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553Y1 -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 Google Patents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553Y1
KR200213553Y1 KR2020000019456U KR20000019456U KR200213553Y1 KR 200213553 Y1 KR200213553 Y1 KR 200213553Y1 KR 2020000019456 U KR2020000019456 U KR 2020000019456U KR 20000019456 U KR20000019456 U KR 20000019456U KR 200213553 Y1 KR200213553 Y1 KR 200213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ydraulic
closer
spring
door cl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선오
Original Assignee
남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선오 filed Critical 남선오
Priority to KR2020000019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arms fixed on the wing pivoting about an axis outsid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서 도어를 선회가능하게 결합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의 치수축소가 가능하면서 유압식 도어클로저에서 압유에 포함된 이물에 의한 악영향을 배제하도록 설계된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압식 도어클로저(1)에서 도어(D)에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 (10)의 하측 일부가 치수단축을 위해 도어프레임(DF)에 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 (20)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의 피스톤(50)의 외측에는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완화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압유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행하는 체크밸브부(52)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의 가이드부재(6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61)에는 피스톤 (5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4)의 외측 돌출부의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편(62)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2)에서 도어에 결합을 위한 도어회동부재(100)와 상기 도어프레임(DF)에 결합을 위한 도어지지부재(120)도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는 형태로 설계되어 그 수직방향의 치수가 단축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DOOR HAVING HYDRAULIC-AND SPRING-TYPE DOOR CLOSERS}
본 고안은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소형치수로 제조가 가능하면서 도어의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도어댐퍼기능을 수행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도어의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정의되는 실내공간에 대해서는 그 은폐와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고, 그 도어의 일측에는 개문(開門) 또는 폐문(閉門)이 가능하도록 해당하는 도어의 선회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도어경첩이 건축물에 결합된 도어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경첩은 단지 인위적인 개폐동작에 의해 도어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작용하게 됨에 따라, 예컨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의 상측 소정부위와 그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도어가 열려진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닫아주기 위한 도어체커가 설치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도어의 일측을 도어프레임에 선회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작업과, 그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도어체커를 설치하는 작업이 별개로 실행되어야만 됨에 따라 불편하게 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공개 제 1998-82068호에는 도어경첩을 구성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적용하여 열려진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면서 필요한 경우에는 일정한 각도에서 열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도어스토퍼기능을 포함하는 기술이 제안된 상태이다.
그 기술에 의하면, 유압식 도어클로저는 댐퍼기능을 수행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닫혀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는 도어의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면서 일정한 각도의 범위를 넘어서 도어를 열게 되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도어가 닫혀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경첩을 구성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작용시에 그 유압식 도어클로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간의 기계적 마찰이 지속적으로 행해짐에 따라 구성요소의 마모입자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댐핑기능이 불량해져서 급격하게 도어가 닫혀질 가능성이 야기된다.
또한, 그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는 도어측에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와 도어프레임측에 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가 상호 경계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그 길이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대형화된다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압식 도어클로저에 기계적인 마찰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마모입자에 의한 도어의 댐핑기능이 불량해지는 일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소형으로 설계한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도어의 개폐작용에 대해 압유에 의한 댐핑기능을 수행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상기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자동닫힘에 대한 탄성복원력과 스토퍼기능을 실행하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에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의 하측 일부가 치수단축을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피스톤의 외측에는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완화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압유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행하는 체크밸브부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는 피스톤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의 외측 돌출부의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편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에서 도어에 결합을 위한 도어회동부재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을 위한 도어지지부재도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는 형태로 설계되어 그 수직방향의 치수가 단축되도록 한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샤프트는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나선홈의 방향이 설정되어 상기 도어지지부재에 결합된다.
