외주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환형상 강구가이드요홈(38b)이 형성되고, 그 환형상 강구가이드요홈(38b)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에도 강구수납홈(28a)이 형성되는 바,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와 상기 고정유니트(20)의 상호 결합시 그 강구수납홈(28a)을 통해 외부에서 강구(40)를 강제로 타설하게 되면 그 강구(40)의 내측면이 상기 강구수납홈(28a)에 진입되어져 도어의 개폐시 그 강구(40)가 상기 강구가이드요홈(38b)에 의해 가이드되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탄성조정공(38c)이 형성되고, 그 탄성조정공(38c)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에는 하나의 탄성조정핀관통공(28b)이 형성되는 바, 그 탄성조정핀관통공(28b)을 통해 외부로부터 탄성조정핀(42)이 통과하여 상기 다수의 탄성조정공(38c)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즉, 도어를 닫기 위한 탄성복원력)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와 상기 고정유니트(20)의 상호 결합시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제 1단(30a)이 상기 고정부재(32)의 스프링고정홈(32a)에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탄성스프링(30)의 제 2단(30b)이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스프링고정홈(38a)에 고정되도록 하고나서,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28b)내에서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를 최적의 위치로 회전시키고서 상기 탄성조정핀(42)이 상기 탄성조정핀관통공(28b)을 통과하여 상기 다수의 탄성조정공(38c)중에서 상기 탄성조정핀관통공(28b)에 정합되는 위치의 탄성조정공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30)에 대한 탄성복원력(즉, 도어를 닫기 위한 탄성력)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와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와의 결합시 상기 원통부(16)의 하측과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a)의 상측의 사이에는 제 2링부재(44)가 위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가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조립되는 구조에 따르면, 상기 도어프레임고정부재(10)의 원통부(16)의 나사형상부(16a)에 상기 고정부재(32)의 나사부(32a)가 체결되고, 그 고정부재(32)의 최상단 돌기(32c)에는 상기 베어링(34)이 장착되어진다.
또, 상기 원통부(16)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재(32)의 상측이 상기 제 1링(36)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상부회동결합원통부(26a)에 수용된다.
상기 고정부재(32)를 매개로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원통부(16a)의 상측과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상부회동결합원통부(26a)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원통부(16a)의 하측과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의 사이에 상기 제 2링(44)이 개재되도록 배치하고나서 상기 탄성스프링(30)을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로부터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원통부(16)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제 2단(30b)이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스프링고정공(38a)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상측은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원통부(16)의 내부에도 어느 정도 진입되어지고,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의 강구수납홈(28a)에 강구(40)를 강압적으로 타설하여 그 일측면이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강구가이드요홈(38b)에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또,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제 1단(30a)이 상기 고정부재(32)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이 적절하게 조정되고, 그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이 적절하게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도어고정유니트(20)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에 형성된 상기 탄성조정핀관통공(28b)을 통해 상기 탄성조정핀(42)을 관통시켜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어느 하나의 탄성조정공(38c)에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는 도 3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도어프레임(50)과 도어(60)는 통상적인 도어경첩(70a,70b)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50)에 대해 상기 도어(60)가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조립된 본 고안의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80)가 상기 도어프레임(50)과 상기 도어(60)의 사이에서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10)의 상기 고정플랜지(12)는 상기 고정공(14)을 통해 체결되는 예컨대 스크류 등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5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고정플랜지(22)는 상기 고정공(24)을 통해 체결되는 예컨대 스크류 등에 의해 상기 도어(60)에 고정설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도어(60)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열게 되면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가 상기 도어(60)의 개방에 연동하여 선회하게 되는 바, 상기 도어고정유니트(20)의 상기 상부회동결합원통부(26a)는 상기 베어링(34)의 지원하에 자유롭게 선회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26b)에 수용된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도 연동적으로 선회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탄성스프링(30)은 그 제 1단(30a)이 상기 위치고정된 고정부재(32)에 고정되고 그 제 2단(30b)은 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38)의 선회에 따라 회동되어지며, 결국 그 탄성스프링(30)은 탄성복원력을 저장하는 형태로 압축되게 된다.
