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487B1 - 냉장고용 냉매 밸브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냉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487B1
KR101753487B1 KR1020150156165A KR20150156165A KR101753487B1 KR 101753487 B1 KR101753487 B1 KR 101753487B1 KR 1020150156165 A KR1020150156165 A KR 1020150156165A KR 20150156165 A KR20150156165 A KR 20150156165A KR 101753487 B1 KR101753487 B1 KR 10175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oss
fixing member
pad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532A (ko
Inventor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4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냉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배관과 냉매가 유출되는 한쌍의 출구배관이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 1 기어와 연동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출구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패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정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동시에 상기 제 2 기어 상단의 중앙부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냉매 밸브 { Refigerant valve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용 냉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사용상의 특성상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고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설정된 온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내부가 밀폐될 수 있어야 하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냉기의 공급을 통해 지속적인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냉장고는 고내의 공간이 냉장실과 냉동실로 독립적으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서로 다른 온도로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 각각의 저장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들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 밸브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인 냉매 공급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이클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83211호에는 밸브 챔버에 냉매가 출입되는 입구 유로와 출구 유로가 형성되고, 밸브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몸체의 회전에 의해 출구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출구의 개폐가 결정되어 냉매의 선택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가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체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밸브 챔버의 바닥을 형성하는 밸브 베이스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에 의해 밸브 몸체가 밸브 베이스에 수직하게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지만, 수평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조가 없어 냉매의 누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추가의 구성을 더 구비할 경우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매 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패드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매 출구의 유로를 개폐하는 패드와 함께 회전되는 기어가 다양한 포지션에서도 기울어 지지않도록 고정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패드와 함께 회전되는 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판상의 탄성부재에 의해 기어를 누르는 힘의 방향이 중심을 향하도록 하여 변형 또는 오조립에 의한 포지션 변경에도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냉매 밸브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배관과 냉매가 유출되는 한쌍의 출구배관이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 1 기어와 연동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출구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패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정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동시에 상기 제 2 기어 상단의 중앙부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단부가 상기 제 2 기어 상단의 기어 보스를 눌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어 보스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기어 패드의 하면은, 상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쌍의 출구 배관을 적어도 동시에 개폐하는 패드 돌출부와; 상기 패드 돌출부의 외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 보스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탄성 지지부의 단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레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의 사이드 서포터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패드의 하면과 접하는 보스가 장착되며, 상기 보스에는 상기 한쌍의 출구 배관과 연결되는 한쌍의 냉매 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냉매 밸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고정부재의 장착시 상기 고정부재는 레그부에 의해 상하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의 안정적인 고정 및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고정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상의 고정부재를 절개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2 기어를 탄성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의 조립성의 향상 및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기 탄성 지지부가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기어를 가압하면서 탄성 지지가능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힘으로 상기 제 2 기어를 누를 수 있으며, 사익 고정부재의 변형 또는 오조립에 의한 포지션 변경에도 냉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기어가 회전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기어의 중앙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패드 돌출부의 돌출 형상에 의해 특정 각도에서도 상기 기어 및 패드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냉매가 누설되지 않고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냉매 흐름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매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매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냉매 밸브의 요부 구성인 제 1 기어와 고정부재, 제 2 기어 및 패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고정부재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고정부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 2 기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패드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고정부재와 제 2 기어, 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고정부재와 제 2 기어, 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냉매 밸브의 동작에 따른 냉매 출구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냉매 밸브의 동작에 따른 제 