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739A -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739A
KR20040026739A KR1020020058279A KR20020058279A KR20040026739A KR 20040026739 A KR20040026739 A KR 20040026739A KR 1020020058279 A KR1020020058279 A KR 1020020058279A KR 20020058279 A KR20020058279 A KR 20020058279A KR 20040026739 A KR20040026739 A KR 20040026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inge
housing
hollow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Priority to KR102002005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739A/ko
Publication of KR2004002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73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구성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어용 힌지는, 제1 캠(121)에 형성된 중공에 고정되어 제1 캠(121)의 중공을 통과하는 유체(130)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부(200)와, 회전축(160)의 길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하우징(110)과 연동하는 회전블록(165)과, 회전축(160)의 타단에 체결된 너트(168)와, 회전축(160)이 관통된 래치블록(180)과 너트(168)의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축(160)을 감싸며 일정 온도이상의 열을 받으면 해체되는 퓨즈부(300) 및, 제2 캠(122)과 회전축(160)이 관통한 래치블록(18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열에 의해 닫히도록 작동하여 화염 및 연소가스의 침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Fireproof type Hinge for Auto closing door}
본 발명은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도어가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구성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출입자가 여닫이식 도어를 통해 출입할 때에, 도어를 통과한 후에도 도어가 계속 열려져 있다면, 실내의 냉난방효과가 떨어져 많은 에너지 소실이 발생하며, 또한, 실외의 매연 또는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환경을 열악하게 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가 개발되어 도어에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런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는 출입자가 여닫이식 도어를 밀고 출입한 후, 출입자가 열려진 도어를 닫지 않더라도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열려진 도어를 닫는다.
이와 같은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관한 기술들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7637호(발명의 명칭 : 여닫이문용 힌지)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63251호(발명의 명칭 : 도어용 힌지)에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형태의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7637호에 공지된 여닫이문용 힌지를 살펴보면, 여닫이문용 힌지(1)는 도어(2)에 결합된 하우징(6)과, 하우징(6)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스트로크조절부의 상부에 안치되는 구동부재(7) 및 완충장치(5)와, 하우징(6)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구동부재(7) 상에 안치되면서 도어 프레임(3)에 고정되는 힌지축(4) 및, 스트로크조절부에 정합되어 승강작용을 하면서 하부에 탄성설치되는 슬라이더(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여닫이문용 힌지(1)는 힌지축(4)에 나사결합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더(8)가 하강하면서, 그 하방에 위치한 스프링(9)을 압축하여 도어(2)가 닫힐 때에 무리한 충격을 받지 않고 서서히 닫히도록 한다. 이런 충격완화를 위한 완충장치(5)는 스프링(9)이 탄발력으로 상승시 발생되는 공기압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 공간이 극히 제한적이여서 완충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완충장치(5)가 다수의 부품으로 결합되는 기구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제작상에 번거로움이 많고 조절구성이 까다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실제적으로 완충장치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63251호에 공지된 도어용 힌지(10)는 중앙에 힌지축(13)이 축설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유압조절바디(12)와, 하우징(11)의 상부에 끼워지는 캡형상의 연결구(15)와, 도어의 상단면 또는 도어 프레임 저면에 체결되면서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되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 취부판(16, 17)과, 상기 하우징(11)에 축설되면서 연결구(15)에 끼워져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고 피스톤(21)을 승하강시키는 힌지축(13)과, 힌지축(13)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하우징(11)의 회동에 의하여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실(11c)에서 승하강하고 체크밸브기능을 갖는 피스톤(21)과, 상기 피스톤(21)의 하방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과, 하우징(11)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캡(23) 및, 상기 유압조절바디(12)에 설치되어 통로 및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유체를 제어하는 조절밸브(14)를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도어용 힌지는 출입자가 도어를 열고 들어간 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상용 계단과 통하는 비상용 도어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도어용 힌지를 설치할 수 없다. 그 이유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에, 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어는 열린 상태로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도어용 힌지를 장착한 도어는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대피자가 도어를 열고서 대피하여야 한다. 따라서, 대피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화재가 발생하여 가열되면 자동으로 닫혀지며,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여닫이식 도어로 사용할 수 있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형태의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가 설치된 상태의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제1, 제2 캠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유량제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량제어바와 이송바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힌지 101 : 힌지축
110 : 하우징 121, 122 : 캠
130 : 유체 140 : 코일스프링
