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425B1 - 도어안전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안전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425B1
KR100385425B1 KR10-2000-0049457A KR20000049457A KR100385425B1 KR 100385425 B1 KR100385425 B1 KR 100385425B1 KR 20000049457 A KR20000049457 A KR 20000049457A KR 100385425 B1 KR100385425 B1 KR 100385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accommodated
pressure oi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276A (ko
Inventor
김영돈
남선오
Original Assignee
김영돈
남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돈, 남선오 filed Critical 김영돈
Priority to KR10-2000-004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4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상태의 도어에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압유의 순환을 일시적이면서 순간적으로 차단하여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는 일을 방지하도록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도어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와 그 도어회동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고서 도어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 하측의 프레임고정단이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내에 결합되고 그 상측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에 수용되면서 그 내면 양측에 가이드요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그 중공내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측이 수용되고 그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의 외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요홈에 수용되며 그 가이드돌기의 내측단이 상기 샤프트부재의 나선홈에 접면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실린더부재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충격적인 외력을 완충시키는 도어완충밸브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측단에는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O-링과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의 사이에는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미세한 간극이 유지되고, 상기 도어완충밸브부재에는 압유의 순환로상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상에 일정한 높이로 부유되도록 재치되어 상기 도어에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상기 압유의 순환을 일시적이면서 순간적으로 차단하는 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안전개폐장치{SAFETY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그 도어에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급격한 도어의 닫힘동작을 방지하면서 도어의 유연한 개폐동작을 보장하도록 된 도어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제한적인 출입을 위해 도어가 설치되는 바, 그 도어는 벽면에 매설되는 도어프레임에 복수의 힌지에 의해 선회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 힌지에 의해 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도어가 그 열려진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닫혀지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그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되는 경우도 일반적이다.
그런데, 그 도어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는 대개 출입자가 도어를 개폐하기 쉽도록 선회작용력만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충격적인 외력(예컨대 바람)이 작용하게 되면 도어가 급격하게 닫혀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에 대해, 도어클로저가 설치된 경우에는 급격한 도어의 닫힘동작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그 도어클로저는 건물의 출입구의 구조에 따라서는 설치가 불편하거나 불가한 경우도 종종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개방된 도어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켜 급격한 도어의 닫힘동작을 방지하면서 유연한 개폐동작을 지원하도록 된 도어안전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와 그 도어회동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고서 도어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 하측의 프레임고정단이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내에 결합되고 그 상측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에 수용되면서 그 내면 양측에 가이드요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그 중공내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측이 수용되고 그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의 외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요홈에 수용되며 그 가이드돌기의 내측단이 상기 샤프트부재의 나선홈에 접면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실린더부재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충격적인 외력을 완충시키는 도어완충밸브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측단에는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O-링과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의 사이에는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미세한 간극이 유지되는 도어안전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완충밸브부재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중공내부에 연통되는 압유로의 상측에 형성된 스프링수납구에 수용된 탄성스프링과, 그 탄성스프링상에 일정한 높이로 부유되도록 재치되면서 상기 도어에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상기 압유의 순환을 일시적이면서 순간적인 차단하는 강구,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스프링과 상기 강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슬릿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에 의하면, 통상적인 도어의 개폐시에는 상기 도어완충밸브구조의 강구가 탄성스프링에 의해 항시 일정한 높이로 부유됨에 따라 압유가 그 도어완충밸브구조를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와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미세한 간극을 통해 순환하면서 도어의 유연한 개폐동작을 보장하게 되지만, 그 도어에 충격적인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압유의 압력이 상기 강구에 역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그 강구가 압유의 순환을 일시적이면서 순간적으로 차단하게 됨에 따라 도어의 급격한 닫힘동작이 방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12: 도어프레임,
16: 도어안전개폐장치, 18: 도어회동부재,
18a: 원통형 하우징, 30: 도어지지부재,
40: 샤프트부재, 42: 나선홈,
50: 가이드부재, 60: 실린더부재,
64: 도어완충밸브구조.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어(10)는 도어프레임(12)에 대해 복수의 힌지(14)에 의해 선회가능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그 도어(10)와 상기 도어프레임(12)의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16)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12)에 대해 상기 힌지(14)에 의해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10)는 그 개방된 상태에서 예컨대 풍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에 의해 그 도어(10)의 급격한 닫힘동작이 방지된다.