또,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피스톤의 상단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부는 상기 실린더측으로 유입되는 압유에서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제 1망과 그 하부 중앙에는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공이 형성되고 그 양단이 상향 연설된 베이스, 그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철구(鐵球), 상기 압유에서 이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제 2망 및, 그 체크밸브부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중앙에는 압유의 통과를 위해 개구된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에서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측일부는 다소 작은 외경을 갖도록 단차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회동부재와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에 연설되는 샤프트의 상측에는 단차외경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단차외경부의 주변에는 토션스프링의 회전을 지원하는 부싱이 삽설되며,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의 단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단차부와 상기 샤프트의 플랜지를 수용하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의하면,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에서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의 하측 일부의 외경을 보다 작게 단차처리하여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계해줌에 따라 그 유압식 및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의 조립시 그 길이방향의 치수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에 대해서는 피스톤의 상측에 압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체크밸브부가 제공됨에 따라 압유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도어의 댐퍼기능이 악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압식 도어클로저, 2: 스프링식 도어클로저,
10: 도어회동부재, 20: 도어지지부재,
30: 샤프트, 40: 실린더부재,
50: 피스톤, 60: 가이드부재,
100: 도어회동부재, 120: 도어지지부재,
130: 샤프트, 140: 토션스프링.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가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도어(D)와 도어프레임(DF)의 사이에는 유압식 도어클로저(1)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2)가 수직방향에서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는 도어(D)의 선회작용에 대한 댐퍼기능을 수행하여 도어(D)가 부드럽게 닫혀지도록 하는 작용을 갖게 되고,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2)는 열린 도어(D)가 닫혀지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그 유압식 도어클로저(1)는 도어(D)에 고정결합되어 그 도어(D)의 선회적인 개폐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도어회동부재(10)와, 상기 도어프레임(DF)에 고정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20), 그 도어지지부재(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수용되고 그 상측에는 나선홈(32)이 형성된 샤프트(30), 상기 도어회동부재(10)내에 결합되고 그 하부에는 압유가 충전되는 실린더가 형성된 실린더부재(40), 그 실린더부재(40)의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0)의 나선홈(32)에 결합되어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병행하는 피스톤(50) 및, 그 피스톤(5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0)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도어회동부재(10)는 원통형 하우징(10a)의 외주면의 적절한 위치에는 도어와의 결합을 위한 도어결합브라켓(10b)이 제공되고, 그 하우징(10a)의 외주면에서 하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는 그 상측에 비해 단차적인 외경을 갖도록 설계하여 그 단차적인 외경을 갖는 단차외경부(10c)가 상기 도어지지부재(20)의 상측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해당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1)의 전체적인 치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a)의 내부 상측 벽면에는 상기 실린더부재(40)와의 결합을 위한 나선부(11)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우징(10a)의 내부 하측에는 다각형 고정홈(12)과 그 고정홈(12)의 하측에 밀접하여 환형 밀폐홈(13)이 형성된다. 그 밀폐홈(13)의 하측에는 압유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O-링(14)이 제공됨과 더불어 그 O-링(14)의 하측에는 부싱(15)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지지부재(20)의 원통형 하우징(20a)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도어프레임결합브라켓(20b)이 형성되고, 그 내부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하측에 형성된 단차외경부(10c)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단차외경부(10c)에 대응하는 내부의 위치에는 환형상 링(22)이 고착됨과 더불어 그 환형상 링(22)의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30)의 하단을 수납하기 위한 관통공(22a)이 형성된 샤프트수납부(22)가 고정결합된다.
