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742B1 - 도어 개폐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742B1
KR101962742B1 KR1020170103773A KR20170103773A KR101962742B1 KR 101962742 B1 KR101962742 B1 KR 101962742B1 KR 1020170103773 A KR1020170103773 A KR 1020170103773A KR 20170103773 A KR20170103773 A KR 20170103773A KR 101962742 B1 KR101962742 B1 KR 10196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auxiliary
adjust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858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17010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7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상하부 보조하우징(130a,130b) 중 어느 하나에 관통하여 메인하우징(120)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140)와; 상기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조절캠(150a)이나 조절회전구(150b)를 결합하되, 조절회전구(150b)의 외주연에 가이드홈(159)을 형성하고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가이드핀(159b)을 관통시켜 가이드홈(159)에 가이드핀(159b)을 끼워 결합하므로 조절회전구(150b)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한 조절부재(150)와; 상기 조절부재(150)의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 결합하여 조절부재(150)를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60)와; 상기 지지구(140)와 조절부재(150) 사이에 설치하여 연결하되 조절부재(150)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하측에 연동하도록 설치하여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을 제어하는 작동볼트(190); 및 상기 하부보조하우징(130b)에 결합하여 작동볼트(190)를 수용하는 보조탄성가이드구(180)로 구성하므로; 비틀림스프링만으로 도어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경첩을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을 미세조절하여 도어의 개폐력을 정확하게 세팅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경첩{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발명은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첩의 탄성을 간편하고 편리하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원활하고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경첩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첩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이들이 조합하여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유 경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경첩은 도어를 열고난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고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종래의 스프링식 경첩은 도어를 열면 내장된 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닫힐 때에는 도어의 열림으로 감긴 스프링이 원위치로 풀어지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더불어, 도어를 열고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때 유압 등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스프링을 탄성을 조절할 때 대부분 클러치의 클릭 간격 단위로 의해 조절되므로 스프링의 탄성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불가능하였다.
특히, 경첩의 회전축 직경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클릭의 간격을 조밀하게 설계하기 거의 불가능한 결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경첩에 사용되는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첩용 비틀림 스프링은 직경의 변화와 회전축의 직경 한정으로 수바퀴를 비틀림 스프링으로의 감거나 풀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 조절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한 클릭 당의 조절로는 정밀 조정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공개특허 제10-2013-0131036호(명칭:도어 개폐용 경첩)에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어의 개폐로 인하여 미세조절상태가 풀려 수시로 재조절하여야 하는 단점이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는 특허등록 제10-1613825호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를 열면 비틀림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도어를 놓으면 자유상태의 도어가 감긴 비틀림스프링의 복원에 따른 탄성작용 으로 도어가 닫히게 되는 데, 이때 일정무게의 도어가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크게 형성하여 자동으로 충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적정이상의 도어 닫힘작용을 위해 상대적으로 비틀림스프링 강한 탄성이 필요로 하므로 이로 인하여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혀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아 이러한 복원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유압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특히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유압 등을 이용하여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별도의 유압장치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우려가 높고 제품의 코스트가 크게 상승하므로 새로운 도어 개폐용 경첩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경첩용 비틀림스프링의 도어 개폐구간에서 일정범위 내의 탄성을 갖도록 하여 비틀림스프링으로 도어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경첩을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미세조절하여 도어의 개폐력을 정확하게 세팅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은 도어 개폐용 경첩은 상부 보조하우징의 조절나사에 조절용 나사봉을 결합하고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을 