도 2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16)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의 작용을 설명하는 조립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는 상기 도어(10)에 고정결합되어 그 도어(10)의 선회개폐작용에 연동하는 도어회동부재(18)를 포함하게 된다.
그 도어회동부재(18)의 원통형 하우징(18a)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10)의 고정결합을 위한 대체로 장방형상의 도어고정브라켓(20)이 형성되고, 그 원통형 하우징(18a)의 하측은 그 상측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는 단차부(22)로서 형성되며, 그 하측의 내부 소정위치에는 다각형 지지턱(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는 상기 도어프레임(12)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선회작용을 지지하는 도어지지부재(30)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도어지지부재(30)의 원통형 하우징(30a)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프레임(12)과의 결합을 위한 장방형상의 도어프레임고정브라켓(32)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측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원통형 하우징(18a)의 단차부(22)가 수용된다.
또,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에는 상기 도어지지부재(3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수납됨과 더불어 그 타측은 상기 도어회동부재(18)에 수납되어 상기 도어(10)의 선회작용을 지원하는 샤프트부재(40;40')가 포함되는 바, 그 상측에는 도어의 선회방향을 따라 결정되는 나선홈(4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측에는 그 양면이 평면가공된 샤프트고정단(44)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플랜지(4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샤프트부재(40;40')의 샤프트고정단(44)이 상기 도어지지부재(30)의 내부에 형성된 샤프트부재수납구(34)에 수납되는 바, 여기서 상기샤프트부재(40;40')의 샤프트고정단(44)은 그 양측면이 상호 평행하게 연삭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지지부재(30)의 샤프트부재수납구(34)의 형상도 그 샤프트부재(40;40')의 샤프트고정단(44)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호 결합시 오차에 의한 샤프트부재(40;40')의 임의적인 회전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또, 상기 샤프트부재(40;40')의 플랜지(46)상에는 환형상의 부싱(48a)과 압유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O-링(48b)이 제공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에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하우징(18a)내에 수용되면서 그 양측 내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요홈(50a)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가이드부재(50)가 포함되는 바, 그 가이드부재(50)의 하측에 형성된 다각형상부(52)는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하우징(18a)의 하측 내부에 형성된 다각형 지지턱(24)에 재치된다. 또, 그 가이드부재(5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요홈(50a)의 내측에는 가이드편(54)이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하우징(18a)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상단면에는 그 가이드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56)가 압설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안전개폐장치(16)에 구성되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내측에는 실린더부재(60)가 제공되는 바, 그 실린더부재(60)의 하부 내측은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재(40)가 수용되는 바, 그 실린더부재(60)의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부재(40)의 나선홈(42)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62)가 관통적으로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62)의 외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재(50)의가이드요홈(50a)내에 수납되는 반면 그 가이드돌기(62)의 내측단은 상기 샤프트부재(40)의 나선홈(42)에 접면되는 바, 바람직하게 그 가이드돌기(62)의 내측단은 상기 샤프트부재(40)의 나선홈(42)에 대응하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실린더부재(60)의 상측에는 해당하는 도어(1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그 도어(10)의 급격한 닫힘을 방지하면서 유연한 개폐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도어완충밸브구조(64)가 설치되는 바, 그 도어완충밸브구조(64)는 상기 실린더부재(60)의 하부로부터 압유가 유동하도록 개구된 압유로(66)의 상측에 그 압유로(66)에 비해 대직경의 스프링수납요부(68)가 형성되어 그 스프링수납요부(68)에 탄성스프링(70)이 수납되고, 그 탄성스프링(70)의 상측에는 강구(72)가 재치되며, 그 탄성스프링(70)과 강구(7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74)가 상기 실린더부재(60)의 상측에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74)에는 압유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압유통과슬릿(7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구(72)는 평상시에 상기 압유의 순환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스프링수납요부(68)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스프링(70)에 의해 부유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도어가 급격한 외력에 의해 닫혀지는 경우에는 그 압유에 의해 상기 강구(72)가 탄성스프링(70)을 신축시키면서 상기 압유의 통과를 순간적으로 금지시키게 되어 상기 도어(10)의 급격한 닫힘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실린더부재(60)의 외주변 소정위치에는 환형상의 O-링수납요부(76)가 형성되고, 그 O-링수납요부(76)에 수납되는 환형상의 O-링(78)은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내면과 미세한 간극(대략 0.1㎜∼0.2㎜)을 유지하도록 해서 평상적인도어(10)의 개폐시에는 그 간극을 통해 압유가 순환하도록 하게 된다.