2 기어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냉매 밸브의 압력 증가에 따른 누설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의 탄성 지지부와 기어 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의 탄성 지지부와 기어 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냉매 흐름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캐비닛과 상기 냉장고 캐비닛에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0)와 응축기(20) 그리고 응축기(20)의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냉각팬(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에 각각 연결되는 냉장실측 모세관(31) 및 냉동실측 모세관(4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과 연결되는 냉매 유로상에 구비되어 냉매의 유동방향을 절환시키는 냉매 밸브(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측 모세관(31)과 냉동실측 모세관(41) 그리고 냉매 밸브(50)는 상기 기계실이 아닌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들 구성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독립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송풍팬(32)과 냉동실 송풍팬(4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에서 생성되는 냉기가 각각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에서 순환되어 고내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0)와 응축기(20), 냉장실 증발기(30), 냉동실 증발기(40), 냉장실측 모세관(31), 냉동실측 모세관(41)은 모두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전체적인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여 냉매의 순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냉매 배관에는 냉매 밸브(50)가 구비되며, 상기 냉매 밸브(50)에 의해서 냉매가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를 향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양쪽 모두를 폐쇄하여 냉매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축기(10)의 출구와 상기 응축기(20)의 입구는 냉매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20)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은 분지되어 각각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로 분리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냉매 밸브(50)에 의해 분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냉매 밸브(50)는 삼방향 밸브로 구성되어 각각 응축기(20)의 출구 그리고 상기 냉장실측 모세관(31) 및 냉동실측 모세관(41)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냉매 밸브(50)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냉매 밸브(50)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냉장실측 모세관(31) 또는 냉동실측 모세관(41)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측 모세관(31)과 냉동실측 모세관(41)은 각각 상기 냉매 밸브(50)의 출구와 상기 냉장실 증발기(30) 및 냉동실 증발기(40)의 입구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매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매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냉매 밸브(5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매 밸브는, 케이스(100)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하면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배치되고 동시에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110)와 하부(120)로 구성되며, 상부(110)보다 하부(120)가 더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40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120)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부재(60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냉매 밸브(50)의 하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보스(300)가 장착되는 보스 홀(210)과, 냉매의 유입 통로가 되는 냉매 입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 입구(220)에는 냉매가 유입되기 위한 입구 배관(60)이 연결된다.
상기 보스 홀(2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드(800)를 지지하기 위한 보스(300)가 장착된다. 상기 보스(300)에는 한쌍의 냉매 출구(310,320)가 형성되며, 상기 냉매 출구(310,320)에는 상기 냉매 출구(310,320)에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30) 및 냉동실 증발기(40)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한쌍의 출구 배관(310,32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보스(300)는 나사 방식으로 상기 보스 홀(2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방에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보스(300)가 상기 보스 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300)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같거나 다소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300)의 상면은 연마처리되어 상기 패드(800)와의 접촉시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고 기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중앙에는 상기 모터(400)의 회전축이 되는 모터 축(410)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는 축 지지홀(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110)에는 모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400)는 밸브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 축(410)과 제 1 기어(500)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400)의 구동시 상기 제 1 기어(500)가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모터(400)는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기어(500) 또한 정역회전 할 수 있다.
상기 모터(4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면 사이에는 모터 지지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지지부재(420)는 판상의 디스크 향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0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될 때 상기 모터(400)의 일측을 상방에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00)의 모터 축(410)과 상기 제 1 기어(50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지지부재(4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400)를 상방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500)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60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500)의 하단에는 평기어 형상의 기어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52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센터 홀(63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60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기어(700)와 기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12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 다수의 지점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 2 기어(7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600)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600)와 결합관계를 가지는 상기 제 1 기어(500)와 제 2 기어(700)의 위치 또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장착 위치를 유지된다.
