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593A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Google Patents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6593A KR19990046593A KR1019990011604A KR19990011604A KR19990046593A KR 19990046593 A KR19990046593 A KR 19990046593A KR 1019990011604 A KR1019990011604 A KR 1019990011604A KR 19990011604 A KR19990011604 A KR 19990011604A KR 19990046593 A KR19990046593 A KR 199900465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haft
- transfer nut
- cap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도어를 필요시 소정 각도 열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고, 회동부재 내부로 연장되어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이송나사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이송나사부에 나선 결합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가 마련된 이송너트와, 상기 이송너트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너트를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수단과,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캡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샤프트 또는 캡에 키이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이송너트의 테이퍼부와 대응되는 각도의 테이퍼홈이 마련되어 상기 이송너트의 테이퍼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캡과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이송너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필요시 상기 고정링에 결합된 나사를 조이게 되면, 상기 부싱과 이송너트가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너트가 샤프트의 나사부를 따라 상부로 이송되어 홀더의 테이퍼홈에 억지끼움되므로써, 상기 도어를 일정 각도 열려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틀과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각도로 열려진 도어를 자동적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로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경첩에 의해 문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체커가 설치된 도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00)는 일정 형태의 문틀(110)상에 상하의 경첩(13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가 출입자의 부주의로 또는 기타의 원인으로 인해 닫혀지지 않고, 열려진 상태로 있을 경우 상기 도어(100)를 자동적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일정형태의 체커(120)가 설치된다.
상기 체커(120)는 크게 도어(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탄성력이 축적된 후 다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 실린더(121)와, 상기 문틀(110)과 실린더의 회전축(1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100)가 열림에 따라 실린더(121) 내부에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한 후 상기 실린더(121)의 복원력을 전달받아 도어(100)가 닫혀지도록 하는 2절링크(12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를 열게 되면, 2절링크(123)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회전축(122)이 일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실린더(121) 내부에 탄성력이 축적되며, 상기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122)이 실린더(120) 내부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2절링크(123)에 의해 연결된 상기 도어(100)를 닫혀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체커(120)를 경첩(130)과 분리된 별도의 구성품으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과 설치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98-33802호에 의하여 체커기능을 갖는 경첩에 대해 개시한 바 있으며, 이에 따르면 상기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된 상하 한 쌍의 경첩 중 하나는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내장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따라 내부에 토션력이 축적된 후 자동적으로 도어를 닫혀지도록 하는 스프링식 클로져(closer)이며, 다른 하나는 내부의 압유에 의해 스프링식 클로져의 탄성 복원력을 일정하게 감쇄시켜주는 유압식 클로져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는 도어에 고정되는 회동부재(10)와, 문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0) 및 상기 회동부재(10)와 지지부재(20)를 연결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도어가 열려짐에 따라 토션력을 축적한 후 열려진 상태의 도어를 닫혀지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10)는 원통형 하우징(11a)의 외주면에 도어를 고정 결합하는 문쪽 브래킷(11b)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1a) 상부의 내부에는 격벽(1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에는 중심에 축공(14)과 축공(14)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공(13)이 각기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0)의 하단부에는 하우징(11a)의 내경보다 큰 지름의 베어링 안착홈(1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원통형 하우징(21a)의 외주면에 문틀상에 고정되는 틀쪽 브래킷(21b)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1a)의 중심축선상에는 상기 샤프트(30)가 결합되는 축공(23)이 마련되며, 상기 축공(23) 하부에는 일정 깊이의 너트 안착홈(24)이 연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의 하우징(21a) 하단에는 일정 형태의 캡 설치부(25)가 돌출되어 반구형 캡(28)이 씌워지고, 상기 캡 설치부(25)의 벽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핀고정홈(26)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a)의 상단에는 회동부재(10)에 결합된 베어링(16)을 지지하는 환형 돌출부가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30)는 상기 회동부재(10)와 지지부재(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10) 내부의 축공(14)에 끼워지고, 그 하단부에는 일정길이의 나사부(36)가 형성되어 지지부재의 축공(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너트(35)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30)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동부재(10)에 끼워진 베어링(16) 상부에 위치되는 플랜지(31)가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31)의 일측면에는 슬릿(32)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30)의 상단에는 후술할 캡이 결합되는 일정 깊이의 나선홈이 마련된다.
