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98B1 - 도어 개폐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98B1
KR101091998B1 KR1020080130401A KR20080130401A KR101091998B1 KR 101091998 B1 KR101091998 B1 KR 101091998B1 KR 1020080130401 A KR1020080130401 A KR 1020080130401A KR 20080130401 A KR20080130401 A KR 20080130401A KR 101091998 B1 KR101091998 B1 KR 10109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crew
shaft
mai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337A (ko
Inventor
장종복
장두광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ublication of KR2010002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비틀림스프링(131)을 결합하여 좌,우측플레이트(111,112)가 회전하우징부(120)를 기준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는 메인탄성부(13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중앙내부에 형성하고 비틀림스프링(131)의 일측단을 고정시키며 비틀림스프링(131)의 반대측으로 샤프트(143)를 형성하되 샤프트(143)의 외주연에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를 형성시킨 작동부(14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끼우는 원통형의 탄성부재(16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결합하여 탄성부재(160)를 가압하는 메인콘트롤부(15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를 결합하여 조절구(151)가 탄성부재(160)를 가압하거나 해제할 때 반작용하여 완충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보조콘트롤부(170), 및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와 보조콘트롤부(17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81)을 구비한 가이드부(180)로 구성하므로 별도의 유압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기구적 구성을 통해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유압과 같은 부드러움과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되 경첩의 코스트를 최소화하여 저렴한 가격에 최상의 도어 개폐용 경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경첩{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식 경첩으로 설치한 도어가 닫힐 때 부드럽고 안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경첩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첩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이들이 조합하여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경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도어를 열고난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고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하여 도어가 서서히 안전하게 닫히도록 하였다.
여기서 경첩은 도어를 열면 내장된 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닫힐 때에는 도어의 열림으로 감겨진 스프링이 원위치로 풀어지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즉, 도어를 열고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유압장치의 설치로 코스트가 크게 증가 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스프링으로만 도어가 닫히게 하는 경우에 감긴 스프링의 탄성이 직접적으로 도어에 전달되어 급작스럽게 닫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압장치는 스프링의 탄성을 제어하여 이를 적절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므로 매우 정교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기밀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유압의 누기 등으로 자유경첩의 기능 현저히 떨어뜨리고 이로 인하여 경첩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경첩의 코스트를 크게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각종 경첩은 스프링의 힘으로 도어를 닫기 때문에 그 스프링의 강성 탄성으로 인하여 힘의 조절이 매우 까다로울 뿐 아니라 이러한 강성의 탄성을 완화하기 위해 별도의 완충장치를 사용하므로 완충력을 감안하여 스프링의 강성 탄성을 더욱 크게 사용하여야만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었다.
즉, 도어가 닫힐 때의 힘보다 완충력을 더한 큰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노약자가 도어의 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심지어 자동 닫힘의 큰 힘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유압장치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기구적 구성을 통해 열린 도어가 닫힐 때 유압과 같은 부드러움과 안전한 속도로 닫히도록 하되 경첩의 코스트를 최소화하여 저렴한 가격에 최상의 도어 개폐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강성 탄성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탄성부재 및 회전력으로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고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개폐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은 회전하우징부의 내부에 비틀림스프링을 결합하되 비틀림스프링의 일측단을 상하부하우징에 결합하여 좌,우측플레이트가 회전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는 메인탄성부와, 상기 회전하우징부의 중앙내부에 형성하고 비틀림스프링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며 비틀림스프링의 반대측으로 샤프트를 형성하되 샤프트의 외주연에 메인나사를 형성시킨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샤프트에 끼우는 