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338B1 -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 Google Patents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338B1
KR101257338B1 KR1020130003056A KR20130003056A KR101257338B1 KR 101257338 B1 KR101257338 B1 KR 101257338B1 KR 1020130003056 A KR1020130003056 A KR 1020130003056A KR 20130003056 A KR20130003056 A KR 20130003056A KR 101257338 B1 KR101257338 B1 KR 10125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locking
wire
door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애
Original Assignee
강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애 filed Critical 강선애
Priority to KR102013000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6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of shee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문짝을 열고 닫으면 다른 문짝도 같이 열고 닫히는 연동 도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문짝의 탈착이 용이한 연동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도어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도어와,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동장치가, 도어들 중 일부 도어의 상단부에 길게 설치되는 유니트 패널; 유니트 패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 권취롤러에 감기는 와이어; 및 와이어에 고정되며, 걸림부가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된 연동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와이어가 회전할 때 이웃하는 도어들에 걸려 이웃하는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INTERLOCKING TYPE SLIDING DOOR AND INTER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연동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문짝을 열고 닫으면 다른 문짝도 같이 열고 닫히는 연동 도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문짝의 탈착이 용이한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여닫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와 여닫이로 구분된다. 미닫이는 문짝 또는 창을 문틀의 홈에 끼우고 홈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여닫는 방식이고, 여닫이는 경첩을 중심으로 문짝이나 창을 회전시켜 여닫는 방식이다.
복수 개의 문짝으로 이루어진 미닫이문에 있어서 문짝들을 독립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복수 개의 문짝을 일일히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하나의 문짝을 열고 닫으면 다른 문짝들도 연동하여 열리고 닫히는 연동 도어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82413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는 3개의 도어를 연동장치를 이용해 서로 연동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3중 연중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중간 도어의 상부에 벨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도어와 후면 도어에 벨트와 연결되는 연동구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세 개의 도어가 서로 연동하여 열리고 닫히게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따른 연동 도어는 중간 도어에 설치되는 벨트에 전면 도어 및 후면 도어의 연동구가 각각 결합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 중 일부만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도어를 문틀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나 연동장치를 교체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3개의 도어 모두를 문틀로부터 분리하거나, 문틀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몰딩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연동 도어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연동 도어의 설치 운영에 있어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경제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동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고 설치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문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설치할 수 있는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도어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도어와,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동장치가, 도어들 중 일부 도어의 상단부에 길게 설치되는 유니트 패널; 유니트 패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 권취롤러에 감기는 와이어; 및 와이어에 고정되며, 걸림부가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된 연동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와이어가 회전할 때 이웃하는 도어들에 걸려 이웃하는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구;를 포함한다.
걸림부는 도어들을 개별적으로 레일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동홈에 삽입되거나 탈거되도록 이루어지므로 각 도어들을 레일에 개별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유니트 패널은, 도어의 상면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한다.
연동구는 수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각 수직부의 바깥면에는 연동구가 이웃하는 도어의 연동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 연동 도어는 연동구에 형성된 핀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핀을 더 포함한다.
와이어 고정핀의 중심부에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며, 와이어 고정핀은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설치상태와 수직하게 위치되거나 와이어와 나란히 위치되어 와이어의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 연동 도어는, 하부가 각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부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에 탈거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부 레일에 대하여 도어를 하방으로 밀면서 도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여 도어의 슬라이딩시 도어가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피봇을 더 포함한다.
레일 중 상부 문틀에 설치되는 상부 레일은, 상부 문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판; 수평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며, 서로 이격된 사이로 각 도어의 상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각 격판 사이에서 수평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탄성 피봇의 상부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한다.
탄성 피봇은,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며 도어의 상부에 형성된 피봇 고정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봇 본체; 피봇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축; 회전축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레일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롤러; 및 슬라이딩롤러의 하단에 구비되고 레일홈부의 저면에 걸려 슬라이딩롤러가 레일홈부 내로 필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도어에 적용되는 연동장치는, 도어들 중 일부 도어의 상단부에 길게 설치되는 유니트 패널; 유니트 패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 권취롤러에 감기는 와이어; 및 와이어에 고정되며, 걸림부가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된 연동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와이어가 회전할 때 이웃하는 도어들에 걸려 이웃하는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도어에 적용되는 연동장치용 연동구는, 도어들을 연동시키는 연동장치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도어들끼리 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동구에 있어서, 도어들 중 일부 도어에 설치되는 유니트 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니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와 결합되어, 와이어 회전시 유니트 패널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몸체; 및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된 연동홈에 탈거 가능하게 끼워지며, 몸체 슬라이딩시 이웃하는 도어들에 걸려 도어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몸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과 유니트 패널에 끼워지는 패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며, 와이어를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이 와이어 삽입홈과 연결 형성된다.
