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510B1 - 도어 개폐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510B1
KR102027510B1 KR1020170104720A KR20170104720A KR102027510B1 KR 102027510 B1 KR102027510 B1 KR 102027510B1 KR 1020170104720 A KR1020170104720 A KR 1020170104720A KR 20170104720 A KR20170104720 A KR 20170104720A KR 102027510 B1 KR102027510 B1 KR 10202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crew rod
door
clos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585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17010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5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1Screw-thread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에 관한 것으로, 하부플레이트(110b)의 축공(112b)에 결합하는 메인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10a)의 축공(112a)에 결합하는 보조하우징(130)과; 상기 메인하우징(120)의 내주연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140)와; 상기 보조하우징(130)에 조절용 나사봉(154)을 나사결합하고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하되,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의 방향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다르게 형성한 조절나사구(150)와; 상기 조절나사구(150)에 키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하향으로 작동샤프트(161)를 형성한 제1작동구(160)와; 상기 제1작동구(160)와 지지구(140)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제1작동구(160)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하측에서 제1작동구(160)의 작동샤프트(161)의 하단에 나사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구(180); 및 상기 제2작동구(180)의 하부에 가압용 판스프링(191)을 삽입하여 제2작동구(180)의 하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어셈블리(190)로 구성하므로; 비틀림스프링(170)과 탄성어셈블리(190)의 탄성을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조율하여 안정된 범위내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경첩{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발명은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첩의 탄성을 간편하고 편리하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원활하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경첩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첩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이들이 조합하여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유 경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도어를 열고난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고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종래의 스프링식 경첩은 도어를 열면 내장된 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닫힐 때에는 도어의 열림으로 감긴 스프링이 원위치로 풀어지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더불어, 도어를 열고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때 유압 등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스프링을 탄성을 조절할 때 대부분 클러치의 클릭 간격 단위로 의해 조절되므로 스프링의 탄성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불가능하였다.
특히, 경첩의 회전축 직경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클릭의 간격을 조밀하게 설계하기 거의 불가능한 결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경첩에 사용되는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첩용 비틀림 스프링은 직경의 변화와 회전축의 직경 한정으로 수바퀴를 비틀림 스프링으로의 감거나 풀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 조절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한 클릭 당의 조절로는 정밀 조정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공개특허 제10-2013-0131036호(명칭:도어 개폐용 경첩)에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어의 개폐로 인하여 미세조절상태가 풀려 수시로 재조절하여야 하는 단점이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는 특허등록 제10-1613825호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를 열면 비틀림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도어를 놓으면 자유상태의 도어가 감긴 비틀림스프링의 복원에 따른 탄성작용으로 도어가 닫히게 되는 데, 이때 일정무게의 도어가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크게 형성하여 자동으로 충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적정 이상의 도어 닫힘 작용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비틀림스프링의 강한 탄성이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혀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아 이러한 복원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유압장치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유압 등을 이용하여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별도의 유압장치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우려가 높고 제품의 코스트가 크게 상승하므로 새로운 도어 개폐용 경첩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경첩용 비틀림스프링의 도어 개폐구간에서 일정범위 내의 탄성을 갖도록 하여 비틀림스프링만으로 도어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미세조절하여 도어의 개폐력을 정확하게 세팅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은 메인하우징의 내주연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와; 상기 보조하우징에 조절용 나사봉을 나사결합하고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을 형성하되, 조절용 나사봉과 고정용 나사봉의 나사의 방향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다르게 형성한 조절나사구와; 상기 조절나사구에 키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하향으로 작동샤프트를 형성한 제1작동구와; 상기 제1작동구와 지지구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제1작동구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지지구의 