또, 상기 실린더부재(60)의 하단에는 상기 압유의 순환을 위한 최소한 하나의 압유통과구(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원통형 하우징(18a)의 상단에는 캡(82)이 나사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16)는 그 조립된 상태(즉, 도 3a와 도 3b 참조)에서 상기 도어(10)와 도어프레임(12)의 사이에 설치되는 바,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도어고정브라켓(20)은 상기 도어(10)에 나사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지지부재(30)의 도어프레임고정브라켓(32)은 상기 도어프레임(12)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에서 그 도어(10)를 열게 되는 경우에는 그 도어(1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원통형 하우징(18a)이 회동하게 되고, 그 도어회동부재(18)의 원통형 하우징(18a)의 회동에 의해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실린더부재(60)는 그 원통형 하우징(18a)내에서 상기 도어(10)의 열림정도에 대응하여 상승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실린더부재(60)는 상기 회동지지부재(30)의 하우징(30a)에 샤프트고정단(44)이 고정된 상기 샤프트부재(40)의 나선홈(42)에 그 가이드돌기(62)의 내측면이 접면됨과 더불어 그 가이드돌기(62)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부재(5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요홈(50a)에 수납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그 샤프트부재(40)의 나선홈(42)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62)의 내측단이가이드됨과 더불어 그 외측단은 상기 가이드부재(5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요홈(50a)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상승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재(60)의 상승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그 내부의 압유는 상기 압유로(66)를 통과하여 상기 일정한 높이로 부유된 강구(72; 도 3 참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상기 커버(74)의 압유통과슬릿(74a)을 통해 유출되고 그 유출된 압유는 상기 실린더부재(60)의 O-링(78)과 상기 도어회동부재(18)의 원통형 하우징(18a)의 내면사이에 상정된 미세한 간극을 통과하여 그 실린더부재(60)의 하단에 형성된 압유통과구(80)를 통해 순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유연한 개방동작을 지원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도어(10)를 닫게 되면 상기 실린더부재(60)는 상기 가이드돌기(62)의 내측단과 외측단이 상기 샤프트부재(40)의 나선홈(42)과 상기 가이드부재(50)의 가이드요홈(50a)의 안내에 의해 하강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도어(10)의 유연한 닫힘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도어(10)에 외력(예컨대, 바람)이 작용하거나 인위적으로 상당히 높은 하중의 도어닫힘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완충밸브구조(64)의 강구(72)상에 상기 탄성스프링(70)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정도로 상기 압유의 압력이 역으로 가해지게 되어 그 강구(72)가 상기 스프링수납구(68)를 일시적 및 순간적으로 막아주게 된다(도 4 참조). 그에 따라 상기 압유의 순환이 일시적이면서 순간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도어(10)가 급격하게 닫히는 일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강구(72)에 가해지는 압유의 압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순간적으로 완충되고나면 상기 탄성스프링(70)이 상기 강구(72)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유연한 닫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안전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도어에 가해지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그 외력을 완충시켜줌에 따라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회동부재와 그 도어회동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고서 도어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도어지지부재, 하측의 프레임고정단이 상기 도어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내에 결합되고 그 상측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샤프트부재,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에 수용되면서 그 내면 양측에 가이드요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그 중공내부에는 상기 샤프트부재의 상측이 수용되고 그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의 외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요홈에 수용되며 그 가이드돌기의 내측단이 상기 샤프트부재의 나선홈에 접면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실린더부재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충격적인 외력을 완충시키는 도어완충밸브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측단에는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하우징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O-링과 상기 도어회동부재의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의 사이에는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미세한 간극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안전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완충밸브부재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중공내부에 연통되는 압유로의 상측에 형성된 스프링수납구에 수용된 탄성스프링과, 그 탄성스프링상에 일정한 높이로 부유되도록 재치되면서 상기 도어에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상기 압유의 순환을 일시적이면서 순간적인 차단하는 강구, 상기 실린더부재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스프링과 상기 강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압유의 통과를 위한 압유통과슬릿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안전개폐장치.
