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292B1 -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292B1
KR101000292B1 KR1020100069920A KR20100069920A KR101000292B1 KR 101000292 B1 KR101000292 B1 KR 101000292B1 KR 1020100069920 A KR1020100069920 A KR 1020100069920A KR 20100069920 A KR20100069920 A KR 20100069920A KR 101000292 B1 KR101000292 B1 KR 10100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ransfer plate
shaft
rotating shaf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복
Original Assignee
정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복 filed Critical 정연복
Priority to KR102010006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한 쌍의 창호를 포함하는 미닫이를 연동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이송판 및 제2이송판, 상기 제 1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회전축부, 상기 제 2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축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 상기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전방고정축 및 후방고정축, 및 각 회전축과 고정축에 감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창호 중 어느 하나의 창호만을 이동시켜 미닫이를 개폐할 수 있고,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연동장치의 잦은 오동작과 고장의 발생을 차단하며, 부품의 교체주기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TYPE FITTINGS}
본 발명은 하나의 레일에 설치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레일을 이용하며 개별 문짝으로 구성된 미닫이 창호에서 어느 한 문짝의 작동으로 나머지 문짝이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게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는 실내의 출입구나 실내의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문틀에 장착된 문짝이 옆으로 밀려서 개폐되는 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창문을 포함하는 도어 장치는 그 구조에 있어서 횡적인 움직임으로 개폐되는 미닫이와 종적인 움직임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형태로 나누어진다.
상기 여닫이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밖으로 밀거나 안으로 잡아당겨서 쉽게 개폐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유동이 잦은 출입구의 일반적인 도어 형태로 많이 사용되지만, 창문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보온과 방음 기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미닫이 도어는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도어를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틀을 설치하고, 틀 내에서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목적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일반 거실의 베란다나 건물 내부의 환기 및 통풍을 위해 설치되는 창문 등의 형태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미닫이 도어는 문체가 문틀에서 손쉽게 이동하기 위해 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와 대응결합되어 문체가 이동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레일이 문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미닫이 도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틀 상측에는 상부레일(101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레일(10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벽면에는 지지바(102)가 설치되고, 상기 틀 내부에는 상기 레일(101)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유리를 포함한 복수 개의 문체(110)가 결합 되어 있다.
도 1b와 도 1c에 평면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미닫이 도어 장치(100)는 상기 레일(101)들의 구성을 2중 라인으로 하기 때문에, 공간을 차단할 때에는 각 문체(110)가 겹쳐지지 않도록 닫고, 개방시킬 때에는 상기 문체(110)가 겹쳐지도록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밀어 공간을 개방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미닫이 도어 장치는 각 문체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각 문체가 겹쳐지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문체를 수동으로 이동시켜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문짝을 각각 이동시키지 않고, 하나의 문짝을 이동시키면 단일의 레일을 사용하여 다른 문짝이 연동되어 이동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이송판 및 제2이송판; 상기 제 1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회전축부; 상기 제 2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축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 상기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전방고정축 및 후방고정축; 및 상기 전방고정축에서 인출되어 상기 와이어 회전축부에 180˚로 감기고 상기 전방회전축에 180˚로 감기며 상기 와이어 고정축부에 인입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후방고정축에서 인출되어 와이어 회전축부에 180˚로 감기고 상기 후방회전축에 180˚로 감기며 상기 와이어 고정축부에 인입되는 제2와이어로 이루어져 제1이송판 및 제2이송판을 반대 방향으로 연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문짝을 연동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연동장치의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연동장치의 잦은 오동작과 고장의 발생을 차단하고, 연동장치의 사용 수명이 늘어난다.
또한, 연동장치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의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였으며, 마찰저항요소를 줄여 창호가 작은 힘에 의하여 부드럽게 개폐된다.