하측에서 제1작동구의 작동샤프트의 하단에 나사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구; 및 상기 제2작동구의 하부에 가압용 판스프링을 삽입하여 제2작동구의 하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어셈블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은 가압용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작동볼트의 속도를 억제하면서 탄성력을 증대시키므로 도어의 급작스러운 닫힘을 방지하여 세팅한 적정 속도로 원활하게 닫히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탄성력의 증대로 마지막까지 도어의 닫힘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절나사구의 조절용 나사봉과 고정용 나사봉의 나사 방향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견고한 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탄성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가압용 판스프링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도어틀과 도어에 각각 결합하되 수직으로 대응하는 축공(112a,112b)을 각각 형성한 상,하부플레이트(110a,110b)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b)의 축공(112b)에 결합하는 메인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10a)의 축공(112a)에 결합하는 보조하우징(130)과; 상기 메인하우징(120)의 내주연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140)와; 상기 보조하우징(130)에 조절용 나사봉(154)을 나사결합하고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하되,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의 방향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다르게 형성한 조절나사구(150)와; 상기 조절나사구(150)에 키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하향으로 작동샤프트(161)를 형성한 제1작동구(160)와; 상기 제1작동구(160)와 지지구(140)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제1작동구(160)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하측에서 제1작동구(160)의 작동샤프트(161)의 하단에 나사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구(180); 및 상기 제2작동구(180)의 하부에 가압용 판스프링(191)을 삽입하여 제2작동구(180)의 하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어셈블리(190)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0a,110b)는 도어틀와 도어에 각각 결합하도록 하되 상,하부플레이트(110a,110b) 각각에 결합공(111a,111b)을 다수개 천공하고 수직으로 일치하는 축공(112a,112b)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부플레이트(110a)의 축공(112a)을 관통하는 나사공(113a)을 형성하고 상,하부플레이트(110a,110b)의 축공(112a,112b) 사이에 베어링(114)를 끼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하부플레이트(110b)의 축공(112b)을 관통하는 핀공(113b)을 형성하고 핀공(113b)을 관통하는 세팅핀(115)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20)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하부플레이트(110b)의 축공(112b)에 상부를 삽입하고 용접 등으로 부착하여 일체화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인하우징(120)의 하측에는 세팅핀(122)을 구비한 핀공(121)을 수평으로 천공하고, 상측에는 조절볼트(125)를 구비한 핀공(124)을 수평으로 천공하여 형성하며, 내주연 하부에는 가압용 나사(123)를 형성한다.
상기 보조하우징(130)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상부플레이트(110a)의 축공(112a)에 하부를 삽입하되 내주연에 조절용 나사(133)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고정홈(131)을 형성하며 고정홈(131)에 대응하는 조절볼트(132)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조하우징(130)의 상부에는 플랜지(134)를 형성하고 플랜지(134)에 수직으로 핀공(135)을 천공하되 핀공(135)에 관통하는 세팅핀(136)을 구비하여 보조하우징(130)을 정확한 위치에 세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구(140)는 메인하우징(120)의 내부에 고정시켜 상호 연동하도록 하되, 지지구(140)의 외주연에 메인하우징(120)의 핀공(121)에 대응하는 핀홀(141)을 형성하고 이를 세팅핀(122)으로 고정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구(140)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가이드공(144)을 천공하고 상단에 고정홀(143)을 형성하며 저면 좌우에 가이드홈(142)을 수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나사구(150)는 상부하우징(130)의 내주연에 형성시킨 조절용 나사(133)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용 나사봉(154)를 형성하여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 결합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고, 조절용 나사봉(154)의 상측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공(152)을 천공한 고정부재(151)를 구비하되, 고정부재(151)를 보조하우징(130)의 상측에서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결합하여 조절나사구(150)을 원하는 상태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조절나사구(150)의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 방향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하고 조절용 나사봉(154)보다 고정용 나사봉(155)의 직경을 작게하여 걸림턱(156)을 형성하므로 다른 나사 방향 따른 조절과 고정에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한 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이상적이다.
또한,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 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되, 조절용 나사봉(154)은 비틀림스프링(170)의 나선방향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고정용 나사봉(155)은 비틀림스프링(170)의 나선방향과 역방향으로 형성하여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에 의해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조절나사구(150)의 저면에는 하부키(153)를 형성하고, 고정용 나사봉(155) 상단에는 키홈(157)을 형성하여 조절나사구(150)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1작동구(160)는 상면에 키홈(162)을 형성하여 조절나사구(150)의 하부키(153)에 키 결합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하되 저면 중앙에 하향으로 작동샤프트(161)를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가이드공(144)을 관통하도록 하고 저면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홀(164)을 형성하며 작동샤프트(161)의 하부에 작동나사(163)를 형성한다.