또, 상기 샤프트(30)의 소정위치에는 베어링(31)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그 상측에는 도어의 개문방향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홈(32)이 형성되며, 그 샤프트(30)의 하측에는 양측면이 평행하게 연삭되어 상기 도어지지부재(20)의 베어링부재수납부(22)의 관통공(22a)에 삽입되는 결합단(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샤프트(30)의 결합단(33)은 그 양측면이 상호 평행하게 연삭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지지부재(20)의 베어링부재수납부(22)의 관통공(22a)도 그 샤프트(30)의 결합단(3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호 결합시 그 형상이 반원형인 경우에 비해 오차에 의한 샤프트(30)의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또, 상기 실린더부재(40)는 그 외주면이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내부면과 다소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삽입되고, 그 상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40a)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나선부(11)에 나사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일정한 깊이에 걸쳐 압유가 충전되는 실린더(41)가 정의되며, 그 실린더(41)의 내측 단부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압유배출공(41a)이 형성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재(40)의 상단에는 상기 압유배출공(41a)과 연통되는 나선홈(4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나선홈(42)의 하부에는 상기 압유배출공(41a)을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연통공(43)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42)의 상측에는 유압조절나사(45)가 안착되는 안착요부(44)가 제공된다.
상기 실린더부재(40)의 상단 나선홈(42)에는 상기 안착요부(44)측으로부터 유압조절나사(45)가 결합되는 바, 그 유압조절나사(45)의 하단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재(40)의 연통공(43)과 결합되는 결합부(45a)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41)내의 압유가 그 실린더부재(40)의 외주면과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내주면 사이로 순환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또, 상기 유압조절나사(45)의 머리부에는 O-링(46)이 제공되어 압유가 외부적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1)는 상부실린더(41b)와 하부실린더(41c)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실린더(41c)의 내경은 상부실린더(41b)의 내경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되는 바, 그 경우 상기 피스톤(50)이 상하로 왕복하는 동안에 그 하부실린더(41c)에서는 상기 피스톤(50)과의 사이에 약간의 갭이 발생되는 반면, 상기 상부실린더(41b)의 내부에서는 상기 피스톤(50)과의 사이에서 갭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 상기 피스톤(50)이 점차 감속되면서 이송된다.
또, 상기 실린더부재(40)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내주면과 그 실린더부재(40)의 외주면 사이의 갭을 통해 순환되는 압유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최소한 하나의 절개홈(47)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50)은 상기 실린더부재(40)에 구성된 실린더(41)의 내부에 삽입되는 헤드부(50a)와 그 헤드부(50a)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6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부(50b)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피스톤(50)의 헤드부(50a)와 연장부(50b)의 사이에는 그 피스톤(50)이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서 기계적 마찰을 완화시키기 위한 마찰완충부재(즉, O-링)(51)가 제공된다.
또, 상기 피스톤(50)의 헤드부(50a)의 내부공간에는 체크밸브부(52)가 설치되는 바, 그 체크밸브부(52)는 상기 연장부(50b)의 내부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유에서 예컨대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제 1망(網)(52a)과 그 하부 중앙에는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공이 형성되고 그 양단이 상향 연설된 베이스(52b), 그 베이스(52b)의 내부에 수용되는 철구(鐵球)(52c), 상기 압유에서 이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제 2망(52d) 및, 그 체크밸브부(52)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중앙에는 압유의 통과를 위해 개구된 상부커버(52e) 및, 상기 베이스(52b)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계적이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O-링(52f)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50)의 연장부(50b)의 하단에는 반지름방향으로 관통된 핀홀(53)이 형성되어 일정한 형태의 가이드돌기(54)가 고정결합되는 바, 그 가이드돌기(54)는 핀홀(53)을 통해 그 연장부(50b)의 내부와 외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그 외측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부재(60)의 후술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반면 그 내측 돌출부는 상기 샤프트(30)의 나선홈(32)상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0)는 그 양측면에 상기 연장부(50b)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4)의 외측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61)이 형성되는 바, 그 가이드홈(61)을 정의하는 측면은 재차 요홈(61a,61b)으로 형성되고, 그 요홈(61a,61b)에는 상기 피스톤(50)이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돌기(54)의 마찰을 완화시켜 마찰분진의 발생을 극소화하기 위한 가이드편(62)이 삽설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의 분리사시도로서, 그 스프링식 도어클로저(2)는 상기 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회동부재(100)와, 상기 도어프레임(DF)에 고정되는 도어지지부재(120) 및,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와 상기 도어지지부재(120)의 사이에 연설되면서 그 상단부 외주면에는 단차외경부(133)가 형성된 샤프트(130)와, 그 샤프트(1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도어(D)가 열림에 따라 토션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열려진 도어(D)가 닫히도록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회동부재(100)는 원통형 하우징(111a)의 외주면에 도어(D)에 고정설치되는 도어고정브래킷(111b)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1a)의 상측 내부에는 중앙 관통의 격벽(112)이 형성되며, 그 격벽(112)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결합공(112a)이 형성된다.
