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798B1 -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798B1
KR101542798B1 KR1020150056840A KR20150056840A KR101542798B1 KR 101542798 B1 KR101542798 B1 KR 101542798B1 KR 1020150056840 A KR1020150056840 A KR 1020150056840A KR 20150056840 A KR20150056840 A KR 20150056840A KR 101542798 B1 KR101542798 B1 KR 10154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ed frame
moving
fix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홍
Original Assignee
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홍 filed Critical 정재홍
Priority to KR102015005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798B1/ko
Priority to PCT/KR2015/012263 priority patent/WO20161713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는,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행거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절곡된 양측의 끝단에 형성된 제1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과, 상기 지지판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롤러와, 상기 지지판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한 쌍의 날개판과 연결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와,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 및 제1 이동롤러의 이동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 및 제2 이동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행거도어의 상부에 고정되어 적은 힘으로 행거도어를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INTERLOCKING TYPE DOOR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도어를 연동하여 이송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현관문 외에 실내에 진입하기 위한 중문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2중 또는 3중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3중 도어의 경우 도어 간에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여 움직이는 3중 연동도어의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3중 연동도어는 하나의 도어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나머지 도어들도 연동하여 열리고 닫히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3047호(2009년 06월 09일 등록)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창호, 제 2 창호, 제 3 창호로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에서 중간 창호인 제 2 창호를 제외한 제 1 창호 및 제3 창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 1 창호 및 제 3 창호에 별도의 물리적 가공을 수행하지 않아도 제 1 창호, 제 2 창호 및 제 3 창호를 용이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창호를 연동장치에 삽입함에 있어서 고리형의 체결부재가 늘어나거나 훼손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어 적은 힘으로 도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며, 롤러에 연결되는 벨트가 날개판에 의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텐션 조절이 용이한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는,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절곡된 양측의 끝단에 형성된 제1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한 쌍의 날개판과 연결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와,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 및 제1 이동롤러의 이동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 및 제2 이동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벨트는,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 타측에 연결되며, 제1 고정롤러, 상기 제1 이동롤러 및 상기 제2 이동롤러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상부벨트와,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 타측에 연결되며, 제2 고정롤러, 상기 제1 이동롤러 및 상기 제2 이동롤러에 접촉되어 연결되되, 상기 상부벨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날개판은, 일단이 또 다른 도어의 중심축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롤러의 상부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날개판은, 몸체의 중심 하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제1 레일에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단은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또 다른 도어의 중심축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의 외주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상기 벨트가 맞닿는 상부 벨트홈과 하부 벨트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는, 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이송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롤러와, 상기 한 쌍의 날개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이동롤러와, 일면에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의 이동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어 적은 힘으로 도어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에 연결되는 벨트가 날개판에 의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중 날개판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평면과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100)는 고정프레임(110), 한 쌍의 날개판(120), 한 쌍의 고정롤러(130), 한 쌍의 이동롤러(140) 및 한 쌍의 벨트(15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10)은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고정프레임(11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절곡된 측면의 단면에는 라운드지게 제1 레일(111)이 형성된다. 제1 레일(111)에는 후술하는 날개판(120)이 삽입되어 이동한다. 이 경우, 날개판(120)은 제1 레일(111) 상에서 회동이 가능하다.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고정롤러(130), 한 쌍의 이동롤러(140) 및 한 쌍의 벨트(15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10)은 도어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날개판(120)은 고정프레임(110)의 절곡된 양측의 끝단에 형성된 제1 레일(111)에 삽입되어 이동한다. 날개판(120)은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의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레일(111)에 각각 결합된다. 이 경우, 날개판(120)은 제1 레일(11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날개판(120)의 일측에는 걸림홈(120-1)이 형성된다. 걸림홈(120-1)에는 또 다른 도어의 중심축이 연결된다. 이는 날개판(120)이 이동함에 따라 또 다른 도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고정프레임(110)이 설치된 도어가 이동함에 따라 날개판(120)에 의해 옆에 위치하는 또 다른 도어가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또한, 날개판(120)은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140)와 연결된다. 이동롤러(140)는 고정프레임(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한다. 날개판(120)이 이동롤러(140)와 결합됨에 따라 날개판(120)이 움직이면 이동롤러(140)가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날개판(120)은 이동롤러(140)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이 경우, 날개판(120)은 이동롤러(140)가 회전하는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판(120)은 고정프레임(110)의 양측 제1 레일(111)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한 쌍의 벨트(150)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고정롤러(130)는 고정프레임(110)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된다. 고정롤러(130)는 고정프레임(110)의 바닥면의 양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후술하는 한 쌍의 벨트(150)가 감기게 된다. 한 쌍의 고정롤러(130)는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140)가 벨트의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롤러(130)는 외주면에 상부 벨트홈(130-1) 및 하부 벨트홈(130-2)이 형성된다. 이는 한 쌍의 벨트(150)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롤러(130)는 고정프레임(1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이동롤러(140)는 고정프레임(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제2 레일(112)을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고정롤러(130)의 양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이동롤러(140)는 고정롤러(130)의 양측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이동롤러(140)는 회전이 가능하며, 제2 레일(112)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한 쌍의 이동롤러(140)는 한 쌍의 벨트(15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롤러(140)의 경우 외주면에 고정롤러(130)와 같이 상부 벨트홈(130-1) 및 하부 벨트홈(130-2)이 형성된다. 이동롤러(140)의 상부에는 날개판(120)이 고정설치된다.
