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841B1 -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841B1
KR101222841B1 KR1020120063295A KR20120063295A KR101222841B1 KR 101222841 B1 KR101222841 B1 KR 101222841B1 KR 1020120063295 A KR1020120063295 A KR 1020120063295A KR 20120063295 A KR20120063295 A KR 20120063295A KR 101222841 B1 KR101222841 B1 KR 10122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otating
window
rotating memb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to KR102012006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벨트를 교체하는 대신 회전벨트에 작용하는 텐션을 조절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회전부재 및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회전부재로 구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벨트와, 상기 회전벨트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창호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한 상기 안내레일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벨트의 교체를 위해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분해하였다가 다시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관리가 편리하며, 새로운 회전벨트의 구입이 불필요하므로 운용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TYPE FITTINGS ADJUSTABLE TENSION OF ROTARY BELT}
본 발명은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호에 연결설치되어 미닫이 창호를 구성하는 하나의 창호만 이동시키면 다른 창호들 역시 동시에 연동되어 미닫이 창호가 개방 또는 밀폐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여도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어 회전벨트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는 실내의 출입구나 실내의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문틀에 장착된 문짝이 옆으로 밀려서 개폐되는 문을 말한다.
미닫이는 실내의 폭이 넓은 장소에서는 여러 개의 문짝이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일예로서,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도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하는 미닫이는 연동하는 미닫이는 문틀의 하면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 1 연동문짝(101), 중간문짝(102) 및 제 2 연동문짝(103)과, 상기 중간문짝(10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회전체(104, 104')와, 상기 회전체(104, 104')에 장착된 회전벨트(105)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회전벨트(105)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연동문짝(101)과 제 2 연동문짝(103)의 상면에 각각 비스(106)로 고정되는 고정구(107) 및 상기 제 1, 2 연동문짝(101, 103)과 중간문짝(102)의 하부에 대응하는 문지방(108) 등을 포함하여 제 1 연동문짝(101)이 움직이면 다른 제 2 연동문짝(103) 역시 동시에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미닫이는 고정구(107)가 비스(106)로 상기 제 1 연동문짝(101)과 제 2 연동문짝(103)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비스(106)를 분리하거나 고정하여 상기 고정구(107)에서 상기 제 1 연동문짝(101)과 제 2 연동문짝(103)을 분리하거나 고정하는 경우 위에서 아래로 고정된 비스(106)를 조이거나 풀기 어려운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미닫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최근에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된 부재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미닫이 연동장치의 구성이 종래의 연동장치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두께 및 이격간격에 차이가 있는 창호를 사용하여도 창호 고정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회전벨트가 변형됨에 따라, 주기적으로 연동장치 전체를 일괄적으로 교체해야 된다는 단점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0497호(2011.06.0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047호(2009.06.1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 의해 회전벨트가 변형되어도 상기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회전벨트의 교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일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벨트와, 상기 회전벨트에 연결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호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한 상기 안내레일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는 회전벨트에 변형이 발생되어도 상기 회전벨트를 지지하는 회전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하여 회전벨트의 교체 없이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벨트의 교체를 위해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분해하였다가 다시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관리가 편리하며, 새로운 회전벨트의 구입이 불필요하므로 운용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창호를 그대로 재활용 할 수 있고, 하나의 창호를 제외한 주변 창호에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각 창호의 탈착이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된 부재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미닫이 연동장치의 구성이 종래의 연동장치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두께 및 이격간격에 차이가 있는 창호를 사용하여도 창호 고정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설치한 미닫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이하, "창호 연동장치"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안내레일(100), 상기 안내레일(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210, 220), 상기 회전부재(210, 2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회전벨트(300), 상기 안내레일(100)과 회전벨트(300)에 연결되는 창호 고정부재(410, 420), 및 상기 안내레일(100)과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종래의 미닫이 창호에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창호 연동장치를 설치한 미닫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안내레일(10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레일(100)은 중간 창호인 제 2 창호(14)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창호 고정부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창호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레일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10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롤러부(6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외측에는 회전부재(210, 220)가 삽입되는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이 끼움 결합되도록 안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안내레일(100)에는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이 설치되어 이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양단에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레일(100)은 상기 제 2 창호(14)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너비를 갖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된 평판부(110)와 상기 평판부(110)의 길이 방향에 의한 양 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지지돌출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롤러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창호, 예컨대 제 1 창호(12), 제 2 창호(14), 제 3 창호(16)의 상부에 구비되고, 안내레일(100)에 접촉되어 창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내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각 창호(12, 14, 16)의 상단에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케이스의 