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057A -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057A
KR20180044057A KR1020160137658A KR20160137658A KR20180044057A KR 20180044057 A KR20180044057 A KR 20180044057A KR 1020160137658 A KR1020160137658 A KR 1020160137658A KR 20160137658 A KR20160137658 A KR 20160137658A KR 20180044057 A KR20180044057 A KR 2018004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door
pivot
interlock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161B1 (ko
Inventor
정재홍
Original Assignee
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홍 filed Critical 정재홍
Priority to KR102016013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1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는,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측면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삽입되며, 회전체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구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억지끼움되어 결합하고, 연동도어의 피봇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피봇연결구와, 상기 회전체에 권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날개판과 연결되는 벨트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연동도어 설치시 도어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 착탈식으로 분해 조립되어 손쉽게 설치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ATTACHABLE DIRECTION SWITCHING TYPED INTERLOCKING DOOR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동도어 설치시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현관문 외에 실내에 진입하기 위한 중문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2중 또는 3중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도어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는 3중 연동도어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중 연동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나머지 도어들도 연동하여 열리고 닫히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900호(2014.07.09 등록)는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측판의 너비가 슬림화 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에 기존 창호 고정부재, 회전부재 등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설치 시공시 도어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열리는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다시 부품을 분해하여 재조립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시간 및 유지관리가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동도어 설치시 도어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 착탈식으로 분해 조립되어 손쉽게 설치를 변경할 수 있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일한 프레임을 사용함에 따라 생산비용을 줄이고, 무볼트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는,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측면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삽입되며, 회전체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구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억지끼움되어 결합하고, 연동도어의 피봇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피봇연결구와, 상기 회전체에 권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날개판과 연결되는 벨트부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억지끼움되어 결합하고, 도어틀에 형성된 상부레일의 돌기와 끼움결합하는 돌기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날개판의 돌출부가 탈착되는 한 쌍의 레일연결구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삽입되고, 또 다른 연동도어의 피봇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피봇연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날개판은, 상기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몸체에는 돌기형태의 상기 벨트부가 2열로 배열되도록 벨트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구는,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가 베어링 결합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면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면에 삽입되는 사각너트와 볼트결합하여 상기 상부레일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레일의 상기 돌기는 하방 단면이 삼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에 결착시 접촉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에 결착되어 상기 레일연결구와 상기 연동도어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동도어 설치시 도어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 착탈식으로 분해 조립되어 손쉽게 설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프레임을 사용함에 따라 생산비용을 줄이고, 무볼트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가 연동도어 및 상부레일과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에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중 날개판과 레일연결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와 연동도어의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가 연동도어 및 상부레일과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에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100)는 제1 프레임(110), 한 쌍의 날개판(120), 한 쌍의 결합구(130), 한 쌍의 제1 피봇연결구(140), 벨트부(150), 제2 프레임(160), 한 쌍의 레일연결구(170) 및 한 쌍의 제2 피봇연결구(18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0)은 연동도어(1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레일(200)과 결합하여 이동한다. 제1 프레임(110)이 상부레일(200)을 따라 이동시 하부의 연동도어(10) 중 어느 하나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제1 프레임(110)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0)의 단면은 '
Figure pat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110)의 길이 및 폭은 연동도어(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의 절곡된 양 측면으로는 후술하는 한 쌍의 날개판(120)이 삽입되는 날개홈(111)이 형성된다. 제1 프레임(110)은 상하부가 분리되어 절곡된 상부면으로는 한 쌍의 결합구(130)가 삽입되는 결합구홈(112)이 형성되고, 하부면으로는 한 쌍의 제1 피봇연결구(140)가 삽입되는 제1 피봇연결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프레임(110)의 하부면 일측에는 모헤어가 삽입되는 모헤어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날개판(120)은 제1 프레임(110)의 날개홈(111)에 삽입되어 양 측면을 따라 각각 이동한다. 이 경우, 한 쌍의 날개판(120)은 후술하는 결합구(130) 및 벨트부(150)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날개판(120)은 벨트부(150)가 연결되어 하나의 폐루프 상에서 한 쌍의 날개판(120)이 제1 프레임(110)의 측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한 쌍의 날개판(120)은 제1 프레임(110)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날개판(120)은 후술하는 레일연결구(170)와 탈착식으로 분리 또는 결합된다.