또한, 통과홈을 지나는 와이어에 의하여 제2이송판의 전후방 슬라이딩 시 마찰력이 더욱 줄어들어 원활한 창호 개폐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톱퍼블럭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당겨 오작동시키더라도 창호가 이송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창호의 여닫음시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저감시켜 창호를 더욱 고급스럽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미닫이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의 와이어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베이스판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한 쌍의 창호를 연동시켜 미닫이를 개폐시키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이하,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라 한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는 단일의 가이드레일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창호를 연동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창호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판과, 임의의 제1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회전축부와, 상기 제1이송판에 인접한 제2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축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과, 상기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전방고정축 및 후방고정축, 및 양단이 전방고정축 및 와이어 고정축부에 결합되며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에 180˚로 감기는 제1와이어와 양단이 후반고정축 및 와이어 고정축부에 결합되며 와이어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에 180˚로 감기는 제2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문이나 문짝을 의미하므로, 상기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는 창문이나 문짝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도면에서 가이드레일 및 각 이송판의 길이의 축적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된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 부호는 통일하여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의 와이어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라 연동장치(100)의 전방(F)과 후방(R)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100)는 가이드레일(11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창문틀 또는 상기 창문틀에 결합되는 하우징(H)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이송판(120) 및 제2이송판(130)이 가이드레일(1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110)은 하우징(H)의 상부에 구비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양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판, 및 창호가 안착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판의 말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상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부판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100)는 한 쌍의 이송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이송판은 제1이송판(120) 및 제2이송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이송판(120)은 와이어가 180˚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회전축부를 포함하며, 제2이송판(130)은 와이어의 일단부를 제2이송판(1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고정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이송판(120)은 임의의 제1창호를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제1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이송판(130)은 상기 제1창호와 동일한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제2창호를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제2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회전축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72)가 180˚로 감기는 제1풀리(122) 및 상기 제2와이어(174)가 180˚로 감기는 제2풀리(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축부는 한 쌍의 장력조절부(132, 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체결수단 및 제2체결수단은 각각 한 쌍의 이송블록(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력조절부는 제1와이어(172) 및 제2와이어(174)의 일단을 조여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각 와이어의 일단이 걸리는 갈고리(136)와, 상기 갈고리(136)를 제2이송판(13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조임체(138)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턴버클(미도시) 등 공지된 조임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장력조절부(132, 134)는 임의의 제1장력조절부(132)와 제2장력조절부(1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장력조절부(132)는 제2이송판(1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단 방향에 구비되며, 제2장력조절부(134)는 후단 방향에 구비된다. 또한, 제1장력조절부(132)의 갈고리(136)는 전방고정축(162)으로부터 인출된 제1와이어(172)를 인입시키기 위해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제2장력조절부(134)의 갈고리(136)는 후방고정축(164)으로부터 인출된 제2와이어(174)를 인입시키기 위해 후단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와이어 고정축부는 원기둥 형태의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 고정축부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서로 다른 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후크형 돌기가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블록(140)은 제1이송판(12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동시에 제2이송판(13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72, 174)가 통과하는 와이어홀(142)과, 가이드레일(110)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가이더(1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송홈(14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임의의 제1창호(210)의 동적하중 및 측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창호(210)가 결합되는 핀(2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홈(144)은 가이더(112)를 상하로 구속하여 각 이송판(120, 130)이 가이드레일(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하며, 상기 와이어홀(142)을 통과하는 와이어는 이송블럭(140)의 외부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설치 중 느슨해진 와이어가 이송홈(144) 등에 끼이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풀리(122)와 제2풀리(124)는 제1이송판(120)의 상부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1이송판(120)의 양측에 이송블럭(14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양 