상기 조절너트(35)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의 나사부(36)가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핀홀(37)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핀고정홈(26)을 통해 삽입된 핀(27)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35)의 나선홈과 샤프트(30)의 나사부(36)는 상기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토션스프링(4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10)의 상단부에는 원판형 캡이 위치되는 데, 이러한 캡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30)의 상단 나선홈에 스크루 체결된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단(42)(43)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 끼워지게 되는 데, 하부 고정단(42)은 상기 샤프트의 슬릿(32)에 끼워지고, 상부 고정단(43)은 회동부재(10)의 고정공(13)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는 출입자가 도어를 열어 회동부재(10)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10)의 고정공(13)에 끼워진 토션스프링(40)의 상부 고정단(43)이 권선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40)의 하부 고정단(42)은 샤프트(30)의 슬릿(32)에 끼워진 상태이며, 상기 샤프트(30)는 지지부재(20)에 핀(27) 결합된 조절너트(35)에 의해 고정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조절너트(35)를 토션스프링(40)의 권선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절너트(35)의 핀홀(37)을 상기 지지부재(20)의 핀고정홈(26)과 연통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핀(27)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40)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증감 조절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토션스프링(40)에 축적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와 유압식 클로져가 구비된 도어에는 도 1에서와 같은 별도의 체커(120)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열려진 상태의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되므로, 제조공정과 설치공정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스프링식 클로져와 유압식 클로져를 갖는 도어는 소정 각도 열려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스톱퍼 기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거운 물건을 들고 자주 출입하게 되는 경우나, 실내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 도어를 열려진 상태로 유지하려면 별도의 버팀목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에 스톱퍼 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써, 필요시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소정 각도 이상 열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체커가 설치된 도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회동부재 11a : 하우징
19 : 나사 20 : 지지부재
21a : 하우징 30 : 샤프트
33 : 이송나사부 34 : 고정나사부
40 : 토션스프링 50 : 이송너트
51 : 테이퍼부 56 : 키이홈
57 : 키이 60 : 고정링
61 : 나사공 65 : 부싱
66 : 키이홈 70 : 홀더
71 : 테이퍼홈 76 : 키이홈
79 : 압축코일스프링 80 : 캡
81: 수납홀 86 : 키이홈
87 : 키이 88 : 조인트
90 : 고정수단 91 : 조인트공
96 : 보조날개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회동부재 또는 문틀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재의 원통형 하우징 내부에 소정의 토션스프링이 마련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적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스프링식 클로져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이송나사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이송나사부에 나선 결합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가 마련된 이송너트와, 상기 이송너트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너트를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수단과,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캡과, 상기 캡을 샤프트 상단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샤프트 또는 캡에 키이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이송너트의 테이퍼부와 대응되는 각도의 테이퍼홈이 마련되어 상기 이송너트의 테이퍼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캡과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이송너트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송너트의 외주면에 이송너트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부싱과,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측벽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링과, 회동부재 하우징의 벽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고정링의 나사공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부싱에 밀착되도록 조여져 상기 부싱 및 이송너트를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나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수직 축선상에 캡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조인트공이 마련되고, 일측에는 상기 조인트공에 끼워진 캡 상단부를 스크루 체결하는 나사공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보조날개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는 도어에 고정되는 회동부재(10)와, 문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0) 및 상기 회동부재(10)와 지지부재(20)를 연결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이송나사부(33)가 형성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도어가 열려짐에 따라 토션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열려진 상태의 도어가 닫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과, 상단부에 