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809B1 -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809B1
KR100740809B1 KR1020060042677A KR20060042677A KR100740809B1 KR 100740809 B1 KR100740809 B1 KR 100740809B1 KR 1020060042677 A KR1020060042677 A KR 1020060042677A KR 20060042677 A KR20060042677 A KR 20060042677A KR 100740809 B1 KR100740809 B1 KR 10074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cam
main shaf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6004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1)을 형성한 좌측플레이트(110)와,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하우징(111)에 상하 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21)을 형성한 우측플레이트(12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의 하우징(111,121) 내부에 위치하되 메인샤프트(131)에 캠부(132)를 형성하여 도어(1)의 개폐에 따라 메인샤프트(1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도어(1)가 닫히기 직전 캠부(132)의 경사면에 힘을 가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샤프트어셈블리(13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를 탄력 설치하여 자동으로 도어(1)가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140)와, 상기 탄성부(140)의 탄성을 조절하여 도어(1)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는 탄성조절부(150), 및 상기 탄성조절부(150)에 결합하여 화재발생시 고열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1)를 차단시키는 안전차단부(160)로 구성함으로써,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가 원하는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닫히는 순간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힘을 가해 효과적으로 작용되게 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제품의 대한 신뢰도를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이 발생하여 화염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하여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Fre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로서,
A)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B)도는 열린 직후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C)도는 완전하게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D)도는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E)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캠을 이용한 오픈용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동작에 따른 안전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로서,
A)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B)도는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C)도는 완전하게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D)도는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E)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안전장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로서,
A)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안전장치 사시도이고,
B)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안전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개폐경첩 110: 좌측플레이트
111: 하우징 112: 핀공
113: 고정핀 120: 우측플레이트
121: 하우징 122: 핀공
123: 고정핀 130: 샤프트어셈블리
131: 메인샤프트 132: 캠부
133: 돌출핀 134: 플랜지
135: 가이드구 136: 나선홈
137: 압축스프링 138: 보조샤프트
139: 압축스프링 140: 탄성부
141: 상측비틀림스프링 142: 하측비틀림스프링
150: 탄성조절부 151: 마감캡
152: 관통공 153: 클러치
154: 조절구 155: 키홈
160: 안전차단부 161: 캠작동구
162: 스플라인 163: 하우징
164: 압축스프링 165: 차단판
166 : 바이메탈 167: 가이드봉
168: 키홈 169: 관통공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식 자유경첩으로 설치한 도어가 닫힐 때 최종 순간 스프링의 탄성이 보다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마무리되도록 하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화염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게 하여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방화문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경첩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첩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유경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자유경첩은 도어를 열고난 후 유압이나 스프링의 탄성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유경첩은 도어가 거의 닫히기 직전에 문틀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저항이 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탄성과 유압은 점진적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도어를 완전하게 닫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게 위하여 종래에는 유압과 탄성을 크게 하여 도어가 닫힐 때 큰 힘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장기간 사용으로 자유경첩에 스트레스가 누적되게 하고 이로 인하여 경첩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큰 힘에 의한 빠른 닫힘으로 원하는 안전한 닫힘 속도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프링식 자유경첩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이 높아 노약자가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닫힘 속도가 빨라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되 최종적으로 닫히는 순간 스프링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하므로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대한 신뢰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화염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게 하여 화재 지역으로 부터의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차단부가 구비된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은 