이송블럭(140)의 사이에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제1풀리(122)와 제2풀리(124)는 와이어와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에 베어링이 구비된 풀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이송판(120)에서 전, 후에 감기는 와이어는 그 진행방향이 180˚로 변화하므로, 이 부분에 풀리가 설치됨에 따라 와이어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와이어가 부드럽게 진행하게 하여 마찰저항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이송판(120)이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이송판(120)의 양단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감겨져 있는 제1와이어(172) 및 제2와이어(174)에 의해 제2이송판(130)은 연동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100)는 스토퍼블럭(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블럭(190)은 제1이송판(120)과 제2이송판(130)이 서로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미닫이 창호가 폐쇄될 경우에 제1이송판(120)과 제2이송판(130)의 고정 위치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톱퍼블럭(190)은 전술한 이송블럭(140)과 같은 구성으로, 와이어홀과 이송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이송판(120)과 제2이송판(130)의 상부에 이송블럭(140)이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이송블럭(140)과 접촉될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이송블럭(140) 방향의 스톱퍼블럭(190)의 표면에는 완충부재(19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192)는 탄성재질인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톱퍼블럭(190)에 완충부재(192)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창호를 세게 여닫는 경우에도 스톱퍼블럭(190)과 이송블럭(140)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연동장치(100)가 한층 더 고급화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는 전방회전축(152) 및 후방회전축(154)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회전축(152) 및 후방회전축(154)은 가이드레일(1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레일(110)의 양단에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럭(140)이 직접 접촉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1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회전축(152) 및 후방회전축(154)은 와이어와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풀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풀리(122) 및 제2풀리(124)와, 전방회전축(152) 및 후방회전축(154)으로는 부품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모두 동일한 직경을 갖는 풀리,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풀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100)는 전방고정축(162) 및 후방고정축(16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고정축(162)은 전방회전축(15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후방고정축(164)은 후방회전축(154)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방고정축(162)과 후방고정축(164)은 와이어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전방고정축(162)과 후방고정축(164)에 결합되는 와이어의 말단은 고리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방베이스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방회전축 또는 후방회전축(154)이나 전방고정축 또는 후방고정축(164)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상기 회전축과 고정축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회전축와 전방고정축은 전방베이스판에 구비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후방회전축(154)와 후방고정축(164)은 후방베이스판(184)에 구비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방베이스판과 후방베이스판(184)에는 회전축(152, 154)과 고정축(162, 164)을 미리 설치하였다가 연동장치의 교체 수리 시에 고장난 회전축(152, 154) 또는 고정축(162, 164)이 포함된 베이스판만을 교체함으로써 천장면에 고정된 연동장치에 대한 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베이스판 및 후방베이스판(184)에는 교체의 용이성을 위하여 나사못에 의하여 고정되기 위한 나사공(186)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방회전축(152)와 후방회전축(154)은 와이어에 걸리는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이 개재되며, 각 회전축(152, 154)이 전방베이스판(182)이나 후방베이스판(184)과 마찰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회전축(152, 15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홈이 형성된 원통형 풀리본체(155)와, 풀리본체(155)의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원통형 베어링(156)과, 풀리본체(155)의 바닥면이 베이스판(184)과 이격되도록 베어링(156)의 하면에 대어지는 바닥부시(157), 및 상기 풀리본체(155)와 베어링(156) 및 바닥부시(157)의 중앙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볼트(158)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바닥부시(157)는 원통형 베어링(156)의 하부에 구비되어 베어링(156)을 지지하고, 풀리본체(155)는 베어링(156)의 외경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156)은 바닥부시(157)에 의해 베이스판(184)과는 닿지 아니하므로 회전마찰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개폐장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는 제1창호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가이드레일(110)에 구비된 제2창호가 연동되어 미닫이 창호가 개폐되도록, 제1이송판(120)과 제2이송판(13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제1와이어(172) 및 제2와이어(174)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제1와이어(172)는 제2와이어(174)와 구별할 수 있도록 점선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1와이어(172)는 일단이 전방고정축(162)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와이어 고정축부에 고정되며,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에 180˚로 감긴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174)는 일단이 후방고정축(164)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와이어 고정축부에 고정되며, 와이어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에 180˚로 감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72)는 전방고정축(162)으로부터 인출되어 제1풀리(122)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1풀리(122)에서 180˚로 감기고, 이어서 전방회전축(152)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전방회전축(152)에서 180˚로 감기며, 순차적으로 제1풀리(122)와 제2풀리(124)의 측면을 거쳐 제1장력조절부(132)에 인입된다.
그리고 제2와이어(174)는 후방고정축(164)으로부터 인출되어 제2풀리(124)의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2풀리(124)에서 180˚로 감기고, 이어서 후방회전축(154)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후방회전축(154)에서 180˚로 감기며, 이어서 제2장력조절부(134)에 인입된다.