원통형의 탄성부재와, 상기 작동부의 샤프트에 형성된 메인나사에 조절구를 결합하여 비틀림스프링이 감길 때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메인콘트롤부, 및 상기 작동부의 샤프트에 결합된 메인콘트롤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구비한 가이드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은 도어를 열면 밀착 상태의 좌,우측플레이트(111,112) 중 우측플레이트(112)가 메인하우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메인하우징(121)에 고정된 작동구(141)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하부클러치(132)와 작동구(141)에 양단이 고정된 비틀림스프링(131)도 작동구(141)의 회전으로 감기게 되며 샤프트(143)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143)에 나사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므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작동구(141)의 헤드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6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가 매우 부드럽게 열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를 놓으면 감겨진 비틀림스프링(131)과 가압된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으로 상기의 역순으로 도어가 닫히게 되는데, 이때 부드러운 힘의 탄성부재(160)의 복원력과 강성 힘의 비틀림스프링(131)의 복원력 및 기구적 회전력으로 도어가 매우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도어개폐용 경첩은 메인탄성부(130)의 복원력을 최소화하고 이를 고무 등으로 형성된 탄성부재(160)와 회전에 따른 복원력(또는 가압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조절하므로 도어의 개폐가 적은 힘으로도 동작되고 작동이 매우 부드럽게 진행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어의 닫힘에 필요로 하는 힘은 메인탄성부(160)와 탄성부재(160) 및 작동구(141)의 회전력(회전에 따른 직선운동) 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므로 도어의 열림이 따른 힘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도어의 닫힘이 원활할 뿐 아니라 강성의 힘을 갖는 비틀림스프링(131)의 힘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노약자 등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닫힌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열린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닫힌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열린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닫힌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열린 상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도는 도어가 닫힌 상태 단면도이고, B)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 단면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8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다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형성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좌,우측플레이트(111,112) 대응면에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을 각각 형성하여 수직으로 일치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12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 내부에 비틀림스프링(131)을 결합하되 비틀림스프링의 일측단을 상하부하우징(124)에 결합하여 좌,우측플레이트(111,112)가 회전하우징부(120)를 기준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는 메인탄성부(13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중앙내부에 형성하고 비틀림스프링(131)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며 비틀림스프링(131)의 반대측으로 샤프트(143)를 형성하되 샤프트(143)의 외주연에 메인나사(144)를 형성시킨 작동부(14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끼우는 원통형의 탄성부재(16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결합하여 비틀림스프링(130)이 감길 때 탄성부재(160)를 가압하는 메인콘트롤부(150), 및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81)을 구비한 가이드부(180)로 구성한다.
상기 결합부(110)는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형성하되 좌우플레이트(111,112)에 결합용 구멍을 다수개 천공한다.
상기 회전하우징부(120)는 좌측 또는 우측플레이트(111,112)의 대응면에 메인하우징(121) 또는 상하부하우징(124)을 형성하여 수직으로 일치되게 하되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에 각각의 핀공(122,125)과 고정핀(123,126)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탄성부(130)는 메인하우징(121)의 내부 중앙부분에 비틀림스프링(131)의 하단을 고정시키되 비틀림스프링(131)의 상측에는 결합홈(134)이 형성된 하부클러치(132)를 위치시켜 비틀림스프링(131)의 상단을 결합홈(134)에 끼워 고정시키되, 하부클러치(132)의 상부가 메인하우징(121)의 상측과 상부하우징(124)의 하측 부분에 겹쳐 위치되게 한다.
여기서 하부클러치(132)의 상측에는 상부클러치(135)를 위치시켜 상부하우징(124)에 형성하되, 하부클러치(132)에는 키홈(133)을 형성하고, 상부클러치(135)에는 키홈(133)과 연통되는 삽입공(136)을 형성한다.
나아가 상부클러치(135)의 외주연에 고정홈(137)을 형성하되 상부하우징(124)에 형성된 핀공(125)을 통해 고정핀(126)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므로 좌측플레이트(111)에 연동되게 한다.
상기 작동부(140)는 외주연에 고정홈(142)이 형성된 작동구(141)를 메인하우징(121)의 중앙에 위치시켜 핀공(122)을 통해 고정핀(123)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므로 우측플레이트(112)에 연동되게 하되, 작동구(141)에는 비틀림스프링(131)의 반대측으로 샤프트(143)를 형성한다.