본 발명 연동 도어,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연동장치가 서로 이웃하는 도어들 중 어느 하나에만 고정 설치되고, 이웃하는 도어들은 연동장치의 일부가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되는 연동홈에 단순히 삽입되어 걸리는 형태로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도어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 단순히 연결된 형태이기 때문에 도어나 연동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시 각 도어를 개별적으로 문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반대로 각 도어를 개별적으로 문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도어의 설치 또는 분리시 문틀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몰딩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동구조로 인해 연동 도어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동 도어의 설치 및 운영시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화되어 경제적인 이점까지 얻을 수 있다.
둘째, 도어의 상부가 상부 레일의 격판 사이에 매립되는 형태이므로 소음 및 냉기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셋째, 와이어 고정핀에 와이어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와이어의 단부를 다른 부분과 직각이 되도록 꺾거나 수평이 되도록 꺾음으로써, 와이어의 단부가 연동구에 견고히 고정되어 도어 사이의 연동구조가 해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연동 도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연동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
도 4는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연동되게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연동구와 와이어 고정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겹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연동구에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연동구에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4연동 도어를 구성하는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연동되게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연동 도어에서 전면 도어 및 후면 도어에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연동 도어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연동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연동 도어는 세 개의 도어(10)(11)(12)들이 서로 연동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이루어진다. 연동 도어는 주로 중문에 사용되며, 이 외에도 신발장이나 붙박이장에 사용되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 선단면도이고, 도 4는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연동되게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연동구와 와이어 고정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부 문틀에는 도어(10)(11)(12)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상부 레일(20)이 설치되며, 하부 문틀에는 도어(10)(11)(12)들의 하중을 받쳐주고 이들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부 레일(미도시)이 설치된다.
상부 레일(20)은 수평판(21), 격판(22) 및 레일홈부(23)를 포함한다.
수평판(21)은 상부 문틀에 수평하게 고정된다. 격판(22)은 수평판(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사이로 도어(10)(11)(12)의 상부가 각각 삽입된다. 레일홈부(23)는 격판(22) 사이에서 수평판(21)의 저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 피봇(40)의 상부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레일홈부(23)는 수평판(21)의 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부(23a)와, 수직부(23a)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23b)를 포함한다. 두 수평부(23b) 사이는 탄성 피봇(4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며, 두 수평부(23b)의 단부 저면에는 탄성 피봇(40)의 후술할 스토퍼(44)가 걸리는 걸림턱(23c)이 형성된다.
도어(10)(11)(12)들 중 중간 도어(11)의 상부에는 도어(10)(11)(12)들이 서로 연동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연동장치(30)가 설치된다. 연동장치(30)는 유니트 패널(310), 권취롤러(320), 와이어(330), 연동구(340), 와이어 고정핀(350) 및 마감판(360)을 포함한다.
유니트 패널(310)은 중간 도어(11)의 상부에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간 도어(11)의 상면에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수평부(311)와, 수평부(311)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312), 및 수평부(311)의 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마감판 고정홈부(313)를 포함한다. 수평부(311)에는 권취롤러(3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권취롤러 고정홀(311a)과, 후술할 탄성 피봇(40)이 관통되는 피봇 관통홀(311b)이 형성된다. 수직부(312)의 바깥면에는 연동구(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12a)이 길게 형성된다.
권취롤러(3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유니트 패널(310)의 수평부(311)에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권취롤러 고정홀(311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와이어(330)가 감긴다. 이러한 권취롤러(320)는 와이어(330)를 팽팽하게 잡아주어 와이어(330)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와이어(330)는 두 개가 구비되어 권취롤러(320)에 감기며, 그 양단부는 연동구(340)에 각각 고정된다.