따라서, 제1이송판(120)의 이동에 따라 제2이송판(130)의 양단 중 어느 한 쪽이 당겨져 제2이송판(130)이 제1이송판(120)과 반대 방향으로 연동되도록 작용한다. 즉, 제1이송판(120)의 이동에 의하여 제1와이어(172) 및 제2와이어(174)에 당김력이 발생하고, 각 와이어(172, 174)는 방향이 전환되어 제2이송판(130)의 양단에 걸쳐짐에 따라, 제2이송판(130)에 걸쳐진 양단 중 어느 한 쪽의 와이어가 당겨짐에 의하여 제2이송판(130)이 연동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172)는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을 다수회 감겨지며, 상기 제2와이어(174)가 와이어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을 상기 제1와이어와 동일한 횟수로 감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와이어(172)가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을 2회 감긴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제2와이어(174)도 와이어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을 2회 감긴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을 2회 감겨지는 것은 제1와이어(172)가 전방고정축(162)으로부터 인출되어 제1풀리(122)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1풀리(122)에서 180˚로 감기고, 이어서 전방회전축(152)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전방회전축(152)에서 180˚로 감기며, 다시 제1풀리(122)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1풀리(122)에서 180˚로 감기고, 이어서 전방회전축(152)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전방회전축(152)에서 180˚로 감기며, 순차적으로 제1풀리(122)와 제2풀리(124)의 측면을 거쳐 제1장력조절부(132)에 인입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즉,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가 다수회로 감겨지는 것은 전방회전축(152)으로부터 제1장력조절부(132)에 인입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을 반복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와이어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가 다수회로 감겨지는 것은 후방회전축(154)으로부터 제2장력조절부(134)에 인입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을 반복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 8 및 도9를 참조하여 제1이송판(120) 및 제2이송판(130)의 이동 거리의 비가 1:2로 유지되며 비율 연동됨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의 미닫이 창호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1이송판(120)에 연결된 제1창호를 왼쪽으로 x만큼 이동시키면, 제1와이어(172)와 접촉된 제1풀리(122)와 제2풀리(1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이송판(120)은 왼쪽으로 x만큼 이동한다.
이때, 제1와이어(172)가 전방고정축(162)으로부터 인입된 상태로 제1풀리(122)에 180˚로 감기고, 전방회전축(152)에 180˚로 감겨 제1장력조절부(132)에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x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이송판(130)은 2x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1이송판(120)이 x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풀리(122)가 x만큼 좌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방고정축(162)으로부터 제1풀리(122)까지 연장된 제1와이어(172)의 길이는 x만큼 줄어들고, 제1풀리(122)로부터 전방고정축(162)까지 연장된 제1와이어(172)의 길이도 x만큼 줄어든다. 즉, 전방회전축(152)과 제1풀리(122)에 감겨져 있는 제1와이어(172)의 길이가 총 2x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전방고정축(162)으로부터 제1장력조절부(132)까지 연장된 제1와이어(172)의 길이는 2x만큼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제1이송판(120)이 x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풀리(124)가 x만큼 좌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후방고정축(164)으로부터 제2풀리(124)까지 연장된 제2와이어(174)의 길이는 x만큼 늘어나고, 제2풀리(124)로부터 후방회전축(154)까지 연장된 제2와이어(174)의 길이도 x만큼 늘어난다. 즉, 후방회전축(154)과 제2풀리(124)에 감겨져 있는 제2와이어(174)의 길이가 총 2x만큼 늘어나게 되므로, 후방회전축(154)으로부터 제2장력조절부(134)까지 연장된 제2와이어(174)의 길이는 2x만큼 줄어들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는 외력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좌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1이송판에 연동하는 제2이송판(130)이 우측으로 2x만큼 이동한다.
이와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의 미닫이 창호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1이송판(120)에 연결된 제1창호를 우측으로 x만큼 이동시키면, 제1와이어(172)와 접촉된 제1풀리(122)와 제2풀리(1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이송판(120)은 우측으로 x만큼 이동한다. 결국,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x만큼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은 2x만큼 좌측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는 외력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좌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우측으로 2x만큼 연동되고, 제1이송판(120)이 우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좌측으로 2x만큼 연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는 제1이송판(120)과 제2이송판(130)이 1:2 비율로 동시에 연동하게 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이 2회 감겨지도록 제1와이어가 형성되고,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이 2회 감겨지도록 제2와이어가 형성된 연동장치는 외력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좌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우측으로 4x만큼 연동되고, 제1이송판(120)이 우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좌측으로 4x만큼 연동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이 3회 감겨지도록 제1와이어가 형성되고,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이 3회 감겨지도록 제2와이어가 형성된 연동장치는 외력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좌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우측으로 6x만큼 연동되고, 제1이송판(120)이 우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좌측으로 6x만큼 연동된다.
