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798B1 - 힌지조립체 - Google Patents

힌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798B1
KR101078798B1 KR1020100050823A KR20100050823A KR101078798B1 KR 101078798 B1 KR101078798 B1 KR 101078798B1 KR 1020100050823 A KR1020100050823 A KR 1020100050823A KR 20100050823 A KR20100050823 A KR 20100050823A KR 101078798 B1 KR101078798 B1 KR 10107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rotating
crown member
elastic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이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환 filed Critical 이기환
Priority to KR102010005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결합되고 도어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 단부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고정부재 타측에 결합되는 제1크라운부재; 상기 제1크라운부재와 결합되는 제2크라운부재; 상기 제2크라운부재 일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회전부재, 제1탄성부재, 제1크라운부재, 제2크라운부재, 제2탄성부재에 관통 삽입되며, 이들을 결합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힌지조립체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힌지조립체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가전제품을 열고 닫을 때의 충격을 저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 안에는 관이 있으며, 관 속에 냉매가 들어가 있다. 냉매는 냉장고 안을 시원하게 만드는 것을 도와주는 물질이며, R-134a, R-22, R-12 등 많은 종류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냉매로 많이 사용되어온 R-12는 프레온가스 규제물질로 생산이 중단되어 R-134a로 대체되어 가고 있으며, R-22도 현재 R-12의 대체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냉장고의 모터에서 압축된 냉매가 좁은 관을 흐르다가 냉장실 안을 지나게 되는 경우에는 관이 넓어져 압력이 낮아지므로 급속하게 기체로 변하게 되며, 이때 냉장실 안의 열을 빼앗아가면서 냉장고 온도를 내리게 된다. 펌프를 돌리는 모터에 의해서 냉매가 순환되게 된다.
냉장고 뒤 편의 방열관을 지날 때는 냉매가 압축되면서 열을 내놓게 되며, 압축 펌프를 지나면서 다시 액체로 변한 후 냉장고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로 변하면서 내는 열은 송풍기를 통하여 밖으로 뿜어져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는 문을 자주 여닫는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 온도가 심하게 변하기 때문에 김치의 보존 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다. 더욱이, 김치의 특성상 알맞은 숙성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온도는 일반 냉장식품보다 저온이므로 일반 냉장고에는 장기간 보존하기가 어려워 김치냉장고를 따로 사용한다.
일반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간접냉각 방식을 적용하는데 비하며, 김치냉장고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장실을 통째로 차갑게 냉각하는 직접냉각 방식을 적용한다. 그 결과 김장독을 겨울에 땅속에 묻은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들어 주게 된다.
이러한 김치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 및 기계실이 형성되고 측벽이 단열재로 발포된 본체와, 저장실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본체 배면 상단에 마련되는 힌지를 통해 결합된 도어를 갖는다.
기계실 내에는 냉각수단으로서의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실의 외벽에는 저장실을 고리 상으로 감싸는 증발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압축기에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면 압축된 냉매를 전해 받은 응축기에서 이를 액상으로 응축시킨 후, 팽창밸브나 모세관 등을 통해 증발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증발기에서는 냉매의 증발에 따른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 내로 냉기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 저장실의 개폐는 저장실 상부에 마련된 도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는 도어는 김치냉장고 본체와 도어 일단 사이에 구비된 힌지수용부에 힌지조립체를 결합함으로써 본체와 결합하게 되고, 힌지조립체의 회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힌지조립체는 도어의 폐쇄 속도를 완화하여 급격한 폐쇄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고, 적은 힘으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조립체는 하나의 탄성부재만을 구비하므로 충분한 충격흡수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두개의 탄성부재와 두개의 크라운부재를 각각 이용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체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결합되고 도어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 단부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고정부재 타측에 결합되는 제1크라운부재; 상기 제1크라운부재와 결합되는 제2크라운부재; 상기 제2크라운부재 일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회전부재, 제1탄성부재, 제1크라운부재, 제2크라운부재, 제2탄성부재에 관통 삽입되며, 이들을 결합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를 사용하므로, 도어가 충분히 서서히 닫히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제1크라운부재와 제2크라운부재가 자연스럽게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므로, 결합시의 접촉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에 의하여 제2크라운부재의 축방향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와 도어와 본체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의 사시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와 도어와 본체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의 사시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힌지조립체는, 본체(10)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 상기 고정부재(30) 일측에 결합되고 도어(20)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회전부재(40); 상기 회전부재(40)의 내부 단부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50); 상기 고정부재(30) 타측에 결합되는 제1크라운부재(33); 상기 제1크라운부재(33)와 결합되는 제2크라운부재(70); 상기 제2크라운부재(70) 일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탄성부재(60); 및 상기 고정부재(30), 회전부재(40), 제1탄성부재(50), 제1크라운부재(33), 제2크라운부재(70), 제2탄성부재(60)에 관통 삽입되며, 이들을 결합시키는 고정축(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는 고정부재(30), 회전부재(40), 제1탄성부재(50), 제2탄성부재(60), 제1크라운부재(33), 제2크라운부재(70), 고정축(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본체(10)측 힌지수용부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지는 제1체결부(32)가 형성된다. 고정부재(30) 일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나선이 경사지게 형성된 피동부(31)가 형성된다. 이 피동부(31)는 회전부재(40)와 맞물려 결합된다. 고정부재(30) 내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고정축(80)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된다.