150 : 보스 160 : 회전축
161 : 스크루 170 : 지지핀
180 : 래치블록 200, 200' : 유량제어부
300 : 퓨즈부 301 : 퓨즈
400 : 유량제어바 410 : 이송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내삽되어 위치하는 힌지축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내삽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마주하는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캠과, 상기 힌지축과 마주하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캠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캠과,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감싸 위치하며 상기 제1 캠을 상기 제2 캠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며 상기 힌지축과 상기 회전축이 각각 관통하는 두 개의 밀봉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포함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에 형성된 중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캠의 중공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부와, 상기 회전축의 길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과 연동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체결된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된 밀봉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일정 온도이상의 열을 받으면 해체되는 퓨즈부 및, 상기 제2 캠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한 밀봉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축은 그 길이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중심으로 양단의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으로 형성된 스플라인에는 보스가 체결되고, 상기 보스의 플랜지와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접하여 위치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힌지축의 일단면에는 상기 힌지축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큰 면적의 멈춤판이 체결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밀봉부재는 캡으로서, 상기 캡의 원주면에는 오링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내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축의 타단으로 형성된 스플라인에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힌지편이 체결되고, 상기 도어에 고정된 제1 힌지편은 상기 스플라인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힌지편과 상기 캡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힌지편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홈에 안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동하고, 상기 제2 힌지편은 상기 힌지축과 연동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캠은 상기 보스의 플랜지와 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보스의 플랜지에는 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플랜지와 접하는 상기 제1 캠의 상면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캠과 제2 캠은 각각 내측 캠과 외측 캠을 구비한 원통형 이중 캠으로서, 각각의 상기 내측 캠과 상기 외측 캠은 단부의 원주면을 따라 최상단면과 최하단면이 상호 대칭되어 위치하고 상기 최상단면과 상기 최하단면은 경사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 캠의 최하단면은 상기 내측 캠의 최상단면의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캠의 최하단면은 상기 외측 캠의 최상단면의 안쪽에 위치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1 캠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오링이 위치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을 차단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1, 제2 캠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에는 상기 제1, 제2 캠이 상호간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 캠 중에서 어느 한 캠의 최상단면과 최하단면에는 반구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캠의 최상단면과 최하단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반구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량제어부는 상기 제1 캠의 중공에 고정되며 2단 중공이 형성된 체크블록과, 상기 체크블록의 2단 중공에서 축소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핀과, 상기 중공에서 확장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핀이 중심에 위치한 원판을 구비한 볼트와, 상기 체크블록의 중공의 확장되는 공간에 박혀 상기 볼트가 상기 중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체가 관통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푸시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량제어부는 상기 제1 캠의 중공에 고정되며 2단 중공이 형성된 체크블록과, 상기 체크블록의 중공에서 삽입되는 원추형 유량제어바와, 상기 유량제어바의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나사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량제어바를 상기 체크블록의 중공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스크루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캠의 중공에는 상기 스크루에 체결되는 너트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면에는 상기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블록의 원주면에는 키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블록과 대응하여 환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턱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스페이서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이 관통한 밀봉부재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의 형상으로서, 일면에는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의 래치가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위치한 오링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진 상기 유체를 밀봉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퓨즈부를 향해 위치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는 원기둥 바의 형상으로서, 일단은 제2 캠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밀봉부재에 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퓨즈부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일면에 반원홈이 형성된 두 개의 퓨즈블록과, 상기 두 개의 퓨즈블록을 감싸며 일단이 상호 힌지결합된 두 개의 퓨즈링크와, 상기 퓨즈링크의 타단을 체결하는 퓨즈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퓨즈는 