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653B1 - 도어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653B1
KR100323653B1 KR1019990016868A KR19990016868A KR100323653B1 KR 100323653 B1 KR100323653 B1 KR 100323653B1 KR 1019990016868 A KR1019990016868 A KR 1019990016868A KR 19990016868 A KR19990016868 A KR 19990016868A KR 100323653 B1 KR100323653 B1 KR 10032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bracket
coupled
roll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534A (ko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동성
이인성
도어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성, 이인성, 도어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동성
Priority to KR101999001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653B1/ko
Priority to PCT/KR2000/000240 priority patent/WO2000061903A1/en
Publication of KR2000007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ricti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8Function thereof for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를 가지는 문구조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도어 스토퍼를 개시한다.
종래의 도어스토퍼는 사용이 불편하거나 고가인 문제가 있었던 바, 본 발명에서는 구름 및 선접촉하는 롤러슬리이브와 고정캠의 구비에 의해 소요 각도에서 도어를 일시 고정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롤러슬리이브에 퓨즈관을 구비하여 화재시 자동폐쇄되는 방화문의 구성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도어 스토퍼 {DOOR ST0PPER}
본 발명은 도어 클로저(door closer)가 구비된 자동폐쇄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도어를 소요위치에 일시 고정시키는 도어 스토퍼(door stopper)에 관한 것이다.
사무용및 주거용 건물의 출입문이나 방화문등의 도어에는 도어첵(door check)으로도 불리우는 도어클로저가 설치되어 도어를 자동폐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고정된 사각형림(rim)형태의 문틀(frame;F)의 일측에 도어(D)가 힌지(hinge;H)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고, 문틀(F)과 도어(D)간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된다.
도어클로저는 문틀(F) 또는 도어(D)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본체(200)와,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링크(link;205)로 구성되며, 링크(205)는 다시 제1아암(arm)(205a)과 제2아암(205b,205c)으로 삼각형 링크를 구성하고, 일반적으로 제2아암(205b,205c)는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호 나사결합된 두 분할아암(205b)(205c)으로 구성된다.
도어클로저의 본체(200)내에는 도어(D)를 폐쇄시키는 탄성복원수단과 그 폐쇄속도를 제어하는 유압 댐핑(damping)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힌지(H)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F)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H1)과 도어(D)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H2)이 핀틀(pintle;P)에 의해 결합되어, 도어(D)를 문틀(F)에 대해 힌지결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클로저를 구비한 도어(D)는 자동폐쇄뿐아니라 출입을 위해 개방상태에서 일시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방화문의 경우에는 개방고정상태에서 화재의 발생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작용을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어(D)의 일시고정에는 도어(D) 하부에 레그(leg) 형태의 스토퍼(속칭 노루발)를 설치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고자 할때는 이 스토퍼를 전개시키고, 폐쇄시에는 접어 올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스토퍼가 도어(D) 하부에 설치되어 접고 펴는 것이 번거로우므로 환기등 특별한 경우외에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사용의 경우에도 발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한편 방화문의 경우에는 소방법등 관련법규에서 화재시 자동폐쇄를 요구하므로 이와 같은 방식의 스토퍼는 사용할 수 없어, 일상적인 출입의 편의를 위해 일시 고정했다가 화재시 자동폐쇄될 수 있는 도어 스토퍼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도 3(A)에는 방화문에 사용되는 종래의 도어스토퍼를 예시한 바, 이는 원통형 또는 장방형의 본체(200)와 링크(205)간에 다수의 고정구멍(202)이 형성된 원판형의 고정판(201)을 설치하여, 이 고정판(201)의 고정구멍(202)에 스토퍼(203)를 결합하는 동시에 링크(205)의 하부에 롤러(roller;20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토퍼(203)는 퓨즈블록(fuse block;204)상에 역(逆) W자형의판스프링(206)을 고정한 구성으로, 링크(205)의 