또한, 날개판(120)은 돌출부(도시하지 않음)와 몸체(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돌출부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레일연결구(170)에 탈착된다. 돌출부는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레일(200)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이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날개판(120)의 몸체는 제1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연결되어 이동한다. 몸체에는 돌기형태의 벨트부(150)가 2열로 배열되도록 벨트체결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몸체 중 결합구(130)의 회전체(131)와 맞닿는 부위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구(130)는 제1 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삽입된다. 이 경우, 결합구(130)는 제1 프레임(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구(130)의 상부 일측에는 회전체(1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벨트부(150)가 외주면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한 쌍의 결합구(130)의 회전체(131)의 외경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구(130)는 서로 대향하며, 벨트부(150)에 의해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한 쌍의 결합구(130)는 날개판(120)이 이동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190)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구(130)에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2)는 결합구(130)와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2)는 상부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가이드부(132)는 단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홈(210)과의 마찰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제1 프레임(110)과 함께 이동시 상부레일(200)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고 마찰력을 줄여 힘의 손실을 줄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제1 피봇연결구(140)는 제1 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삽입되어 연동도어(10)의 피봇(11)과 연결된다. 제1 피봇연결구(140)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141)이 형성되며, 제1 피봇연결구(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동도어(10)의 피봇(11)이 제1 관통공(14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제1 피봇연결구(140)는 제1 프레임(11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볼트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벨트부(150)는 한 쌍의 결합구(130)의 회전체(131)를 감으면서 한 쌍의 날개판(120)과 연결된다. 벨트부(150)는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날개판(120)과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 벨트부(150)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벨트부(150)는 표면에 곡면 형상의 돌기(220)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220)는 날개판(120)에 끼움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부(150)의 길이 및 폭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잇다. 또한, 벨트부(150)의 돌기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60)은 연동도어(1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레일(200)과 결합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 제2 프레임(160)은 제1 프레임(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60)이 1개이면 2연동도어시스템이 되며, 제2 프레임(160)이 2개이면 3연동 도어시스템이 된다. 제2 프레임(160)이 상부레일(200)을 따라 이동시 하부의 연동도어(10) 중 어느 하나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제2 프레임(160)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0)의 단면은 '
Figure pat00002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프레임(160)의 길이 및 폭은 연동도어(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프레임(160)은 상하부가 분리되어 절곡된 상부면으로는 한 쌍의 레일연결구(170)가 삽입되는 레일연결홈(161)이 형성되고, 하부면으로는 한 쌍의 제2 피봇연결구(180)가 삽입되는 제2 피봇연결홈(16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프레임(160)의 하부면 일측에는 모헤어가 삽입되는 모헤어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연결구(170)는 제2 프레임(160)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삽입된다. 레일연결구(170)는 도어틀에 형성된 상부레일(200)의 돌기(220)와 끼움결합하는 단면이 'U'자 형태의 돌기홈(171)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돌기홈(171)과 결합하는 상부레일(200)의 돌기(220)는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연결구(170)의 이격된 복수의 돌기홈(171) 사이에는 날개판(120)의 돌출부가 상부측으로 탈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삽입홈은 날개판(120)의 돌출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별도의 볼트 결합없이 유지된다. 레일연결구(170)는 제2 프레임(160)을 상부레일(200)에 결합하여 이동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제2 피봇연결구(180)는 제2 프레임(160)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삽입되어 도어의 피봇과 연결된다. 제2 피봇연결구(180)에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181)이 형성되며, 제2 피봇연결구(18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동도어(10)의 피봇(11)이 제2 관통공(18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제2 피봇연결구(180)는 제2 프레임(16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볼트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100)는 스토퍼(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90)는 제2 프레임(160)의 상부면에 삽입되는 사각너트(도시하지 않음)와 볼트결합하여 제2 프레임(1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90)는 상부레일(200)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되어 제2 프레임(16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스토퍼(190)는 댐퍼를 이용하여 걸림돌기와 완충시키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중 날개판과 레일연결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제1 프레임(110)에 날개판(120), 결합구(130), 벨트부(15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날개판(120)의 몸체(122)의 벨트체결홈(123)에는 벨트부(150)가 끼워져 삽입된다. 날개판(120)의 돌출부(121)는 이웃하는 제2 프레임(160)의 일단에 형성된 레일연결구(170)에 탈착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레일연결구(170)의 돌기홈은 2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홈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연결구(170)의 돌기홈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날개판(120)의 돌출부(121)가 끼워지게 된다. 이후, 도 5와 같이 제2 프레임(160)의 방향을 반대로 바꿔야 하는 경우 별도의 조립해제 작업없이도 제2 프레임(160) 중 타단에 형성된 레일연결구(170)에 날개판(120)의 돌출부(121)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레일에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60)을 결합시킨 후, 이 중 제2 프레임(160)만 떼어내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와 연동도어의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동도어(10)의 상부에는 피봇(11)이 형성되고, 피봇(11)의 헤드부분은 제1 피봇연결구(140)의 제1 관통공(141)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관통공(141)은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구(130)의 회전체(131)와 동일한 중심축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관통공(141)은 반드시 회전체(131)와 동일한 중심축에 있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피봇(11)은 연동도어(1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피봇(11)의 헤드부분만 제1 관통공(141)에 삽입된다.