더불어, 제1작동구(160)를 수용하는 가이드구(165)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65)의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조절공(166)을 천공하여 제1작동구(160)의 최초 세팅된 상태를 메인하우징(120)의 조절볼트(125)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설치 후 제1작동구(160)의 세팅상태를 해제하여 조절나사구(150)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틀림스프링(170)은 제1작동구(160)와 지지구(140) 사이에 설치하여 상호 연결하되 비틀림스프링(170)의 양단을 제1작동구(160)와 지지구(140)의 고정홀(163,143)에 끼워 연결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비틀림스프링(170)은 항아리 형상으로 상하측의 코일 직경이 작고 중앙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전달되는 힘의 편차를 줄여 최대한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틀림에 따른 전달되는 힘이 코일 직경이 작은측에서 큰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되어 고르게 비틀림의 탄성이 작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작동구(180)는 수직으로 나사공(181)을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하측에서 작동샤프트(161)의 하부측 작동나사(163)에 나사공(181)을 결합하여 체결한다.
더욱이, 제2작동구(180)는 하부에 플랜지(182)를 형성하고 플랜지(182)의 좌우에 수직으로 가이드바(183)를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하부 가이드홈(142)에 끼워 결합하므로 작동샤프트(161)에 나사 결합한 제2작동구(180)가 작동샤프트(161)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어셈블리(190)는 제2작동구(180)의 하향으로 슬라이딩 와셔 또는 베어링(192)과, 가압용 판스프링(191), 조절볼트(194)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되 조절볼트(194)의 저면에 키홈(195)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볼트(194)는 메인하우징(120)의 가압용 나사(123)에 결합하여 가압용 판스프링(191)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가압용 판스프링(191)의 상하측에는 슬라이딩 와셔 또는 베어링(192)을 끼워 가압상태의 작동볼트(19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가압용 판스프링(191)은 환형으로 형성하고 둘레를 경사면(191a)으로 형성하며 상하단에 밀착면(191b)을 수평으로 형성하되, 가압용 판스프링(191)이 상호 대칭으로 연접하도록 설치하므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가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가압용 판스프링(19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코일스프링(193)을 결합하여 탄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부드럽게 도어의 개폐작용을 유도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코일스프링(193)의 상하측에 슬라이딩 와셔 또는 베어링(192)을 끼워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 개폐용 경첩(100)의 설치상태에서 고정부재(151)를 풀면, 고정ㅂ부재(151)가 보조하우징(130)과 밀착상태를 벗어나게 되고 적당하게 고정부재(151)와 보조하우징(130)과의 간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나사구(150)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조절나사구(150)에 키 결합시킨 제1작동구(160)도 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지지구(140)와 제1작동구(160) 사이에서 연결 결합시킨 비틀림스프링(170)을 감거나 풀어 탄성을 조절한 다음 탄성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51)를 다시 조여 보조하우징(130)의 상단에 밀착시키므로 간편하게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비틀림스프링(170)의 하단은 지지구(140)에 고정되고, 상단은 제1작동구(160)에 결합되어 제1작동구(160)에 키 결합시킨 조절나사구(150)의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비틀림스프링(170)이 감기거나 풀려 탄성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구(140)는 메인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연동하고, 조절나사구(150)와 제1작동구(160)는 보조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연동하므로 도어 개폐 경첩(100)의 탄성이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열면 메인하우징(120)에 결합시킨 지지구(140)도 연동하면서 비틀림스프링(170)을 감는다
이와 동시에 메인하우징(120)에 결합시킨 지지구(140)도 연동하여 회전하면, 지지구(140)의 가이드홈(142)에 가이드바(183)로 결합시킨 제2작동구(180)도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제2작동구(180)가 제1작동구(160)의 작동샤프트(161)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므로 하향으로 하강하면서 가압용 판스프링(191)과 코일스프링(193)을 서서히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나아가, 도어가 닫힐 때 감긴 상태의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작용으로 닫히게 되는 데, 이때 적정범위 내의 탄성으로 원활하게 닫힐 뿐만 아니라 제2작동구(180)가 역회전하여 상승하면서 압축상태의 가압용 판스프링(191)과 코일스프링(193)을 해제하면서 비틀림스프링(170)의 복원력을 보조함과 동시에 도어가 정확하고 완벽하게 닫힐 수 있도록 유도한다.