롤러(207)가 판스프링(206)의 홈에 진입하면 도어(D)가 개방상태로 일시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퓨즈블록(204)은 납, 주석, 비스무트등의 저온 용융 합금으로 구성되어, 화재의 발생시 용융됨으로써 그 상부에 고정된 판스프링(206)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탄성적으로 펴짐으로써 링크(205)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도어(D)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 3(A)의 도어 스토퍼의 가장 큰 문제는 가격이 매우 고가라는 점인 바, 그 가격이 단순한 도어 클로저의 거의 3배에 달해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건물의 방화문은 소방검사시를 제외하고는 도어클로저의 링크(205)를 해제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어, 화재시 방화문의 역할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3(B)의 구성은 최근 일부에서 사용이 제안된 도어 스토퍼의 구성으로, 수직형 도어클로저에 결합사용할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제1브라켓(H1)에 볼플런저(ball plunger;300)를 설치하여 제2브라켓(H2)의 고정홈(301)과 맞물리도록 하는 구성이나, 볼플런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볼이 돌출하는 구조이므로 본체(200)내에서 발생되는 강력한 도어(D)의 복원력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가격이 상당히 고가인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화재시의 자동폐쇄가 불가능하여 방화문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폐쇄 도어를 용이하게 소요위치에 일시 고정했다가 용이하게 폐쇄시킬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는 동시에 화재시 자동폐쇄될 수 있으면서도 그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실용화가 가능한 도어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어클로저가 구비된 문의 개략단면도,
도 2는 도어힌지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A)및 (B)는 종래의 도어클로저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사시도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어클로저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그 결합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어클로저의 동작을 보이는 평면도,
도 7은 그 요부 확대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수직형 도어클로저와 결합한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10(A) 내지 (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와 그 작용을 보이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롤러슬리이브(roller sleeve)
2: 탄성회전축 4: 고정캠(cam)
H1,H2: 제1및 제2브라켓(bracket) F: 문틀
D: 도어(door) K: 수직형 도어클로저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스토퍼는
제1 또는 제2브라켓중의 어느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아암(arm)과, 이 아암에서 상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외측에 소정의 유격(play)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슬리이브와,
제1 또는 제2브라켓중의 나머지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롤러 슬리이브의 외측에 접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자동폐쇄가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롤러슬리이브가 고정캠과 회전접촉함으로써 이를 통과하게 되므로 도어의 자동폐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자동폐쇄의 진행중 도어를 정지시키게 되면 롤러 슬리이브는 고정캠과 회전접촉 대신 선(線) 접촉하게 되므로 고정캠에 걸리게 되어 도어가 일시고정된다.
도어의 일시고정 상태에서 도어를 와전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측으로 약간 밀었다 놓으면 롤러슬리이브는 고정캠 표면에 대해 회전접촉함으로써 이를 통과하게 되어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로 자동폐쇄 도어의 일시고정및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힌지(H)는 종래와 같이 핀틀(P)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문틀(F)측의 제1브라켓(H1)과 도어(D)측의 제2브라켓(H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특징에 따라 양 브라켓(H1,H2)중의 어느 하나(도면에서는 제1브라켓; H1)에는 외측으로 아암(3)이 돌출하여 이 아암(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탄성회전축(2)에 의해 롤러 슬리이브(1)가 결합된다. 롤러 슬리이브(1)의 내경(內徑)과 탄성회전축(2)의 외경(外徑)간에는 상당한 유격이 형성되어, 롤러 슬리이브(1)는 탄성회전축(2)에 대해 어느 정도 편심 회전이 가능하다.
여기서 탄성회전축(2)은 아암(3)의 나사구멍(3a)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의 의미는 변형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복원력이 우수하여 피뢰 파괴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스테인리스강(鋼) 정도의 강도및 탄성이면 충분하다.