상기 제 2 기어(70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패드(800)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700)의 둘레에는 평기어 형상의 기어부(720)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어(500)의 기어부(520)와 서로 맞물려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700)는 상기 모터(400)의 모터 축(410)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기어 축(7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축(710)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재(600)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 축(710)의 하단은 상기 보스(3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축(710)은 상기 제 2 기어(700)와 상기 패드(800)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700)의 하방에는 패드(800)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800)는 상기 제 2 기어(700)와 상기 보스(3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700)와 결합되어 상기 제 2 기어(70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패드(8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스(300)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패드(800)는 내열성과 내 화학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PPS)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 1 기어(500)와 고정부재(600), 제 2 기어(700) 및 패드(8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냉매 밸브의 요부 구성인 제 1 기어와 고정부재, 제 2 기어 및 패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600)를 기준으로 상방에 제 1 기어(500)가 배치되고, 하방에 제 2 기어(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500)와 제 2 기어(700)에는 각각 평기어 형상의 기어부(520,720)가 형성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기어(500)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400) 중앙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10)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하단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축(410)은 상기 제 1 기어(50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400)의 구동시 상기 제 1 기어(5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기어(500)의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에는 기어부(520)가 형성된다.상기 제 1 기어(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어(50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센터 홀(630)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기어부(520)는 상기 센터 홀(63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00) 하방의 공간에서 상기 제 1 기어(500)와 제 2 기어(700)는 상기 기어부(520,720)들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고정부재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고정부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8-8'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6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00)의 둘레에는 다수의 레그부(610)와 가압부(6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61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6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61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610)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상면이 상기 케이스(100) 하부(120)의 내측 상면과 접할 수 있도록 연장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120)에 상기 고정부재(60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600)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100) 하부(120)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레그부(6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접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600)는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00)의 장착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600)의 하방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는 상기 케이스(100) 하부(120)의 형상에 따라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이격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100) 하부(120)의 내측 둘레면과 접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6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621)는 판상의 사이드 서포터(620)에 포밍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600)의 장착시 상기 돌기(621)는 상기 케이스(100) 하부(120)의 외측면과 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는 상기 고정부재(600)에 텐션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600)는 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에 의해 상기 판상의 고정부재(600)에 텐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53)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600)의 둘레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의 절곡 각도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장착시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120) 내측면과 상기 돌기(621)가 접하면서 상기 사이드 서포터(620)를 내측 방향으로 벤딩시켜 상기 고정부재(600)에 텐션을 제공하는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600)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기어(500)가 관통되는 센터 홀(6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홀(630)과 상기 고정부재(600)의 외측 사이에는 절개부(640)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640)의 내측 영역에는 탄성 지지부(65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64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외측단으로 개구되며, 상기 레그부(610)가 위치된 부분과 상기 센터 홀(630)의 사이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640)가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외측은 상기 레그부(610)에 의해 지지되어 처짐이 발생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상기 절개부(64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절개부(640)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는 상기 제 2 기어(700)의 상단을 눌러 상기 제 2 기어(700)가 상기 패드(8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 기어(700)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기어(700)가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상기 절개부(640)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651)와 상기 연장부(651)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경사부(652) 그리고, 상기 경사부(652)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기어(700)를 누르는 가압부(6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고정되고 절곡 및 연장되는 구조의 특성상 구조적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장부(651)는 상기 절개부(640) 주변의 상기 고정부재(60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651)는 절개부(640)의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652)는 상기 연장부(651)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만큼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700)의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652)의 단부는 상기 연장부(651)의 높이보다 2.5 ~ 3mm 정도만큼 하방에 위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652)의 단부에 상기 제 2 기어(700)가 위치하게 될 때 상기 경사부(652)는 상기 제 2 기어(700)를 누를 수 있게 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650)의 구조의 특성상 상기 제 2 기어(700)를 탄성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53)는 상기 