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549Y1 -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 Google Patents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49Y1
KR200279549Y1 KR2020020006713U KR20020006713U KR200279549Y1 KR 200279549 Y1 KR200279549 Y1 KR 200279549Y1 KR 2020020006713 U KR2020020006713 U KR 2020020006713U KR 20020006713 U KR20020006713 U KR 20020006713U KR 200279549 Y1 KR200279549 Y1 KR 200279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ller
door closer
stopper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금속
Priority to KR2020020006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49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 도어 클로우져 아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의 아암이 일정 위치에서 도어의 개방을 유지하고 화재 발생에 의하여 도어를 자동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방화 도어 클로우져의 아암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의 정지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아암의 힌지 부분에 형성하고 스토퍼의 조정을 아래쪽에서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각도 조정과 시공이 용이한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을 제공하고, 투박한 외관을 갖던 기존 제품에 비해 간결한 구조의 외관을 갖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을 제공하며, 방화 도어용 아암은 물론 일반 도어용 아암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을 제공하고자, 도어 클로우져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구동아암(10)의 종단에 테이퍼진 경사돌부(46)와 경사돌부 중앙에 정지홈(48)을 형성하며 각도 조절용 나사공(44)을 다수 환설하여 이루어진 스토퍼(40)를 연동아암(20)과 힌지(22) 결합하고 상기 나사공에 구동아암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나사(45)를 체결하여 이루고, 연동아암의 힌지측 단부에 정지용 롤러(24)와 롤러를 규제하는 롤러지지구(32) 및 롤러 지지구를 고정하고 화재시 휴즈의 단락에 의해 롤러 지지구를 해방시키는 휴즈뭉치(3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Arm for fireproof door closure}
본 고안은 방화 도어 클로우져 아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의 아암이 일정 위치에서 도어의 개방을 유지하고 화재 발생에 의하여 도어를 자동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방화 도어 클로우져의 아암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된 상태의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시키기 위하여 "도어 클로우져"라 알려진 유압 클로우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도어 클로우져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시공 결합되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외력이 링크 절에 의하여 회전력으로 작용하고 이 회전력으로 도어 클로져 내부의 유체압이 일측의 격실로부터 타측의 격실로 이동되고, 도어를 개방시킨 외력이 사라지면 내장된 스프링 압력에 의하여 이동된 유체가 다시 원래의 격실로 되돌아 가면서 도어를 폐쇄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상기 유체압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도어의 개방 저항과 도어의 폐쇄 속도가 결정되며 이러한 유체의 이동 속도는 유공을 조절하는 밸브에 의하여 설정되고 변경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클로우져에 개방 위치를 유지하여 잦은 개폐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에서 도어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한 제안이 있으며 이러한 개방 위치의 유지를 이루는 도어 클로우져를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한 방화 도어 클로우져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화 도어 클로우져는 개방된 도어에 의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방 위치를 유지하는 스토퍼와, 스토퍼에 삽입되어 개방 위치를 고정하는 롤러와 롤러의 위치 이탈을 규제하며 화재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휴즈를 갖는 휴즈 뭉치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방화 도어 클로우져 아암은 다수의 나사공(52)을 천공한 반달형 원판(50)을 도어 클로우져 몸체(60)의 배면에 고정하여 상기 원판(50)을 관통하는 도어 클로우져의 구동축에 구동아암(62)을 결합하고 구동아암(62)에 휴즈뭉치(64)를 결합하고, 휴즈 뭉치에 연동하는 롤러를 규제하도록 스토퍼(54)를 상기 원판(50)의 나사공(52)에 체결하여 정지 위치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54)는 상기 원판 상의 나사공(52)의 위치에 따라서 개방 각도가 설정되며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 도어 클로우져는 반달형 원판(50)을 몸체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현장 시공이 불편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하려 하는 경우에는 상부쪽 방향에서 스토퍼(54)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풀어 조절하여야 하므로 조정이 어렵고 몸체에 원판(50)을 부착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커져 취급이 불편하며 원가 부담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방화 도어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 실용 제 86-2861호 및 제 87-13623호의 방화용 도어 클로져의 휴즈 홀울더에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공개 실용 제 94-1273호의 방화 도어 클로우져와 같이 문틀에 고정되는 연동암의선단에 휴즈와 정지용 스토퍼를 장착한 것이 있다.
상기 연동암의 선단에 스토퍼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정지 위치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스토퍼와 휴즈의 결합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같는다.