여기서 샤프트(143)의 외주연에는 메인나사(144))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콘트롤부(150)는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51)의 외주연에 스플라인홈(153)을 형성하고 외향 측에 키홈(152)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부재(160)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의 끼 워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60)는 탄성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각종 합성수지 또는 스프링이나 이들의 혼합으로 사용가능하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부(180)는 원통형의 가이드관(181)의 구비하되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탄력수단(183)을 형성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스플라인홈(153)에 끼워지게 하므로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가 그 회전력을 전환하여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는 삽입공(147)을 형성하되 삽입공(147)의 내주연에 메인나사(144)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콘트롤부(150)는 삽입공(147)의 내주연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탄성부재(160)를 작동구(141)의 삽입공(147) 내부에 삽입하여 탄성부재(160)를 가압 및 해제 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메인탄성부(130)의 하부클러치(132)에는 샤프트(138)를 길게 형성하여 메인탄성부(130)의 비틀림스프링(131)을 가이드 할 수 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150)의 조절구(151)에 형성된 샤프트(143)의 외주연에는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를 각각 형성하되 메인나사(144)의 경사도가 보조나사(145) 보다 크게 형성하되 작동구(141)의 가까운 측에 보조나사(145)를 형성하고 먼 측에 메인나사(144)를 형성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샤프트(143)의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를 나사 결합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조절구(171) 사이에 탄성부재(160)가 위치되게 하되 외주연에 결합공(172)을 형성하고 결합공(172)에 가이드핀(173)을 결합한 보조콘트롤부(170)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 나사방향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부(180)의 가이드관(181)을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82)을 형성하여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에 결합된 가이드핀(173)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71)가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스플라인으로 결합하거나 육각이나 팔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회전력을 직선운동 변환시킬 수 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1 과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육각너트로 형성하여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에 각각 나사 결합하고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구(154)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54)의 내주연에 육각공을 형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가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가이드관(181)의 전단 내주연에 조절구(171)를 삽입되는 육각공(189)을 형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71)가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가이드구(154)의 외주연에는 스플라인홈(153)을 형성하고 가이드관(181)에 나사(186)가 결합된 나사공(187)을 형성하여 가이드구(154)를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구(154)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관(181)의 내주연 하부에 스냅링(188)을 끼운다.
더욱이, 샤프트(143)에는 한 쌍의 와셔(155)를 끼워 탄성부재(160)를 가이드하거나 가이드캡(156)을 탄성부재(160)에 끼워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31)을 제거하여 탄성부재(160)로만 동작되게 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작동부(140)의 작동구(141)를 상부하우징(124)에 관통시켜 마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구(141)의 전단에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가 형성된 사프트(143)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보조나사(145)에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결합하되 조절구(171)를 육각너트로 형성하되 샤프트(143)의 외주연에는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를 각각 형성하되 메인나사(144)의 경사도가 보조나사(145) 보다 크게 형성하되 작동구(141)의 가까운 측에 보조나사(145)를 형성하고 먼 측에 메인나사(144)를 형성할 수 도 있다.
더욱이,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에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51)는 전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메인나사(144)와 결합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후측 외주연에 스플라인홈(153)을 형성하며 후단에 키 홈(152)을 형성한다.
나아가, 가이드부(180)의 가이드관(181)은 앞측 내주연은 육각홈(189)으로 형성하여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삽입하되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에 형성된 스플라인홈(153)과 대응되는 나사공(187)을 형성하고 나사공(187)에 나사(186)를 결합하여 조절구(151)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구(151,171)의 회전이 자제되므로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171)가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3 과 도 17 에 나타낸 경첩은 도어에 스프링경첩이나 스프링 탄성부재경첩과 혼합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내지 도 12 와 도 15 내지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150)의 조절구(151)에 형성된 샤프트(143)의 외주연에는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는 메인나사(144)의 경사도가 보조나사(145) 보다 크게 형성하되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 나사방향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 나사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탄성부재(160)의 가하는 압력을 정밀하게 고려하여야 하며 샤프트(143) 외주연에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 경사도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를 열면 밀착 상태의 좌,우측플레이트(111,112) 중 우측플레이트(112)가 메인하우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메인하우징(121)에 고정된 작동구(141)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하부클러치(132)와 작동구(141)에 양단이 고정된 비틀림스프링(131)도 작동구(141)의 회전으로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부클러치(135)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작동구(141)의 회전으로 샤프트(143)도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샤프트(143)에 나사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에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조절구(151)는 스플라인홈(153)과 가이드관(181)에 형성된 탄력수단(183)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력이 변환하여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작동구(141)의 헤드부분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60)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가압하게 된다.