경사부(652)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653)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653)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 축(710)이 관통되는 개구(65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기어(700)는 상기 가압부(653)를 통과하는 기어 축(71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653)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어 상기 제 2 기어(700)와 패드(800)가 서로 밀착되고, 상기 패드(800)와 상기 보스(300)의 상면이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부(640)의 외측에는 보강부(6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660)는 상기 절개부(640) 바깥쪽의 상기 고정부재(600) 상면이 포밍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640) 및 탄성 지지부(65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포밍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660)에 의해 상기 절개부(640) 외측의 상기 고정부재(600) 상면의 변형이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제 2 기어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기어(700)는 기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평기어 형상의 기어부(720)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720)는 상기 제 1 기어(500)의 기어부(52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어(700)의 중앙에는 상하방으로 돌출된 기어 보스(730)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 보스(730)는 상하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기어(7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즉, 상기 기어 보스(730)에는 샤프트 홀(733)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 축(710)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은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가압부(653)와 접하게 된다.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은 평면(731)과 경사면(7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732)은 기어 보스(730)의 상면 일부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732)이 형성되는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할 공간부(8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732)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653)와 접촉되지 않게 되며, 상기 경사면(732)을 제외한 평면(731)이 상기 가압부(653)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기어(700)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700)의 하면에는 다수의 패드 고정 돌기(740)가 형성된다.상기 패드 고정 돌기(740)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기어 보스(730)와 떨어진 바깥쪽에 형성되며, 다수개가 하방으로 형장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적어도 하나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800)에 형성되는 고정 홀(820)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800)가 상기 제 2 기어(70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기어(700)의 회전시 상기 패드(800)는 상기 제 2 기어(7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패드의 하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드(80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7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드(800)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 보스(730)가 삽입되는 패드 홀(810)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 축(710)은 상기 패드 홀(810)을 관통하여 상기 보스(3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800)는 상기 기어 축(7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 홀(810)의 외측에는 다수의 고정 홀(82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홀(820)은 상기 제 2 기어(700)의 패드 고정 돌기(74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 고정 돌기(7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홀(820)은 필요에 따라 홀 또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패드 홀(8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80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둘출 형성되어 상기 보스(300)에 형성된 2개의 냉매 출구(310,3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패드 돌출부(8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공간부(840)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패드(800)의 하면은 하방으로 돌출된 패드 돌출부(830)에 의해 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 돌출부(830)는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 이격되어 공간부(84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상기 냉매 출구(310,32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에는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차폐하여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800)가 회전되어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차폐하지 않게 되면 상기 공간부(840)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냉매 출구(310)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 돌출부(830)는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패드(800)의 하면 중 일부의 영역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드 돌출부(830)의 형상은 한쌍의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고정부재와 제 2 기어, 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고정부재와 제 2 기어, 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기어(700)는 기어 결합된 제 1 기어(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기어(700)를 관통하는 기어 축(7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800)는 상기 제 2 기어(7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기어(7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800)의 하면은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 접하며, 이때, 상기 패드 돌출부(830)는 상기 패드(8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보스(300)의 냉매 출구(310,320)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700)는 탄성 지지부(65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패드 돌출부(830)의 하면 전체는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732)의 방향은 상기 패드 돌출부(830) 외측의 공간부(840)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800)가 회전되어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650)가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단을 누르게 될 때,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가 경사면(732)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경사면(732)과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732)을 누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7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는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제 2 기어(700) 및 상기 패드(800)가 상기 공간부(840)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에 의해 상기 공간부(840)가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연장 방향(도 12에서 우측)에 위치하게 되더라고, 상기 기어 보스(730)를 누르는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상기 경사면(732)과는 접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2 기어(7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700)는 회전 과정 중에 어떤 경우에도 기울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패드(800)와 보스의 상면 사이를 통해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600)의 경우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운송 또는 조립 과정중에 상기 고정부재(600) 