좌우플레이트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샤프트를 분리하여 캠부를 형성하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메인샤프트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되, 도어가 닫히기 직전 메인샤프트의 캠부가 경사면에 위치하여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메인샤프트의 회전력에 직선운동에서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는 힘이 가해져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면서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로서, A)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B)도는 열린 직후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C)도는 완전하게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D)도는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E)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캠을 이용한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동작에 따른 안전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로서, A)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B)도는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C)도는 완전하게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D)도는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E)도는 닫힌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의 안전장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로서, A)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안전장치 사시도이고, B)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안전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은 하우징(111)을 형성한 좌측플레이트(110)와,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하우징(111)에 상하 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21)을 형성한 우측플레이트(12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의 하우징(111,121) 내부에 위치하되 메인샤프트(131)에 캠부(132)를 형성하여 도어(1)의 개폐에 따라 메인샤프트(1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도어(1)가 닫히기 직전 캠부(132)의 경사면에 힘을 가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샤프트어셈블리(13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를 탄력 설치하여 자동으로 도어(1)가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140), 및 상기 탄성부(140)의 탄성을 조절하여 도어(1)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는 탄성조절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좌, 우측플레이트(110,120)는 하우징(111,121)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핀공(112,122)을 형성한다.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30)는 메인샤프트(131)의 중앙부분을 분리하여 캠부(132)를 형성하고 캠부(132)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원통 형상의 가이드구(135)를 구비하여 이를 하우징(111)에 각각 고정시키되, 상측 가이드구(135)의 내주연에는 나선홈(136)을 형성하고, 메인샤프트(131)에는 나선홈(136)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돌출핀(133)을 캠부(132)의 상측에 형성하여 메인샤프트(131)의 회전으로 캠부(132)의 상부측 메인샤프트(131)가 회전 또는 역회전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돌출핀(133)과 나선홈(136)은 가공 상의 편리성을 위하여 수나사와 암나사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도 있고, 가이드구(135)의 내주연에 돌출핀(133)을 형성하고 메인샤프트(131)의 외주연에 나선홈(136)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 며, 도 5 와 같이 메인샤프트(131)의 플랜지(134)에 캠(134a)을 형성하고 상측의 가이드구(135)에 캠(134a)과 대응되는 캠(135a)을 형성하여 사용 할 수 도 있는 것으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의 나선홈(136)을 브이형으로 형성하여 양방향으로 도어(1)의 열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나아가, 메인샤프트(131)의 상측에는 압축스프링(139)을 결합하여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 상측이 하향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되 메인샤프트(131)의 상단에는 중앙에 홈(131a)에 형성하여 상측 압축스프링(139)의 하부를 삽입한다.
또한, 메인샤프트(131)의 하측에는 보조샤프트(138)를 구비하되 보조샤프트에 육각홈을 형성하고 메인샤프트(131)의 하단에 육각바를 형성하여 결합하되 육각홈의 내부에 압축스프링(137)을 삽입하여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 하측이 상향으로 탄력 설치되게 한다.
여기서, 보조샤프트(138)의 하부 외주연에는 스플라인(138a)을 형성한다.
더불어, 메인샤프트(131)의 상하에는 플랜지(134)를 형성하고 하부측 메인샤프트(131)에는 스냅링(134b)을 결합하여 가이드구(135)에 상하 플랜지(134)와 스냅링(134b)을 걸리도록 형성하여 상, 하측에 형성된 압축스프링(137,139)이 상호 간섭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캠부(132)의 동작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40)는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을 구비하되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의 단부를 각각의 가이드구(135)에 결합한다.
상기 탄성조절부(150)는 하우징(111,121)의 상, 하측에 클러치(153)로 결합된 마감캡(151)과 조절구(154)를 구비하되, 마감캡(151)의 중앙에는 관통공(152)을 형성하고, 조절구(154)에는 관통공(152)과 대응되는 키홈(155)을 형성하며, 하부 조절구(154)의 키홈(155)에는 보조샤프트(138)의 하단을 삽입하는 스플라인공(154a)을 형성하되 보조샤프트(138)의 하단이 키홈(155)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조절구(154)의 내향 측에는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과 압축스프링(139) 및 보조샤프트(138)를 각각 결합한다.
더불어, 마감캡(151)은 하우징(121)에 고정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차단부(160)는 하우징(163)의 내부에 상하로 분리되는 캠작동구(161)를 삽입하되 캠작동구(161)의 상부를 하우징(163)과 스플라인(162)으로 결합하여 캠작동구(161)의 회전으로 상부측이 캠작동구(161)가 상하 운동하도록 한다
캠작동구(161)에는 수직으로 관통공(169)을 형성한다.
나아가, 캠작동구(161)의 상측에는 압축스프링(164)을 결합하여 캠작동구(161)를 탄력 설치하되 압축스프링(164)의 상측에 차단판(165)을 끼우고 차단판(165)의 상측에 바이메탈(166)을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바이메탈(166)은 일측단을 고정시켜 열에 의한 변형이 원활하도록 한다.