상기 도어(60)를 열고 출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도어(60)에 대한 인위적인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30)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이 상기 도어(60)에 가해지게 되어 결국 상기 열려진 도어(60)가 자동으로 닫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에 의해서는 열려진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줄 수 있게 되고, 그 도어를 닫아주기 위한 탄성복원력은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초기적인 탄성력을 상기 탄성조정핀(42)에 의해 조정해주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여는 상태에서 탄성스프링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열려진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출/입한 상태에서 도어를 반드시 닫아야만 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닫아주는 힘을 얻게 되기 때문에 저가로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경제적인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 일측에 도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랜지를 갖추고 타측에는 상측 내벽에 나사형상부가 형성된 원통부를 갖춘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와;일측에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랜지를 갖추고 타측에는 상기 원통부의 상측과 하측에 대응하는 상부/하부회동결합원통부가 형성된 도어고정유니트;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의 원통부에 수용되어 도어의 개방시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탄성스프링;상기 도어프레임고정유니트의 원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형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1단이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을 갖춘 고정부재; 및,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하부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제 2단이 삽설되는 스프링고정홈을 갖춘 도어회동지지부재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최상단 돌기에는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상부회동결합원통부에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유니트의 상기 하부회동결합원통부에는 강구를 타설하기 위한 강구수납홈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조정핀이 관통되는 탄성조정핀관통공이 형성되고,상기 도어회동지지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강구수납홈에 타설된 강구의 일측면이 가이드되는 환형상의 강구가이드요홈과 상기 탄성조정핀관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탄성조정핀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조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5000U KR200294242Y1 (ko) | 2002-08-22 | 2002-08-22 |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5000U KR200294242Y1 (ko) | 2002-08-22 | 2002-08-22 |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4242Y1 true KR200294242Y1 (ko) | 2002-11-04 |
Family
ID=7312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5000U KR200294242Y1 (ko) | 2002-08-22 | 2002-08-22 |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4242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202B1 (ko) | 2007-02-14 | 2007-11-16 | 장종복 |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
KR20180065617A (ko) | 2016-12-08 | 2018-06-18 | 김용갑 | 가스댐퍼부착식 자동 힌지구가 장착된 여닫이 도어 |
KR20180079844A (ko) | 2017-01-03 | 2018-07-11 | 김용갑 | 도어 경첩용 가스댐퍼식 힌지장치 |
CN111395899A (zh) * | 2019-01-03 | 2020-07-10 | I-One伊诺泰克有限公司 | 向上开闭式门的铰链装置 |
-
2002
- 2002-08-22 KR KR2020020025000U patent/KR2002942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202B1 (ko) | 2007-02-14 | 2007-11-16 | 장종복 |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
WO2008100035A1 (en) * | 2007-02-14 | 2008-08-21 | Jong-Bok Jang | Fre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
KR20180065617A (ko) | 2016-12-08 | 2018-06-18 | 김용갑 | 가스댐퍼부착식 자동 힌지구가 장착된 여닫이 도어 |
KR20180079844A (ko) | 2017-01-03 | 2018-07-11 | 김용갑 | 도어 경첩용 가스댐퍼식 힌지장치 |
CN111395899A (zh) * | 2019-01-03 | 2020-07-10 | I-One伊诺泰克有限公司 | 向上开闭式门的铰链装置 |
KR20200084966A (ko) * | 2019-01-03 | 2020-07-14 |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
KR102201033B1 (ko) * | 2019-01-03 | 2021-01-12 |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
CN111395899B (zh) * | 2019-01-03 | 2021-11-12 | I-One伊诺泰克有限公司 | 向上开闭式门的铰链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39172B2 (en) | Oil damper using a cam | |
US5309676A (en) | Balanced door closing apparatus | |
KR101950877B1 (ko) |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 |
KR200190938Y1 (ko) |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 |
US20010015033A1 (en) | Automatic door-closing device | |
KR101774469B1 (ko) |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 |
KR200294242Y1 (ko) |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
EP0577570A1 (en) | Hinge provided with adjustable friction | |
KR200223101Y1 (ko) | 출입문용 피벗힌지 | |
KR200271646Y1 (ko) |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 |
KR200213553Y1 (ko) |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 |
KR200339341Y1 (ko) | 도어경첩 | |
KR100509725B1 (ko) | 다용도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연결구조 | |
KR100443623B1 (ko) |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 |
KR19980082068A (ko) |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 |
KR200376958Y1 (ko) |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 |
KR100451853B1 (ko) | 힌지장치 | |
KR100188300B1 (ko) | 도어용 피벗힌지 | |
KR19990046593A (ko)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
JP2003343151A (ja) | フロアヒンジ | |
RU208569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шумного и плотного самозакрывания дверей | |
EP1533439B1 (en) | Servo-lifting device | |
KR200338218Y1 (ko) | 도어 개폐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 |
KR100620557B1 (ko) | 자동 도어 클로저가 내장된 안전 방화문 조립체 | |
KR200300526Y1 (ko) | 가구 유리문용 경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