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05B1 -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05B1
KR100914705B1 KR1020090011698A KR20090011698A KR100914705B1 KR 100914705 B1 KR100914705 B1 KR 100914705B1 KR 1020090011698 A KR1020090011698 A KR 1020090011698A KR 20090011698 A KR20090011698 A KR 20090011698A KR 100914705 B1 KR100914705 B1 KR 10091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allery
gallery window
gear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09001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재래 시장에 설치되는 갤러리 창호를 이루는 측면벽이 인근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수를 뿌리는데 지장을 주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 발생시 용이하세 자동으로 개방되어 진화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갤러리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으로 일측 끝단에는 로울러가 장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모터에 강철 와이어가 연결되어 반복 순환되도록 하는 와이어 구동부가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레일에 의하여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수 개의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용 갤러리 창호의 일부는 상기 강철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에 장착되는 모터는 와이어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강철 와이어는 상기 로울러를 연결하고 그 양측 끝단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의 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에 맞물려 적어도 갤러리 창호가 개폐될 정도의 길이 보다 긴 기어밸트가 장착 연결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로울러에는 상기 강철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탄성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와이어 장력조절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11698
갤러리 창호, 화재

Description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Th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instrument for gallery window}
본 발명은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갤러리의 천장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측벽에 형성되는 창호가 밀접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며 화재 진압이 용이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자유롭게 갤러리 창호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갤러리 창호는 온실 또는 시장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강한 햇빛을 막고 우천시 빗물 또는 눈을 막는 차양막의 역할과, 강한 바람에 시장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기존 재래 시장의 통로에 많이 설치되는 것이다.
도 13은 갤러리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러한 갤러리 창호(3)는 양측 상가 건물(7)의 사이를 주로 만곡된 원호형 또는 기와 지붕 모양의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채광이 가능하고 방풍과 방수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천정과, 상기 천정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부(본원에서는 상기 측벽부를 갤러리 창호(3)로 기술하 였음)로 이루어진다.
이때 양측 상가건물은 재래시장의 경우 그 특성상 1층 또는 다층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갤러리 창호는 이러한 인근 상가 건물의 높이와 상관없이 높은 천정을 이루도록 하여 번잡한 재래 시장의 내부가 소비자들에게 안정감 있는 큰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상가 건물이 1층인 경우 건물의 옥상보다 갤러리 창호의 천정이 높아 그 사이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또는 2층 이상일 경우 보통 1층만 상가가 형성되고 2층 이상은 가정집 혹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때 번잡한 시장과의 소음 및 시각적인 것으로부터 차단하고자 측벽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를 가진 경우에 상기 상가건물(7)의 비교적 높은 곳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측벽부로 인하여 화재의 진압이 용이하지 않기에 이를 파손한 후 살수를 진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미닫이 또는 여닫이의 형식으로 제작한다고 하더라도 화재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하여 이를 사람이 접근하여 개폐할 수 없을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본원인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업체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개발하여 출원 또는 등록된 많은 기술이 존재하고 있으나 보다 간결하고 효율적인 개폐장치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갤러리 창호를 개폐하기 위한 강철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져도 그 저항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을 하여도 와이어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의 수평 이동 변위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제 정지에 따른 부하로 장치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항상 일정하게 갤러리 창호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 장치를 작동하지 않고도 수동으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갤러리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으로 일측 끝단에는 로울러가 장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모터에 강철 와이어가 연결되어 반복 순환되도록 하는 와이어 구동부가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레일에 의하여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수 개의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용 갤러리 창호의 일부는 상기 강철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에 장착되는 모터는 와이어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강철 와이어는 상기 로울러를 연결하고 그 양측 끝단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의 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에 맞물려 적어도 갤러리 창호가 개폐될 정도의 길이 보다 긴 기어밸트가 장착 연결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로울러에는 상기 강철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탄성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와이어 장력조절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모터는 그 축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그 끝단에 워엄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는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과 동일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와 동일 회전을 하되 일측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고 그 외면에는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제1 이동부시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의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 이동부시의 회전방지돌기가 걸려 상기 제1 이동부시가 회전하지 않고 전후 운동을 하도록 하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브라켓과;