더욱이, 나사결합시킨 제2작동구(180)가 회전한 후 다시 역회전하면서 도어가 닫히므로 최고의 압력으로 가압된 가압용 판스프링(191)과 코일스프링(193)이 제2작동구(180)에도 최고의 가압력을 인가하여 강한 가압 효력을 발휘하므로 이로 인하여 제2작동구(180)의 회전을 방해하여 비틀림스프링(170)의 급작스러운 풀림을 억제하는 것이다.
즉, 가압용 판스프링(191)의 압력이 제2작동구(180)의 속도(회전)는 억제하면서 비틀림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가압용 판스프링(191)의 탄성력을 더하여 탄성력을 증대시키므로 도어의 급작스러운 닫힘을 억제함과 동시에 세팅시킨 적정 속도로 원활하게 닫힐 뿐만 아니라 탄성력의 증대로 마지막까지 도어의 닫힘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린 도어가 닫힐 때 급작스러운 닫힘 동작을 방지함과 동시에 최후까지 완벽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안전사고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무게에 따라 가압용 판스프링(191)과 코일스프링(193)의 탄성 세기를 조절볼트(194)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가압용 판스프링(191)과 코일스프링(193)을 함께 사용하여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도어의 개폐를 더욱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보조하우징(130)의 조절용나사(133)에 조절용 나사봉(154)를 나사 결합하여 나사회전으로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을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탄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조절나사구(150)의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의 방향을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하므로 미세조절 후 고정부재(151)를 조여 보조하우징(130)에 밀착시키면 조절나사구(150)의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이 외력에 상호 역작용하여 풀림을 방지하므로 미세조절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 사이에 걸림턱(156)을 형성하여 다른 나사 방향 따른 조절작업과 고정작업에 간섭을 상호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한 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비틀림스프링(170)과 탄성어셈블리(190)의 탄성을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조율하여 안정된 범위내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완충장치 없이 각도 변화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탄성을 일정범위 내에서만 변화하도록 유도하여 도어가 원활하고 완벽하며 안정적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경첩 110a,110b : 상하플레이트
111a,111b : 결합공 112a,112b : 축공
113a : 나사공 113b : 핀공
114 : 베어링 115 : 세팅핀
120 : 메인하우징 121 : 핀공나사공
122 : 세팅핀 123 : 가압용 나사
124 : 나사공 125 : 조절볼트
130 : 보조하우징 131 : 핀공
132 : 세팅핀 133 : 조절용 나사
134 : 플랜지 135 : 핀공
136 : 세팅핀 140 : 지지구
141 : 핀홀 142 : 가이드홈
143 : 고정홀 144 : 가이드공
150 : 조절나사구 151 : 고정부재
152 : 나사공 153 : 하부키
154 : 조절용 나사봉 155 : 고정용 나사봉
156 : 걸림턱 157 : 키홈
160 : 제1작동구 161 : 작동샤프트
162 : 키홈 163 : 작동나사
164 : 고정홀 165 : 가이드구
166 : 조절공 170 : 비틀림스프링
180 : 제2작동구 181 : 나사공
182 : 플랜지 183 : 가이드바
190 : 탄성어셈블리 191 : 가압용 판스프링
191a : 경사면 191b : 밀착면
192 : 슬라이딩 와셔 또는 베어링 193 : 코일스프링
194 : 조절볼트 195 : 키홈

Claims (9)

  1. 상,하부플레이트(110a,110b)를 구비하되 상,하부플레이트(110a,110b)에 보조하우징(130)과 메인하우징(120)를 각각 수직으로 연통하도록 설치하여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력으로 복원력을 얻는 도어 개폐용 경첩(100)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120)의 내주연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140)와;
    상기 보조하우징(130)에 조절용 나사봉(154)을 나사결합하고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하되, 조절용 나사봉(154)과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의 방향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다르게 형성한 조절나사구(150)와;
    상기 조절나사구(150)에 키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하향으로 작동샤프트(161)를 형성한 제1작동구(160)와;
    상기 제1작동구(160)와 지지구(140)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하되 제1작동구(160)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하측에서 제1작동구(160)의 작동샤프트(161)의 하단에 나사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작동구(180); 및