관통공이 형성된 두 퓨즈편이 상기 퓨즈편의 용융온도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금속재질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인 너트가 체결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원판에는 상기 핀에서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로 돌출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가 설치된 상태의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100)는 도어(2)에 고정된 제1 힌지편(31)과 도어 프레임(3)에 고정된 제2 힌지편(32)이 상호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제1 힌지편(31)을 관통하여 제2 힌지편(32)에 체결된 힌지축(101)과, 힌지축(101)이 중공에 삽입되며 제1 힌지편(31)과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110)과, 이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힌지축(101)과 접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제1 캠(121)과, 제1 캠(121)과 정합하여 하우징(110)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1 캠(12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캠(122)과, 힌지축(101)을 감싸며 제1 캠(121)의 상하이동에 따라 신축되는 코일스프링(140)과,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제1 캠(121)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부공간(115)과 하부공간(116)에 채워지며 제1 캠(121)의 위치변위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130)와, 상하부공간(115, 116)으로 유동하는 유체(130)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부(200) 및, 화재 발생시에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유체(130)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도어(2)가 닫히는데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퓨즈부(30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제1, 제2 캠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원통형 파이프의 형태로서,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 길이만큼 홈(112)이 형성된다. 이런 홈(112)에는 도어(2)에 고정된 제2 힌지편(32)이 안치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위치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하단부 내측면에는 턱(114)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런 턱(114)에는 일정 간격으로 키홈(119)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축(101)은 그 길이 중간부에 걸림턱(103)이 힌지축(101)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걸림턱(103)을 중심으로 힌지축(101)의 양단부 방향으로 스플라인(104H, 104L)이 형성되며, 힌지축(101)의 하단면에는 암나사공(105)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축(101)의 하단면에는 힌지축(101)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큰 멈춤판(152)이 접하여 위치하고, 이 멈춤판(152)은 힌지축(101)의 하단면에 형성된 암나사공(105)에 체결되는 볼트(153)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힌지축(101)은 하우징(110)의 중공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이런 힌지축(101)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축(101)의 스플라인(104L)을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시형태의 보스(150)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보스(150)는 힌지축(101)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멈춤판(152)에 걸려 힌지축(101)의 하단부 밖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힌지축(101)의 걸림턱(103)과 보스(15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51)의 사이에는 압축된 코일스프링(140)이 위치하며, 이런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스(150)는 항상 힌지축(101)의 하단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리고, 힌지축(101)의 걸림턱(103) 상면에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106)이 위치하고 상부캡(107)이 씌워진다.
이런 상부캡(107)을 관통한 힌지축(101)의 상단부는 제2 힌지편(32)을 관통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101)의 상단부의 스플라인(104H)에 제1 힌지편(31)이 체결된다. 따라서, 힌지축(101)은 도어 프레임(3)에 고정된 제1 힌지편(31)과 체결되어 고정축의 역할을 수행하며, 제2 힌지편(32)은 이런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도어(2)에 고정되어 도어(2)의 열고 닫힘에 따라 선회하며, 하우징(110)의 홈(112)에 안치된 제2 힌지편(32)의 선회에 따라 하우징(110)도 도어(2)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부캡(107)의 외주면에는 오링 삽입홈(108)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삽입홈(108)에 오링(109)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한편, 힌지축(101)의 하단에는 제1 캠(121)이 위치한다. 이런 제1 캠(121)은 중공이 형성된 이중 캠구조로서, 상호 마주하여 위치하는 외측 캠(124)과 내측 캠(123)을 구비한다. 이런 외측 캠(124)의 최상단부(126)와 내측 캠(123)의 최상단부(126)의 높이와 외측 캠(124)의 최하단부(127)와 내측 캠(123)의 최하단부(127)의 높이는 각각 동일하며, 이러한 각각의 최상단부(126)와 최하단부(127)는 경사면(128)에 의해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이런 최상단부(126)와 최하단부(127)는 내외측 캠(123, 124)이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또한, 최상단부(126)와 최하단부(127)는 2단 단차부를 갖도록 형성하되, 제1 캠(121)과 제2 캠(122)이 상호간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는 경사지게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단차부를 갖도록 최상단부(126)와 최하단부(127)를 구성하는 것은, 도어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제1 캠(121)과 제2 캠(122)이 서로 접하는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내측 캠(123)의 안쪽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제1 캠(121)의 상면에는 직경방향으로 키홈(121S)이 형성되며, 외측 캠(124)의 외측면에는 오링삽입홈(124S)이 외측 캠(124)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삽입된 제1 캠(121)의 오링(129)에 의해 상부공간(115)과 하부공간(116)으로 구분되며, 이런 상하부공간(115, 116)에는 유체(130)가 채워진다. 상부공간(115)에 채워진 유체(130)는 상부캡(107)에 고정된 오링(109)과 제1 캠(121)에 고정된 오링(129)에 의해 밀봉되며, 단지 제1 캠(121)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하우징(110)의 하부공간으로 유동 가능하며, 제1 캠(121)의 중공을 통해 역방향 즉 하부공간(116)에서 상부공간(115)으로 유동한다.