이때 비틀림스프링(131)과 탄성부재(160)를 가압하므로 도어는 부드럽게 열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를 놓으면 감겨진 비틀림스프링(131)과 가압된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으로 상기의 역순으로 도어가 닫히게 된다.
즉, 감겨진 상태의 비틀림스프링(131)과 탄성부재(160)가 원위치하면서 그 복원력으로 메인하우징(121)을 중심으로 도어가 역회전하게 되고 메인하우징(121)에 고정된 작동구(141)도 역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작동구(141)의 역회전으로 샤프트(143)도 역회전하게 되고 샤프트(143)에 나사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에 역회전력이 전달되므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역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도어개폐용 경첩은 메인탄성부(130)의 복원력을 최소화하고 이를 탄성부재(160)와 회전에 따른 복원력(또는 가압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조절하므로 작동이 매우 부드럽게 진행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어의 닫힘에 필요로 하는 힘은 메인탄성부(160)와 탄성부재(160) 및 작동구(141)의 회전력(회전에 따른 직선운동) 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므로 도어의 열림이 따른 힘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도어의 닫힘이 원활할 뿐 아니라 강성의 힘을 갖는 비틀림스프링(131)의 힘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구성을 변경하더라도 작동구(141)의 메인나사(144)와 메인탄성부(130) 및 탄성부재(16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진해된다.
도 7 과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를 열면 밀착 상태의 좌,우측플레이트(111,112) 중 우측플레이트(112)가 메인하우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메인하우징(121)에 고정된 작동구(141)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하부클러치(132)와 작동구(141)에 양단이 고정된 비틀림스프링(131)도 작동구(141)의 회전으로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부클러치(135)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작동구(141)의 회전으로 샤프트(143)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143)에 나사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는 스플라인홈(153)과 가이드관(181)에 형성된 탄력수단(183)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력이 변환하여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더불어,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가이드핀(173)이 가이드관(18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18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력이 변환하여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가 동일방향(우나사 또는 좌나사)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가 같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에 각각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60)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가압하면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가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가 경사도가 보조나사(145)의 경사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탄성부재(160)를 가압(d2)하면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 가압력보다 해제력(d1)이 적어, 실질적으로는 탄성부재(160)의 가압과 해제가 동시에 발생되더라도 부드럽게 탄성부재(160)를 가압(d2- d1)되므로 도어가 매우 부드럽게 열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를 놓으면 감겨진 비틀림스프링(131)과 가압된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으로 상기의 역순으로 도어가 닫히게 된다.
즉, 감겨진 상태의 비틀림스프링(131)이 원위치하면서 그 복원력으로 메인하우징(121)을 중심으로 도어가 역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메인하우징(121)에 고정된 작동구(141)도 역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작동구(141)의 역회전으로 샤프트(143)도 역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샤프트(143)에 나사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에 역회전력이 전달되므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가 역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160)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가압상태를 해제(d2)하게 되고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가 가압(d1)하게 된다.
이때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가 경사도가 보조나사(145)의 경사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탄성부재(160)를 가압을 해제(d2-d1)하면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 해제력보다 작은 가압력으로 탄성부재(160)를 가압(d2-d1)한다.