테이퍼부(51)가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0)의 이송나사부(33)에 결합되는 이송너트(50)와, 상기 이송너트(50)를 선택적으로 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수단과, 상기 이송너트(50)의 테이퍼부(51)가 끼워지는 테이퍼홈(71)이 마련된 홀더(70)와, 상기 샤프트(3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홀더(70)를 상하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키이(87) 결합하는 캡(80)과, 상기 홀더(70)를 이송너트(50)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10)는 원통형 하우징(11a)의 외주면에 도어를 고정 설치하는 문쪽 브래킷(11b)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1a)의 내부에는 격벽(1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에는 중심에 축공(14)과 축공(14)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공(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0)의 격벽(12) 상부의 하우징(11a) 벽면에는 후술할 나사(19)가 삽입되는 관통공(18)이 형성되며, 하우징(11a)의 하단부에는 내경보다 큰 지름의 베어링 안착홈(1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원통형 하우징(21a)의 외주면에 문틀상에 고정되는 틀쪽 브래킷(21b)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재(10)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1a)의 중심축선상에는 상기 샤프트(30)가 결합되는 축공(23)이 마련되며, 상기 축공(23) 하부에는 일정 깊이의 조절너트 안착홈(24)이 연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의 하우징(21a) 하단에는 일정 형태의 캡 설치부(25)가 돌출되어 반구형 캡(28)이 씌워지고, 상기 캡 설치부(25)의 벽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핀고정홈(26)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a)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부재(10)에 결합된 베어링(16)을 지지하는 환형 돌출부가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30)는 회동부재(10)와 지지부재(20)의 하우징 내부에 끼워져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 외주면에는 후술할 캡(80)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나사부(34)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나사부(34)로부터 아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외주면에는 상기 이송너트(50)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는 소정 구간의 이송나사부(3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30)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동부재(10)에 끼워진 베어링(16) 상부에 위치되는 플랜지(31)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31)의 일측면에는 슬릿(3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일정길이의 나사부(36)가 형성되어 지지부재(20)의 축공(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너트(35)로 고정된다.
상기 조절너트(35)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의 나사부(36)에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핀홀(37)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핀고정홈(26)을 통해 삽입된 핀(27)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35)의 나선홈과 샤프트(30)의 나사부(36)는 상기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토션스프링(4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고정단(42)(43)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30)의 외주면에 끼워지게 되는 데, 하부 고정단(42)은 상기 샤프트의 슬릿(32)에 끼워지고, 상부 고정단(43)은 회동부재(10)의 고정공(13)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이송너트(50)는 중심축선상에 나선홈(53)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30)의 이송나사부(33)에 나선 결합되고, 상단부 외주면상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51)가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면상에는 환형의 플랜지(55)가 형성되는 데, 상기 플랜지(55)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키이홈(5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이송너트(50)의 외주면에 이송너트(5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부싱(65)과, 벽면 소정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나사공(6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65)의 외주면에 설치된 고정링(60)과, 회동부재 하우징(11a)의 관통공(18)을 통해 상기 고정링(60)의 나사공(61)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부싱(65)에 밀착되도록 조여져 상기 부싱(65) 및 이송너트(50)를 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나사(19)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싱(65)은 상단부에 상기 이송너트(50)의 플랜지(55)가 삽입되는 삽입홀(67)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홀(67)의 내주면에는 이송너트의 키이홈(56)과 포개지는 수직방향의 키이홀(66)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너트(50)를 일체로 회동되면서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드되도록 키이(57) 결합하게 된다.
상기 부싱(65)의 하단부는 후술할 고정링(60)의 내주면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중심축선상에는 샤프트(30)가 통과되는 축공(68)을 갖는 고정부(69)가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홀더(70)는 중심축선상에 이송너트(50)의 테이퍼부(51)와 대응되는 각도의 테이퍼홈(71)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키이홈(76)이 형성되어 후술할 캡(80)의 내주면에 상하로 유동되면서 일체로 회동되도록 키이(87)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캡(8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부재로서, 그 상단부에는 구형 조인트(88)가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88)의 일측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요홈(89)이 형성된다.