이런 제1 캠(121)의 중공에는 유량제어부(200)가 위치하여 제1 캠(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130)의 유량을 제어한다. 유량제어부(200)에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보스(150)의 플랜지(151)의 하면에는 플랜지(151)의 직경방향으로 키(155)가 형성되며, 이런 키(155)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캠(121)의 상면에 형성된 키홈(121S)과 정합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 프레임(3)에 고정된 제1 힌지편(31)에 의해 힌지축(101) 및 제1 캠(121)은 부동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2 캠(122)은 제1 캠(121)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 캠(121)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캠(121)과 맞물려 위치한다. 이런 제2 캠(122)의 중공에는 회전축(160)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회전축(160)은 그 상단부에 이송 스크루(161)가 형성되며, 회전축(160)의 상단면에는 회전축(160)의 직경과 동일한 스토퍼(162)가 체결되어 제2 캠(122)이 회전축(16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캠(122)의 중공 내부에는 상기 스크루(161)에 체결된 이송너트(164)가 억지끼움식으로 박혀 있어 제2 캠(122)은 스크루(16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런 회전축(160)의 길이 중간부에는 회전블록(165)이 형성되고, 회전축(160)의 하단에는 수나사부(167)가 형성되며 수나사부(167)에는 너트(168)가 체결된다. 한편, 회전축(160)의 회전블록(165)에는 그 원주를 따라 120°로 3개의 관통공(165H)이 형성되고, 이런 3개의 관통공(165H) 각각에는 스페이서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핀(170)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회전블록(165)의 원주측면에는 키(166)가 형성되는데, 이런 키(166)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턱(114)의 키홈(119)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하우징(110)과 함께 회전블록(165)이 함께 회전하며 회전블록(165)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60)이 회전하면서 제2 캠(122) 또한 회전한다. 이 때, 제2 캠(122)은 스크루(16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축(16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이는 제2 캠(122)이 하부에 위치한 지지핀(170)과 래치블록(180)과 퓨즈블록(305) 및 너트(168)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스크루(16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단지 회전하게 된다.
래치블록(180)은 회전블록(165)의 하부에 위치한다. 중공이 형성된 래치블록(180)은 원형판의 형상으로 저면에는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태의 래치(181)가 형성되며, 래치블록(180)의 원주면에는 오링(189)이 삽입되는 오링 삽입홈(180S)이 형성된다. 이런 래치블록(180)은 하우징(110)의 하단 내부에 위치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 유체(130)를 밀봉한다. 이런 래치블록(180)과 회전축(160)의 하단에 체결된 너트(168)의 사이에는 퓨즈부(300)가 위치한다.
퓨즈부(300)는 용융온도가 낮은 금속으로 형성된 퓨즈(301)와, 퓨즈(301)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퓨즈링크(303) 및, 래치블록(180)과 너트(168)의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축(160)을 감싸는 한 쌍의 퓨즈블록(305)을 포함한다. 한 쌍의 퓨즈블록(305)은 회전축(160)을 감쌀 수 있게 안쪽면에 반원홈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퓨즈링크(30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표면을 따라 슬릿(308)이 형성된다. 이런 퓨즈블록(305)의 슬릿(308)에 퓨즈링크(303)가 삽입되어 위치하는데, 퓨즈링크(303)는 반원구조를 가지며, 2개의 퓨즈링크(303)의 일단이 상호 힌지결합된 상태로 퓨즈블록(305)의 슬릿(308)에 삽입되어 두 개의 퓨즈블록(305)을 감싸 위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2개의 퓨즈링크(303)의 타단을 퓨즈(301)가 고정한다.
퓨즈(301)는 그 길이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간부는 절단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다. 이런 퓨즈(301)의 양측 관통공에 퓨즈링크(303)의 타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로, 퓨즈링크(303)는 퓨즈블록(305)을 감싸 고정한다. 한편,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일정 온도 즉 용접부재의 용융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퓨즈(301)의 용접된 중간부가 절단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퓨즈링크(303) 및 퓨즈블록(305)이 해체되어 회전축(160)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에서, 퓨즈의 중간부는 납땜으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캠(121)의 중공에는 유량제어부(200)가 위치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유량제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제어부(200)는 제1 캠(121)의 중공에 삽입되는 체크블록(201)과, 체크블록(201)에 형성된 중공에 위치하여 중공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스피드볼트(203) 및, 체크블록(201)의 중공에서 스피드볼트(20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에 막혀 있으며 중앙과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유체가 관통하는 푸시너트(20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체크블록(201)의 외측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2단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중공 또한 2단으로 형성된다. 즉 체크블록(201)의 상단은 하단보다 그 외경이 작으며, 중공 상단의 내경은 하단의 내경보다 작다. 이런 체크블록(201)의 중공에는 스피드볼트(203)와 푸시너트(205)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스피드볼트(203)는 원판의 상면 중심에 핀(203P)이 형성된 구조로서, 핀(203P)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이고, 이런 핀(203P)은 체크블록(201)의 중공 상단의 내경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스피드볼트(203)의 원판(203B)은 체크블록(201)의 중공 내경이 확장된 부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푸시너트(205)는 스피드볼트(203)의 원판(203B)에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푸시너트(205)는 원판형으로 그 중심에 관통공이 그리고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판이다. 이런 푸시너트(205)의 직경은 체크블록(201)의 중공 하단의 내경보다 커서 억지끼움식으로 푸시너트(205)를 체크블록(201)의 중공에 삽입한다. 그러면 푸시너트(205)는 변형되면서 중공 내에 박히게 된다.