한 쌍의 벨트(150)는 한 쌍의 이동롤러(140) 및 한 쌍의 고정롤러(13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벨트(150)는 어느 하나의 날개판(120)과 다른 하나의 날개판(120)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벨트(150)는 어느 하나의 이동롤러(140)와 다른 하나의 이동롤러(140)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연결한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 및 제1 이동롤러의 이동시 고정프레임(11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 및 제2 이동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벨트(150)는 와이어 등으로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 쌍의 벨트(150)는 한 쌍의 이동롤러(140) 및 한 쌍의 고정롤러(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 벨트홈(130-1) 및 하부 벨트홈(130-2)에 접촉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상부 벨트홈(130-1)에는 상부벨트가 연결되고, 하부 벨트홈(130-2)에는 하부벨트가 연결된다.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서로의 움직임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벨트(150)는 고정프레임(110)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벨트(150)는 고정프레임(1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부벨트는 "⊂"형으로, 하부벨트는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10)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100)가 설치되는 제1 도어(11) 및 그 주위에 제2 도어(12) 및 제3 도어(13)가 형성된다. 도어(10)의 상부는 상부레일(20)과 연결된다. 상부레일(20)은 내측에 세 개의 분할된 공간이 형성되며, 분할된 공간에는 제1 롤러(21), 제2 롤러(22) 및 제3 롤러(23)가 결합되어 이동한다. 제1 롤러(21)는 제1 중심축(21-1)을 통해 제1 도어(11)와 연결된다 제2 롤러(22)는 제2 중심축(22-1)을 통해 제2 도어(12)와 연결된다. 제3 롤러(23)는 제3 중심축(23-1)을 통해 제3 도어(13)와 연결된다.
제1 도어(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 한 쌍의 날개판(120), 한 쌍의 고정롤러(130), 한 쌍의 이동롤러(140) 및 한 쌍의 벨트(150)를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날개판(120)이 제2 도어(12)의 제2 중심축(22-1)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날개판(120)이 제3 도어(13)의 제3 중심축(23-1)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도어(12)를 움직이면, 제2 도어(12)의 제2 중심축(22-1)과 연결된 날개판(120)이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 반대편의 날개판(120)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반작용으로 제1 도어(11)가 움직이게 된다. 제3 도어(13)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a)는 이송장치의 상부를 나타내고, (b)는 이송장치의 하부를 나타낸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할하여 나타낸 것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 3a는 이송장치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날개판(121)은 고정프레임(110)의 일측 제1 레일(111)에 결합되고, 제2 날개판(122)은 고정프레임(110)의 타측 제2 레일(112)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벨트(151)의 일단은 고정프레임(110)의 일측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110)의 일측 타단에 고정된다. 상부벨트(151)는 제1 이동롤러(141)-제1 고정롤러(131)-제2 이동롤러(142)를 접촉하여 형성된다. 하부벨트(152)의 일단은 고정프레임(110)의 타측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110)의 타측 타단에 고정된다. 하부벨트(152)는 [제1 이동롤러(141)-제2 고정롤러(132)-제2 이동롤러(142)]를 접촉하여 형성된다. 상부벨트(151)와 하부벨트(152)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되고, 연결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부벨트(151)는 "⊂"형으로, 하부벨트(152)는 "⊃"형으로 형성된다.