형성하되, 상부 보조하우징에 조절캠이나 조절회전구를 결합하되, 조절회전구의 외주연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부 보조하우징에 가이드핀을 관통시켜 가이드홈에 가이드핀을 끼워 결합하므로 조절회전구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을 형성한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고정용 나사봉에 나사 결합하여 조절부재를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구와 조절부재 사이에 설치하여 연결하되 조절부재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지지구의 하측에 연동하도록 설치하여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제어하는 작동볼트; 및 상기 하부보조하우징에 결합하여 작동볼트를 수용하는 보조탄성가이드구로 구성하므로; 비틀림스프링으로 도어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용 판스프링이 보조하여 도어가 정확하고 완벽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경첩을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은 조절부재의 고정용 나사봉과 비틀림스프링의 나선 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므로 상호 역작용하여 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세조절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탄성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용이하고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가압용 판스프링이 보조하여 도어가 정확하고 완벽하게 닫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경첩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플레이트(11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에 형성하는 메인하우징(120)과; 상기 좌,우플레이트(110) 중 다른 하나의 상하에 각각 형성하되 상부 내주연에 조절나사(133)를 형성하는 상하부 보조하우징(130a,130b)과; 상기 상하부 보조하우징(130a,130b) 중 어느 하나에 관통하여 메인하우징(120)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140)와; 상기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조절캠(150a)이나 조절회전구(150b)를 결합하되, 조절회전구(150b)의 외주연에 가이드홈(159)을 형성하고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가이드핀(159b)을 관통시켜 가이드홈(159)에 가이드핀(159b)을 끼워 결합하므로 조절회전구(150b)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한 조절부재(150)와; 상기 조절부재(150)의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 결합하여 조절부재(150)를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60)와; 상기 지지구(140)와 조절부재(150) 사이에 설치하여 연결하되 조절부재(150)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하측에 연동하도록 설치하는 가압용 판스프링(193)을 구비한 작동볼트(190); 및 상기 하부보조하우징(130b)에 결합하여 작동볼트(190)를 수용하는 보조탄성가이드구(180)로 구성한다.
상기 좌우플레이트(110)는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플레이트(110)를 형성하되 좌우플레이트(110)에 결합공(111)을 다수개 천공함이 일반적이다.
상기 메인하우징(120)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좌,우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에 형성하고 하측에 세팅핀(122)을 구비한 핀공(121)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상,하부보조하우징(130a,130b)은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좌,우플레이트(110) 중 다른 하나의 중앙에 형성하고 상하에 각각 형성하되 상,하부보조하우징(130a,130b)에 세팅핀(132)을 구비한 핀공(131)을 각각 천공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하부 보조하우징(130a,130b) 사이에는 메인하우징(120)이 위치하도록 하되, 원통형으로 형성한 상,하부보조하우징(130a,130b)과 메인하우징(120)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형성하고 상부 보조하우징(130a)의 내주연에 조절나사(133)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140)는 하부보조하우징(130b)에 관통시켜 메인하우징(120)에 고정시켜 상호 연동하도록 하되, 지지구(140)의 외주연에 메인하우징(120)의 핀공(121)에 대응하는 핀홀(141)을 형성하고 이를 세팅핀(122)으로 고정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구(140)의 상면에는 축공(142)과 고정홀(143)을 형성하되 축공(142)을 상면 중앙 형성하고, 저면 중앙에는 상향으로 키홈(144)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재(150)는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조절캠(150a)이나 조절회전구(150b)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되, 조절회전구(150b)는 상부 보조하우징(130a)과 메인하우징(120) 사이에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측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함과 동시에 걸림턱(156)을 형성하여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며, 고정용 나사봉(155)은 비틀림스프링(170)의 나선방향과 역방향으로 형성하여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에 의해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조절부재(150)의 저면에는 돌출형 샤프트(152)와 고정홀(153)을 형성하고, 고정용 나사봉(155) 상단에는 키홈(157)을 형성하여 조절회전구(150b)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회전구(150b)는 외주연에 가이드홈(159)을 형성하고 메인하우징(120)에 가이드핀(159b)을 관통시켜 가이드홈(159)과 가이드핀(159b)을 결합하고 이로 인하여 조절회전구(150b)가 가이드홈(159)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되, 가이드홈(159)의 나선방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의 나사방향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조절회전구(150b)의 가이드홈(159)은 나선으로 형성하거나 수평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조절캠(150a)은 샤프트(158)의 하측에서 순차적으로 하부캠(159a)과 중간캠(159c)와 상부캠(159d)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하부캠(159a)과 중간캠(159c) 사이와 상부캠(159d)과 중간캠(159c) 사이에서 캠 경사방향이 상호 다르게 각각 형성한다.