상기 캡(80)의 내부에는 상기 홀더(70)가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삽입홀(81)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홀(81)의 내벽면에는 상기 홀더(70)의 키이홈(76)과 포개지는 수직방향의 키이홈(86)이 마련되어 상기 홀더(70)가 캡(80) 내부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수직방향으로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캡(8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85)가 마련되어 후술할 걸림부재(77)를 나선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80)의 조인트(88) 내부에는 삽입홀(81) 상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상방향으로 나선홈(84)이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고정나사부(34)에 나선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원통형 하우징(92)의 중심 축선상에 소정 반경의 조인트공(91)이 마련되어 상기 캡(80) 상단부의 조인트(88)를 결합하게 되고, 하우징(92)의 측벽면에는 상기 조인트(88)의 요홈(89)과 연통되는 나사공(94)이 마련되고, 하우징(92)의 측벽면 타측에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보조날개(9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77)는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캡(80)의 나사부(85)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중심선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걸림턱(78)이 형성되어 상기 캡의 삽입홀(81)에 끼워진 홀더(7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80)은 캡(80)과 홀더(7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70)를 이송너트(50)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스프링(79)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는 출입자가 도어를 열어 회동부재(10)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10)의 고정공(13)에 끼워진 토션스프링(40)의 상부 고정단(43)이 권선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되고, 토션스프링(40)의 하부 고정단(42)이 샤프트의 슬릿(32)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토션스프링(40)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절너트(35)를 토션스프링(40)의 권선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킨 상태에서 조절너트(35)의 핀홀(37)을 상기 지지부재(20)의 핀고정홈(26)과 연통되도록 하여 핀(27)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40)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증감 조절된다.
이와 같은 과정 중에 상기 고정링(60)에 결합된 나사(19)를 조이지 않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열려진 상태의 도어가 토션스프링(40)에 축적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를 일정 각도 열려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링(60)에 결합된 나사(19)를 회동부재 하우징(11a)의 관통공(18)을 통해 완전히 조여 상기 고정링(60)과 부싱(65)이 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동되도록 하여야 된다.
이와 같이 나사(19)가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열게 되면, 상기 고정링(60)과 부싱(65)이 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부싱(65)의 내주면에 키이(57) 결합된 이송너트(50)가 상기 샤프트의 이송나사부(33)를 따라 소정 각도 회동되면서 상부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너트(50)는 도어의 열림 정도에 따라 점차 상부로 이송되면서, 그 상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51)가 홀더(70)의 테이퍼홈(71)에 억지끼움되어 출입자가 도어를 놓게 되더라도 닫혀지지 않고 열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70)는 샤프트(30)의 상단에 위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캡(80)의 삽입홀(81)에 키이(87) 결합되어 회동되지 않고 상하로만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더욱 열게되면, 상기 홀더(70)가 상부의 압축 코일스프링(79)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이송너트(50)와 더욱 밀착 고정되어 도어가 더 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일정 각도로 열려져 고정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상기 도어를 일정한 힘으로 닫혀지도록 회동시켜 상기 이송너트(50)의 테이퍼부(51)가 홀더(70)의 테이퍼홈(7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 상기 토션스프링(40)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식 클로져는 고정링에 결합된 나사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려진 상태의 도어가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되고, 또한 필요시 상기 고정링에 결합된 나사를 조이게 되면, 상기 부싱과 이송너트가 회동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너트가 고정된 샤프트의 나사부를 따라 상부로 이송되면서 홀더의 테이퍼홈에 억지끼움되므로써, 상기 도어를 일정 각도 열려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를 통해 자주 출입하는 경우나 실내 환기시 등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회동부재(10) 또는 문틀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재(20)의 원통형 하우징(11a)(21a) 내부에 소정의 토션스프링(40)이 마련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적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스프링식 클로져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20)의 하우징(21a)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10)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이송나사부(33)가 형성된 샤프트(30)와;상기 