여기서 바이메탈(166)의 대용으로는 각종 퓨즈 또는 열에 의한 변형이나 소 실 제거되는 등의 모든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차단판(165)에는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측비틀림스프링(141)의 탄성 조절이 편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캠작동구(161)의 하부에는 클러치(153)로 결합한 조절구(154)를 구비하되 조절구(154)의 중앙에 상향으로 가이드봉(167)을 고정하되, 가이드봉(167)을 캠작동구(161)의 관통공(169)에 관통시켜 캠작동구(161)의 동작이 원활하게 한다.
가이드봉(167)의 상단에 키홈(168)을 형성한다.
여기서 가이드봉(167)과 캠작동구(161)의 상측을 스플라인(162)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닫힌 상태에서 도어(1)를 열면 탄성부(140)의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이 감기면서 도어(1)가 열리게 된다.
이때, 보조샤프트(138)가 하측 조절구(154)에 고정되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보조샤프트(138)에 연결된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 하부측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 하부측 회전으로 메인사프트(131)의 상부측이 캠부(132)가 열리면서 상향으로 수직운동하게 된다.
특히 캠부(132)가 열리면서 상부측 메인샤프트(131)가 나선홈(136)과 돌출핀(133)에 가이드되어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그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여 직경이 작은 소형에서도 우수한 동작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부측 메인샤프트(131)는 도어(1)의 열림 초기부터 캠부(132)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다가 도어(1)가 약간 열린 후 부터는 캠부(132)가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때, 상부측 메인샤프트(131)는 캠부(132)의 경사면 높이만큼 압축스프링(139)을 압축하게 된다.
도어(1)가 닫힐 때(열린 도어를 놓으면)에는 감겨진 탄성부(140)의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의 탄성에 의해 도어(1)가 안전한 속도로 서서히 닫히게 되고 도어(1)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까지 캠부(132)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 즉 도어(1)가 닫히기 직전에는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가 경사면에 위치하여 캠부(132)도 닫히는 시점이 된다.
따라서, 도어(1)가 닫히기 직전에는 상부측 메인샤프트(131)가 압축스프링(139)의 탄성에 의해 캠부(132)의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닫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1)의 닫힘이 최종 순간 힘의 증가로 이어져 도어(1)가 완벽하게 닫히게 된다.
즉, 좌우측 비틀림스프링(141,142)의 복원력에 도어(1)가 닫히기 직전 압축스프링(139)의 복원력이 더해지므로 비틀림스프링(141,142)의 복원력 저하와 문틀 의 저항 등에 따른 도어(1)의 불안전 닫힘을 해소하여 완전하게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어(1)의 닫힘 속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감캡(151)의 관통공(152)을 통해 조절구(154)를 가압하여 누르면 클러치(153)가 해제되고, 이때 조절구(154)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을 감거나 풀어 탄성을 조절하므로 쉽게 도어(1)의 원하는 닫힘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하부측 키홈(155)에 도출된 보조샤프트(138)는 압축스프링(137)을 압축하면서 상승하여 보조샤프트(138)의 외주연에 형성된 스플라인(138a)이 스플라인공(154a)을 빠져나오게 되므로 보조샤프트(138)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압축스프링(139)은 메인샤프트(131)의 홈(131a)에 삽입되어 공회전 하게 하므로 꼬임 현상이 발생 되지 않게 된다.
한편, 안전차단부(160)는 화재 등의 비상상태에서 화염 등의 열에 의해 열린 상태의 도어(1)를 자동으로 닫아 화재지역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방화문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차단부(160)는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하우징(163)의 내부에 상하로 분리되는 캠작동구(161)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1)를 열면 캠작동구(161)의 상부측이 회전하게 되고, 완전히 열리기 직전에 캠작동구(161)가 경사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어(1)를 완전히 열면, 캠작동구(161)의 상부측이 압축스프링(164)에 의해 캠작동구(161)가 닫히게 되고, 따라서 도어(1)가 열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어(1)를 닫는 경우에는 도어(1)를 살짝 밀면 상부측 캠작동구(161)가 경사면을 따라 열린 상태가 되고, 여기서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에 의해 도어(1)는 상기와 같이 원활하게 닫히게 된다.