KR10-2000-0049457A 2000-08-25 2000-08-25 도어안전개폐장치 KR10038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457A KR100385425B1 (ko) 2000-08-25 2000-08-25 도어안전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457A KR100385425B1 (ko) 2000-08-25 2000-08-25 도어안전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276A KR20000072276A (ko) 2000-12-05
KR100385425B1 true KR100385425B1 (ko) 2003-05-27

Family

ID=1968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457A KR100385425B1 (ko) 2000-08-25 2000-08-25 도어안전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4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086A (en) * 1980-02-21 1981-09-18 Tetsuo Ikeda Door check device
JPH10325276A (ja) * 1997-05-28 1998-12-08 Riyuushin Yone ドアクローザ
KR19990017308A (ko) * 1997-08-22 1999-03-15 장종복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9990081808A (ko) * 1998-04-23 1999-11-15 신동승 도어용 힌지
KR20000019845U (ko) * 1999-04-21 2000-11-25 이동성 수직형 도어클로저
KR200213553Y1 (ko) * 2000-07-07 2001-02-15 남선오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20010036914A (ko) * 1999-10-12 2001-05-07 민병덕 유압식 도어 체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086A (en) * 1980-02-21 1981-09-18 Tetsuo Ikeda Door check device
JPH10325276A (ja) * 1997-05-28 1998-12-08 Riyuushin Yone ドアクローザ
KR19990017308A (ko) * 1997-08-22 1999-03-15 장종복 유압식 자동완충경첩
KR19990081808A (ko) * 1998-04-23 1999-11-15 신동승 도어용 힌지
KR20000019845U (ko) * 1999-04-21 2000-11-25 이동성 수직형 도어클로저
KR20010036914A (ko) * 1999-10-12 2001-05-07 민병덕 유압식 도어 체커
KR200213553Y1 (ko) * 2000-07-07 2001-02-15 남선오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276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172B2 (en) Oil damper using a cam
KR20030075806A (ko) 도어 개폐장치
KR100929213B1 (ko) 유리문 개폐용 유압식 플로어힌지장치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100385425B1 (ko) 도어안전개폐장치
KR100509724B1 (ko) 다용도 힌지장치
KR200202044Y1 (ko) 도어 개폐장치
KR100279642B1 (ko) 플로어힌지용 도어클로저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213553Y1 (ko) 유압식/스프링식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100497144B1 (ko) 양변기용 댐퍼장치
KR101169609B1 (ko) 속도제어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100382112B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200294242Y1 (ko)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KR19980081959A (ko) 도어용 힌지
KR200486873Y1 (ko) 자동 조심용 경첩
KR20040025290A (ko) 유압식 경첩
KR200266493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200384985Y1 (ko) 도어 개폐 완충 장치
KR19990046593A (ko)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KR200237622Y1 (ko)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KR200237393Y1 (ko) 힌지장치
KR100845265B1 (ko)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