또는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일부가 변형될 수도 있으며, 변형에 의해 상기 제 2 기어(700)의 중앙부를 정확하게 누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상기 제 2 기어(700)를 누르는 방향으로 경자지게 형성되므로써 일부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 2 기어(700)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경사진 구조에서도 상기 제 2 기어(700) 및 상기 패드(8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냉매 밸브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냉매 밸브의 동작에 따른 냉매 출구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냉매 밸브의 동작에 따른 제 2 기어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매 밸브(50)는 냉장고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동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의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냉매 밸브(50)의 제 2 기어(700)가 회전하여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냉매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 모두 냉각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13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상기 패드(800)의 패드 돌출부(830)가 상기 2개의 냉매 출구(310,320)를 모두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2개의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모두 차폐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 밸브(50)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로의 냉매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700)는 도 1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는 상기 기어 보스(730)의 평면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에 의해 누르는 힘은 상기 패드 돌출부(830)를 통해 상기 보스(300)의 상면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800)는 상기 보스(3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의 (a)의 도면은 도 14의 (b) 내지 (d)의 도면과 반대되는 위치에서 본 모습으로 상기 탄성 지지부(650)와 상기 기어 보스(730)의 접촉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보일 수 있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의 냉각이 필요한 상태에서는 도 1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상기 패드(800)의 패드 돌출부(830)가 두개의 냉기 출구(310,320) 중 냉동실 증발기(40)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320)는 개방하고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310)는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냉장실 증발기(30)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310)만을 차폐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 밸브(50)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40)와 연결된 냉기 출구(320)를 통해 냉매가 상기 냉동실 증발기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는 도 1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상기 기어 보스(730)의 평면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는 상기 기어 보스(730)의 경사면(732)과는 이격되어 상기 경사면(732)은 누르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상기 패드 돌출부(830)의 공간부(840)가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650)가 상기 경사면(732)을 누르게 될 경우 상기 패드(800)가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냉매의 누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 도 14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지지부(650)는 구조적으로 상기 기어 보스(730)의 중앙부 또는 상기 평면(731)만을 누르게 되고 상기 경사면(732)은 누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800)는 회전되어 냉매의 누설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서도 기울어짐이 없이 상기 보스(300)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모두 냉각되는 상태에서는 도 13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상기 패드(800)의 패드 돌출부(830)가 상기 2개의 냉매 출구(310,320)를 모두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2개의 상기 냉매 출구(310,320)를 모두 개방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 밸브(50)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냉동실 증발기(40) 모두에 냉매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는 도 14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는 상기 기어 보스(730)의 평면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에 의해 누르는 힘은 상기 패드 돌출부(830)를 통해 상기 보스(300)의 상면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800)는 상기 보스(3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냉장실의 냉각이 필요한 상태에서는 도 13의 (d)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상기 패드(800)의 패드 돌출부(830)가 두개의 냉기 출구(310,320) 중 냉장실 증발기(30)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310)는 개방하고 상기 냉동실 증발기(40)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320)는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패드 돌출부(830)가 냉동실 증발기(40)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320)만을 차폐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 밸브(50)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30)와 연결된 냉기 출구(310)를 통해 냉매가 상기 냉장실 증발기(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700)는 도 14의 (d)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는 상기 기어 보스(730)의 평면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650)의 단부에 의해 누르는 힘은 상기 패드 돌출부(830)를 통해 상기 보스(300)의 상면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800)는 상기 보스(3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5는 상기 냉매 밸브의 압력 증가에 따른 누설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에는 냉매의 누설에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는 도 13의 (b) 및 도 14의 (b)에서와 같은 냉동실 냉각 운전을 위한 상기 냉매 밸브(50)의 상태에서, 압력의 증가에 따른 냉매 누설량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압력이 증가하게 되더라도 누설량은 큰 변화가 없으며 낮은 수준을 유지하게 되며, 특히 고압의 환경에서도 일정한 수준의 누설량의 증가만 있을 뿐 다량의 누설이 관측되지 않음을 볼 때 상기 패드는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냉매 밸브(50)가 실사용되는 환경인 3 ~ 5Kgf의 압력 범위에서는 상기 패드(800)를 누르는 힘이 약하여 상기 패드(800)가 기울어지게 될 경우 자칫 냉매의 누설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사용 영역의 압력에서도 냉매의 누설량이 만족되며,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볼 때 상기 패드(800)는 상기 보스(300)와 밀착되어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냉매 밸브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전술한 실시 예의 주요 구성인 고정부재의 탄성 지지부 형상과 제 2 기어의 기어 보스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탄성 지지부와 기어 보스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의 탄성 지지부와 기어 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50)에서 상기 제 2 기어(700)의 상방에는 상기 제 2 기어(700)의 기어 보스(730)를 상방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탄성 지지부(6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어 보스(730)는 상면(733) 전체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67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700)의 상기 기어 보스(730)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670)의 단부에는 상기 기어 보스(730)를 상방에서 누르는 가압부(6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71)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 축(710)이 관통되는 축 개구(672)가 형성되며, 상기 축 개구(672)를 중심으로 하여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671)는 상기 축 개구(672)를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포밍에 의해 중심부가 가장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653)의 중앙부가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733)을 누를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어떤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상기 기어 보스(730)의 중앙 부분만을 누르게 된다. 