그리고, 푸시너트(20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에 의해 푸시너트(205)의 원주에는 중공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유체가 이런 틈과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유동한다. 한편, 스피드볼트(203)의 원판 상면에는 상호 직각으로 핀(203P)에서 가장자리까지 돌출된 돌출부(203T)가 형성된다. 이런 돌출부(203T)는 유체가 하부공간(116)에서 상부공간(115)으로 유동할 때에, 원판(203B)이 유압에 의해 중공의 단차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벽에 고정된 도어 프레임(3)을 기준으로 도어(2)가 선회하며 도어(2)를 열고 닫는다. 이런 도어 프레임(3)에 고정된 제1 힌지편(3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100)에서의 힌지축(101)과 체결된다. 따라서, 힌지축(101)은 도어(2)의 열고 닫힘에 무관하게 회전하지 않고 부동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어(2)에는 제2 힌지편(32)이 고정되고, 이런 제2 힌지편(32)은 힌지축(101)을 관통한 상태로 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된 홈(112)에 안치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2)가 열리고 닫히면, 제2 힌지편(32)은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이런 제2 힌지편(32)의 선회에 따라 하우징(110)은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110)의 회전은 하우징(110)의 하단 내측에 형성된 턱(114)과 키결합된 회전블록(165)에 전달되고, 회전블록(165)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60)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축(160)이 회전하면, 회전축(160)의 스크루(161)에 체결된 제2 캠(122) 또한 회전하게 되고, 이런 제2 캠(122)과 맞물려 있는 제1 캠(121)은 제2 캠(122)의 회전에 의해 제2 캠(122)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크루(161)는 8줄 나사로서, 그 나선방향이 왼나사의 경우에는 도어(2)를 오른쪽으로 선회하여 여는 경우에 적용되고, 스크루(161)의 나선방향이 오른나사일 경우에는 도어(2)를 왼쪽으로 선회하여 여는 경우에 적용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121)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140)은 수축되고, 제1 캠(121)과 상부캡(107)의 사이에 위치한 유체는 유량제어부(200)를 통해 하부공간(116)으로 유동한다. 여기에서 하부공간(116)은 제1 캠(121)의 오링(129)에서 래치블록(180)의 오링(189)까지의 공간이다.
한편, 도어(2)가 90°선회하여 완전히 개방되면 제2 캠(122)이 약 180°회전한다. 이런 제2 캠(122)의 회전에 따라 제1 캠(121)은 제2 캠(122)의 경사면(128)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캠(121)의 내외측 캠(123, 124)의 최하단부(127)가 제2 캠(122)의 내외측 캠(123, 124)의 최상단부(126)와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제1 캠(121)의 최하단부(127)와 제2 캠(122)의 최상단부(126)는 각 캠(123, 124)의 원주를 따라 일정길이만큼 2단 단차부를 갖는 면으로서, 제1 캠(121)의 최하단부(127)와 제2 캠(122)의 최상단부(126)의 2단 단차부가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2)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6의 (b)).
그러나, 도어(2)가 열리기는 하였지만 완전히 열리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도어(2)가 최대로 열린 정점상태는 제2 캠(122)의 경사면(128)과 제1 캠(121)의 경사면(128)이 접한 상태가 되며, 이런 상태에서 제1 캠(121)은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캠(122)의 경사면(128)을 따라 원점으로 회전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원점상태는 제1 캠(121)의 최상단부(126)와 최하단부(127)가 제2 캠(122)의 최하단부(127)와 최상단부(126)와 각각 접해 있는 상태이며, 이런 상태는 도어(2)가 닫힌 상태가 된다(도 6의 (a)).
이와 같이, 제1 캠(121)이 제2 캠(122)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상부공간(115)에 채워진 유체는 제1 캠(121)의 유량제어부(200)를 통해 하부공간(116)으로 유동한다. 이 때, 체크블록(201)과 스피드볼트(203)의 사이의 유격을 통과하여 하부공간(116)으로 유동한다. 여기에서 체크블록(201)과 스피드볼트(203)의 사이 유격을 통과하는 유체(130)의 유량에 따라도어(2)가 자동으로 닫히는 속도가 제어된다. 유격이 커서 같은 시간에 많은 유량이 유동하면 도어(2)의 닫히는 속도가 빠르게 되고, 유격이 작아서 작은 유량이 유동하면 도어(2)의 닫히는 속도는 느리게 된다.