따라서 탄성부재(160)의 가압과 해제가 동시에 발생되어 부드럽게 탄성부재(160)를 해제하므로 도어가 매우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한편,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 형성된 샤프트(143)의 외주연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는 나사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가 동시에 전후단에서 탄성부재(160)의 가압 또는 해제 되는 것으로 비틀림스프링(131)의 경직된 탄성과 탄성부재(160)의 부드러운 탄성이 혼합되어 동작하므로 어느 정도는 유압적인 부드러움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비틀림스프링(131)을 탄성을 조절할 때 상부클러치(135)의 삽입공(136)을 통해 하부클러치(132)의 키홈(132)을 가압하면 상하부클러치(135,132)가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때 하부클러치(132)를 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 비틀림스프링(131)의 탄성을 조절한 다음 가압상태 해제하면 다시 상하부클러치(135,132)가 결합되어 탄성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부재(160)를 탄성을 조절할 때에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에 형성된 키홈(133)을 통해 조절구(151)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조절구(151)가 메인나사(144)를 따라 탄성부재(160)의 탄성을 조절한다.
여기서 가이드관(181)에 돌출되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스플라인홈(153)에 끼워진 탄력수단(183)에 의해 회전력을 가하면 회전 또는 역회전 되어 탄성부재(18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 과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콘트롤부(150)의 육각너트 형상의 조절구(151)는 가이드구(154)에 내주연을 육각공을 형성하여 삽입하고, 보조콘트롤부(170)의 육각너트로된 조절구(171)는 가이드관(181)의 전단에 육각공(189)을 형 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상기와 같이 조절구(171)가 그 회전력을 변환하여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한다.
도 13 내지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31)을 제거하여 탄성부재(160)의 탄성으로만 상기와 같이 동작되게 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도어의 상하측에 스프링경첩 또는 스프링 탄성부재 경첩이나 이들의 혼합으로 결합하고 탄성부재경첩은 그 사이에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닫힌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열린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닫힌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열린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닫힌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열린 상태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도는 도어가 닫힌 상태 단면도이고,
B)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2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나타낸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8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 의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스프링을 제거한 다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첩 110 : 결합부
111 : 좌측플레이트 112 : 우측플레이트
120 : 하우징부 121 : 메인하우징
122 : 핀공 123 : 고정핀
124 : 상하부하우징 125 : 핀공
126 : 고정핀 130 : 메인탄성부
131 : 비틀림스프링 132 : 하부클러치
133 : 키홈 134 : 결합홈
135 : 상부클러치 136 : 삽입공
137 : 고정홈 138 : 샤프트
140 : 작동부 141 : 작동구
142 : 고정홈 143 : 샤프트
144 : 메인나사 145 : 보조나사
146 : 결합홈 147 : 삽입공
150 : 메인콘트롤부 151 : 조절구
152 : 키홈 153 : 스플라인홈
154 : 가이드구 155 : 와셔
156 : 가이드캡 160 : 탄성부재
161 : 탄성고무 162 : 압축스프링
170 : 보조콘트롤부 171 : 조절구
172 : 결합공 173 : 가이드핀
180 : 가이드부 181 : 가이드관
182 : 슬릿 183 : 탄력수단
184 : 고정홈 186 : 나사
187 : 나사공 188 : 스냅링
189 : 육각공

Claims (27)

  1.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형성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좌,우측플레이트(111,112) 대응면에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을 각각 형성하여 수직으로 일치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12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 내부에 비틀림스프링(131)을 결합하되 비틀림스프링의 일측단을 상하부하우징(124)에 결합하여 좌,우측플레이트(111,112)가 회전하우징부(120)를 기준으로 탄력 설치되게 하는 메인탄성부(13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중앙내부에 형성하고 비틀림스프링(131)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며 비틀림스프링(131)의 반대측으로 샤프트(143)를 형성하되 샤프트(143)의 외주연에 메인나사(144)를 형성시킨 작동부(14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끼우는 탄성부재(16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결합하여 비틀림스프링(130)이 감길 때 탄성부재(160)를 가압하는 메인콘트롤부(150), 및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81)을 구비한 가이드부(18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는 외주연에 고정홈(142)이 형성된 작동구(141)를 메인하우징(121)의 내부에 위치시켜 핀공(122)을 통해 고정핀(123)으로 결합하고 작동구(141)에 샤프트(143)를 형성하되 샤프트(143)가 비틀림스프링(131)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부(150)는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51)의 외주연에 스플라인홈(153)을 형성하고 외향 측에 키홈(15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4.