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606B1 - 걸대를 구비한 경첩 - Google Patents

걸대를 구비한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606B1
KR102117606B1 KR1020190123241A KR20190123241A KR102117606B1 KR 102117606 B1 KR102117606 B1 KR 102117606B1 KR 1020190123241 A KR1020190123241 A KR 1020190123241A KR 20190123241 A KR20190123241 A KR 20190123241A KR 102117606 B1 KR102117606 B1 KR 102117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haft
hinge
hang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602A (ko
Inventor
이국현
Original Assignee
(주)유어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어니즈 filed Critical (주)유어니즈
Publication of KR2020003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 뒤편에 수납장 등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임에 있어, 기존 도어의 경첩 또는 새로운 경첩에 장착되는 걸대를 도입하여 도어 뒤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걸대를 구비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은 날개 및 이 날개와 연결된 축설부를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회전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각 축설부에 끼워지고 이탈방지 헤드를 구비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연결되고 장착공을 구비한 걸이부를 구비한 걸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걸대를 구비한 경첩{HINGE EQUIPPED WITH RACK}
본 발명은 걸대를 구비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 뒤편에, 특히 도어 손잡이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등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임에 있어, 기존 도어의 경첩 또는 새로운 경첩에 장착되는 걸대를 도입하여 도어 뒤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걸대를 구비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각종 도어나 선반, 수납장 등을 위한 경첩과 관련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91101호(등록일자 2002년09월23일) [봉형 앵글선반용 경첩]이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봉부재를 일정한 길이로 재단하고 이를 결속구로 결속하여 만들어진 다수의 봉형 앵글선반을 절첩 전개되게 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절첩 전개시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이 절첩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봉형 앵글선반의 봉부재에 끼워 결합되어서 3 개의 회전지점을 갖는 경첩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봉형 앵글선반이 절첩 전개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봉형 앵글선반이 절첩시나 전개시 봉형 앵글선반과 선반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봉형 앵글선반을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153192호(등록일자 2012년05월30일)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거치대]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휴대폰, PDA, 내비게이션 등의 모바일 기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이 힌지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호 이격해서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1,2회전축과 복원스프링과 링크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제1,2회전축 중 어느 하나를 외력으로 회전시키면 다른 하나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힌지 장치를 거치대에 설치할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는 거치대 아암을 설치하고, 제1,2회전축에는 각각 클램핑레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클램핑레그에 외력을 가하면 다른 하나의 클램핑래그도 동시에 개방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클램핑래그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모바일 기기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다음으로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2513호(공개일자 2016년07월18일)[여닫이문 벽걸이 정원]이 있는데,
이 공개고안은 액자형 틀에 복수의 화분이 담긴 수직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된 여닫이문 벽걸이 정원에 관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집이나 가게에 벽걸이 정원을 꾸밀 수 있고 앞 판을 여닫이로 구성함으로써 화분의 교체와 물의 공급 등을 수월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고, 또 관상하고자 하는 식물만 보일 수 있도록 하고 화분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유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663751호(등록일자 2016년09월30일) [힌지와 간섭 없이 선반을 거치할 수 있는 수납장]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힌지로 연결된 문짝에 의해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복수의 선반에 의해 내부공간을 다단으로 나누어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힌지와 간섭없이 선반을 거치할 수 있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며, 선반을 착탈 가능하게 거치하기 위해 외부케이스 측판에 부착되는 거치레일 자체가 힌지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힌지의 위치나 개수에 관계 없이 자유롭게 선반의 거치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납장의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거치레일에 선반이 거치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걸림구 특히, 거치레일의 걸림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선반의 걸림돌기가 크랭크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걸림공에 완전히 삽입된 때 걸림공 안으로 삽입된 부분에 의해서도 선반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허용하중을 더 늘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사용 안정성이나 편리성 향상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모두 통상의 출입용 여닫이 도어 뒤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과는 무관하며, 또 경첩에 수납장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는 무관하다.
