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336B1 -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336B1
KR101612336B1 KR1020150111174A KR20150111174A KR101612336B1 KR 101612336 B1 KR101612336 B1 KR 101612336B1 KR 1020150111174 A KR1020150111174 A KR 1020150111174A KR 20150111174 A KR20150111174 A KR 20150111174A KR 101612336 B1 KR101612336 B1 KR 10161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panel
pair
wir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일
Original Assignee
박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일 filed Critical 박헌일
Priority to KR102015011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Abstract

본 발명은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되어 3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단 미닫이문의 중간 미닫이문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후방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패널의 양측방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중심부가 축설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와,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각각 안착되되, 일측면은 와이어에 체결되고 하면은 좌우측 미닫이문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는 좌측 또는 우측 미닫이문을 개폐함으로써 반대편의 미닫이문도 함께 개폐가 되며, 또한 좌우측 패널로 분할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미닫이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량생산도 가능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triple sliding door}
본 발명은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되어 3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단 미닫이문은 중간 미닫이문과, 상기 중간 미닫이문의 좌우측에 중간 미닫이문의 전·후면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는 좌측 미닫이문과 우측 미닫이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3단 미닫이문을 연동하기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21686호에 문틀 또는 창틀의 중간과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3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미닫이문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며, 전/후방 상부에는 각각 레일과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의 양측으로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방 상부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한쌍의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축설된 롤러에 권취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일면에 다수의 기어가 형성된 벨트와; 상기 벨트가 롤러에 권취된 상태에서 벨트의 중간 부분과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 각각 일체로 결착되어 이동하며, 하부에는 상기 본체의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형성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 일체로 돌출된 고정판에는 다수의 고정공이 통공되어 나사에 의해 좌/우측 미닫이문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체결되는 한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삽입공과 한쌍의 장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는 각각 캠축을 삽입하고, 상기 캠축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결합홈에 삽입된 고정체를 밀어 상기 롤러에 권취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장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체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공에 일체가 되게 체결하여 상기 롤러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37681호에 여러 개의 도어가 연동되면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단에 풀리가 설치되고 중간 도어의 상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 풀리 사이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상태로 작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중간 도어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는 내,외측 도어의 상면에 부착된 핀이 끼워지는 연동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2개의 풀리가 고정 설치되고, 이 2개의 고정된 풀리 사이에는 길이조절풀리가 설치되되, 이 길이조절풀리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길이조절장공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벨트가 상기 풀리에 모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길이조절풀리를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벨트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도어의 좌우 폭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우측 패널로 분할되어 설치되되, 분할된 좌우측 패널은 서로 접하는 일단이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중간 미닫이문의 상면에 길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닫이문에 장착할 수 있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되어 3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는 3단 미닫이문의 중간 미닫이문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후방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패널의 양측방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중심부가 축설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와,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각각 안착되되, 일측면은 와이어에 체결되고 하면은 좌우측 미닫이문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는 좌측 또는 우측 미닫이문을 개폐함으로써 반대편의 미닫이문도 함께 개폐가 되며, 또한 좌우측 패널로 분할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미닫이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량생산도 가능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평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가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된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좌우측 패널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의 좌우측 패널의 결합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좌우측 패널이 결합된 부분의 상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단면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분리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결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작동 상태도.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되어 3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200)는 3단 미닫이문의 중간 미닫이문(D1)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패널(210)과, 상기 패널(210)의 전·후방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레일(220)과, 상기 패널(210)의 양측방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중심부가 축설된 한 쌍의 롤러(230)와, 상기 한 쌍의 롤러(23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L)와, 상기 한 쌍의 레일(220)에 각각 안착되되, 일측면은 와이어(L)에 체결되고 하면은 좌우측 미닫이문(D2, D3)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24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패널(210)은 좌우측 패널(211, 212)로 분할되어 설치되되, 분할된 좌우측 패널(211, 212)은 서로 접하는 일단이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중간 미닫이문(D1)의 좌우방향의 길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와이어(L)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의 평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가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된 설치 상태도이다.
일반적으로 3단 미닫이문(200)은 중간 미닫이문(D1)과, 상기 중간 미닫이문(D1)의 좌우측에 중간 미닫이문(D1)의 전·후면으로 중첩되게 각각 슬라이딩되는 좌측 미닫이문(D2)과 우측 미닫이문(D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미닫이문(200)에 설치되어 3단 미닫이문(200)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중간 미닫이문(D1)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패널(210)이 장착되고, 상기 패널(210)의 전·후방 상면에는 한 쌍의 레일(220)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210)의 양측방 상면에는 회전가능하게 한 쌍의 롤러(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한 쌍의 롤러(230)는 원판형으로서 중심부가 패널(210)의 상면에 축설되어 축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것으로, 각각 한 쌍의 레일(2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롤러(23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와이어(L)가 장착되는 것이다.