한편 이에 대응하는 도어(D)측의 제2브라켓(H2)에는 롤러 슬리이브(1)의 외면에 접촉하는 고정캠(4)이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캠(4)의 형태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측이 완만한 사면, 폐쇄측이 이보다 급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롤러 슬리이브(1)와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일시고정된 도어(D)의 개방각도를 결정한다. 도시된 구성은 90°및 180°개방상태로 도어(D)를 일시고정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어스토퍼는 도 5와 같은 도어(D)의 폐쇄상태에서는 작용을 하지 않으며, 도 6의 실선과 같은 90°개방상태나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180°개방상태에서 롤러슬리이브(1)가 제2브라켓(H2)의 대응 고정캠(4)과 접촉하여 도어(D)를 개방상태로 일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캠(4)은 필요 개방상태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도 7을 통해 더욱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7에서, 도어(D)의 개방은 제2브라켓(H2)의 고정캠(4)을 롤러슬리이브(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역으로 폐쇄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먼저 도어(D)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고정캠(4)의 완만한 개방측 사면이 롤러 슬리이브(1)에 접촉하게 되므로 롤러슬리이브(1)는 고정캠(4)과 구름접촉하게 되어 도어(D)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 도어(D)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도시되지 않은 도어클로저의 복원력에 의해 제2브라켓(H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그 회전이 연속적인 경우에는 롤러슬리이브(1)가 고정캠(4)과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고정캠(4)이 롤러슬리이브(1)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도어(D)의 자동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도어(D)의 자동폐쇄중 90。또는 180°등의 일시 고정위치 근처에서 도어(D)를 정지시켰다가 놓으면 롤러슬리이브(1)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고정캠(4)과 접촉하게 되므로 그 접촉은 구름접촉이 아니라 선접촉이 되며, 그 마찰력에 의해 고정캠(4)의 폐쇄측이 롤러슬리이브(1)에 걸려 도어(D)의 자동폐쇄가 정지되어 개방상태로 일시고정된다.
이상태에서 도어(D)를 완전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도어(D)를 폐쇄측으로 끌어당기기나 개방측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롤러슬리이브(1)가 다시 회전하며 고정캠(4)과 구름접촉되므로 이를 통과하여 폐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통과 및 고정동작은 탄성회전축(2)과 롤러슬리이브(1)간의 유격과 탄성회전축(2)의 약간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 도어 스토퍼를 본 발명자의 수직형 도어클로저(K: 출원번호 추후보정)에 결합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별도의 핀틀(P) 대신 도어클로저(K)의 핀틀(P')의 고정부(X)를 제1브라켓(H1)의 고정구멍(Y)에 결합하여 볼트부(B)에 너트(N)를 체결하고 있는 바, 도어 스토퍼의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도어클로저(K)를 도어(D)측의 제2브라켓(H2)과 일체로 결합고정한 구성을 택하고 있는 바, 이하의 도 9 내지 도 10의 도시상태에서 제2브라켓(H2)의 두께를 과장 표시한 것은 도어클로저(K)와 일체의 구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롤러슬리이브(1')의 외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구성은 탄성회전축(2)을 제1브라켓(H1)의 나사구멍(3a)에 대해 회전시켜 롤러슬리이브(1')를 승강시킴으로써 고정캡(4)과의 고정력을 조절하게 된 구성이다.
한편 도 10의 구성은 본 발명 도어스토퍼를 방화문에 사용하는 경우, 화재시 자동폐쇄가능한 도어스토퍼를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롤러슬리이브(11)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관(12)이 내피(內皮;13)와 외피(外皮;14)간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퓨즈관(12)은 화재시를 대표하는 소정의 설정온도에서 용융되도록 납, 비스무트, 주석등의 저() 용융점 합금으로 형성되고, 내피(3)와 외피(14)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외피(14)에는 퓨즈관(12)의 용융시 배출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배출구멍(1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어 스토퍼는 도10(B)와 같이 롤러슬리이브(11)의 외면, 즉 외피(14)의 외면이 고정캠(4)에 걸려 도어(D)를 소정의 개방상태로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되면 그 열에 의해 퓨즈관(12)이 먼저 용융된다.