만일,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화염이 근접하게 되면 고열로 인하여 바이메탈(166)이 외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축스프링(164)을 지지하고 있는 차단판(165)이 압축스프링(164)의 탄성에 의해 안전차단부(160)로부터 이탈하게 됨에 따라 압축스프링(164)도 이탈하거나 자유상태가 되어 안전차단부(160)의 부하가 "0"이 되므로 상, 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에 의해 도어(1)는 상기와 같이 원활하게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은 하우징(111)을 형성한 좌측플레이트(110)와,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하우징(111)에 상하 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21)을 형성한 우측플레이트(12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의 하우징(111,121) 내부에 위치하되 메인샤프트(131)에 캠부(132)를 형성하여 도어(1)의 개폐에 따라 메인샤프트(1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도어(1)가 닫히기 직전 캠부(132)의 경사면에 힘을 가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샤프트어셈블리(13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를 탄력 설치하여 자동으로 도어(1)가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140)와, 상기 탄성부(140)의 탄성을 조절하여 도어(1)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는 탄성조절부(150), 및 상기 탄성조절부(150)에 결합하여 화재발생시 고열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1)를 닫히도록 하는 안전차단부(160)로 구성함으로써,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가 원하는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되, 최종적으로 닫히는 순간 비틀림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대한 신뢰도를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이 발생하여 화염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하여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도어개폐용 자유경첩에 있어서,
    좌우플레이트(110,120)의 하우징(111,121) 내부에 위치하되 메인샤프트(131)에 캠부(132)를 형성하여 도어(1)의 개폐에 따라 메인샤프트(13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도어(1)가 닫히기 직전 캠부(132)의 경사면에 힘을 가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샤프트어셈블리(13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120)를 탄력 설치하여 자동으로 도어(1)가 닫히도록 상,하측비틀림스프링(141,142)를 구비한 탄성부(140), 및
    상기 탄성부(140)의 탄성을 조절하여 도어(1)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는 탄성조절부(1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30)의 메인샤프트(131) 상측에는 홈(131a)을 형성하여 압축스프링(139)의 하부를 삽입하여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 상측이 하향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고, 메인샤프트(131)의 하측에는 보조샤프트(138)를 연결하여 연동되게 하되, 그 사이에 압축스프링(137)을 삽입하여 메인샤프트(131)의 캠부(132) 하측이 상향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며, 메인샤프트(131)의 상하에는 플랜지(134)와 스냅링(134b)이 가이드구(135)에 걸리도록 하여 상, 하측에 형성된 압축스프링(137,139)에 의한 상호 간섭받지 않고 메인샤프트(131)의 위치가 세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130)는 캠부(132)를 기준으로 상, 하측에 원통 형상의 가이드구(135)를 구비하여 이를 하우징(111)에 각각 고정시키되, 상측 가이드구(135)의 내주연에는 나선홈(136)을 형성하고, 메인샤프트(131)에는 나선홈(136)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돌출핀(133)을 형성하여 캠부(132)의 상부측 메인샤프트(13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131)의 플랜지(134)에 캠(134a)을 형성하고 상측의 가이드구(135)에 캠(134a)과 대응되는 캠(135a)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135)의 나선홈(136)을 브이형으로 형성하여 양방향으로 도어(1)의 열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150)는 하우징(111,121)의 상, 하측에 클러치(153)로 결합된 마감캡(151)과 조절구(154)를 구비하되, 마감캡(151)의 중앙에는 관통공(152)을 형성하고, 조절구(154)에는 관통공(152)과 대응되는 키홈(155)을 형성하며, 하부 조절구(154)의 키홈(155)에는 보조샤프트(138)의 하단을 삽입하는 스플라인공(154a)을 형성하되 보조샤프트(138)의 하단이 키홈(155)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63)의 내부에 상하로 분리되는 캠작동구(161)를 삽입하되, 캠작동구(161)의 상부를 하우징(163)과 스플라인(162)으로 결합하여 하부의 회전으로 캠작동구(161)의 상부가 상하 운동하도록 하고, 캠작동구(161)의 상측에는 압축스프링(164)을 결합하여 캠작동구(161)의 상부 측을 탄력 설치하되, 압축스프링(164)의 상측에 차단판(165)을 끼우고 차단판(165)의 상측에 바이메탈(166)을 고정시켜 구성한 안전차단부(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작동구(160)의 하부에는 클러치(153)로 결합된 조절구(154)를 구비하되, 조절구(154)의 중앙에 상향으로 가이드봉(167)을 결합하여 캠작동구(161)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가이드봉(167)의 상단에 키홈(168)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167)과 캠작동구(160)의 상부 관통공(169)을 스플라인(162)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자유 경첩.