상기 제1 이동부시의 전방 및 후방 일정 위치에 장착되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회전제한장치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의 회전축에는 제2 이동부시가 추가로 장착되어, 제1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장치는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와 동일 회전하는 제1 기어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연결 동일 회전을 하는 별도의 회전축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와이어 장력조절부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일측에 로울러가 장착되어 와이어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하는 이송브라켓과;
상기 이송브라켓에 상기 모터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갤러리 창호 중 상기 와이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에 장착되되, 상기 강철 와이어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강철 와이어와 밀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상면에는 강철 와이어의 일부가 삽입되는 긴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상응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볼트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홀의 상단과 상기 볼트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편이 일정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갤러리 창호 중 상기 와이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에 장착되되, 상기 강철 와이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저면에 장착되되, 저면에는 상기 강철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갤러리 창호를 개폐하기 위한 강철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져도 그 저항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을 하여도 와이어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와이어 구동부를 여러개 설치 하지 않아도 긴 길이를 가진 갤러리 창호를 개폐할 수 있어 설치작업 및 비용을 줄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의 수평 이동 변위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제 정지에 따른 부하로 장치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작동 및 고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를 작동하지 않고도 수동으로 필요한 갤러리 창호만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본원은 갤러리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으로 일측 끝단에는 로울러(11)가 장착되고 타측 끝단에는 모터(12)에 강철 와이어(2)가 연결되어 반복 순환되도록 하는 와이어 구동부(1)가 형성되는 수평프레임(31)과, 상기 수평프레임(31)의 레일에 의하여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수 개의 측벽용 갤러리 창호(3)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용 갤러리 창호(3)의 일부는 상기 강철 와이어(2)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12)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기존의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고 있다.
다만 상기 와이어 구동부(1)의 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정확한 변위의 와이어 이송과 개방 또는 닫힌 위치에서 정확하게 와이어 구동부(1)의 작동이 정지 되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인 와이어 장력조절부(4)를 장착하여 강철 와이어(2)의 장력이 온도 변화 또는 사용 중 늘어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 다.
즉 와이어 장력 조절부(4)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로울러(11)가 상기 강철 와이어(2)가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탄성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추가적인 실시 예에서 와이어 고정부(6)가 용이하게 창호를 개폐하고 장치의 작동 없이 일 창호만 선택적으로 수동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부의 기어배열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1)에 장착되는 모터(12)는 와이어 구동기어(13)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강철 와이어(2)는 상기 로울러(11)를 연결하고 그 양측 끝단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에 맞물려 적어도 갤러리 창호(3)가 개폐될 정도의 길이 보다 긴 기어밸트(21)가 장착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기존에는 모터(12)와 연결되는 별도의 로울러에 상기 강철 와이어(2)가 감겨 회전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로울러에 의한 회전 구조는 상기 강철 와이어(2)에 강한 부하가 걸렸을 때 로울러는 헛돌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와이어 구동부(1)가 개폐할 수 있는 갤러리 창호(3)의 수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원에서는 기어밸트(21)에 의한 이동으로 정확한 거리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발생하는 부하에도 모터(12)가 감당할 수 있는 출력의 범위에서는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와이어 구동부(1)가 개폐할 수 있는 갤러리 창호(3)의 수는 증가하게 되어 시설작업 및 시설 비용이 대폭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원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강철 와이어(2)에 강한 부하가 발생할 때 갤러리 창호(3)의 개폐는 모터(12)의 출력에 따라 가능 또는 불가능해지는 점을 고려하여 적은 출력의 모터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의 구조는 상기 모터(12)는 그 축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그 끝단에 워엄기어(14)가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는 상기 워엄기어(14)와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15)과 동일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워엄기어(14)와 워엄휠(15)로 이루어진 기어의 특징은 감속비가 매우 크게 적용할 수 있어 갤러리 창호(3)가 개폐되는 속도를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기어의 비율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도 워엄휠(15)을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A-A 단면에서 보이는 회전제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B-B 단면에서 보이는 회전제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회전축(16)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와 동일 회전을 하되 일측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에 나사산(16')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16')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고 그 외면에는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52)가 돌출되어 있는 제1 이동부시(51)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회전축(16)이 회전할 때 상기 제1 이동부시(51)의 회전방지돌기(52)가 걸려 상기 제1 이동부시(51)가 회전하지 않고 전후 운동을 하도록 하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브라켓(53)과;
상기 제1 이동부시(51)의 전방 및 후방 일정 위치에 장착되어 모터(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54, 55)로 이루어진 회전제한장치(5)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 요소는 도2 내지 도 3에 준한다.