즉, 와이어(L)는 패널(210)의 상면 모서리를 따라 장착되어 있는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220)에는 각각 안착되되, 일측면은 와이어(L)에 체결되고 하면은 좌우측 미닫이문(D2, D3)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240)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하나의 슬라이더(240)가 레일(220)을 따라 직선운동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슬라이더(240)는 와이어(L)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함께 레일(220)을 따라 직선운동하게 된다.
즉, 어느 하나의 슬라이더(240)가 레일(220)을 따라 패널(210)의 중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반대편에 위치한 슬라이더(240)도 레일(220)을 따라 패널(210)의 중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레일(220)을 따라 패널(210)의 일측 끝단부로 이동하게 되면 반대편의 슬라이도(150)는 패널(210)의 타측 끝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미닫이문(D2)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우측 미닫이문(D3)이 동시에 슬라이딩하게 되며, 우측 미닫이문(D3)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좌측 미닫이문(D2)이 동시에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특히, 좌측 미닫이문(D2) 또는 우측 미닫이문(D3)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게 되면, 즉 좌측 미닫이문(D2)을 고정하고 우측 미닫이문(D3)을 동작시키면 우측 미닫이문(D3)과 중간 미닫이문(D1)은 연동하게 순차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우측 미닫이문(D3)을 고정하게 되면 좌측 미닫이문(D2)과 중간 미닫이문(D1)이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좌우측 패널 개요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의 좌우측 패널의 결합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좌우측 패널이 결합된 부분의 상세 개요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패널(210)은 좌우측 패널(211, 212)로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분할된 좌우측 패널(211, 212)은 서로 접하는 일단이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중간 미닫이문(D1)의 상면에 길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와이어(L)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조임장치(200)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200)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211)의 일단이 우측 패널(212)의 일단에 삽입되어 중첩되려면 좌측 패널(211)의 폭은 우측 패널(212)의 폭보다 작으며, 또한 좌측 패널(211)이 우측 패널(212)에 삽입되면 자연스럽게 좌측 패널(211)의 좌측 레일(221)과 우측 패널(212)의 우측 레일(222) 간에는 단차가 형성되기 마련이다.
이에, 좌측 패널(211)의 좌측 레일(221)과 우측 패널(212)의 우측 레일(222) 간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슬라이더(240)는 좌측 패널(211)의 좌측 레일(221)과 우측 패널(212)의 우측 레일(222) 사이를 이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우측 패널(212)의 일단에 삽입되는 좌측 패널(211)의 일단에 경사면(A)을 형성하였다.
또한, 슬라이드(240)가 레일(220)에 결합될 때, 꼭 맞춤으로 결합하지 않고 좌측 패널(211)의 단차 만큼의 여유가 있도록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에는 좌측 패널(211)이 우측 패널(212)에 삽입되어 가변되는 길이에 맞도록 와이어(L)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와이어 조임장치(100)를 장착하였다.
도 7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는 등록특허공보 제1438572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하우징(157), 권취부재(155), 서포트부(160), 그리고 중간부재(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57)의 내주 상부에는 원주 일방향 래칫형 기어(도 4의 157c)가 형성되며, 기설정된 측부에는 와이어(L)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157d)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7)의 내측에는 와이어(L)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권취부재(15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권취부재(155)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와이어(L)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57)에는 결합축(161)의 하부가 결합되되, 상기 결합축(161)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서포트부(16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153)의 몸체부(153e)로부터 탄성지지력을 갖도록 연장된 날개부([0027] 153y)의 단부에는 상기 래칫형 기어(157c)에 선택적으로 형합되어 일방향 회전이 구속되는 형합구속부(153z)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일방향은 상기 래칫형 기어(157c)에 결합된 형합구속부가 빗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날개부(153y)가 내측으로 탄발변형됨에 따라 중간부재(153)가 회전가능한 방향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하우징(157)의 래칫형 기어(157c)에 대하여 형합구속부(153z)가 형성된 중간부재(15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표현되어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상기 날개부(153y)의 단부에 구비된 형합구속부(153z)는 상기 래칫형 기어(157c)의 기엇니를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날개부(153y)는 내측으로 휘어졌다가 다음 기엇니에서 탄성회복력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153y)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중간부재(153)는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반시계방향으로는 상기 날개부(153y)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형합구속부(153z)가 상기 래칫형 기어(157c)에 완전히 형합되어 구속되므로 중간부재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원주 일방향 래칫형 기어(157c)는 상기 중간부재(153)를 일방향으로는 회전되도록 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회전을 구속하며, 이러한 회전가능한 일방향은 래칫형 기어 및 형합구속부의 형상을 조절하여 상기 중간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계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재(155)의 