KR1020060042677A 2006-05-11 2006-05-11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74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677A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6-05-11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677A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6-05-11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809B1 true KR100740809B1 (ko) 2007-07-19

Family

ID=3849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677A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6-05-11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80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798B1 (ko) 2010-05-31 2011-11-02 이기환 힌지조립체
KR101091998B1 (ko) 2008-08-14 2011-12-08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US8955194B2 (en) 2009-01-20 2015-02-17 Jeffrey M. Teta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KR20160006971A (ko) * 2014-07-10 2016-01-20 안창희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200486873Y1 (ko) 2017-07-12 2018-07-09 오상훈 자동 조심용 경첩
CN108590399A (zh) * 2018-05-05 2018-09-28 欧佳昌 一种双向开合液压缓冲合页
KR101911140B1 (ko) 2016-06-03 2018-10-2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CN110874876A (zh) * 2018-08-30 2020-03-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和装置
KR102234968B1 (ko) * 2020-03-30 2021-03-31 전선기 탄성 체결형 도어 클로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278A (ko) * 1999-03-13 2000-10-16 장종복 래치형 스프링 경첩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91569A (ko) * 2002-05-28 2003-12-03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20040026739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278A (ko) * 1999-03-13 2000-10-16 장종복 래치형 스프링 경첩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91569A (ko) * 2002-05-28 2003-12-03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20040026739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998B1 (ko) 2008-08-14 2011-12-08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US8955194B2 (en) 2009-01-20 2015-02-17 Jeffrey M. Teta Fire door hinge with fusible pin
KR101078798B1 (ko) 2010-05-31 2011-11-02 이기환 힌지조립체
KR20160006971A (ko) * 2014-07-10 2016-01-20 안창희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101589606B1 (ko) 2014-07-10 2016-02-12 안창희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101911140B1 (ko) 2016-06-03 2018-10-23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200486873Y1 (ko) 2017-07-12 2018-07-09 오상훈 자동 조심용 경첩
CN108590399A (zh) * 2018-05-05 2018-09-28 欧佳昌 一种双向开合液压缓冲合页
CN110874876A (zh) * 2018-08-30 2020-03-1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和装置
CN110874876B (zh) * 2018-08-30 2022-07-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和装置
KR102234968B1 (ko) * 2020-03-30 2021-03-31 전선기 탄성 체결형 도어 클로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809B1 (ko)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1067893B1 (ko)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EP2601367B1 (en) Adjustable torque hinge
KR101279251B1 (ko) 회전각도 규제기구 부착 세미 오토형 힌지
US10754285B2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using the same
WO2001048773A1 (fr) Actionneur de commutateur de securite
US8957338B2 (en) Trigger action switch operator
KR20040002935A (ko) 회전 및 병진의 조합된 래치동작을 하는 키조작식 래치
KR101678144B1 (ko) 듀얼 슬라이딩부를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US10407958B1 (en) Hinge device with a stop function
US20040089033A1 (en) Door lock structure
EP1393335B1 (en) Dual directional cable actuated emergency stop device
KR101179525B1 (ko) 임의 위치로의 클로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US10566149B2 (en) Locking/unlocking structure of a pushbutton switch actuator
EP2754215B1 (de) Gehäusebausatz für elektrische einrichtungen, insbesondere steckvorrichtungen und sicherungen umfassend
KR100627889B1 (ko)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WO2000061903A1 (en) Vertical type door closer
JP3463131B2 (ja) スイッチ
JP2018009423A (ja) 自動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の制動装置
KR101874253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EP3696359A1 (en) Door closer assembly
KR19990001691A (ko) 오븐버너 점화장치의 스위치 구조
KR20070120931A (ko) 정지기능을 갖는 수직형 도어클로저
KR900004697Y1 (ko) 전자렌인지의 출력단속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