본 고안은 도어의 정지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아암의 힌지 부분에 형성하고 스토퍼의 조정을 아래쪽에서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각도 조정과 시공이 용이한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투박한 외관을 갖던 기존 제품에 비해 간결한 구조의 외관을 갖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방화 도어용 아암은 물론 일반 도어용 아암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도어 클로우져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구동아암의 종단에 테이퍼진 경사돌부와 경사돌부 중앙에 정지홈을 형성하며 각도 조절용 나사공을 다수 환설하여 이루어진 스토퍼를 연동아암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나사공에 구동아암을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이루고, 연동아암의 힌지측 단부에 정지용 롤러와 롤러를 규제하는 롤러지지구 및 롤러 지지구를 고정하고 화재시 휴즈의 단락에 의해 롤러 지지구를 해방시키는 휴즈뭉치를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방화 도어 클로우져 아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클로우져 아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종래 도어 클로우져 아암을 도시한 평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동아암 12 : 구동축공
14 : 힌지공 20 : 연동아암
22 : 힌지 24 : 롤러
25 : 홈부 26 : 롤러 삽입공
28 : 연장로드 30 : 휴즈뭉치
32 : 롤러 지지구 35 : 휴즈
40 : 스토퍼 42 : 축공
44 : 나사공 45 : 나사
46 : 경사돌부 48 : 정지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은 도어 클로우져에 결합되는 구동축공(12)과 힌지공(14)이 천공된 구동아암(10)과, 구동아암에 힌지 결합되어 링크 구동하는 연동아암(20)과, 연동아암의 종단에 나사 결합되어 문틀에 고정되는 연장로드(28)로 이루어지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에 있어서, 상기 구동아암(10)의 힌지공(14) 주연에 나사공(16)을 복수 천공하여 이루고, 원반형태의 스토퍼(40)는 중심부에 축공(42)을 천공하고 그 바깥 둘레에 다수의 나사공(44)을 환설하며 원반의 상부 외주 일단에 양단이 테이퍼지고 중앙에 정지홈(48)을 갖는 경사돌부(46)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 상기 구동아암(10)의 나사공(16)과 나사공(44)을 체결하는 나사(45)로서 결합하여 이루고, 연동아암(20)은 일단에 상기 구동아암(10)과 힌지공(21)을 통하여 힌지(22)로써 결합하고 아암을 관통하는 롤러 삽입공(26)을 천공하여 롤러(24)를 삽입하여 상기 스토퍼(40)의 경사돌부(46)를 타고 넘어 정지홈(48)에 결합하도록 이루되, 연동아암의 중앙 하부에는 통상의 휴즈 뭉치(30)와 휴즈 뭉치에 의해 롤러(24)를 규제하는 롤러 지지구(32)를 형성하여 롤러 지지구(32)의 단부를 상기 롤러(24)의 홈부(25)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미 설명된 부호로서 29는 연동아암(20)에 결합되는 연장로드(28)의 이탈을방지하는 고정넛, 35는 휴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 작용을 이하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아암(2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된 연장로드(28)의 단부를 문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구동아암(10) 측에 마련된 도어 클로우져는 방화문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은 구동아암(10)과 연동아암(20)의 힌지(22) 결합부에 문의 개방 각도를 고정 유지하는 스토퍼(40)를 마련하여 설치와 문의 개방 각도 조정이 극히 용이하게 작용한다.
즉, 현장 시공에 있어서는 구동아암(10)을 도어 클로우져의 구동축에 결합하고 연장로드(28)의 단부를 문틀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치가 종료된다.
이때,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고정을 실현하는 스토퍼(40)는 아암(10, 20) 사이에 이미 장착된 상태로서 별도의 설치 작업이 필요치 아니하며 시공 장소에 따라서 도어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구동아암(10)의 힌지(22) 하부에 위치한 나사(45)를 풀어 스토퍼(40)를 회전시켜 경사 돌부(46)의 위치를 변경하여 정지홈(48)의 각도를 변환하므로서 연동아암(30)의 개방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종전과 같이 반달형 원판의 상부에 마련된 스토퍼를 작업자가 위로 올라가서 작업하는 것에 비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도어의 개방에 따라 스프링으로 탄지된 볼 스토퍼를 갖는 롤러(24)의 볼이 스토퍼(40)의 경사돌부(46) 사면을 타고 넘어 정지홈(48)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볼이 정지홈에 끼워져 도어 클로우져의 폐쇄 압력을 저지하면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된다.