아울러, 하부캠(159a)은 샤프트(15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간캠(159c)은 샤프트(152)에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외주연에 수직으로 가이드장홈(158b)을 형성하고 상부보조하우징(130a)에 가이드핀(159b)을 관통시키되 가이드핀(159a)의 전단을 가이드장홈(158b)에 위치시켜 상부보조하우징(130a)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캠(159d)은 샤프트(152)에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160)는 상부 보조하우징(130a)을 통하여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결합하는 조절용 고정용 나사공(161) 형성하고 상면 중앙 키홈(162)을 형성하거나 외주연에 너트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구(160)의 하향으로 수용공간(163)을 형성하여 조절캠(150a)의 상부캠(159d)을 내부에 수용하여 움직임을 자제시키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비틀림스프링(170)은 조절부재(150)와 지지구(140) 사이에 설치하여 상호 연결하되 비틀림스프링(170)의 양단을 조절부재(150)와 지지구(140)의 고정홀(153,143)에 끼워 연결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탄성가이드구(180)는 지지구(140)의 하측에 설치하여 하부 보조하우징(130b)에 결합하므로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을 제어하여 원하는 속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되, 보조탄성가이드구(180)의 외주연에 하부 보조하우징(130b)의 핀공(131)에 대응하는 핀홀(184)을 형성하고 이를 세팅핀(132)으로 고정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조탄성가이드구(180)는 내주연에 걸림턱(181)을 형성하되 걸림턱(181)의 상하측으로 고정용나사(182)와 가압용나사(183)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작동볼트(190)는 보조탄성가이드구(180)의 고정용 나사(182)에 나사결합하여 관통시키되 상단에 키(191)를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키홈(144)에 끼워 결합하므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때 작동볼트(192)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작동볼트(190)의 하향으로 슬라이딩 와셔(192)와, 가압용 판스프링(193), 조절볼트(194)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되 조절볼트(194)의 저면에 키홈(195)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와셔(192)는 작동볼트(190)의 하단에 밀착시켜 가압상태의 작동볼트(19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볼트(194)는 가압용 판스프링(193)을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가압용 판스프링(193)은 삿갓형상으로 형성하여 중앙을 천공하되 상호 대칭으로 연접하여 설치하므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가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작동볼트(190)는 상부에 키((191a,191b)를 각각 형성한 작동캠(190a)이나 작동회전구(190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회전구(190b)는 외주연에 나선홈(197)을 형성하고 보조탄성가이드구(180)에 가이드핀(197a)을 관통시켜 나선홈(197)과 가이드핀(197a)을 결합하므로 작동회전구(190b)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또한, 작동캠(190a)은 외주연에 가이드장홈(196)을 형성하고 보조탄성가이드구(180)에 가이드핀(196a)을 관통시켜 가이드장홈(196)과 가이드핀(196a)을 결합하므로 작동캠(190b)의 연동하여 수직으로 가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 개폐용 경첩(100)의 설치상태에서 고정구(160)를 풀면, 고정구(160)가 상부보조하우징(130a)와 밀착상태를 벗어나게 되고 적당하게 고정구(160)와 상부보조하우징(130a)의 간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부재(150)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비틀림스프링(170)을 감거나 풀어 탄성을 조절한 다음 탄성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구(160)를 다시 조여 상부보조하우징(130a)의 상단에 밀착시키므로 간편하게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비틀림스프링(170)의 하단은 지지구(140)에 고정되고, 상단은 조절부재(150)에 결합되어 조절부재(150)의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비틀림스프링(170)이 감기거나 풀려 탄성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구(140)는 메인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연동하고, 조절부재(150)는 상부보조하우징(130a)에 결합되어 연동하므로 도어 개폐 경첩(100)의 탄성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메인하우징(120)에 결합시킨 지지구(140)도 연동하여 회전하면 키홈(144)을 끼워진 작동볼트(19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고정용 나사(182)에 나사결합시킨 작동볼트(190)가 하강하므로 가압용 판스프링(193)을 서서히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한편, 도어가 닫힐 때 감긴 상태의 비틀림스프링(170)의 탄성작용으로 닫히게 되는 데, 이때 적정범위 내의 탄성으로 원활하게 닫힐 뿐만 아니라 작동볼트(190)가 역회전하여 상승하면서 압축상태의 가압용 판스프링(193)을 해제하면서 비틀림스프링(170)의 복원력을 보조함과 동시에 도어가 정확하고 완벽하게 닫힐 수 있도록 유도한다.