상부 및 상기 중간부재(153)의 하부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형합되어 결합되는 걸림형합부(155f) 및 걸림결합부(153f)가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형합부(155f) 및 걸림결합부(153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돌출된 기어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153)가 상승되면 상기 걸림형합부(155f) 및 걸림결합부(153f) 간의 결합관계가 해제되어 상기 권취부재(155)는 자유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간부재(153)의 중앙부에는 탄발구속부가 테두리에 형성된 탄성결합홀(15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발구속부는 상기 중간부재가 외력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160)의 외주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됨으로써 상기 중간부재(153)가 상기 권취부재가 상호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즉, 상기 중간부재(153)가 상승되면 상기 걸림형합부(155f) 및 걸림결합부(153f) 간의 결합이 해제되며, 반대로 상기 중간부재(153)가 하강되면 상기 걸림형합부(155f) 및 걸림결합부(153f)가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153)의 상부 및 외측부에는 외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커버(151)가 회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작동되도록 후크결합 방식 내지 접착제 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회전커버(15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L)를 조일 수 있고, 반대로 와이어(L)를 풀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커버(151)를 상승시켜 상기 중간부재(155)와 권취부재(155)의 결합을 해제한 후 와이어(L) 양단을 당겨 간편하게 풀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도면부호는 등록특허공보 제1438572호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분리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결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장착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240)의 상면에는 안착홀(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측면에는 와이어(L)가 안착홀(241)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통구(2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착홀(241)의 바닥면(244) 중심에는 하부로 관통되어 도어(D), 즉 좌측 도어(D2)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체결홈(H)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볼트체결홀(2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B)로서 볼트체결홀(243)과 볼트체결홈(H)을 삽입시킴으로써 슬라이더(240)와 좌측 도어(D2)는 서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240)의 안착홀(241)의 내주연에는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케이싱(110)과 조임볼트(120), 권취롤러(1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110)은 하부가 개구되어 내구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중공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슬라이더(240)의 연통구(242)와 수평선상에 일치하는 관통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120)는 헤드(211)와, 헤드(211)의 하면 중심에 돌출형성된 몸통(122)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몸통(122)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끝단부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산산부(122b)와, 나사산부(122b)의 상부인 헤드(211)와 접하는 외주연에는 평면부(12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권취롤러(130)는 상기 조임볼트(120)의 나사산부(122b)에 나사체결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외주연에는 와이어(L)가 귄취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권취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권취롤러(13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10)의 중공홀(112)로 조임볼트(110)의 몸통(122)을 삽입하고, 몸통(122)의 나사산부(122b)를 권취롤러(133)의 상부 개구부로 삽입하여 나사결합사킨 후, 케이싱(110)은 고정한 채, 조임볼트(110)의 헤드(111)를 잡고 회전시키면 권취롤러(130)는 조임볼트(120)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조가 된다.
와이어(L)의 일단을 권취롤러(130)에 체결하여 케이싱(110)을 고정한 채, 조임볼트(110)를 회전시키면 와이어(L)는 권취롤러(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권취홈(131)에 감기면서 권취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L)는 풀리게 되는 것이다.
와이어(L)의 타단은 반대편에 위치한 슬라이더(240)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임볼트(120)의 헤드(121)의 하면에는 몸통(122)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돌기(123)를 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123)의 끝단부는 직경이 더 큰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110)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돌기(123)에 일대일 대응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와이어 조임장치(100)를 슬라이더(240)에 체결할 때, 안착홀(241)에 삽입되어 도어(D)에 고정된 볼트(B)의 상면에 스프링(140)을 안착하고, 조임볼트(120)가 체결되어 있는 케이싱(110)을 안착홀(241)에 삽입시키도록 한다.
이때, 케이싱(110)의 외주연에는 안착홀(24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와이어(L)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임볼트(12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케이싱(110)의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있는 조임볼트(120)의 삽입돌기(123)는 탈착되며, 조임볼트(12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프링(140)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볼트(120)의 삽입돌기(123)가 케이싱(110)의 삽입홈(113)에 분리된 후에는, 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면서 조임볼트(120)를 회전시키는 수고를 덜하게 된다.