이에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 뒤편에, 특히 도어 손잡이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등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임에 있어, 기존 도어의 경첩 또는 새로운 경첩에 장착되는 걸대를 도입하여 도어 뒤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걸대를 구비한 경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첩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회전체와, 이 회전체들을 연결하는 샤프트에 걸대를 도입하기 위하여 샤프트 결합용 고정부 및 장식장 등의 연결을 위한 걸이부를 구비한 걸대를 도입한 경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걸대의 걸이부가 회전체의 축설부와 이격되어 있어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등과 걸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체결 공간을 제공하고, 경첩의 회전체와 걸대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경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샤프트가 나사체결방식으로 분해되도록 하여 걸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경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걸대가 고정부 반대측에 지지부를 도입하여 걸대에 연결되는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등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경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은
날개 및 이 날개와 연결된 축설부를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회전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각 축설부에 끼워지고 이탈방지 헤드를 구비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연결되고 장착공을 구비한 걸이부를 구비한 걸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에서
상기 걸대의 걸이부는 제1 및 제2 회전체의 축설부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헤드 및 수나사부를 구비한 축핀과, 축핀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걸대의 고정부 반대측의 걸이부에는 제1 및 제2 회전체의 축설부 또는 샤프트에 접촉하는 이격 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은 경첩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회전체와, 이 회전체들을 연결하는 샤프트에 걸대를 도입하기 위하여 샤프트 결합용 고정부 및 장식장 등의 연결을 위한 걸이부를 구비한 걸대를 도입하며, 또 걸대의 걸이부가 회전체의 축설부와 이격되어 있어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등과 걸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체결 공간을 제공하고, 경첩의 회전체와 걸대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은 샤프트가 나사체결방식으로 분해되도록 하여 걸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걸대가 고정부 반대측에 지지부를 도입하여 걸대에 연결되는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등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결국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 뒤편에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등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임에 있어, 기존 도어의 경첩 또는 새로운 경첩에 장착되는 걸대를 도입하여 도어 뒤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의 결합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은 이용하여 도어 뒤편에 수납장을 설치하는 상태에 대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걸대 및 경첩에 대한 도면 대용 분해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걸대를 구비한 경첩(A)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의 경첩 분해사시도, 도 2의 경첩 결합 측면도, 도 3의 경첩 및 수납장 설치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걸대(30)를 구비한 경첩(A)은 크게 회전체(10) 특히 제1 및 제2 회전체(10A,10B), 제1 및 제2 회전체(10A,10B)의 각 축설부(13)에 끼워져서 두 회전체를 연결하는 샤프트(20), 그리고 이 샤프트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걸이부를 구비한 걸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대(30)는 기존 도어에 설치된 경첩에 장착될 수 있으나, 통일되지 않은 형상과 크기를 갖는 다양한 경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걸대 전용의 새로운 경첩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걸대에 연결되어 출입 여닫이 도어의 뒤편에, 특히 도어 손잡이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여유 공간에 설치되는 물품은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화분, 그림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체(10) 특히 제1 및 제2 회전체(10A,10B)는 각각 날개(11) 및 이 날개와 연결된 축설부(13)를 갖고, 날개(11)에는 체결공(11a)을 가져 이 체결공에 결합되는 볼트를 통하여 도어(D)를 문틀(Df)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샤프트(20)는 제1 및 제2 회전체(10A,10B)의 각 축설부(13)에 끼워지고 이탈방지 헤드(21A)를 구비한 축핀(21)을 갖는다.
특히 이 축핀(21)은 본 걸대(30) 전용의 새로운 경첩에 적합하도록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여서,
샤프트(20)가 헤드(21A) 및 수나사부(21B)를 양단부에 구비한 축핀(21)과, 이 축핀의 수나사부(21B)에 결합되는 암나사부(23A)를 구비한 너트(23)로 구성되어 있어, 결국 샤프트가 나사체결방식으로 분해되도록 하여 걸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걸대(30)는 상기 샤프트(20), 특히 헤드(21A)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탈방지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31)와, 이 고정부에 연결되고 장착공(33A)을 구비한 걸이부(33)를 구비한다.
상기 걸이부(33)의 장착공(33A)은 장공 형태, 복수의 구멍형태일 수 있고,
도 2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타원 내 변형예의 걸대(30m) 및 변형 걸이부(33m)와 같이, 다양한 수납장 등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두 메인 장착공(33a)과, 이격된 두 메인 장착공(33a)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장착공(33B)으로 구성되어 브라켓(51)을 걸대(30)에 연결하는 볼트(51A)가 높이 조절에 따라 다단 보조장착공(33B)에 위치하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변형 걸대(30m)는 브라켓(51)이 좌우 각 메인 장착공(33a) 및 보조장착공(33B)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대(30)의 걸이부(33)는 제1 및 제2 회전체(10A,10B)의 축설부(13)와 떨어져 있어 도 2와 같이 이격부(G)를 형성하여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등과 걸대(3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특히 브라켓(51)의 체결 공간을 제공하고, 경첩의 회전체(10)와 걸대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대(30)의 고정부(31) 반대측의 걸이부(33)에는 제1 및 제2 회전체(10A,10B)의 축설부(13) 또는 샤프트(20)에 접촉하는 이격 지지부(35)가 구비되어 있어, 걸대에 연결되는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등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 이격 지지부(35)는 고정부(31)의 고정공(31A)과 같이 도 1에 도시된 통공형 결합공(35A)을 갖는 형태여서 샤프트 축핀(21)의 수나사부(21B)측이 삽설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도 2의 하부 좌측 일점 쇄선 타원 내 변형예의 걸대(30M) 및 변형 지지부(35m)와 같이, 이격 지지부(35A)는 단순하게 회전체(10A)의 축설부(13) 외면 일부가 삽입되는 반원형 홈 형상일 수 있다(또는 축핀(21)의 수나사부(21B) 측의 외주면 일부와 접촉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화분, 그림 등 다양한 물품을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 뒤편에 시공하는 경우 기존 도어의 경첩에 걸대를 조립하여 활용할 수 있다.