한편, 도어(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회전축(16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제2 캠(122)의 최상단부(126)와 제1 캠(121)의 최하단부(127)의 2단 단차부가 서로 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럼으로,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을 받더라도 제1 캠(121)이 회전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어(2)의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어(2)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캠(121)은 제2 캠(122)의 내외측 캠(123, 124)의 경사면(128)을 따라 하부방향을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그러면 하우징(110)의 하부공간(116)에 채워진 유체는 제1 캠(121)의 유량제어부(200)를 통과하여 상부공간(115)으로 유입된다. 이 때, 유체(130)는 체크블록(201)의 중공 내측면과 푸시너트(205)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스피드볼트(203) 쪽으로 유동하며, 스피드볼트(203)의 원판(203B)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230T)와 체크블록(201)의 단차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부공간(115)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다.
이런 유체(130)의 유동량에 따라 도어(2)의 닫히는 속도는 제어된다. 따라서, 도어(2)의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피드볼트(203)의 핀(203P) 직경과 이런 핀(203P)이 삽입된 체크블록(201)의 중공 내경을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100)는 도어(2)가 완전히 열렸을 경우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2)가 일부 개방되었을 때에는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과 유압에 의해 닫혀진다.
한편, 방화용 도어는 일상시에는 완전히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비상시에는 닫혀지면서 화염 및 연소가스를 차단한다. 앞에서는 도어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가열되었을 경우에 도어가 닫혀지는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어(2)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121)의 최하단부(127)와 제2 캠(122)의 최상단부(126)가 접한 상태로 제1 캠(121)이 최상점에 위치한다. 이 때에는 코일스프링(140)이 최대로 신축된 상태로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한다.
평상시에 제2 캠(122)은 지지핀(170)과 래치블록(180)과 퓨즈블록(305) 및 너트(168)에 의해 지지됨으로, 회전축(160)의 하단에 체결된 너트(168)에서 일정길이 즉 퓨즈블록(305), 래치블록(180), 지지핀(170)의 길이 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이 지점이 회전축(160)의 스크루(161) 상단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퓨즈(301)가 가열되면, 퓨즈(301)의 중간부인 용접부가 용융되어 분리된다. 이와 같이 퓨즈(301)가 두 조각으로 분리되면,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는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은 래치블록(180)에 전달되고, 래치블록(180)의 래치(181)가 2개의 퓨즈블록(305)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 때, 퓨즈(301)는 이미 절단된 상태로 2개의 퓨즈블록(305)의 결속은 해체된 상태로서 퓨즈링크(303)가 그 힌지부를 중심으로 벌어지면서 2개의 퓨즈블록(305)이 회전축(160)으로부터 해체된다.
이와 같이 래치블록(180)을 지지하는 2개의 퓨즈블록(305)이 해체되면, 래치블록(180)은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축(160)을 따라 하우징(110)의 하단 밖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 하우징(110)의 하단부는 개방된다.
그러면, 하부공간(116)에 채워진 유체 및 상부공간(115)에 채워진 유체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며, 동시에 래치블록(180)과 회전블록(165)의 3개의 관통공(165H)에 삽입된 지지핀(170)은 하부방향으로 낙하하여 하우징(110)의 하단으로 탈락된다.
결국 제2 캠(122) 또한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해체됨에 따라 코일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캠(122)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제2 캠(122)이 하부방향을 이동하면서 회전축(160)은 회전하게 된다. 이런 회전축(160)의 회전에 따라 회전블록(165) 또한 회전한다. 회전블록(165)은 키결합된 하우징(110)을 회전시키고, 하우징(110)의 회전은 도어(2)에 체결된 제1 힌지편(31)을 선회시켜 도어(2)를 닫는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유량제어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 및 그 유기적 결합관계는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그에 대한 도면부호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단면도이고, 도 9는도 8에 도시된 유량제어바와 이송바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60)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중공 하단에는 암나사부(169)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량제어바(400)와 이송바(410)가 회전축(160)의 중공에 삽입 결합된다. 유량제어바(400)는 그 하단면에 돌출봉(401)이 유량제어바(400)의 중심축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런 유량제어바(400)는 원추형 구조로서 유량제어바(4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송바(410)는 그 상단면에 삽입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유량제어바(400)의 돌출봉(401)이 삽입되며, 이송바(410)의 하단부에는 회전축(160)의 중공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69)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4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바(410)의 하단에는 오링(419)이 삽입되는 오링 삽입홈(410S)이 이송바(41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회전축(160)의 중공에 삽입된 유량제어바(400)는 회전축(160)과 스토퍼(162)를 관통하여 제1 캠(121)의 중공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박혀 있는 체크블록(201)의 중공으로 진입한다.