이렇게 조임볼트(120)를 회전시켜 와이어(L)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는 다시 조임볼트(120)의 삽입돌기(123)를 케이싱(110)의 삽입홈(113)에 삽입시킴으로써 조임볼트(120)는 쉽게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는 좌측 또는 우측 미닫이문을 개폐함으로써 반대편의 미닫이문도 함께 개폐가 되며, 또한 좌우측 패널로 분할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미닫이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량생산도 가능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와이어 조임장치
110. 케이싱 111. 관통구 112. 중공홀
113. 삽입홈 120. 조임볼트 121. 헤드
122. 몸통 122a. 평면부 122b. 나사산부
123.삽입돌기 130. 권취롤러 131. 권취홈
140. 스프링
200. 연동장치
210. 패널 211. 좌측 패널 212. 우측 패널
220. 레일 221. 좌측 레일 222. 우측 레일
230. 롤러 240. 슬라이더 241. 안착홀
242. 연통구 243. 볼트체결홀 244. 바닥면
A. 경사면 B. 고정볼트 L. 와이어
D. 3단 미닫이문
D1. 중간 미닫이문 D2. 좌측 미닫이문 D3. 우측 미닫이문

Claims (3)

  1. 3단 미닫이문에 설치되어 3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200)는 3단 미닫이문의 중간 미닫이문(D1)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재형상의 패널(210)과, 상기 패널(210)의 전·후방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레일(220)과, 상기 패널(210)의 양측방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중심부가 축설된 한 쌍의 롤러(230)와, 상기 한 쌍의 롤러(23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L)와, 상기 한 쌍의 레일(220)에 각각 안착되되, 일측면은 와이어(L)에 체결되고 하면은 좌우측 미닫이문(D2, D3)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2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210)은 좌우측 패널(211, 212)로 분할되어 설치되되, 분할된 좌우측 패널(211, 212)은 서로 접하는 일단이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중간 미닫이문(D1)의 좌우방향의 길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되,
    상기 좌측 패널(211)의 좌측 레일(221)과 우측 패널(212)의 우측레일(222) 간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슬라이더(240)는 좌측 패널(211)의 좌측 레일(221)과 우측 패널(212)의 우측 레일(222) 사이를 이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우측 패널(212)의 일단에 삽입되는 좌측 패널(211)의 일단에는 경사면(A)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240)가 레일(220)에 결합될 때, 슬라이드(240)는 좌우측 레일(221, 222)의 단차 만큼의 여유가 있도록 헐겁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240)가 좌측 패널(211)의 좌측 레일(221)과 우측 패널(212)의 우측 레일(222) 간의 이동시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와이어(L)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111174A 2015-08-06 2015-08-06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61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174A KR101612336B1 (ko) 2015-08-06 2015-08-06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174A KR101612336B1 (ko) 2015-08-06 2015-08-06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336B1 true KR101612336B1 (ko) 2016-04-14

Family

ID=5580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174A KR101612336B1 (ko) 2015-08-06 2015-08-06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846B1 (ko) * 2016-08-04 2017-12-15 박헌일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220121503A (ko) 2021-02-25 2022-09-01 장영근 미닫이 방식의 3연동 도어용 양방향 속도 감속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41B1 (ko) 2012-06-13 2013-02-21 주식회사 씨쓰리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321686B1 (ko) * 2012-06-26 2013-10-23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841B1 (ko) 2012-06-13 2013-02-21 주식회사 씨쓰리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321686B1 (ko) * 2012-06-26 2013-10-23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846B1 (ko) * 2016-08-04 2017-12-15 박헌일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20220121503A (ko) 2021-02-25 2022-09-01 장영근 미닫이 방식의 3연동 도어용 양방향 속도 감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523B1 (ko) 전동식 루버 시스템
KR101744251B1 (ko)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US11149488B2 (en) Safety gate
US20210180392A1 (en) Frame structure and sliding door
RU2692850C1 (ru) Оконная штора
KR101321686B1 (ko)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AU2016258219A1 (en) Movable closure system
KR101612336B1 (ko)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EP2722475B1 (en) Roller shutter with tilting slats
TWI668362B (zh) 具有快速組裝簾繩之窗簾捲線器結構
KR20110134360A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WO2016192513A1 (zh) 一种窗帘绳固定座
US7048027B1 (en) Arcuate shade
CA2887718A1 (en) Roll-up closure drum
US8061741B2 (en) Movable barrier drive case installation safety latch method and apparatus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EP2676587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s
KR101809846B1 (ko)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EP3581753B1 (en) Sliding screening device
EP3296503B1 (en) Fabric roller blind provided with a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JP6251521B2 (ja) 開閉装置
JP2006219863A (ja) 扉開口位置調整システム
CN203296555U (zh) 电机致动器的头部的支持装置、电机致动器的头部、电机致动器和住宅自动化管理设施
EP4124718B1 (en) Fabric roller blind
KR101340623B1 (ko)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