도 3b는 이송장치에 외력이 가해지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다. 제1 날개판(121)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부벨트(151)는 제1 고정롤러(131)를 통해 제2 이동롤러(142)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날개판(121)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제2 날개판(122)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이동롤러(141) 및 제2 이동롤러(142)의 하부는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한다. 상부벨트(151)와 하부벨트(152)는 서로 동선이 엇갈려 움직이게 된다.
도 3c는 이송장치에 외력이 가해진 후 멈춰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날개판(121) 및 제1 이동롤러(141)는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고, 제2 날개판(122) 및 제2 이동롤러(142)는 고정프레임(11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 경우, 제1 고정롤러(131)를 기준으로 제2 날개판(122) 및 제2 이동롤러(142)가 이동한 거리의 두 배 정도로 상부벨트(151)가 감겨진다. 이 상태에서 다시 제1 날개판(121) 및 제1 이동롤러(141)를 도 3a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하부벨트(152)에 의해 제1 날개판(121) 및 제1 이동롤러(141)에 가해지는 힘이 제2 날개판(122) 및 제2 이동롤러(142)로 전달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중 날개판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중 날개판(420)은 몸체(421), 회동부(422) 및 탄성체(423)를 포함한다. 날개판(420)의 몸체(421)는 일측에 결합홈(421-1)이 형성된다. 결합홈(421-1)은 제1 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날개판(420)의 일측에는 회동부(422)가 형성되며, 회동부(422)는 탄성체(423)에 의해 몸체(421)와 연결된다. 회동부(422)에는 걸림홈(422-1)이 형성되고, 걸림홈(422-1)은 도어의 중심축과 결합한다. 날개판(420)의 몸체(421)의 타측에는 연결홈(421-2)이 형성된다. 연결홈(421-2)은 회전롤러의 상부에 결합되기 위함이다. 탄성체(423)는 회동부(422)가 몸체(421)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다.
(a)는 회동부(422)가 회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회동부(422)가 회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도어의 중심축을 날개판(420)의 걸림홈(422-1)에 끼우기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회동부(422)가 회동함에 따라 도어를 기울인 상태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평면과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500)는 고정프레임(510), 한 쌍의 날개판(520), 한 쌍의 고정롤러(530), 한 쌍의 이동롤러(540) 및 한 쌍의 벨트(55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510)은 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이다. 고정프레임(510)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송레일(511)이 형성되고, 이송레일(511)의 양단에 고정홈(5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송레일(511)은 후술하는 한 쌍의 날개판(5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홈(512)은 후술하는 한 쌍의 벨트(550)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홈이다. 고정프레임(510)은 길이방향의 양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510)의 양단은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540)를 멈추게 하도록 이송레일(511)보다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날개판(520)은 고정프레임(510)의 이송레일(511)에 삽입되어 이동한다. 한 쌍의 날개판(520)은 이송레일(511)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각 날개판(520)에는 서로 다른 도어의 축이 연결된다. 또한, 날개판(520)은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540)와 연결된다. 날개판(520)이 이동롤러(540)와 결합됨에 따라 날개판(120)이 움직이면 이동롤러(540)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날개판(520)은 이동롤러(5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날개판(520)은 고정프레임(510)의 이송레일(511)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한 쌍의 벨트(550)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고정롤러(530)는 고정프레임(510)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된다. 고정롤러(530)는 고정프레임(510)의 바닥면의 양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후술하는 한 쌍의 벨트(550)가 감기게 된다. 한 쌍의 고정롤러(530)는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540)가 벨트의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롤러(530)는 외주면에 도 1과 같이 상부 벨트홈(130-1) 및 하부 벨트홈(1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벨트(550)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롤러(530)는 고정프레임(5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이동롤러(540)는 한 쌍의 날개판(120)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이동롤러(540)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고정롤러(530)의 양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이동롤러(540)는 고정롤러(530)의 양측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이동롤러(540)는 회전이 가능하다. 한 쌍의 이동롤러(540)는 한 쌍의 벨트(55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롤러(540)는 외주면에 도 1의 고정롤러(130)와 같이 상부 벨트홈(130-1) 및 하부 벨트홈(1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롤러(54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날개판(520)이 형성된다.