또 다른 실시 양태로서,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152)이 4회 감겨지도록 제1와이어가 형성되고,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154)이 4회 감겨지도록 제2와이어가 형성된 연동장치는 외력에 의해 제1이송판(120)이 좌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우측으로 8x만큼 연동되고, 제1이송판(120)이 우측으로 x만큼 이동되면, 제2이송판(130)이 좌측으로 8x만큼 연동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연동장치 110 : 가이드레일
F : 전단 R : 후단
H : 하우징 120 : 제1이송판
122 : 제1풀리 124 : 제2풀리
130 : 제2이송판 132 : 제1장력조절부
134 : 제2장력조절부 136 : 갈고리
137 : 조임체 140 : 이송블럭
142 : 와이어홀 144 : 이송홈
152 : 전방회전축 154 : 후방회전축
162 : 전방고정축 164 : 후방고정축
172 : 제1와이어 174 : 제2와이어
182 : 전방베이스판 184 : 후방베이스판
190 : 스톱퍼블럭 192 : 완충부재
210 : 제1창호

Claims (7)

  1.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이송판 및 제2이송판;
    상기 제 1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1풀리와 제2풀리로 이루어진 와이어 회전축부;
    상기 제 2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축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
    상기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전방고정축 및 후방고정축; 및
    상기 전방고정축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풀리에 180˚로 감기고 상기 전방회전축에 180˚로 감기며 상기 와이어 고정축부에 인입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후방고정축에서 인출되어 제2풀리에 180˚로 감기고 상기 후방회전축에 180˚로 감기며 상기 와이어 고정축부에 인입되는 제2와이어로 이루어져 제1이송판 및 제2이송판을 반대 방향으로 연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축부는
    상기 제1와이어가 인입되는 제1장력조절부, 및 상기 제2와이어가 인입되는 제2장력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회전축 및 후방회전축은 풀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판과 제2이송판이 서로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스토퍼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창호를 제1이송판에 연결설치하는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2이송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와 별도의 창호를 제2이송판에 연결설치하는 제2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와이어 회전축부와 전방회전축을 다수회 감겨지며, 상기 제2와이어는 와이어 회전축부와 후방회전축을 상기 제1와이어와 동일한 횟수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20100069920A 2010-07-20 2010-07-20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00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920A KR101000292B1 (ko) 2010-07-20 2010-07-20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920A KR101000292B1 (ko) 2010-07-20 2010-07-20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292B1 true KR101000292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920A KR101000292B1 (ko) 2010-07-20 2010-07-20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97U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오엠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071A (ja) 1997-11-07 1999-08-17 Eku Ag 引き戸案内装置
KR100960564B1 (ko) 2009-10-14 2010-06-03 정연복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071A (ja) 1997-11-07 1999-08-17 Eku Ag 引き戸案内装置
KR100960564B1 (ko) 2009-10-14 2010-06-03 정연복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97U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오엠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0484436Y1 (ko) 2016-02-25 2017-09-11 주식회사 오엠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326B2 (en) Drive assisted roller assembly for rolling door
KR102015421B1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JP2018523031A (ja) ゲートパネル付き垂直移動型ゲート
US9957749B2 (en)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gap between a lintel and a roller shutter and a roller shutter with such a sealing device
KR101099241B1 (ko)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0829964B1 (ko) 슬라이딩 스윙 도어의 처짐 방지구조
US20140231030A1 (en) Garage door drive apparatus
KR101282083B1 (ko) 출렁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제동되는 포켓문용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000292B1 (ko)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JP2008248654A (ja)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KR100914705B1 (ko)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1232981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0960564B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KR101163762B1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US11371277B2 (en) Biaxial track system for fenestration panels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1274679B1 (ko) 포켓집 내부에서 정렬되는 포켓문용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20180090102A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101110872B1 (ko)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KR20050094932A (ko) 폴딩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