화재가 발생하게되면 화염에 의해 연동아암(20) 하부에 결합된 휴즈뭉치(30)의 휴즈(35)가 용단되면서 휴즈뭉치가 탈거되고 이에 롤러지지구(32)를 규제하고 있던 외력이 상실되면서 롤러(24)의 홈부(25)에 걸려진 압력이 제거되고 따라서 롤러(24)는 도어 클로우져의 압력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정지홈(48)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져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은 스토퍼(40)와 휴즈뭉치 및 롤러(24)를 제거하면 일반 도어의 클로우져용 아암으로의 전용되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의 정지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아암의 힌지 부분에 형성하고 스토퍼의 조정을 아래쪽에서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각도 조정과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투박한 외관을 갖던 기존 제품에 비해 간결한 구조의 외관을 갖으며, 방화 도어용 아암은 물론 일반 도어용 아암으로도 겸용이 가능한 등의 여러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어 클로우져에 결합되는 구동축공(12)과 힌지공(14)이 천공된 구동아암(10)과, 구동아암에 힌지 결합되어 링크 구동하는 연동아암(20)과, 연동아암의 종단에 나사 결합되어 문틀에 고정되는 연장로드(28)로 이루어지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에 있어서,
    상기 구동아암(10)의 힌지공(14) 주연에 나사공(16)을 복수 천공하여 이루고,
    원반형태의 스토퍼(40)는 중심부에 축공(42)을 천공하고 그 바깥 둘레에 다수의 나사공(44)을 환설하며 원반의 상부 외주 일단에 양단이 테이퍼지고 중앙에 정지홈(48)을 갖는 경사돌부(46)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구동아암(10)의 나사공(16)과 나사공(44)을 체결하는 나사(45)로서 결합하여 이루고,
    연동아암(20)은 일단에 상기 구동아암(10)과 힌지공(21)을 통하여 힌지(22)로써 결합하고 아암을 관통하는 롤러 삽입공(26)을 천공하여 롤러(24)를 삽입하여 상기 스토퍼(40)의 경사돌부(46)를 타고 넘어 정지홈(48)에 결합하도록 이루되,
    연동아암의 중앙 하부에는 통상의 휴즈 뭉치(30)와 휴즈 뭉치에 의해 롤러(24)를 규제하는 롤러 지지구(32)를 형성하여 롤러 지지구(32)의 단부를 상기 롤러(24)의 홈부(25)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KR2020020006713U 2002-03-07 2002-03-07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KR200279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13U KR200279549Y1 (ko) 2002-03-07 2002-03-07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713U KR200279549Y1 (ko) 2002-03-07 2002-03-07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49Y1 true KR200279549Y1 (ko) 2002-06-24

Family

ID=7307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713U KR200279549Y1 (ko) 2002-03-07 2002-03-07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5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739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WO2004092519A1 (en) * 2003-04-16 2004-10-28 Door Control System Co.,Ltd. Apparatus for operating door to prevent spread of fire and method therefor
KR100944398B1 (ko) 2009-08-11 2010-02-25 (주)에스엔에스 캐비넷용 도어 개폐장치
KR101015713B1 (ko) 2010-06-08 2011-02-22 김지환 도어클로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739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WO2004092519A1 (en) * 2003-04-16 2004-10-28 Door Control System Co.,Ltd. Apparatus for operating door to prevent spread of fire and method therefor
KR100944398B1 (ko) 2009-08-11 2010-02-25 (주)에스엔에스 캐비넷용 도어 개폐장치
KR101015713B1 (ko) 2010-06-08 2011-02-22 김지환 도어클로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699B2 (en) Shutter (or door) fitting
CA1041255A (en) Two knuckle hinges
US8490246B2 (en) Adjustable hinge
JPS58191878A (ja) トルク・ロッド調整装置
US8707521B1 (en) Adjustable door jamb lock
US3999246A (en) Two knuckle hinges
US5887317A (en) Adjustable locking hinge
KR200279549Y1 (ko)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EP1009899A1 (en) A hinge for wing-openable frames, particularly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WO2002033205A1 (en) A controling apparatus for tension of auto-hinge
US5491873A (en) Hinge
US5966778A (en) Door positioning hinge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KR100323653B1 (ko) 도어 스토퍼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A3020835C (en) End load arm
RU2230866C2 (ru) Деталь прибора, ограничивающая открывание
KR20023370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
GB2310449A (en) Lockable turnbuckle blocking device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CN218092597U (zh) 一种转轴座装置及一种淋浴屏
JP4050518B2 (ja) 扉開閉装置
KR101900854B1 (ko) 쇼크 업소버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H0532612Y2 (ko)
KR200215754Y1 (ko) 창문용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