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는 삽입공(147)을 형성하되 삽입공(147)의 내주연에 메인나사(144)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콘트롤부(150)는 삽입공(147)의 내주연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0)는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의 끼워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가압할 수 있도록 하되 고무나 합성수지, 스프링 또는 이들의 조 합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80)는 가이드관(181)을 구비하되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탄력수단(183)을 메인콘트롤부(150)의 스플라인홈(153)에 끼워지게 형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가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 형성된 샤프트(143) 외주연에 메인나사(144)보다 경사도가 낮은 보조나사(145)를 형성시키고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는 나사방향을 동일하게 형성하며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를 결합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 사이에 탄성부재(160)가 위치되게 하며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탄성부재(160)를 가압하거나 해제할 때 보조나사(145)에 결합된 조절구(171)가 반작용하여 완충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보조콘트롤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8. 제 7 항 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 형성된 샤프트(143)의 외주연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는 나사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콘트롤부(170)는 샤프트(143)의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를 나사 결합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 사이에 탄성부재(160)가 위치되게 하되 조절구(171)의 외주연에 결합공(172)을 형성하고 결합공(172)에 가이드핀(173)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다각형이나 스플라인으로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1. 제 6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80)는 가이드관(181)을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슬릿(182)을 형성하여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에 결합된 가이드핀(173)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71)가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41)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 대용으로 캠이나 가이드홈 등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육각너트로 형성하여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에 각각 나사 결합하고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구(154)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54)의 내주연과 가이드관(181)의 전단 내주연에 육각공(189)을 각각 형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가 그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4.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형성한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좌,우측플레이트(111,112) 대응면에 메인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4)을 각각 형성하여 수직으로 일치되게 하는 회전하우징부(12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120)의 내부에 형성하여 상부하우징(124)에 관통시켜 작동구(141)를 형성하고 작동구(141)의 내측으로 샤프트(143)를 형성하되 샤프 트(143)의 외주연에 메인나사(144)를 형성시킨 작동부(14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끼우는 탄성부재(160)와,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결합하여 탄성부재(160)를 가압하는 메인콘트롤부(150), 및
    상기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에 결합된 메인콘트롤부(1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81)을 구비한 가이드부(18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는 외주연에 고정홈(142)이 형성된 작동구(141)를 메인하우징(121)의 내부에 위치시켜 핀공(122)을 통해 고정핀(123)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부(150)는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51)의 외주연에 스플라인홈(153)을 형성하고 외향 측에 키홈(15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7. 제 15 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는 삽입공(147)을 형성하되 삽입공(147)의 내주연에 메인나사(144)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콘트롤부(150)는 삽입공(147)의 내주연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에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60)는 작동부(140)의 샤프트(143)의 끼워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가압할 수 있도록 하되 고무나 합성수지, 스프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80)는 가이드관(181)을 구비하되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탄력수단(183)을 메인콘트롤부(150)의 스플라인홈(153)에 끼워지게 형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가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 형성된 샤프트(143) 외주연에 메인나사(144)보다 경사도가 낮은 보조나사(145)를 형성시키고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는 나사방향을 동일하게 형성하며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를 결합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 사이에 탄성부 재(160)가 위치되게 하며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가 탄성부재(160)를 가압하거나 해제할 때 보조나사(145)에 결합된 조절구(171)가 반작용하여 완충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보조콘트롤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1. 제 20 항 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에 형성된 샤프트(143)의 외주연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의는 나사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콘트롤부(170)는 샤프트(143)의 보조나사(145)에 조절구(171)를 나사 결합하여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 사이에 탄성부재(160)가 위치되게 하되 조절구(171)의 외주연에 결합공(172)을 형성하고 결합공(172)에 가이드핀(173)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는 다각형이나 스플라인으로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 첩.