연동도어(10)에 개폐시키기 위한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일시적으로 연동도어(11)와 제1 피봇연결구(14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12)를 피봇(11)에 결착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12)는 단면이 ‘C’자 형상의 결착부에 단면이 ‘ㅓ’자 형상의 손잡이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12)는 제1 피봇연결구(140)와 연동도어(10) 간의 간격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동도어(10)에 외력이 가해져도 소음이 줄어들고, 마찰에 의한 힘이 감소되어 연동도어(10)를 이송시키는 것이 수월해 진다.
도 6에서는 제1 피봇연결구(14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2 피봇연결구(180)의 제2 관통공(181) 사이에 피봇(11)의 헤드가 삽입되고, 스페이서(12)가 제2 피봇연결구(180)와 연동도어(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연동도어
11 : 피봇
12 : 스페이서
100 : 연동도어 이송장치
110 : 제1 프레임
111 : 날개홈
112 : 결합구홈
113 : 제1 피봇연결홈
114 : 모헤어홈
120 : 날개판
121 : 돌출부
122 : 몸체
123 : 벨트체결홈
130 : 결합구
131 : 회전체
132 : 가이드부
140 : 제1 피봇연결구
141 : 제1 관통공
150 : 벨트부
160 : 제2 프레임
161 : 레일연결홈
162 : 제2 피봇연결홈
170 : 레일연결구
171 : 돌기홈
180 : 제2 피봇연결구
181 : 제2 관통공
190 : 스토퍼
200 : 상부레일
210 : 가이드홈
220 : 돌기

Claims (5)

  1.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측면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삽입되며, 회전체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구;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억지끼움되어 결합하고, 연동도어의 피봇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피봇연결구;
    상기 회전체에 권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날개판과 연결되는 벨트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상부면에 억지끼움되어 결합하고, 도어틀에 형성된 상부레일의 돌기와 끼움결합하는 돌기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날개판의 돌출부가 탈착되는 한 쌍의 레일연결구;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하부면에 삽입되고, 또 다른 연동도어의 피봇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피봇연결구를 포함하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판은,
    상기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몸체에는 돌기형태의 상기 벨트부가 2열로 배열되도록 벨트체결홈이 형성되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구는,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가 베어링 결합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면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면에 삽입되는 사각너트와 볼트결합하여 상기 상부레일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레일의 상기 돌기는 하방 단면이 삼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에 결착시 접촉면이 최소화되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에 결착되어 상기 레일연결구와 상기 연동도어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KR1020160137658A 2016-10-21 2016-10-21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KR10194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58A KR101943161B1 (ko) 2016-10-21 2016-10-21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58A KR101943161B1 (ko) 2016-10-21 2016-10-21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57A true KR20180044057A (ko) 2018-05-02
KR101943161B1 KR101943161B1 (ko) 2019-01-28

Family

ID=6218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658A KR101943161B1 (ko) 2016-10-21 2016-10-21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52Y1 (ko) * 2018-11-19 2019-08-13 주식회사 미소로도어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168868B1 (ko) * 2020-07-27 2020-10-22 (주)세한프레시젼 3중 연동도어 장치
KR102250558B1 (ko) * 2020-08-27 2021-05-11 주식회사 라움 연동도어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234B1 (ko) 2020-08-11 2021-01-22 이기현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도어연동장치
KR102351285B1 (ko) 2021-04-06 2022-01-14 (주)선흥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2295337B1 (ko) 2021-04-06 2021-08-30 이기현 모터부 조립 및 교체수리 용이한 모터작동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20230045686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 연동장치 분리형 댐퍼걸이부
KR20230045685A (ko) 2021-09-27 2023-04-05 이기현 도어용 댐퍼 고정 및 스토퍼 고정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50B1 (ko) * 2012-04-06 2013-08-27 진영선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 개폐장치
KR101464041B1 (ko) * 2012-07-20 2014-12-05 최성문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52Y1 (ko) * 2018-11-19 2019-08-13 주식회사 미소로도어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2168868B1 (ko) * 2020-07-27 2020-10-22 (주)세한프레시젼 3중 연동도어 장치
KR102250558B1 (ko) * 2020-08-27 2021-05-11 주식회사 라움 연동도어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161B1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61B1 (ko)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JP4295672B2 (ja) 開閉体連動装置
US3994093A (en) Window with sash capable of pivoting movement about two perpendicular axes
US10077594B2 (en) Fitting for pressing a sliding wing onto a fixed enclosure
KR101784718B1 (ko) 삽입형 풀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KR101498641B1 (ko)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101922862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JP7169056B2 (ja) 開き窓ロックバー
JPH1025942A (ja) 窓ステー
KR102147697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823053B1 (ko) 삽입형 연결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EP2921632B1 (en) Sash
KR101542798B1 (ko)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20210095322A (ko)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0484089B1 (ko)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101704585B1 (ko)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2048023B1 (ko) 슬라이딩 자동 도어 장치
JP3787324B2 (ja) 引戸連動装置
KR10125123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용 하드웨어
KR102363063B1 (ko) 높이 조절부를 구비한 창호의 바퀴 모듈
JP3854576B2 (ja) 開閉体連動装置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