샤프트(30)의 이송나사부(33)에 나선 결합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51)가 마련된 이송너트(50)와;상기 이송너트(50)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너트(50)를 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수단과;상기 샤프트(3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캡(80)과;상기 캡(80)을 샤프트(30) 상단부에 고정 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상기 샤프트(30)의 길이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샤프트(30) 또는 캡(80)에 키이 결합되며,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이송너트(50)의 테이퍼부(51)와 대응되는 각도의 테이퍼홈(71)이 마련되어 상기 이송너트의 테이퍼부(51)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홀더(70)와;상기 캡(80)과 홀더(7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70)를 이송너트(50)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송너트(50)의 외주면에 이송너트(5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부싱(65)과;상기 부싱(65)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측벽 소정 위치에는 나사공(61)이 형성된 고정링(60)과;회동부재 하우징(11a)의 벽면에 형성된 관통공(18)을 통해 상기 고정링(60)의 나사공(61)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부싱(65)에 밀착되도록 조여져 상기 부싱(65) 및 이송너트(50)를 회동부재(1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나사(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수단은 수직 축선상에 캡(8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조인트공(91)이 마련되고, 일측에는 상기 조인트공(91)에 끼워진 캡(80) 상단부를 스크루 체결하는 나사공(94)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보조날개(9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퍼 기능을 갖는 도어의 스프링식 클로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1604A KR19990046593A (ko) | 1999-04-02 | 1999-04-02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1604A KR19990046593A (ko) | 1999-04-02 | 1999-04-02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6593A true KR19990046593A (ko) | 1999-07-05 |
Family
ID=5477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1604A KR19990046593A (ko) | 1999-04-02 | 1999-04-02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4659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132B1 (ko) * | 2009-10-16 | 2010-01-22 | 김지환 |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
KR100938129B1 (ko) * | 2009-09-23 | 2010-01-22 | 김지환 | 기계식 도어클로저 |
KR100938128B1 (ko) * | 2009-08-27 | 2010-01-22 | 김지환 | 기계식 도어클로저 |
KR102217051B1 (ko) * | 2020-08-15 | 2021-02-18 | (주)대원정밀 | 스톱퍼를 구비한 도어 힌지 |
-
1999
- 1999-04-02 KR KR1019990011604A patent/KR19990046593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128B1 (ko) * | 2009-08-27 | 2010-01-22 | 김지환 | 기계식 도어클로저 |
KR100938129B1 (ko) * | 2009-09-23 | 2010-01-22 | 김지환 | 기계식 도어클로저 |
KR100938132B1 (ko) * | 2009-10-16 | 2010-01-22 | 김지환 |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
KR102217051B1 (ko) * | 2020-08-15 | 2021-02-18 | (주)대원정밀 | 스톱퍼를 구비한 도어 힌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69885B2 (en) | Hinge for an opening door or window frame | |
EP1718832B1 (en) | Hinge | |
US4073037A (en) | Hinge pintle retaining means | |
US6629334B2 (en) | Structure of a hinge | |
KR200190938Y1 (ko) |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 |
KR19990046593A (ko)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
EP0577570A1 (en) | Hinge provided with adjustable friction | |
KR19990046495A (ko) |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 |
US2072094A (en) | Spring hinge | |
US6070362A (en) | Adjustable hinging fitting for a door or window | |
KR200194674Y1 (ko) | 여닫이 문용 경첩 | |
KR100323653B1 (ko) | 도어 스토퍼 | |
KR100340226B1 (ko) |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 |
KR200294242Y1 (ko) |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 |
HU220674B1 (hu) | Ajtó, ablak, vagy hasonló nyílászáró szerkezet saroktartó eleme-csuklópántja | |
KR100443623B1 (ko) |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 |
KR200328910Y1 (ko) | 스프링 경첩 | |
KR19980082068A (ko) |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 |
KR200271646Y1 (ko) |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 |
KR200154409Y1 (ko) | 버스의 루프 도어 | |
KR19990064501A (ko) | 선회식 도어의 회동힌지장치 | |
KR200376958Y1 (ko) |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 |
KR20040025292A (ko) | 스프링식 경첩 | |
KR840000825B1 (ko) | 문짝정지 기구를 가진 폐문장치의 오프셋 피벗힌지 | |
JPH11343769A (ja) | 自動閉鎖蝶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