범용성을 위하여 새로운 경첩을 활용하는 경우 기존 경첩은 제거하고 회전체(10A,10B)의 축설부(13)가 연통되도록 상하 배열하고, 축설부(13) 상하단에 걸대(30)의 고정부(31) 고정공(31A) 및 지지부(35)의 결합공(35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핀(21)을 수나사부(21B)측이 삽입되도록 하며, 완전히 축핀(21)을 삽입한 후 너트(23)의 암나사부(23A)를 수나사부(21B)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회전체(10A,10B) 날개(11)의 체결공(11a)에 피스를 결합하여 걸대(30)가 조립된 경첩(A)을 도어(D) 및 문틀(Df)에 조립한다.
다음으로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화분, 그림 등 다양한 물품을 도어(D) 뒤에 임시 배열한 후 브라켓(51)을 조립할 위치를 가늠한다.
브라켓(51)의 제1통공(51a)에 볼트(51A)를 끼운 후 너트(51B)를 헐겁게 조여 걸대(30)의 걸이부(33) 장착공(33)에 배열하며,
다시 브라켓의 제2통공(51b)에 피스를 이용하여 수납장등 물품에 박아 고정한다.
이어 볼트(51A) 및 너트(51B)를 꽉 조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 설치 사례에 대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브라켓의 형상 및 종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며, 볼트(51A) 및 너트(51B)의 용이한 조임 설치를 위한 다양한 공회전 방지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또 도 1과 같이, 통일되지 않은 형상과 크기를 갖는 다양한 기존 설치 경첩을 활용하지 않고 걸대 전용의 새로운 경첩을 도입하는 경우, 이 전용 신규 경첩은 기존 경첩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작은 신규 경첩의 도입시 기존 경첩을 제거한 도어 및 문틀에 납아 있는 요입 자국을 가리기 위하여 마감부재(40)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마감부재는 다양한 색상, 두께 및 크기를 갖는 테이프를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장 상황에 맞게 재단하여 적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걸대(30M) 및 경첩(A)에 대한 도면 대용 분해 사진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변형 회전체(10M)는 상대적으로 큰 날개(11M)와 작은 날개(11m)로 구성되고, 작은 날개는 큰 날개 중앙의 수용공에 수납되는 접힘 구조를 갖고, 각 날개(11M,11m)는 축설부(13)를 통하여 축핀(21)에 결합되어 회동되어 접히고 펼쳐진다.
또 본 변형예에서 샤프트(20)는 축핀(21)에 결합되는 분체(21P)를 포함하고, 이 분체(21P)는 제1 또는 제2 회전체의 축설부(13)에 결합되는 소켓(21S)과, 이 소켓(21S) 일단부에 배열된 수나수부(21b)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소켓(21)은 축핀(21) 단부와 회전체(10M)의 축설부(13)를 수용하고,
축설부(13)와 연결된 변형 회전체(10M)의 큰 날개(11M)가 끼워지는 슬릿(21s)을 가져
도어(D) 뒤에 설치되는 수납장(50)의 하중 지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본 경첩(A) 및 걸대(30M)를 기설치된 회전체(10)에 장착함에 있어 범용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본 변형 걸대(30M)는 수직부분인, 장착공(33A)을 갖는 걸이부(33) 상하부가 절곡되어 자음 'ㄷ'자 구조를 갖고, 각 단부가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31m) 및 트임형 결합홈을 갖는 지지부(35m)를 구성한다.