축방향을 따른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 예컨대 용수철과, 일단이 상기 탄성체와 접촉되고 타단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원통형의 롤러축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 2 창호(14)에 구비된 롤러부(600)는 안내레일(100)에 형성된 제 1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축(610)의 상단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축(6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의 롤러(6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620)는 롤러축(610)의 선단부에 대하여, 상기 롤러축(6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을 향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롤러 날개부(6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날개부(630)는 가이드 레일의 레일홈에 상기 롤러 날개부(630)가 형성되지 않는 롤러(620)의 일단부만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안내레일(100)을 상기 제 2 창호(14)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안내레일(100)을 제 2 창호(14)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체결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레일(100)을 관통하여 제 2 창호(14)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는 나사 등이 좋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를 원활히 삽입시키기 위해 안내레일(100)에는 제 2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한 쌍의 회전부재(210, 22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210, 220)는 상기 안내레일(100) 양단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안내레일(100) 상단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회전부재(210) 및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회전부재(220)로 구성되며, 회전벨트(300)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회전부재는 원주형의 활차로 형성된다. 여기서, 활차란 바퀴의 외주면에 흠을 만들어 벨트를 걸어서 회전시켜, 물체를 올리거나 내리는 등 이동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활차로는 축이 고정된 정활차, 축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활차, 양자를 절충한 복활차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정활차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회전벨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벨트(300)는 상기 제 1 회전부재(210) 및 제 2 회전부재(2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벨트(300)는 어떠한 회전벨트(30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벨트(300)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환 형상을 갖는 벨트 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벨트(300)는 상기 제 1 회전부재(210) 및 제 2 회전부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궤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창호 고정부재(410, 420)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 고정부재(410, 42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 1 고정부재(410)와 제 2 고정부재(420)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벨트(300)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설치되고, 각각 안내레일(100)의 상부에 연결설치되며, 외력에 의한 회전벨트(300)의 이동에 따라 안내레일(10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재(410, 420)는 양측 회전부재(210, 220)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벨트(300)에 연결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고정부재(410)는 일단부가 제 1 창호(12)의 제 1 롤러부에 연결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벨트(30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제 2 고정부재(420)는 일단부가 제 3 창호(16)의 제 2 롤러부에 연결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벨트(30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제 1 고정부재(410) 및 제 2 고정부재(420)는 안내레일(100)의 중앙 지점에서 서로 최단간격을 유지하고, 안내레일(100)의 양단에서 최장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재(410, 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일측에 상기 회전벨트(300)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412)이 형성되고, 안내레일(100)의 지지돌출부(1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면 일측에 안내레일(1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414)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제 1 삽입홈(412) 중앙에 상기 회전벨트(300)를 창호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리벳(416), 및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어 롤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3 삽입홈이 형성된 평판돌출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평판돌출부는 요(凹)형의 평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3 삽입홈은 제 1 창호(12)의 롤러축 및 제 3 창호(16)의 롤러축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축(610)이 상기 평판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판돌출부의 말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제 3 삽입홈은 평판돌출부에서 내부로 일부 함몰된 부분을 의미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삽입홈의 길이는 상기 평판돌출부 길이의 약 25 내지 75% 정도로 형성되며, 제 3 삽입홈(88)의 너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롤러부 중 최대 두께의 롤러부의 롤러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 연동장치는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은 회전부재(210, 220)가 위치한 안내레일(100)의 말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부재(210, 220)를 외력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은 제 1 회전부재(210)에 설치되거나 제 2 회전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회전부재(210)와 제 2 회전부재(22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은 제 1 회전부재(210), 제 2 회전부재(220),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제 1 회전부재(210)와 제 2 회전부재(220)의 사이간격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회전벨트(300)는 창호 연동장치의 사용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제 1 회전부재(210)와 제 2 회전부재(220)에 의해 작용하는 텐션이 감소된다. 따라서,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은 제 1 회전부재(210)와 제 2 회전부재(220)의 사이간격을 증가시켜 회전벨트(300)에 작용되는 텐션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은 회전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안내레일(10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회전부재 거치부(5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부재 거치부(510)는 외력을 제공받아 안내레일(100) 상에서의 회전부재(210, 2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본판(511)과 보조판(515)으로 구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거치부(510)는 그 횡축 단면이 "ㄱ"자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판(5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100)의 안착홈(1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 끼움결합홈(513)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515)은 본판(511)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판(511)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 된다. 