또, 상기 원통형 하우징(111a)의 상측 내부에서 상기 격벽(112)상에는 베어링체(113)가 삽설되고, 그 베어링체(113)의 중앙에는 조절나사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나사(115)가 관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 하우징(111a)의 하부의 일정한 범위는 그 상측에 비해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 단차부(111c)로서 형성된다.
상기 도어지지부재(120)는 수직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중공형상의 원통형 하우징(121a)의 외주면에 상기 도어프레임(DF)과의 고정을 위한 도어프레임고정브래킷(121b)이 형성되고, 그 도어지지부재(12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의 원통형 하우징(111a)에 형성된 단차부(111c)의 종단을 수용하기 위해 그 상부 내경에 비해 다소 작은 직경의 환형상 제 1단차부(122)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130)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해 그 제 1단차부(122)에 비해 다소 작은 직경의 제 2단차부(123)가 형성된다.
또, 상기 도어지지부재(120)의 하우징(121a)의 하단에는 일정한 형태의 캡결합부(124)가 정의되고, 그 캡결합부(124)의 하단, 즉 상기 하우징(121a)의 하단에서 대향하는 위치에는 고정핀걸림요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상기 캡결합부(124)가 정의되는 상기 하우징(121a)의 하측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130)를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고정너트(126)가 수용되는 바, 그 샤프트고정너트(126)는 고정핀(128)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핀홀(127)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결합부(124)상에는 반구형 캡(126)이 씌워지게 된다.
또,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와 상기 도어지지부재(120)의 하우징(111a;12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가능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단차외경부(133)가 형성되며, 그 단차외경부(133)상에는 상기 토션스프링(140)이 그 샤프트(130)의 외주변에 끼워져서 도어(D)의 개방시 그 토션스프링(140)의 압축회전을 지원하는 일종의 베어링작용을 갖는 부싱(134)이 삽입된다.
또, 상기 샤프트(130)의 하측에는 일정한 직경(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지지부재(120)의 원통형 하우징(121a)의 직경에 비해 다소 작은 치수)의 플랜지(131)가 고정설치되고, 그 플랜지(131)의 소정위치에는 결합공(132)이 형성되며, 그 샤프트(130)의 하단 외주변에는 상기 샤프트고정너트(126)가 체결되는 나사부(1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30)의 상단면에는 상기 조절나사(115)가 체결되는 조절나사결합공(136)이 형성되고, 그 조절나사결합공(136)의 내벽에는 그 조절나사(115)가 체결되는 나사형상이 형성된다. 또, 상기 샤프트(130)의 플랜지(131)의 하방에는 도어(D)의 회동시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의 회동을 지원하기 위한 베어링(137)이 보조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하부고정단(141a)은 상기 샤프트(130)의 플랜지(131)에 형성된 결합공(132)에 삽입고정되는 반면, 그 상부고정단(141b)은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의 하우징(111a)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격벽(112)의 토션스프링결합공(112a)에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의 하우징(111a)의 단차부(111c)가 상기 도어지지부재(120)의 하우징(121a)에 삽입되는 경우 그 계합면에는 일종의 회동지원부재로서의 O-링부재(142)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의 작용에 따르면, 출입자가 도어를 열게 되면, 스프링식 도어클로저(2)의 일부가 도어(D)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회동부재(100)내에 끼워진 토션스프링(140)에 의해 회전력이 축적되고, 상기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열린 상태의 도어(D)가 닫혀지게 되는 바, 그 도어(D)의 닫힘속도는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가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러저(2)는 출입자가 도어(D)를 열어 상기 