변형 샤프트(20)의 소켓(21S)을 도어(D)와 문틀(Df)에 기설치된 회전체(10M)의 축핀(21) 및 축설부(13) 상하단에 끼워 설치하되, 슬릿(21s)이 축설부(13)와 연결된 변형 회전체(10M)의 큰 날개(11M)에 결합되도록 하고,
소켓(21S)과 슬릿(21s)의 결합 정도(삽입 정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걸대(30M)의 상부 고정부(31m)가 상부 분체(21P)의 수나사부(21b)에 결합되도록 하고,
걸대(30M)의 하부 지지부(35m)의 트임형 결합홈이 하부 분체(21P)의 수나사부(21b)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하 분체(21P)의 수나사부(21b)에 너트(23m)를 결합하여 걸대(30M)의 고정부(31m) 및 지지부(35m)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 브라켓(51)을 걸대(30M) 걸이부(33)에 장착공(33A)에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 수납장(5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경첩 및 걸대의 소재 및 치수, 수납장, 옷걸이, 거치대, 장식장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경첩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경첩 10,10A,10B: 회전체
11: 날개 13: 축설부
20: 샤프트 21: 축핀
21A: 헤드 23: 너트
30: 걸대 31: 고정부
33: 걸이부 35,35A,35a: 지지부
40: 마감부재 50: 수납장
51: 브라켓

Claims (4)

  1. 날개 및 이 날개와 연결된 축설부를 각각 구비한 제1 및 제2 회전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체의 각 축설부에 끼워지고 이탈방지 헤드를 구비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연결되고 장착공을 구비한 걸이부를 구비한 걸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체는 상대적으로 큰 날개를 갖고, 제2회전체의 상대적으로 작은 날개를 가지며, 작은 날개는 큰 날개 중앙의 수용공에 수납되는 접힘 구조를 갖고,
    상기 샤프트는 헤드를 구비한 축핀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축핀에 결합되는 분체를 더 포함하고, 이 분체는 제1 또는 제2 회전체의 축설부에 결합되는 소켓과, 이 소켓 일단부에 배열된 수나수부를 갖고,
    상기 소켓은 축핀 단부와 회전체의 축설부를 수용하고, 축설부와 연결된 회전체의 큰 날개가 끼워지는 슬릿을 갖고,
    상기 걸대의 걸이부는 제1 및 제2 회전체의 축설부와 떨어져 있어 이격부를 형성하여 설치 물품과 걸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브라켓의 체결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샤프트의 분체는 상부 및 하부 분체로 구성되고,
    상기 걸대의 고정부 반대측에 구비된 걸이부는 제1 및 제2 회전체의 샤프트의 하부 분체를 구성하는 수나사부에 접촉하는 이격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대의 상부 고정부가 상부 분체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대의 하부 이격 지지부는 통공형 결합공이거나 트임형 결합홈 형상이고,
    상기 브라켓은 제1 및 제2 통공을 갖고, 제1통공과 걸대 걸이부의 장착공에 볼트를 끼운 후 너트를 조여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의 제2통공과 설치 물품에 피스를 박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대의 하부 지지부는 트임형 결합홈을 갖고, 이 결합홈이 하부 분체의 수나사부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하 분체의 수나사부에 너트를 결합하여 걸대의 고정부 및 지지부가 고정되고,
    상기 걸대의 걸이부는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두 메인 장착공과, 이 이격된 두 메인 장착공 사이를 연결하는 다단 보조장착공으로 구성되어 브라켓을 걸대에 연결하는 볼트가 높이 조절에 따라 다단 보조장착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4. 삭제
KR1020190123241A 2018-10-05 2019-10-04 걸대를 구비한 경첩 KR102117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06 2018-10-05
KR20180119106 2018-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602A KR20200039602A (ko) 2020-04-16
KR102117606B1 true KR102117606B1 (ko) 2020-06-02

Family

ID=7045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241A KR102117606B1 (ko) 2018-10-05 2019-10-04 걸대를 구비한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72U (ja) * 1991-07-25 1993-02-19 利男 小倉 二重扉用蝶番
KR20060095214A (ko) * 2005-02-28 2006-08-31 이대훈 경첩
KR101962742B1 (ko) * 2017-08-16 2019-03-27 장종복 도어 개폐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602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4483A1 (en) Stackable/wall mountable headwear storage and display cabinet system with variable lighting (CapPalace)
US6378709B1 (en) Single standard shelving system
US6520463B1 (en) Mounting bracket for wall mounted accessory
US7779996B2 (en) Box with A-Frame product support
US20190183244A1 (en) Combination collapsible table picture frame
KR102117606B1 (ko) 걸대를 구비한 경첩
EP2273052A1 (en) Masking device for wall-embedded equipment
US20160348300A1 (en) Drying assembly
US20180231180A1 (en) Rail Post Vertical Extension System
US20070080125A1 (en) Corner closet
KR101884982B1 (ko) 이동식 선반장치용 선반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선반장치
CN208755315U (zh) 可折叠置物架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CN215189918U (zh) 多功能三角吊架
US9439509B2 (en) Removably attachable and adjustable outdoor furniture weights
CN210611409U (zh) 折叠支架附件
CN201861385U (zh) 一种可拆装的装饰置物框
KR101187774B1 (ko) 싱크대 선반 탈부착용 거울판 장식대
CN220504815U (zh) 一种隐藏转轴夹锁板结构和淋浴房门
US20170191609A1 (en) Rail Post Vertical Extension System
US20080271483A1 (en) Memorabilia and charm display
CN210181992U (zh) 一种多功能灯箱
CN213640349U (zh) 一种陈列挂架及其安装结构
CN213216304U (zh) 组合式展示结构
KR200229600Y1 (ko) 건물내벽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