이때 고정캠(4)의 폐쇄측 곡면에 의해 롤러슬리이브(11)는 외측으로 밀리고 있는 상태인 바, 용융에 의해 유동상태가 된 퓨즈관(12)은 배출구멍(1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외관(14)은 도면의 좌측으로 밀려 이에 걸려있던 고정캠(4)이 해제되어 도어(D)가 폐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앞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단순히 롤러슬리이브(1,11)의 교체만으로 일반 출입문과 방화문의 어느 것에나 사용할 수 있는 도어스토퍼가 제공되며, 화재시 도어스토퍼가 자동폐쇄를 보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일시고정이 가능하며 화재시의 자동폐쇄도 가능한 도어스토퍼를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문틀에 결합된 제1브라켓과 도어에 결합된 제2브라켓이 핀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힌지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지지되며, 도어가 도어클로저에 의해 문틀에 대해 자동 폐쇄되는 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브라켓(H1,H2)중의 어느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아암(3)과, 이 아암(3)에 상하방으로 결합되는 탄성회전축(2)과, 이 탄성회전축(2)의 외측에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슬리이브(1,11)와,
    상기 제1 또는 제2브라켓(H1,H2)중의 나머지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롤러슬리이브(1,11)의 외면에 접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캠(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슬리이브(1,11)가 상하방으로 테이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슬리이브(11)가, 내피(13) 및 외피(14) 사이에 저용융점 합금의 퓨즈관(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4)에 복수의 배출구멍(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H2)에 수직형 도어클로저(K)가 일체로 결합되고,
    이 수직형 도어클로저(K)의 핀틀(P')이 상기 제1브라켓(H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KR1019990016868A 1999-03-19 1999-05-11 도어 스토퍼 KR10032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868A KR100323653B1 (ko) 1999-05-11 1999-05-11 도어 스토퍼
PCT/KR2000/000240 WO2000061903A1 (en) 1999-03-19 2000-03-20 Vertical type door cl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868A KR100323653B1 (ko) 1999-05-11 1999-05-11 도어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534A KR20000073534A (ko) 2000-12-05
KR100323653B1 true KR100323653B1 (ko) 2002-02-07

Family

ID=1958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868A KR100323653B1 (ko) 1999-03-19 1999-05-11 도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84B1 (ko) 2008-12-05 2011-02-22 김지환 방화 도어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40026739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100823137B1 (ko) * 2007-03-26 2008-04-21 박선주 도어 클로저
KR102188517B1 (ko) * 2019-04-05 2020-12-08 김수명 철근용 커플러
KR102380473B1 (ko) * 2020-02-27 2022-03-29 문종배 문틈 밀착형 손 끼임 방지용 여닫이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84B1 (ko) 2008-12-05 2011-02-22 김지환 방화 도어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534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9900A (en) Locking hinges
US5031270A (en) Friction hinge
US20020004969A1 (en) Compound hinge
JP2004514808A (ja) ドアヒンジユニット
KR100323653B1 (ko) 도어 스토퍼
TW200417671A (en) Two-way door closer
KR102112274B1 (ko) 여닫이식 도어와 문틀의 결합구조
WO2000061903A1 (en) Vertical type door closer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CN106930636A (zh) 一种自限位锁定铰链及其方舱门
KR200279549Y1 (ko)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KR100620557B1 (ko) 자동 도어 클로저가 내장된 안전 방화문 조립체
JP3961675B2 (ja) 自動閉鎖蝶番
KR20190002371U (ko) 도어 틈새 차단 장치
CN216690722U (zh) 一种可内外开的门铰链
KR200241874Y1 (ko) 열림 상태가 고정되는 경첩
KR19990046593A (ko) 스톱퍼기능을갖는도어의스프링식클로져
KR100188300B1 (ko) 도어용 피벗힌지
JPH08184253A (ja) スプリングユニット
JPH0546431B2 (ko)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0457891B1 (ko) 도어 클로저용 도어의 잠금장치
JP2873606B2 (ja) 蝶番装置
JPS5865883A (ja) 二軸式ヒンジ
KR200187635Y1 (ko)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