도어회동부재(100)를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키게 되면 그 도어회동부재(100)의 토션스프링고정공(112a)에 삽입된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상부 고정단(143)이 권선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는 반면, 그 토션스프링(140)의 하부 고정단(142)이 상기 샤프트(130)의 결합공(132)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토션스프링(140)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를 열게 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2)에 구성되는 상기 샤프트(130)의 하부는 고정상태의 도어지지부재(120)의 원통형 하우징(121a)의 하부에서 상기 샤프트고정너트(126)가 체결됨과 더불어 그 샤프트고정너트(126)의 적정한 핀홀(127)에 상기 고정핀(128)이 관통되고서 고정핀걸림요홈(125)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하부고정단(141a)은 고정상태의 상기 샤프트(130)의 플랜지(131)에 형성된 결합공(132)에 고정되는 반면 그 상부고정단(141b)는 회동상태의 상기 도어회동부재(100)의 격벽(112)의 토션스프링결합공(112a)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D)의 회동시 그 토션스프링(140)에는 회전력이 축적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30)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기 샤프트고정너트(126)를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권선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그 샤프트고정너트(126)의 핀홀(127)에 핀(127)을 삽입하고서 그 핀(127)의 양단이 상기 도어지지부재(120)의 고정핀결합홈(125)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도어(D)를 열기 위한 동작을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140)이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의 도어회동부재(10)는 도어(D)와 일체로 회동되면서, 그 도어회동부재(10)와 일체로 나선결합된 실린더부재(40)를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 경우, 상기 도어회동부재(10)의 다각형 고정홈에 결합된 가이드부재(60)가 상기 도어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내주면의 가이드홈(61)에 결합된 가이드돌기(54)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피스톤(50)을 일정한 각도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50)은 가이드핀의 내측 돌출부에 의해 샤프트(30)의 나선홈(32)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샤프트(30)는 상기 도어지지부재(20)에 고정결합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피스톤(50)은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병행하면서 실린더(41)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며,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충진된 압유에 의해 피스톤(50)의 상부에 설치된 체크밸브부(52)가 열리게 되어 실린더(41) 내부의 압유가 그 체크밸브부(52)를 통해 실린더(41)의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되므로 상기 도어(D)가 해당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D)의 압유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고 부드럽게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열려진 상태에서 출입자가 출입하고나면 상기 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도어(D)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D)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의 도어회동부재(10)는 상기 도어(D)와 일체로 회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피스톤(40)을 일체로 회동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0)은 상기 샤프트(30)에 나선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린더(41)의 내부에서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병행하여 실린더(4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된다.