이의 기본 원리는 전술한 구성과 같이 회전축(16)이 회전할 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시를 두고 이러한 이동부시가 각 방향으로 최대 이송되는 거리에서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하여 모터(12)가 회전을 정지 또는 역회전 준비 단계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는 본원이 기어밸트(21)를 채택하여 정환한 수평 이송변위를 이루도록 하였으나 와이어 구동부(1)의 움직임을 제한 하지 않으면 와이어 구동기어(13)가 기어밸트(21)를 지나 강철와이어(2)가 걸려 오작동을 하게 될 우려가 있 으므로 갤러리 창호(3)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이송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제한하여 작동하도록 해야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돌기(52)는 상기 제1 부쉬(5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홀에 장착되는 볼트로 하여 시공 후 작업자가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방지돌기(52)가 걸려 전후방향 이동을 하도록 조립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하며 더욱 세밀한 조정을 위하여 상기 볼트가 장착될 수 있는 나사홀을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하거나 상기 리미트 스위치(54, 55)을 수평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하는 실시 예의 안출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회전축(16)에는 제2 이동부시(56)가 추가로 장착하여 하나의 이동부시가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회전제한장치(5)는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와 동일 회전하는 제1 기어(17)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17)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18)와 연결 동일 회전을 하는 별도의 회전축(16)에 장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상기 회전축(16)을 와이어 구동기어(13)가 연결된 회전축으로 할 것인가 또는 전술한 별도의 연동하는 제2 기어(18)를 두어 이의 회전축으로 할 것인가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선택적인 사항이다.
다만 본원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실시 예를 제시한 것은 와이어 구동기어(13)가 연결된 회전축에 회전제한장치(5)를 구비할 경우 공간이 협소하여 곤란함을 느껴 별도의 제2 기어(18)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도면부호 19는 컨트롤부(19)를 나타낸 것으로 리미트 스위치 또는 별도의 모터 구동을 위한 신호에 따라 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본원에 따른 바람직한 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마이컴은 모터를 구동하여 갤러리 창호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제어부로서 사용자가 구동스위치를 작동하여 갤러리 창호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화재감지부 즉 화재감지센서가 구성되었을 경우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갤러리 창호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폐과정에서는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면 모터는 정지하고 다음 신호에서는 역회전을 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장력조절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C선 단면도로서, 상기 와이어 장력조절부(4)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1)과;
일측에 로울러(11)가 장착되어 와이어(2)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하는 이송브라켓(42)과;
상기 이송브라켓(42)에 상기 모터(1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탄성 수단(43)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이송브라켓(42)은 상기 모터(1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력조절축(44)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축(44)일 정정하게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되 상기 축에는 압축코일 스프링(45)이 상기 이송브라켓(42)에 상기 모터(1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탄성수단(43)과 압축코일 스프링(45)은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강철 와이어(2)가 당겨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45)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실시 예 이외에 반대 방향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인장력에 반하는 힘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실시 예의 안출이 용이할 것이다.
또한 강철 와이어(2)가 상기 와이어 장력조절부(4)에 도달하기 전에 강철 와이어(2)의 경로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장력로울러(4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갤러리 창호(3) 중 상기 와이어 구동부(1)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3)에 장착되되, 상기 강철 와이어(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강철 와이어(2)와 밀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62) 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61)과;
상면에는 강철 와이어(2)의 일부가 삽입되는 긴 장홈(6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62)에 상응하는 나사홀(65)이 형성되어 볼트(66)에 의하여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편(63)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고정부(6)가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6)는 상기 강철 와이어(2)의 수평 이동에 따라 갤러리 창호(3)가 연동하기 위하여 이를 연결해주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볼트(66)의 조임에 따라 상기 와이어 고정편(63)이 밀착되는 정도가 달라지며 강철 와이어(2)의 이동에 따라 갤러리 창호(3)가 개폐되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손으로 직접 갤러리 창호(3)를 열고자 시도하였을 때 강철 와이어(2)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6)의 맞물리는 힘을 넘어 열리도록 상기 볼트의 조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황에 따라 상기 와이어 고정편(63)과 고정브라켓(61)의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가진 