회전부재(40)는 고정부재(30)의 일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회전부재(40)는 회동부(41)와 몸체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부(41)는 고정부재(30)의 피동부(31) 안으로 삽입되도록, 회전부재(40)의 일단에 형성된다. 몸체부(42)는 회동부(41)에 비해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다. 회동부(41)의 외주면에는 고정부재(30)의 피동부(31)에 대응하여 나선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결과, 피동부(31)에는 회동부(41)가 회전 가능하게 경사 맞물림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몸체부(42)의 외측에는 슬롯형태의 제2체결부(42a)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42a)는 도어(20)측 힌지수용부의 내면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지므로, 도어(20)가 회동함에 따라 회전부재(4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동부(41)와 몸체부(42)의 내측에는 고정축(80)이 통과되도록 축공이 형성된다.
몸체부(42)에는 제1탄성부재(50)가 삽입된다. 회전부재(40)가 회전하여 고정부재(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면 결과적으로 제1탄성부재(50)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40)의 이동이 제한되어, 도어(20)는 서서히 닫히게 된다.
고정부재(30) 타측에는 제1크라운부재(33)가 형성된다. 제1크라운부재(33)는 고정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크라운부재(33)는 제2크라운부재(70)와 결합된다. 제1크라운부재(33)와 제2크라운부재(70)는 서로 안착되므로, 제1크라운부재(33)와 제2크라운부재(70)의 결합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크라운부재(70) 일측에는 제2탄성부재(60)가 위치한다. 회전부재(40)가 회전하여 고정부재(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면 결과적으로 제1탄성부재(50)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40)의 이동이 제한되어, 도어(20)는 서서히 닫히게 된다.
고정축(80)은 고정부재(30), 회전부재(40), 제1탄성부재(50), 제1크라운부재(33), 제2크라운부재(70), 제2탄성부재(6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고정축(80)이 관통삽입되도록 고정부재(30), 회전부재(40), 제1크라운부재(33), 제2크라운부재(70)에는 축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힌지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부재(33)와 상기 제2크라운부재(7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제1크라운부재(33)와 제2크라운부재(7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제1돌출부(33a)와 제2돌출부(70a)가 각각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크라운부재(33)와 제2크라운부재(70)의 결합면에는 다수개의 제1돌출부(33a)와 제2돌출부(70a)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크라운부재(33)의 제1돌출부(33a)와 제2크라운부재(70)의 제2돌출부(70a)는 서로 엇갈리면서 맞물려 결합된다. 제1돌출부(33a)와 제2돌출부(70a)에 의하여 접촉면이 완전히 안착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접촉시의 갑작스러운 충격을 방지되며,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힌지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30)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40) 일단에 형성되며 나선경사면을 가지는 회동부(41); 상기 회동부(41)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몸체부(42); 및 상기 회동부(4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43) 외주면에 상기 제1크라운부재(33), 제2크라운부재(70), 제2탄성부재(60)가 차례대로 위치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부재(40)는 회동부(41), 몸체부(42), 가이드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부(41)에는 피동부(31)에 대응하는 나선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회동부(41)와 피동부(31)는 경사 맞물림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회동부(41)가 회전함에 따라 피동부(3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몸체부(42)는 회동부(41)에 비해 직경이 크게 이루어지며, 고정부재(30)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는, 회동부(41)에서 연장되는 가이드부(43)가 구비된다. 가이드부(43)는 회동부(41)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43) 외주면에는 제1크라운부재(33), 제2크라운부재(70), 제2탄성부재(60)가 차례대로 위치하게 되므로, 가이드부(43)에 의해 제2크라운부재(70)와 제2탄성부재(60)의 축방향 움직임이 가이드된다. 즉, 가이드부(43)는 제2크라운부재(70)와 제2탄성부재(60)의 측면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축(80)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가이드부(43)에도 중심축 방향을 따라 축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힌지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3)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슬롯홈(4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크라운부재(70)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제2슬롯홈(70b)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슬롯홈(70b)은 상기 제1슬롯홈(43a)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슬롯홈(43a), 제2슬롯홈(70b)이 형성된다.
제1슬롯홈(43a)은 가이드부(43) 외주면에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제2슬롯홈(70b)은 제1슬롯홈(43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크라운부재(7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2슬롯홈(70b)은 제1슬롯홈(43a)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제1크라운부재(33)에 대하여 제2크라운부재(7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측방향의 유동이 없는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장기간 사용시에도 전체적인 힌지조립체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보장된다.
종래에는 회전부재(40)가 회전하여 고정부재(30)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생길 경우, 제1탄성부재(50)만 압축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회전부재(40)의 축방향 이동에 대하여 제1탄성부재(50)와 제2탄성부재(60)가 동시에 압축되므로, 도어(20)가 충분히 서서히 닫히게 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탄성부재(60)의 상면과 하면에는 평와셔(10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43)의 끝단부에는 리테이너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리테이너홈(43b)에 끼워진 리테이너(90)는 제2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부(43) 끝단면에는 와셔와 너트가 차례로 삽입되며, 너트가 고정축(8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게 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는 김치냉장고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 용도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폐가 가능한 가전제품에 적용되어 사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10 : 본체
20 : 도어
30 : 고정부재, 31 : 피동부, 32 : 제1체결부, 33 : 제1크라운부재, 33a : 제1돌출부
40 : 회전부재, 41 : 회동부, 42 : 몸체부, 42a : 제2체결부, 43 : 가이드부, 43a : 제1슬롯홈, 43b : 리테이너홈
50 : 제1탄성부재
60 : 제2탄성부재
70 : 제2크라운부재, 70a : 제2돌출부, 70b : 제2슬롯홈
80 : 고정축
90 : 리테이너
100 : 평와셔