이런 체크블록(201)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유량제어바(400)의 상단부는 체크블록(201)의 상단 중공에 삽입된다.
한편, 회전축(160)의 중공에 유량제어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바(410)가 회전축(160)의 중공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이송바(410)를 회전시키면 이송바(410)의 삽입홈(411)에 유량제어바(400)의 돌출봉(401)이 삽입되고, 이런 상태에서 이송바(410)를 회전시키면 유량제어바(40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송바(410)에 의해 이동하는 유량제어바(400)는 체크블록(201)의 중공에 삽입되는 깊이가 달라지면서, 체크블록(201)의 중공과 유량제어바(400)의 사이로 유동하는 유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송바(410)의 하단면에는 이송바(4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크루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 또는 육모렌치 또는 사각모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량제어에 관한 본 발명의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의 작동관계는 제1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제2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겠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는 여닫이식 도어에 설치되어 일반적인 문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출입자가 많아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야 할 경우에 출입자가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며, 도어는 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도어는 열에 의해 닫히도록 작동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닫혀지는데, 이때, 탄성복원력을 유체가 완충함으로써, 도어가 빠른 속도로 닫혀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는 앞에서와 같이 도어가 닫혀지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출입자의 필요에 따라 즉, 겨울 및 여름과 같이 실내외의 온도차가 클 경우와 봄 및 가을과 같이 실내외의 온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여 냉난방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9)

  1. 원통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내삽되어 위치하는 힌지축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내삽되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마주하는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캠과, 상기 힌지축과 마주하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캠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캠과,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감싸 위치하며 상기 제1 캠을 상기 제2 캠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며 상기 힌지축과 상기 회전축이 각각 관통하는 두 개의 밀봉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포함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에 형성된 중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캠의 중공을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부와,
    상기 회전축의 길이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과 연동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체결된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된 밀봉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일정 온도이상의 열을 받으면 해체되는 퓨즈부 및,
    상기 제2 캠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한 밀봉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그 길이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을 중심으로 양단의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으로 형성된 스플라인에는 보스가 체결되고, 상기 보스의 플랜지와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일단면에는 상기 힌지축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큰 면적의 멈춤판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밀봉부재는 캡으로서, 상기 캡의 원주면에는 오링이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타단으로 형성된 스플라인에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힌지편이 체결되고, 상기 도어에 고정된 제1 힌지편은 상기 스플라인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힌지편과 상기 캡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힌지편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홈에 안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동하고, 상기 제2 힌지편은 상기 힌지축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은 상기 보스의 플랜지와 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보스의 플랜지에는 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플랜지와 접하는 상기 제1 캠의 상면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과 제2 캠은 각각 내측 캠과 외측 캠을 구비한 원통형 이중 캠으로서, 각각의 상기 내측 캠과 상기 외측 캠은 단부의 원주면을 따라 최상단면과 최하단면이 상호 대칭되어 위치하고 상기 최상단면과 상기 최하단면은 경사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 캠의 최하단면은 상기 내측 캠의 최상단면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캠의 최하단면은 상기 외측 캠의 최상단면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오링이 위치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캠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는 상기 제1, 제2 캠이 상호간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단차부를 갖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부는
    상기 제1 캠의 중공에 고정되며 2단 중공이 형성된 체크블록과;
    상기 체크블록의 2단 중공에서 축소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핀과, 상기 중공에서 확장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핀이 중심에 위치한 원판을 구비한 볼트와;
    상기 체크블록의 중공의 확장되는 공간에 박혀 상기 볼트가 상기 중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체가 관통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푸시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부는
    상기 제1 캠의 중공에 고정되며 2단 중공이 형성된 체크블록과,
    상기 체크블록의 중공에서 삽입되는 원추형 유량제어바와,