판을 삽입하여 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이러한 와이어를 고정하는 힘의 정도는 자동과 수동 개폐를 결정하는 요소이기에 이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볼트(66)의 머리가 나비 모양으로 이루어진 나비볼트를 사용하여 별다른 공구 없이 손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6)는 상기 볼트(66)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홀(62)의 상단과 상기 볼트(66)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67)이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편(63)이 일정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강철 와이어(2)를 고정하여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갤러리 창호(3)가 개폐되기도 하고 수동으로 갤러리 창호(3)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강철와이어(2)가 고정되어도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 창호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갤러리 창호(3) 중 상기 와이어 구동부(1)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3)에 장착되되, 상기 강철 와이어(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브라켓(61)과;
상기 고정브라켓(61)의 저면에 장착되되, 저면에는 상기 강철 와이어(2)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69)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석(68)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고정부(6)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상기 강철 와이어(2)를 고정하는 힘을 자력으로 하여 자력에 의하여 갤러리 창호(3)가 연동하거나 상기 강철 와이어(2)가 고정 위치에서는 자력을 넘어서는 힘에 의하여 수동 개폐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 삽입홈(69)은 강철 와이어(2)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적은 접촉면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부의 기어배열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A-A 단면에서 보이는 회전제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B-B 단면에서 보이는 회전제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장력조절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 창호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갤러리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 구동부
11 : 로울러 12 : 모터
13 : 와이어 구동기어 14 : 워엄기어
15 : 워엄휠 16 : 회전축
16' : 나사산 17 : 제1 기어
18 : 제2 기어 19 : 컨트롤부
2 : 강철 와이어
21 : 기어밸트
3 : 갤러리 창호
31 : 수평프레임
4 : 와이어 장력조절부
41 : 가이드홈 42 : 이송브라켓
43 : 탄성수단 44 : 장력조절축
45 : 압축코일 스프링 46 : 장력로울러
5 : 회전제한장치
51 : 제1 이동부시 52 : 회전방지돌기
53 : 걸림브라켓 54 : 제1 리미트스위치
55 : 제2 리미트스위치 56 : 제2 이동부시
57 : 회전방지돌기
6 : 와이어 고정부
61 : 고정브라켓 62 : 고정홀
63 : 와이어 고정편 64 : 장홈
65 : 나사홀 66 : 볼트
67 : 스프링 68 : 자석
69 : 와이어 삽입홈
7 : 상가

Claims (9)

  1. 갤러리 측벽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의 부재로 상면에 레일이 형성되고 이 레일의 내측으로 양측단에 각각 로울러(11) 및 모터(12)에 의해 강철 와이어(2)가 연결되어 반복 순환되는 와이어 구동부(1)가 형성된 수평프레임(31)과, 상기 레일에 의하여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수 개의 측벽용 갤러리 창호(3)를 구비하되 상기 갤러리 창호(3)의 일부는 상기 강철 와이어(2)에 연결되어 모터(12)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1)에 장착되는 모터(12)는 와이어 구동기어(13)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강철 와이어(2)는 상기 로울러(11)를 연결하고 그 양측 끝단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에 맞물려 적어도 갤러리 창호(3)가 개폐될 정도의 길이 보다 긴 기어밸트(21)가 장착 연결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로울러(11)에는 상기 강철 와이어(2)가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탄성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와이어 장력조절부(4)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회전축(16)은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와 동일 회전을 하되 일측으로 연장되어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6') 및 이 나사산(16')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고 그 외면에는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52)가 돌출되어 있는 제1 이동부시(51) 및 이 와이어 구동기어(13)의 회전축(16)이 회전할 때 상기 제1 이동부시(51)의 회전방지돌기(52)가 걸려 상기 제1 이동부시(51)가 회전하지 않고 전후 운동을 하도록 하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브라켓(53) 및 이 제1 이동부시(51)의 전방 및 후방 일정 위치에 장착되어 모터(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54, 55)로 이루어진 회전제한장치(5)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2)는 그 축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그 끝단에 워엄기어(14)가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는 상기 워엄기어(14)와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15)과 동일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의 회전축(16)에는 제2 이동부시(56)가 추가로 장착되어, 제1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54, 55)를 작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장치(5)는 상기 와이어 구동기어(13)와 동일 회전하는 제1 기어(17)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기어(17)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18)와 연결 동일 회전을 하는 별도의 회전축(16)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와이어 장력조절부(4)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1)과;
    일측에 로울러(11)가 장착되어 와이어(2)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하는 이송브라켓(42)과;