Claims (4)

  1. 본체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결합되고 도어측 힌지수용부에 삽입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 단부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고정부재 타측에 결합되는 제1크라운부재;
    상기 제1크라운부재와 결합되는 제2크라운부재;
    상기 제2크라운부재 일측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회전부재, 제1탄성부재, 제1크라운부재, 제2크라운부재, 제2탄성부재에 관통 삽입되며, 이들을 결합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부재와 상기 제2크라운부재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상기 제1크라운부재와 제2크라운부재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재 일단에 형성되며 나선경사면을 가지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회동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에 상기 제1크라운부재, 제2크라운부재, 제2탄성부재가 차례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제1슬롯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크라운부재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제2슬롯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슬롯홈은 상기 제1슬롯홈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KR1020100050823A 2010-05-31 2010-05-31 힌지조립체 KR10107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23A KR101078798B1 (ko) 2010-05-31 2010-05-31 힌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23A KR101078798B1 (ko) 2010-05-31 2010-05-31 힌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798B1 true KR101078798B1 (ko) 2011-11-02

Family

ID=4539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823A KR101078798B1 (ko) 2010-05-31 2010-05-31 힌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7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537Y1 (ko) 2005-01-17 2005-03-3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7-07-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537Y1 (ko) 2005-01-17 2005-03-3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7-07-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185A2 (en)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490384B2 (en) Door hinge apparatus of refrigerator
US20110187255A1 (en) Home bar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228596B2 (en) 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door
KR10150421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04347B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구조와 그 조립방법 및 냉장고
KR101078798B1 (ko) 힌지조립체
CN110895069B (zh) 门体及具有其的冰箱
US20130105497A1 (en) Refrigerator
JP2008069997A (ja) 冷蔵庫
KR20080022470A (ko) 냉장고
US20160370093A1 (en) Cool air path damper assembly with elastic anti-freezing member
US20160370058A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nt cir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KR101753487B1 (ko) 냉장고용 냉매 밸브
KR101173308B1 (ko) 원형 냉장고
KR100495508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연결부위 구조
US20090095011A1 (en) Can serv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654801B1 (ko) 냉장고의 냉매밸브장치
KR200331664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용 힌지조립체
JP7261954B2 (ja) 冷蔵庫
KR100577371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용 힌지조립체
KR20190000478U (ko) 원통형 냉장고
KR200332580Y1 (ko) 2중구조 증발관
KR100400847B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케이스 고정구조
KR2010002470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