  24.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80)는 가이드관(181)을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슬릿(182)을 형성하여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에 결합된 가이드핀(173)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71)가 직선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5. 제 14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41)의 샤프트(143)에 형성된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 대용으로 캠이나 가이드홈 등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6.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와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육각너트로 형성하여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에 각각 나사 결합하고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구(154)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54)의 내주연과 가이드관(181)의 전단 내주연에 육각공(189)을 각각 형성하여 샤프트(143)가 회전되면 조절구(151)가 그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40)의 작동구(141) 전단에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가 형성된 사프트(143)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보조나사(145)에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결합하되 조절구(171)를 육각너트로 형성하며, 샤프트(143)의 외주연에는 메인나사(144)와 보조나사(145)를 각각 형성하고 메인나사(144)의 경사도가 보조나사(145) 보다 크게 형성하되 작동구(141)의 가까운 측에 보조나사(145)를 형성하고 먼 측에 메인나사(144)를 형성하고, 샤프트(143)의 메인나사(144)에는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를 나사 결합하되 조절구(151)의 전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메인나사(144)와 결합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후측 외주연에 스플라인홈(153)을 형성하며 후단에 키홈(152)을 형성하고, 가이드부(180)의 가이드관(181)에는 앞측 내주연은 육각홈(189)으로 형성하여 보조콘트롤부(170)의 조절구(171)를 삽입하되 메인콘트롤부(150)의 조절구(151)에 형성된 스플라인홈(153)과 대응되는 나사공(187)을 형성하고 나사공(187)에 나사(186)를 결합하여 조절구(151)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080130401A 2008-08-14 2008-12-19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091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73 2008-08-14
KR20080080173 2008-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37A KR20100021337A (ko) 2010-02-24
KR101091998B1 true KR101091998B1 (ko) 2011-12-08

Family

ID=4209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401A KR101091998B1 (ko) 2008-08-14 2008-12-19 도어 개폐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6651B2 (en) 2015-12-10 2020-04-21 Jong Bok CHANG Hinge for opening/closing door
CN105507709A (zh) * 2016-01-18 2016-04-20 孟进 弹簧铰链系统及方法
CN106223756A (zh) * 2016-08-22 2016-12-14 常州美尔凯进出口有限公司 插接合页
KR102027510B1 (ko) * 2017-08-18 2019-10-01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27511B1 (ko) * 2017-08-25 2019-10-01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3772B1 (ko) * 2017-10-25 2018-08-02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CN108678581A (zh) * 2018-07-24 2018-10-19 张红卫 一种内置门吸功能阻尼合页
CN112943013B (zh) * 2019-12-10 2022-12-13 江西大发门业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锁闭功能的门铰链及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89B1 (ko) 2005-08-26 2006-09-25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7-07-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777202B1 (ko) 2007-02-14 2007-11-16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89B1 (ko) 2005-08-26 2006-09-25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740809B1 (ko) 2006-05-11 2007-07-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777202B1 (ko) 2007-02-14 2007-11-16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37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998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CA2807316C (en) Adjustable torque hinge
KR100777202B1 (ko)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WO2001048773A1 (fr) Actionneur de commutateur de securite
KR1018737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CN102449255A (zh) 用于滑动窗的锁定装置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705221B1 (ko) 자동 경첩
KR102430387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1114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80348B1 (ko) 경첩 조립체
KR20180046856A (ko) 도어 개폐용 경첩
CA2954537A1 (en) Quiet wrench
KR102173000B1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CN2675818Y (zh) 一种双向开门装置
JP6147150B2 (ja) 非常開錠機構、錠装置、開き戸装置、及び個室ユニット
KR101874253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JP4889284B2 (ja) ドアクローザ用外装式ストップ装置
KR102050388B1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200465890Y1 (ko) 악력기
KR20180046855A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90019585A (ko) 도어 개폐용 경첩
WO2020179367A1 (ja) 開閉装置
KR100932542B1 (ko) 차량의 도어체커
CA2930286A1 (en) Hinge assemb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