연동구(340)는 와이어(330)에 고정되며, 일부가 이웃하는 도어(10)(12)에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연동홈(10a)(12a)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와이어(330)가 회전할 때 이웃하는 도어(10)(12)들에 걸려 도어(10)(11)(12)들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연동구(340)는 유니트 패널(310)의 수직부(3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연동구(340)는 와이어(330)의 양단이 고정되며 수직부(3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341)와, 몸체(341)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는 도어(10)(12)에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연동홈(10a)(12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342)를 포함한다. 몸체(341)에는 와이어(330)가 가로질러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341a)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와이어 삽입홈(341a)의 중간 중간에는 와이어 고정핀(350)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341b)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341)에는 유니트 패널(310)의 수직부(312)에 끼워지는 패널 끼움홈(341c)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연동구(340)의 걸림부(342)는 도어(10)(11)(12)들을 개별적으로 레일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동홈(10a)(12a)에 간편하게 삽입되거나 탈거되므로 각 도어(10)(11)12)들은 레일에 개별적으로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핀(350)은 연동구(340)에 형성된 핀 삽입홈(341b)에 각각 삽입되어 와이어(330)의 단부를 연동구(34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핀(350)의 중심부에는 와이어(330)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홀(350a)이 형성된다.
마감판(360)은 유니트 패널(310)의 양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동구(340)가 수직부(31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마감한다. 마감판(360)의 일면 하부에는 유니트 패널(310)의 마감판 고정홈부(3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361)가 연장 형성된다.
도어(10)(11)(12)의 상부에는 도어(10)(11)(1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면서 도어(10)(11)(12)들이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피봇(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 피봇(40)은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는 피봇 본체(41)와, 피봇 본체(41)의 일측을 관통하는 회전축(42)과, 회전축(4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슬라이딩롤러(43), 및 슬라이딩롤러(43)의 하단에 구비되는 스토퍼(44)를 포함한다. 피봇 본체(41)는 도어(10)(11)(12)의 상부에 형성된 피봇 고정홈(10b)(11a)(12b)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봇 본체(41)에 내장되는 스프링은 도어(10)(11)(12)들이 슬라이딩될 때 상부 레일(20)에 대하여 도어(10)(11)(12)를 하방으로 밀어주어 도어(10)(11)(12)들이 들썩거리지 않도록 한다. 슬라이딩롤러(43)는 상부 레일(20)을 구성하는 레일홈부(23)의 수평부(23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스토퍼(44)는 수평부(23b)에 형성된 걸림턱(23c)에 걸려 슬라이딩롤러(43)가 필요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겹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도어에 의하면 전면 도어(10), 중간 도어(11) 및 후면 도어(12)가 서로 연동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열리고 닫힌다. 이 때, 연동장치(30)는 중간 도어(11)에만 설치되며, 전면 도어(10) 및 후면 도어(12)에 형성된 걸림홈(10a)(12a)에 연동구(340)의 걸림부(342)가 삽입됨으로써, 도어(10)(11)(12)들은 서로 연동된다.
도 9는 연동구에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연동구에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와이어(330)의 양단부는 와이어 고정핀(350)에 의해 연동구(340)에 각각 견고히 고정된다. 이 때, 와이어 고정핀(350)에 의해 와이어(330)가 고정되는 형태를 보면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첫 번째 형태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핀(350)을 와이어(330)와 수직이 되도록 위치시키는 형태이다. 이 경우 와이어(330)의 단부는 와이어 고정핀(350)의 와이어 관통홀(350a)을 관통한 상태에서 직각으로 꺾이게 된다. 와이어 관통홀(350a) 및 와이어 고정핀(350)의 주변으로는 와이어(330)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접착제(370)가 주입되어 경화된다.