    상기 이송브라켓(42)에 상기 모터(1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탄성수단(4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갤러리 창호(3) 중 상기 와이어 구동부(1)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3)에 장착되되, 상기 강철 와이어(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상기 강철 와이어(2)와 밀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62)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61)과;
    상면에는 강철 와이어(2)의 일부가 삽입되는 긴 장홈(6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62)에 상응하는 나사홀(65)이 형성되어 볼트(66)에 의하여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편(63)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고정부(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6)는 상기 볼트(66)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홀(62)의 상단과 상기 볼트(66)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67)이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편(63)이 일정한 힘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갤러리 창호(3) 중 상기 와이어 구동부(1)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갤러리 창호(3)에 장착되되, 상기 강철 와이어(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브라켓(61)과;
    상기 고정브라켓(61)의 저면에 장착되되, 저면에는 상기 강철 와이어(2)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69)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석(68)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고정부(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KR1020090011698A 2009-02-13 2009-02-13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KR10091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698A KR100914705B1 (ko) 2009-02-13 2009-02-13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698A KR100914705B1 (ko) 2009-02-13 2009-02-13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705B1 true KR100914705B1 (ko) 2009-08-28

Family

ID=4121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698A KR100914705B1 (ko) 2009-02-13 2009-02-13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31B1 (ko) 2012-06-07 2013-02-01 (주)동신캐노피 중앙제어식 양방향 개폐형 아케이드 갤러리 시스템
KR101222841B1 (ko) * 2012-06-13 2013-02-21 주식회사 씨쓰리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CN103061637A (zh) * 2013-02-07 2013-04-24 张战锋 智能窗户
KR102215732B1 (ko) * 2020-09-17 2021-02-16 신수학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1874U (ja) * 1982-11-08 1984-05-16 サニ−株式会社 自動扉の動力伝達用巻掛け媒介節の張力を自動的に調節する機構
JPH04350282A (ja) * 1991-05-28 199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引き戸装置
JPH06341266A (ja) * 1993-05-31 1994-12-13 Y K K Kk 自動ドアの扉開閉移動装置
KR100505435B1 (ko) * 2002-09-11 2005-08-04 강태원 자동문 개폐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1874U (ja) * 1982-11-08 1984-05-16 サニ−株式会社 自動扉の動力伝達用巻掛け媒介節の張力を自動的に調節する機構
JPH04350282A (ja) * 1991-05-28 199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引き戸装置
JPH06341266A (ja) * 1993-05-31 1994-12-13 Y K K Kk 自動ドアの扉開閉移動装置
KR100505435B1 (ko) * 2002-09-11 2005-08-04 강태원 자동문 개폐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31B1 (ko) 2012-06-07 2013-02-01 (주)동신캐노피 중앙제어식 양방향 개폐형 아케이드 갤러리 시스템
KR101222841B1 (ko) * 2012-06-13 2013-02-21 주식회사 씨쓰리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CN103061637A (zh) * 2013-02-07 2013-04-24 张战锋 智能窗户
CN103061637B (zh) * 2013-02-07 2015-12-09 张战锋 智能窗户
KR102215732B1 (ko) * 2020-09-17 2021-02-16 신수학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735B1 (ko) 도어의 개폐작용력 조절이 가능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구동장치
KR100914705B1 (ko)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US20140311689A1 (en) Drive assisted roller assembly for rolling door
CA2948588C (en)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gap between a lintel and a roller shutter and a roller shutter with such a sealing device
US20110108213A1 (en) Garage Door
KR20110013829A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KR20140030950A (ko) 배연루버 개폐장치
KR101884786B1 (ko) 3 연동 도어
JP4625345B2 (ja) 吊り戸装置における密閉機構
KR101014344B1 (ko) 비늘창의 개폐장치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102215732B1 (ko)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CA3039757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JP3709280B2 (ja) 建物用シャッタ
KR930002107Y1 (ko) 전동식 커튼 개폐장치
KR101589158B1 (ko)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KR101750079B1 (ko) 루프 개폐 시스템
KR101000292B1 (ko)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200385576Y1 (ko) 이동식 방범창
JP3390134B2 (ja) シャッター
KR101920255B1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JP2010031502A (ja) 建物用開閉装置
KR200325687Y1 (ko) 버티컬 블라인드의 캐리어 동력전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