더욱이, 나사결합시킨 작동볼트(190)가 회전한 후 다시 역회전하면서 도어가 닫히므로 최고의 압력으로 가압된 가압용 판스프링(193)이 작동볼트(190)에도 최고의 가압력을 인가하여 강한 가압 효력을 발휘하므로 작동볼트(190)의 회전을 방해하여 비틀림스프링(170)의 급작스러운 풀림을 억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린 도어는 닫힐 때 급작스러운 닫힘 동작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신뢰도는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용 판스프링(193)의 탄성 세기를 조절볼트(194)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조절부재(150)의 고정용 나사봉(155)과 비틀림스프링(170)의 나선 방향을 상호 다르게 형성하므로 미세조절 후 고정구(160)를 조여 상부보조하우징(130a)에 밀착시키면 조절부재(150)의 고정용 나사봉(155)이 상호 역작용하여 풀림을 방지하므로 미세조절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고정용 나사봉(155)과 가이드홈(159) 사이에 걸림턱(156)을 형성하여 조절작업과 고정작업을 수행할 때 상호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한 세팅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경첩(100)은 비틀림스프링(170)과 가압용 판스프링(193)의 탄성을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조율하여 안정된 범위내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완충장치 없이 각도 변화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탄성을 일정범위 내에서만 변화하도록 유도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경첩 110 : 좌우플레이트
111 : 결합공 120 : 메인하우징
121 : 핀공 122 : 세팅핀
130a : 상부보조하우징 130b : 하부보조하우징
131 : 핀공 132 : 세팅핀
140 : 지지구 141 : 핀홀
142 : 샤프트 143 : 고정홀
144 : 키홈 150 : 조절부재
150a : 조절캠 150b : 조절회전구
152 : 샤프트 153 : 고정홀
155 : 고정용 나사봉 156 : 걸림턱
157 : 키홈 158 : 캠축
158a : 가이드핀 158b :가이드장홈
159a : 하부캠 159c : 중간캠
159d : 상부캠 159 : 가이드홈
159b : 가이드핀 160 : 고정구
161 : 고정용 나사공 162 : 키홈
163 : 수용공간 170 : 비틀림스프링
180 : 보조탄성가이드구 181 : 걸림턱
182 : 고정용 나사 183 : 가압용 나사
184 : 핀홀 190 : 작동볼트
191 : 키 192 : 슬라이딩 와셔
193 : 가압용 판스프링 194 : 조절볼트
195 : 키홈

Claims (6)

  1. 도어와 도어틀에 각각 결합하는 좌,우플레이트(110)와; 상기 좌,우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의 중앙에 형성하는 메인하우징(120)과; 상기 좌,우플레이트(110) 중 다른 하나의 상하에 각각 형성하되 상부 내주연에 조절나사(133)를 형성하는 상하부 보조하우징(130a,130b)과; 상기 상하부 보조하우징(130a,130b) 중 어느 하나에 관통하여 메인하우징(120)에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지지구(140)와; 상기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조절캠(150a)이나 조절회전구(150b)를 결합하되, 조절캠(150a)은 샤프트(158)의 하측에서 순차적으로 하부캠(159a)과 중간캠(159c)와 상부캠(159d)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하에 형성하는 캠 경사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형성하도록 하며, 조절회전구(150b)는 외주연에 가이드홈(159)을 형성하고 상부 보조하우징(130a)에 가이드핀(159b)을 관통시켜 가이드홈(159)에 가이드핀(159b)을 끼워 결합하므로 조절회전구(150b)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하며, 상향으로 고정용 나사봉(155)을 형성한 조절부재(150)와; 상기 조절부재(150)의 고정용 나사봉(155)에 나사 결합하여 조절부재(150)를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60)와; 상기 지지구(140)와 조절부재(150) 사이에 설치하여 연결하되 조절부재(150)의 회전으로 탄성의 강도를 변환시키는 비틀림스프링(170)과; 상기 지지구(140)의 하측에 연동하도록 설치하는 가압용 판스프링(193)을 구비한 작동볼트(190); 및 상기 하부보조하우징(130b)에 결합하여 작동볼트(190)를 수용하는 보조탄성가이드구(180)로 구성하되,
    상기 조절부재(150)의 하부캠(159a)은 샤프트(15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간캠(159c)은 샤프트(152)에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외주연에 수직으로 가이드장홈(158b)을 형성하고 상부보조하우징(130a)에 가이드핀(159b)을 관통시키되 가이드핀(159a)의 전단을 가이드장홈(158b)에 위치시켜 상부보조하우징(130a)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캠(159d)은 샤프트(152)에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구(160)에 하향으로 수용공간(163)을 형성하여 상부캠(159d)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회전구(150b)의 가이드홈(159)은 나선으로 형성하거나 수평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탄성가이드구(180)는 지지구(140)의 하측에 설치하여 하부보조하우징(130b)에 결합하되 내주연에 걸림턱(181)을 형성하고 걸림턱(181)의 상하측으로 고정용나사(182)와 가압용나사(183)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볼트(190)는 보조탄성가이드구(180)의 고정용 나사(182)에 나사결합하여 관통시키되 상단에 키(191)를 형성하여 지지구(140)의 키홈(144)에 끼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볼트(190)의 하향으로 슬라이딩 와셔(192)와, 가압용 판스프링(193), 조절볼트(194)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되, 가압용 판스프링(193)은 중앙을 천공한 삿갓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경첩.