    상기 유량제어바의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나사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유량제어바를 상기 체크블록의 중공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스크루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캠의 중공에는 상기 스크루에 체결되는 너트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면에는 상기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원주면에는 키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블록과 대응하여 환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턱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스페이서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한 밀봉부재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의 형상으로서, 일면에는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의 래치가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위치한 오링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진 상기 유체를 밀봉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퓨즈부를 향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5. 제 13 항 및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원기둥 바의 형상으로서, 일단은 제2 캠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밀봉부재에 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일면에 반원홈이 형성된 두 개의 퓨즈블록과, 상기 두 개의 퓨즈블록을 감싸며 일단이 상호 힌지결합된 두 개의 퓨즈링크와, 상기 퓨즈링크의 타단을 체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관통공이 형성된 두 퓨즈편이 상기 퓨즈편의 용융온도보다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금속재질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인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에는 상기 핀에서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로 돌출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1020020058279A 2002-09-26 2002-09-26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40026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279A KR20040026739A (ko) 2002-09-26 2002-09-26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279A KR20040026739A (ko) 2002-09-26 2002-09-26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739A true KR20040026739A (ko) 2004-04-01

Family

ID=3732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79A KR20040026739A (ko) 2002-09-26 2002-09-26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7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09B1 (ko) * 2006-05-11 2007-07-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WO2014137784A1 (en) * 2013-03-06 2014-09-12 Teta Jeffrey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US8955194B2 (en) 2009-01-20 2015-02-17 Jeffrey M. Teta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KR20220063867A (ko) 2020-11-10 2022-05-18 이재권 도어 개방각도 유지용 힌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738A (ko) * 1997-01-13 1998-10-26 김영조 여닫이용 도어의 걸림장치
KR200187428Y1 (ko) * 2000-01-31 2000-07-01 주식회사에스엔드씨테크 방화용 도어클로져
KR20000073534A (ko) * 1999-05-11 2000-12-05 이동성 도어 스토퍼
KR20010039399A (ko) * 1999-10-30 2001-05-15 장종복 탄발력조절과 브래이크 장치를 한 스프링경첩
KR200279549Y1 (ko) * 2002-03-07 2002-06-24 주식회사 제일금속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KR20020089794A (ko) * 2001-05-24 2002-11-30 주식회사 솔텍 자동 개폐 도어의 방화용 힌지장치
KR20030079509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정지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738A (ko) * 1997-01-13 1998-10-26 김영조 여닫이용 도어의 걸림장치
KR20000073534A (ko) * 1999-05-11 2000-12-05 이동성 도어 스토퍼
KR20010039399A (ko) * 1999-10-30 2001-05-15 장종복 탄발력조절과 브래이크 장치를 한 스프링경첩
KR200187428Y1 (ko) * 2000-01-31 2000-07-01 주식회사에스엔드씨테크 방화용 도어클로져
KR20020089794A (ko) * 2001-05-24 2002-11-30 주식회사 솔텍 자동 개폐 도어의 방화용 힌지장치
KR200279549Y1 (ko) * 2002-03-07 2002-06-24 주식회사 제일금속 방화 도어 클로우져용 아암
KR20030079509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정지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09B1 (ko) * 2006-05-11 2007-07-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US8955194B2 (en) 2009-01-20 2015-02-17 Jeffrey M. Teta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WO2014137784A1 (en) * 2013-03-06 2014-09-12 Teta Jeffrey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KR20220063867A (ko) 2020-11-10 2022-05-18 이재권 도어 개방각도 유지용 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730B1 (ko) 볼타입 클러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복귀 힌지장치
JP3990384B2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多用途ヒンジ装置
US7966693B2 (en) Hinge apparatus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US8387210B2 (en) Automatic door closing hinge and double swing door structure
US4756051A (en) Door-closer hinge with rotary-movement shock absorber
WO2006036044A1 (en) Hinge apparatus for heavy door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function
JP2010507741A (ja) 自動復帰機能を有する埋込型ヒンジ装置
US8955194B2 (en)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KR20040026739A (ko)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N212616530U (zh) 一种防火止回阀
KR102466927B1 (ko) 도어 개방각도 유지용 힌지 장치
CN112303254B (zh) 一种防火止回阀
CN111485806A (zh) 一种隐藏式防火窗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A2273680A1 (en) Hydraulic automatic-shock-absorbing hinge device
KR100279642B1 (ko) 플로어힌지용 도어클로저
KR20040072159A (ko)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30079510A (ko)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N115059772A (zh) 一种防火型密封旋转球阀及其装配方法
KR101577915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0435188B1 (ko) 자동 복귀 기능을 갖는 다용도 힌지장치
CN213745071U (zh) 一种锁止机构及防火止回阀
CN215763505U (zh) 一种消防用安全型耐高温常闭排烟阀
CN211666575U (zh) 物流储仓用防火系统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