한 쌍의 벨트(550)는 한 쌍의 고정롤러(530) 및 한 쌍의 이동롤러(54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한 쌍의 벨트(550)는 외주면에 고정돌기(531)가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돌기(513)는 고정프레임(510)의 고정홈(5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 쌍의 벨트(550)는 한 쌍의 날개판(520)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벨트(550)는 한 쌍의 이동롤러(540)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연결한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5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 및 제1 이동롤러의 이동시 고정프레임(51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 및 제2 이동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벨트(550)는 와이어 등으로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한 쌍의 벨트(550)는 한 쌍의 고정롤러(530) 및 한 쌍의 이동롤러(5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 1과 같은 상부 벨트홈(130-1) 및 하부 벨트홈(130-2)에 접촉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상부 벨트홈(130-1)에는 상부벨트(551)가 연결되고, 하부 벨트홈(130-2)에는 하부벨트(552)가 연결된다. 상부벨트(551)와 하부벨트(552)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서로의 움직임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벨트(550)는 고정프레임(510)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벨트는 고정프레임(5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부벨트(551)는 "⊂"형으로, 하부벨트(552)는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a)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500)의 상부면을 나타내고, (b)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500)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500)를 사용하는 경우, 벨트(550)가 와이어 방식인 것에 비해 텐션 조절이 용이하며, 롤러(530, 540)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힘을 이용하여 벨트(550)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700)는 고정프레임(710), 한 쌍의 날개판(720), 한 쌍의 고정롤러(730), 이동롤러(740) 및 한 쌍의 벨트(7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고정프레임(710), 한 쌍의 날개판(720), 한 쌍의 고정롤러(730), 이동롤러(740) 및 한 쌍의 벨트(750)는 도 5 및 도 6의 고정프레임(510), 한 쌍의 고정롤러(530), 한 쌍의 이동롤러(540) 및 한 쌍의 벨트(55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 쌍의 날개판(720)은 고정프레임(710)의 이송레일(711)에 삽입되어 이동한다. 한 쌍의 날개판(720)은 이송레일(711)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각 날개판(720)에는 서로 다른 도어의 축이 연결된다. 또한, 날개판(720)은 이동롤러(740)와 연결된다. 날개판(720)이 이동롤러(740)와 결합됨에 따라 날개판(720)이 움직이면 이동롤러(740)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날개판(720)은 이동롤러(7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날개판(720)은 고정프레임(710)의 이송레일(711)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한 쌍의 벨트(750)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한 쌍의 날개판(720)에는 제2 고정홈(721)이 형성된다. 이는 한 쌍의 벨트(750)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한 쌍의 벨트(750)의 타단은 고정프레임(710) 상에 형성된 제1 고정홈(7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한 쌍의 벨트(750)의 일면에는 고정돌기(751)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과 달리, 한 쌍의 날개판(7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고정홈(721)에 한 쌍의 벨트(750)의 어느 일단이 연결되어 이동한다. 여기서 벨트(150)는 와이어 등으로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도어 11 : 제1 도어
12 : 제2 도어 13 : 제3 도어
20 : 상부레일 21 : 제1 롤러
21-1 : 제1 중심축 22 : 제2 롤러
22-1 : 제2 중심축 23 : 제3 롤러
23-1 : 제3 중심축
100 : 도어 이송장치 110 : 고정프레임
111 : 제1 레일 112 : 제2 레일
120 : 한 쌍의 날개판 120-1 : 걸림홈
121 : 제1 날개판 122 : 제2 날개판
130 : 한 쌍의 고정롤러 130-1 : 상부 벨트홈
130-2 : 하부 벨트홈 131 : 제1 고정롤러
132 : 제2 고정롤러 140 : 한 쌍의 이동롤러
141 : 제1 이동롤러 142 : 제2 이동롤러
150 : 한 쌍의 벨트 151 : 상부벨트
152 : 하부벨트
420 : 날개판 421 : 몸체
421-1 : 결합홈 421-2 : 연결홈
422 : 회동부 422-1 : 걸림홈
423 : 탄성체
500 : 도어 이송장치 510 : 고정프레임
511 : 이송레일 512 : 고정홈
520 : 한 쌍의 날개판 530 : 한 쌍의 고정롤러
540 : 한 쌍의 이동롤러 550 : 한 쌍의 벨트
551 : 상부벨트 552 : 하부벨트
553 : 고정돌기
700 : 도어 이송장치 710 : 고정프레임
711 : 이송레일 712 : 제1 고정홈
720 : 한 쌍의 날개판 721 : 제2 고정홈
730 : 한 쌍의 고정롤러 740 : 이동롤러
750 : 한 쌍의 벨트 751 : 상부벨트
752 : 하부벨트 753 : 고정돌기

Claims (5)

  1. 양측이 상향 직각으로 절곡되어 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절곡된 양측의 끝단에 형성된 제1 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롤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한 쌍의 날개판과 연결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롤러;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 및 제1 이동롤러의 이동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 및 제2 이동롤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하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 타측에 연결되며, 제1 고정롤러, 상기 제1 이동롤러 및 상기 제2 이동롤러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상부벨트;