  6. 삭제
KR1020170103773A 2017-08-16 2017-08-16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6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73A KR101962742B1 (ko) 2017-08-16 2017-08-16 도어 개폐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73A KR101962742B1 (ko) 2017-08-16 2017-08-16 도어 개폐용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61A Division KR20180046646A (ko) 2016-10-28 2016-10-28 도어 개폐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58A KR20180046858A (ko) 2018-05-09
KR101962742B1 true KR101962742B1 (ko) 2019-03-27

Family

ID=6220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73A KR101962742B1 (ko) 2017-08-16 2017-08-16 도어 개폐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06B1 (ko) * 2018-10-05 2020-06-02 (주)유어니즈 걸대를 구비한 경첩
KR101992670B1 (ko) * 2018-12-26 2019-06-25 이기현 폴딩도어 회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00Y1 (ko) * 1999-09-29 2000-03-15 채권병 힌지 장치
JP2011094445A (ja) * 2009-11-02 2011-05-12 Konakawa:Kk 自動開閉扉蝶番
KR101067893B1 (ko) * 2009-08-03 2011-09-28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KR101613825B1 (ko) * 2015-12-10 2016-04-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26B1 (ko) * 1999-10-09 2002-06-12 이경희, 장련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KR100390412B1 (ko) * 2000-02-03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00Y1 (ko) * 1999-09-29 2000-03-15 채권병 힌지 장치
KR101067893B1 (ko) * 2009-08-03 2011-09-28 장종복 도어 개폐용 자유 경첩
JP2011094445A (ja) * 2009-11-02 2011-05-12 Konakawa:Kk 自動開閉扉蝶番
KR101613825B1 (ko) * 2015-12-10 2016-04-19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58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651B2 (en) Hinge for opening/closing door
DE3310342C2 (ko)
KR101613825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6274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US20080307606A1 (en) Hinge
US20130283566A1 (en) Side adjustable door hinge pin socket mechanism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US7971319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CN105064847A (zh) 门驱动装置
KR101962741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874255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1114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CN105350848A (zh) 一种三维可调暗铰链
DE102006059224A1 (de) Antrieb für Drehflügeltüren
KR101874253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20180046646A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202891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430387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DE10152699B4 (de) Möbelscharnier mit Öffnungsmechanik, insbesondere für Möbeltüren
DE102013001067B3 (de) Türstopper-Einrichtung für ein Türblatt
EP3143227A1 (de) Lageranordnung für eine tür
KR10202751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612336B1 (ko)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190022182A (ko) 도어 개폐용 경첩
DE102018133069B4 (de) Elektronisches Schloss mit einem Drucktaster für eine Türmon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