    상기 제2작동구(180)의 하부에 가압용 판스프링(191)을 삽입하여 제2작동구(180)의 하단을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어셈블리(190)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구(140)는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가이드공(144)을 천공하고 상단에 고정홀(143)을 형성하며 저면 좌우에 가이드홈(14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구(150)는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공(152)을 천공한 고정부재(151)를 구비하고 조절용 나사봉(154)보다 고정용 나사봉(155)의 직경을 작게하여 걸림턱(156)을 형성하도록 하되, 조절용 나사봉(154)은 비틀림스프링(170)의 나선방향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고정용 나사봉(155)은 비틀림스프링(170)의 나선방향과 역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구(160)는 저면 중앙에 하향으로 작동샤프트(161)를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가이드공(144)에 관통시키고 작동샤프트(161)의 하부에 작동나사(163)를 형성하되, 제1작동구(160)를 수용하는 가이드구(165)를 구비하고 가이드구(165)의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조절공(166)을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170)은 항아리 형상으로 상하측의 코일 직경이 작고 중앙을 향할 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구(180)는 수직으로 나사공(181)을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하측에서 작동샤프트(161)의 하부측 작동나사(163)에 나사공(181)을 결합하여 체결하고, 하부에 플랜지(182)를 형성하며 플랜지(182)의 좌우에 수직으로 가이드바(183)를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하부 가이드홈(142)에 끼워 결합하므로 작동샤프트(161)에 나사 결합한 제2작동구(180)가 작동샤프트(161)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어셈블리(190)의 가압용 판스프링(191)은 환형으로 형성하고 둘레를 경사면(191a)으로 형성하며 상하단에 밀착면(191b)을 수평으로 형성하되, 가압용 판스프링(191)을 상호 대칭하도록 연접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어셈블리(190)는 가압용 판스프링(191)의 상측이나 하측에 코일스프링(193)을 결합하여 탄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어셈블리(190)는 가압용 판스프링(191)이나 코일스프링(193)의 하측에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194)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9. 삭제
KR1020170104720A 2017-08-18 2017-08-18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27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720A KR102027510B1 (ko) 2017-08-18 2017-08-18 도어 개폐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720A KR102027510B1 (ko) 2017-08-18 2017-08-18 도어 개폐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585A KR20190019585A (ko) 2019-02-27
KR102027510B1 true KR102027510B1 (ko) 2019-10-01

Family

ID=6556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720A KR102027510B1 (ko) 2017-08-18 2017-08-18 도어 개폐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5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01Y1 (ko) * 1999-09-29 2000-03-15 채권병 힌지 장치
KR101067893B1 (ko) * 2009-08-03 2011-09-28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KR101613825B1 (ko) * 2015-12-10 2016-04-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998B1 (ko) * 2008-08-14 2011-12-08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01Y1 (ko) * 1999-09-29 2000-03-15 채권병 힌지 장치
KR101067893B1 (ko) * 2009-08-03 2011-09-28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KR101613825B1 (ko) * 2015-12-10 2016-04-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585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651B2 (en) Hinge for opening/closing door
US8683654B2 (en) Adjustable torque hinge
KR1018737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US7971319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CN102449255A (zh) 用于滑动窗的锁定装置
KR10202751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27511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US987467A (en) Double-acting spring-hinge.
KR10196274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62741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202891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20074445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102430387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1114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3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050388B1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101874255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0627889B1 (ko)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KR100511563B1 (ko) 도어 경첩의 저속 개폐장치
KR10211945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의 조립구조
KR20180046646A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50085872A (ko) 힌지장치
TWM584362U (zh) 門後鈕之復位液壓結構
US20140265082A1 (en) Overhead Door Torsion Spring Adj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