    일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 타측에 연결되며, 제2 고정롤러, 상기 제1 이동롤러 및 상기 제2 이동롤러에 접촉되어 연결되되, 상기 상부벨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벨트를 포함하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판은,
    일단이 또 다른 도어의 중심축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롤러의 상부에 고정연결되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판은,
    몸체의 중심 하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제1 레일에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일단은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또 다른 도어의 중심축과 기 설정된 각도로 회동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는,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벨트가 맞닿는 상부 벨트홈과 하부 벨트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5. 도어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기 이송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한 쌍의 날개판;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서로 대향하여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롤러;
    상기 한 쌍의 날개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이동롤러;
    일면에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날개판의 이동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날개판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하는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KR1020150056840A 2015-04-22 2015-04-22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KR10154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40A KR101542798B1 (ko) 2015-04-22 2015-04-22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PCT/KR2015/012263 WO2016171355A1 (ko) 2015-04-22 2015-11-16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40A KR101542798B1 (ko) 2015-04-22 2015-04-22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798B1 true KR101542798B1 (ko) 2015-08-07

Family

ID=5388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40A KR101542798B1 (ko) 2015-04-22 2015-04-22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2798B1 (ko)
WO (1) WO20161713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47B1 (ko) 2021-05-21 2022-05-03 주식회사 미소로도어 슬라이드 연동 개폐식 중문 구조
KR102579553B1 (ko) 2023-03-24 2023-09-19 주식회사 현대자동문 다중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13B1 (ko) 2011-09-14 2012-09-1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257338B1 (ko) 2013-01-10 2013-04-23 강선애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KR101419900B1 (ko) 2013-12-16 2014-07-16 주식회사 씨쓰리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769A (ja) * 1999-06-09 2000-12-12 Meiko:Kk 連動式引戸
KR200459994Y1 (ko) * 2009-07-01 2012-04-26 성하섭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13B1 (ko) 2011-09-14 2012-09-1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257338B1 (ko) 2013-01-10 2013-04-23 강선애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KR101419900B1 (ko) 2013-12-16 2014-07-16 주식회사 씨쓰리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247B1 (ko) 2021-05-21 2022-05-03 주식회사 미소로도어 슬라이드 연동 개폐식 중문 구조
KR102579553B1 (ko) 2023-03-24 2023-09-19 주식회사 현대자동문 다중 슬라이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355A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61B1 (ko)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KR101542798B1 (ko)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US8167121B2 (en) Belt retention guide
JP4856670B2 (ja) 電動グリッパ装置
KR101602220B1 (ko) 지지 장치를 갖춘 리니어 모듈
KR101222841B1 (ko)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20048177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498641B1 (ko)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CN109311175B (zh) 具有可拆卸的切割单元的剃刮设备
KR20170067879A (ko) 해제 가능한 슬라이딩 리프의 캐리지
US20160229645A1 (en) Transfer device
US10370883B2 (en) Apparatus for window
CN103261062A (zh) 转向盘
CN109415167A (zh) 电机驱动滚柱支座
CN103482301A (zh) 传送机
CN103373586B (zh) 传送装置
KR101500442B1 (ko) 슬립부시
KR101689952B1 (ko) 하부 고정형 행거도어
KR102540507B1 (ko) 마사지모듈 이송용 이중롤러 가이드장치
EP2584131A1 (en) Sliding door with reversible sliding system
KR20080089989A (ko) 엘리베이터 도어행거의 슬라이드장치
US9045295B2 (en) Motor-driven aligning and forwarding device for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documents and the like, in particular bank cheques
KR20220028575A (ko) 바퀴 장치
KR101735667B1 (ko) 수하물 이송용 컨베이어 캐로셀
CN218578921U (zh) 翻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