그 경우, 상기 피스톤(50)의 체크밸브부(52)는 닫혀진 상태이고, 상기 실린더(41)의 상부의 압유는 미세한 직경의 압유배출공(41a)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재(40)와 도어회동부재(10)의 사이에 정의된 좁은 갭을 통해 실린더(41)의 하부로 순환되는 바, 그러한 압유의 압력에 의해 상기 도어(D)가 서서히 닫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41)의 내경은 하부실린더(41c)의 직경이 크고 상부실린더(41b)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기 도어(D)는 일정한 각도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닫혀지다가 상기 피스톤(50)이 상기 상부실린더(41b)에 삽입되면서 상기 피스톤(50)과 실린더(41)의 사이에 갭이 거의 없어지게 됨에 따라 서서히 닫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1)의 조절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압유배출공(41a)을 통해 순환되는 압유의 양이 조절되므로 상기 도어(D)의 닫힘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도어클로저(1)는 상기한 작용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의 닫힘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가 서서히 닫혀지도록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의하면,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에서는 구성요소의 기계적인 마찰을 완화시킴과 더불어 그 마찰에 의한 이물질을 확실하게 걸러내는 구조가 보강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도어의 급격한 폐문동작이 배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도어경첩을 구성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스프링식 도어클로저가 그 길이방향에서의 치수를 단축하는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치수의 불합리한 대형화가 배제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도어와 도어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작용에 대해 압유에 의한 댐핑기능을 수행하는 유압식 도어클로저와, 상기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자동닫힘에 대한 탄성복원을 부여하는 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에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의 하측 일부가 치수단축을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내에 회동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피스톤의 외측에는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완화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압유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행하는 체크밸브부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가이드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는 피스톤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의 외측 돌출부의 기계적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편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에서 도어에 결합을 위한 도어회동부재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을 위한 도어지지부재도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는 형태로 설계되어 그 수직방향의 치수가 단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샤프트는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나선홈의 방향이 설정되어 상기 도어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도어클로저의 피스톤의 상단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부는 상기 실린더측으로 유입되는 압유에서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제 1망과 그 하부 중앙에는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공이 형성되고 그 양단이 상향 연설된 베이스, 그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철구(鐵球), 상기 압유에서 이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제 2망 및, 그 체크밸브부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중앙에는 압유의 통과를 위해 개구된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식 도어클로저에서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측일부는 다소 작은 외경을 갖도록 단차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회동부재와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에 연설되는 샤프트의 상측에는 단차외경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단차외경부의 주변에는 토션스프링의 회전을 지원하는 부싱이 삽설되며,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의 단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단차부와 상기 샤프트의 플랜지를 수용하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2020000019456U 2000-07-07 2000-07-07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200213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56U KR200213553Y1 (ko) 2000-07-07 2000-07-07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56U KR200213553Y1 (ko) 2000-07-07 2000-07-07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553Y1 true KR200213553Y1 (ko) 2001-02-15

Family

ID=7305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456U KR200213553Y1 (ko) 2000-07-07 2000-07-07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5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25B1 (ko) * 2000-08-25 2003-05-27 김영돈 도어안전개폐장치
KR20040025292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스프링식 경첩
KR100470568B1 (ko) * 2002-03-06 2005-02-22 정순자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100853768B1 (ko) 2007-07-11 2008-08-22 주식회사 이피텍 댐퍼도어의 댐퍼구조
WO2013154332A1 (ko) * 2012-04-09 2013-10-17 Park Hyun-Seok 도어용 경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25B1 (ko) * 2000-08-25 2003-05-27 김영돈 도어안전개폐장치
KR100470568B1 (ko) * 2002-03-06 2005-02-22 정순자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20040025292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스프링식 경첩
KR100853768B1 (ko) 2007-07-11 2008-08-22 주식회사 이피텍 댐퍼도어의 댐퍼구조
WO2013154332A1 (ko) * 2012-04-09 2013-10-17 Park Hyun-Seok 도어용 경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1761B2 (en) Door closer
US7243394B2 (en) Door closing hinge device
US20200263471A1 (en) Pivot hinge apparatus for door
KR101024700B1 (ko) 도어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200213553Y1 (ko)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100929213B1 (ko)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101109574B1 (ko) 도어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US6904642B2 (en) Closing device for gates and doors
KR100446221B1 (ko)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니트
KR20060093868A (ko) 유압식 힌지가 장착된 자동닫힘 도어
KR200271646Y1 (ko)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KR200388916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200294242Y1 (ko)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KR100443623B1 (ko)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KR20040025290A (ko) 유압식 경첩
KR20070120931A (ko) 정지기능을 갖는 수직형 도어클로저
KR200209588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70009911A (ko)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200187613Y1 (ko) 힌지형 도어 클로져
KR102075501B1 (ko) 유압 댐핑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장치
KR200368537Y1 (ko) 연결아암을 이용한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장치
KR200228240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20030692A (ko) 기능이 강화된 수직형 도어 클로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