즉, 상기 패드(800)는 일부분이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상기 보스(300)의 상면(733)과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733)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면 전체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653)는 중앙부분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포밍될 수도 있고, 중앙부분에 별도의 돌기가 형상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어 보스(730)의 중앙부분을 누르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의 탄성 지지부와 기어 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밸브(50)에서 상기 제 2 기어(700)의 상방에는 상기 제 2 기어(700)의 기어 보스(730)를 상방에서 눌러 고정시키는 탄성 지지부(6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어 보스(730)는 상면(733) 전체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680)는 상기 고정부재(6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700)의 상기 기어 보스(730)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 지지부(680)는 상기 제 2 기어의 기어 보스(730)를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부(681)와 상기 경사부(681)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가압부(6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82)는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설정된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682)의 중앙에는 상기 기어 축(710)이 관통되는 축 개구(68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653)는 전체 면이 상기 기어 보스(730)를 누를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2 기어(700)가 회전되어 어떤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상기 기어 보스(730)의 상면(733) 전체를 균일하게 누르게 된다. 즉, 상기 패드(800)는 일부분이 돌출되는 패드 돌출부(830)가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보스(300)의 상면과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배관과 냉매가 유출되는 한쌍의 출구배관이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의 측방에서 상기 제 1 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제 1 기어와 연동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기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한쌍의 출구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패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정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동시에 상기 제 2 기어 상단의 중앙부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단부가 상기 제 2 기어 상단의 기어 보스를 눌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의 하면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출구 배관을 적어도 동시에 개폐하는 패드 돌출부와, 상기 패드 돌출부의 외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보스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고, 상기 탄성 지지부의 단부와 이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기어보스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제 2 기어의 기어 보스의 상면과 면접촉 하면서, 상기 기어 보스의 상면 전체를 균일하게 눌러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기어보스의 상면과 평행하게 절곡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기어 보스를 관통하는 기어 축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기어의 기어 보스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2 기어의 기어 축이 관통되는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포밍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기어의 기어 보스의 중앙부를 가압하도록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에 개구되어 상기 제 1 기어가 관통되는 센터홀과;
    상기 탄성 지지부의 형성을 위해 상기 탄성지지부 둘레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외측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레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의 사이드 서포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하단에서 상기 상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패드의 하면과 접하는 보스가 장착되며,
    상기 보스에는 상기 한쌍의 출구 배관과 연결되는 한쌍의 냉매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는 상기 한쌍의 냉매 출구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패드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냉매 밸브.
KR1020150156165A 2015-11-06 2015-11-06 냉장고용 냉매 밸브 KR10175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65A KR101753487B1 (ko) 2015-11-06 2015-11-06 냉장고용 냉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65A KR101753487B1 (ko) 2015-11-06 2015-11-06 냉장고용 냉매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32A KR20170053532A (ko) 2017-05-16
KR101753487B1 true KR101753487B1 (ko) 2017-07-03

Family

ID=5903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165A KR101753487B1 (ko) 2015-11-06 2015-11-06 냉장고용 냉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2257B2 (en) 2020-11-26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lv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7269B2 (ja) * 2001-07-10 2009-07-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2015113965A (ja) * 2013-12-16 2015-06-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弁体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7269B2 (ja) * 2001-07-10 2009-07-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2015113965A (ja) * 2013-12-16 2015-06-2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弁体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2257B2 (en) 2020-11-26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l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32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572B2 (en) Food heat-exchan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359881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reezer compartment position-adjustable partitions
EP3023717B1 (en) Refrigerator
US20170227276A1 (en) Rotary damper
KR20220148338A (ko) 냉장고
KR101835336B1 (ko) 냉장고
KR20100111481A (ko) 냉장고
US11573046B2 (en) Refrigerator
KR101622727B1 (ko)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20140119443A (ko) 냉장고
KR20120008206A (ko) 냉장고
KR10067403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조절장치
JPWO2010092628A1 (ja) 冷蔵庫
KR101753487B1 (ko) 냉장고용 냉매 밸브
KR20160100548A (ko) 냉장고
KR101848926B1 (ko) 냉장고
KR101694401B1 (ko) 냉장고 냉기 유입구용 가스켓
RU2555779C2 (ru) Холодильное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оттаиванием,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домашн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120118000A1 (en) Refrigerator
CN101074820B (zh) 冰箱
JP5411922B2 (ja) 冷蔵庫
JP2014222134A (ja) 冷蔵庫
CN101071027B (zh) 电冰箱
US20220136756A1 (en) Refrigerator
KR100651308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