이때, 상기 보조판(515)에는 나사골이 형성된 관통홈(517)이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은 렌치(wrench)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외력을 회전부재 거치부(510)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유두렌치볼트(520)와 무두렌치볼트(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두렌치볼트(520)는 안내레일(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외력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육각렌치를 통해 사용자의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육각렌치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안내레일(100)을 관통하여 안내레일(100)의 외부로 노출된 유두렌치볼트(520)의 몸통에는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통형 캡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두렌치볼트(530)는 유두렌치볼트(520)로 제공되는 외력을 회전부재 거치부(510)에 전달하도록 유두렌치볼트(520)와 회전부재 거치부(51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유두렌치볼트(520)에 접촉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보조판(515)의 관통홈(517)에 삽입된다. 이러한 무두렌치볼트(530)는 유두렌치볼트(5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체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 거치부(51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내레일 110 : 평판부
112 : 안착홈 120 : 지지돌출부
210 : 제 1 회전부재 220 : 제 2 회전부재
300 : 회전벨트 400 : 창호 고정부재
410 : 제 1 고정부재 420 : 제 2 고정부재
500 : 회전부재 이동수단 510 : 회전부재 거치부
511 : 본판 513 : 끼움결합홈
515 : 보조판 520 : 유두렌치볼트
530 : 무두렌치볼트

Claims (4)

  1.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일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벨트와, 상기 회전벨트에 연결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호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한 상기 안내레일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레일은 회전부재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이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양단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안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 끼움결합홈이 형성되는 본판;
    상기 본판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판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나사골이 형성된 관통홈이 구비되는 보조판;
    상기 안내레일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두렌치볼트; 및
    일단이 상기 유두렌치볼트에 접촉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상기 보조판의 관통홈에 삽입되는 무두렌치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63295A 2012-06-13 2012-06-13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222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95A KR101222841B1 (ko) 2012-06-13 2012-06-13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295A KR101222841B1 (ko) 2012-06-13 2012-06-13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841B1 true KR101222841B1 (ko) 2013-02-21

Family

ID=4789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295A KR101222841B1 (ko) 2012-06-13 2012-06-13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4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900B1 (ko) * 2013-12-16 2014-07-16 주식회사 씨쓰리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KR101520289B1 (ko) * 2014-08-25 2015-05-14 김진호 연동 미닫이 장치
KR101612336B1 (ko) 2015-08-06 2016-04-14 박헌일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629501B1 (ko) 2015-01-05 2016-06-10 이준기 다중 미닫이 문의 연동장치
KR101884786B1 (ko) * 2018-01-16 2018-08-02 방호근 3 연동 도어
KR200490457Y1 (ko) 2019-05-28 2019-11-13 김영덕 프레임 일체형 연동 도어용 가이드 모듈 및 이에 의한 연동 도어
KR200490456Y1 (ko) 2019-05-17 2019-11-13 김영덕 연동 도어용 피봇 모듈
KR20210001696U (ko) 2020-01-14 2021-07-22 김영덕 도어 개폐용 접힘 가이드 모듈 및 이를 가진 도어
KR102329948B1 (ko) 2020-06-04 2021-11-23 박지경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435B1 (ko) 2002-09-11 2005-08-04 강태원 자동문 개폐시스템
KR20090007538U (ko) * 2008-01-22 2009-07-27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용 도어
KR100914705B1 (ko) * 2009-02-13 2009-08-28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KR101040497B1 (ko) * 2009-05-06 2011-06-09 주식회사 씨쓰리 복수 문의 연동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435B1 (ko) 2002-09-11 2005-08-04 강태원 자동문 개폐시스템
KR20090007538U (ko) * 2008-01-22 2009-07-27 오문근 철도차량의 객차용 도어
KR100914705B1 (ko) * 2009-02-13 2009-08-28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KR101040497B1 (ko) * 2009-05-06 2011-06-09 주식회사 씨쓰리 복수 문의 연동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900B1 (ko) * 2013-12-16 2014-07-16 주식회사 씨쓰리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KR101520289B1 (ko) * 2014-08-25 2015-05-14 김진호 연동 미닫이 장치
KR101629501B1 (ko) 2015-01-05 2016-06-10 이준기 다중 미닫이 문의 연동장치
KR101612336B1 (ko) 2015-08-06 2016-04-14 박헌일 3단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1884786B1 (ko) * 2018-01-16 2018-08-02 방호근 3 연동 도어
KR200490456Y1 (ko) 2019-05-17 2019-11-13 김영덕 연동 도어용 피봇 모듈
KR200490457Y1 (ko) 2019-05-28 2019-11-13 김영덕 프레임 일체형 연동 도어용 가이드 모듈 및 이에 의한 연동 도어
KR20210001696U (ko) 2020-01-14 2021-07-22 김영덕 도어 개폐용 접힘 가이드 모듈 및 이를 가진 도어
KR102329948B1 (ko) 2020-06-04 2021-11-23 박지경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41B1 (ko)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419900B1 (ko)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KR101597962B1 (ko) 일체형 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폴딩도어
US9410360B2 (en) Door assembly
US8117784B2 (en) Mechanism for a sliding glass pane
KR101040497B1 (ko) 복수 문의 연동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EP2728096B1 (en) Shower door assembly
KR101437531B1 (ko) 창호의 밀착식 기밀장치
AU2015367819B2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20180044057A (ko)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KR101703119B1 (ko)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20160144601A (ko) 폴딩도어
KR20160001039U (ko) 개폐 각도 조절이 용이한 창문 개폐용 링크
KR101517573B1 (ko) 회전벨트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EP2636834A1 (en) Trolley assembly for support and movement of sliding panels of furniture or doors
CN211422342U (zh) 可灵活配置纱窗的推拉门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ATE487013T1 (de) Mehrpunktverriegelungssystem für türe und fenster
JP5284010B2 (ja) 建具
UA79627C2 (en) Hinge part for door, window, etc.
CN110529006B (zh) 可灵活配置纱窗的推拉门
ATE393281T1 (de) Antriebseinheit für fenster- und türrahmen
JP4462628B2 (ja) 建具
JP6554290B2 (ja) 開閉装置用の開閉体及び該開閉体を用いた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