두 번째 형태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핀(350)을 와이어(330)와 나란히 위치시키는 형태이다. 이 경우 와이어(330)의 단부는 와이어 고정핀(350)의 와이어 관통홀(350a)을 관통한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과 수평이 되도록 꺾이게 된다. 와이어 관통홀(350a) 및 와이어 고정핀(350)의 주변으로는 와이어(330)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접착제(370)가 주입되어 경화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330)의 단부가 와이어 고정핀(350)을 관통한 상태에서 와이어 고정핀(350)의 일단에 의해 꺾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와이어 고정핀(350)으로부터 와이어(330)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꺾인 부분으로 인해 와이어(330)가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330)와 연동구(34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와이어(330)가 팽팽하게 긴장된 설치상태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10)(11)(12) 사이의 연동구조가 해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4연동 도어를 구성하는 연동장치에 의해 도어들이 서로 연동되게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4개의 도어(10)(11)(12)(13)가 서로 연동되는 경우 연동장치(30)는 두 개의 도어(11)(13) 상부에 설치된다. 두 연동장치(30) 중 두 번째 도어(11)에 설치되는 연동장치(30)의 연동구들은 이웃하는 도어(10)(12)에 연결되며, 네 번째 도어(13)에 설치되는 연동장치(30)의 연동구 중 하나는 이웃하는 도어(12)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벽체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 연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연동 도어에서 전면 도어 및 후면 도어에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복수 개의 도어(10)(11)(12)들 중 닫을 때 문틀의 측부와 접촉되는 도어(10)(12)의 측부에는 자체에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 도어(10)(12)를 닫을 때 도어(10)(12)에 앞서 문틀에 접촉되면서 도어(10)(12)가 닫힐 때 작용하는 힘을 저감시켜 도어(10)(12)와 문틀 사이에 끼이는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해주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50)가 구비된다.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50)의 소재로는 자체에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 등이 사용되며, 단면이 원형인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10)(12)의 측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50)의 일부는 도어(10)(12)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어(10)(12)를 닫을 때 실수로 사용자의 손이 도어(10)(12)와 측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50)가 없다면 도어(10)(12)를 닫을 때 작용하는 힘이 손가락에 그대로 미쳐 손가락이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50)가 구비되면 도어(10)(12)와 측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더라도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50)에 의해 도어(10)(12)의 닫히는 속도가 감소되고 닫힐 때 작용하는 힘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손가락에 작용하는 힘이 현저히 줄어든다. 따라서, 손가락의 부상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10,11,12,13 : 도어 20 : 상부 레일
21 : 수평판 22 : 격판
23 : 레일홈부 30 : 연동장치
310 : 유니트 패널 311 : 수평부
312 : 수직부 313 : 마감판 고정홈부
320 : 권취롤러 330 : 와이어
340 : 연동구 341 : 몸체
342 : 걸림부 350 : 와이어 고정핀
360 : 마감판 370 : 접착제
40 : 탄성 피봇 41 : 피봇 본체
42 : 회전축 43 : 슬라이딩롤러
44 : 스토퍼 50 :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

Claims (15)

  1.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도어와, 상기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연동 도어에 있어서,
    상기 레일 중 상부 문틀에 설치되는 상부 레일은,
    상부 문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며, 서로 이격된 사이로 상기 각 도어의 상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도어들 중 일부 도어의 상단부에 길게 설치되는 유니트 패널;
    상기 유니트 패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
    상기 권취롤러에 감기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며, 걸림부가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된 연동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회전할 때 이웃하는 도어들에 걸려 이웃하는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구;
    상기 연동구에 형성된 핀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고정핀의 중심부에는 와이어가 단부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핀은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설치상태와 수직하게 위치되거나 와이어와 나란히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꺾이면서 와이어 고정핀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도어들을 개별적으로 상기 레일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홈에 삽입되거나 탈거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상기 각 도어들을 상기 레일에 개별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패널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는 상기 수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각 수직부의 바깥면에는 상기 연동구가 이웃하는 도어의 연동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각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에 탈거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상부 레일에 대하여 상기 도어를 하방으로 밀면서 도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여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시 도어가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피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들 중 닫을 때 문틀의 측부와 접촉되는 도어의 측부에는 자체에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 도어를 닫을 때 도어에 앞서 문틀에 접촉되면서 도어가 닫힐 때 작용하는 힘을 저감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이는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해주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
  10. 복수 개의 도어 중 일부 도어의 상단부에 길게 설치되는 유니트 패널;
    상기 유니트 패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
    상기 권취롤러에 감기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며, 걸림부가 이웃하는 도어에 형성된 연동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회전할 때 이웃하는 도어들에 걸려 이웃하는 도어들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구;
    상기 연동구에 형성된 핀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고정핀의 중심부에는 와이어가 단부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핀은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설치상태와 수직하게 위치되거나 와이어와 나란히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꺾이면서 와이어 고정핀으로부터 분리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도어들을 개별적으로 레일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홈에 삽입되거나 탈거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상기 각 도어들을 상기 레일에 개별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03056A 2013-01-10 2013-01-10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KR10125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56A KR101257338B1 (ko) 2013-01-10 2013-01-10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56A KR101257338B1 (ko) 2013-01-10 2013-01-10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338B1 true KR101257338B1 (ko) 2013-04-23

Family

ID=4844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56A KR101257338B1 (ko) 2013-01-10 2013-01-10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338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41B1 (ko) * 2013-12-30 2015-03-04 정재홍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KR101502470B1 (ko) 2014-09-02 2015-03-24 김광복 문틀과 문짝 사이의 빈틈을 줄여주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542798B1 (ko) 2015-04-22 2015-08-07 정재홍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KR101545544B1 (ko) * 2015-02-24 2015-08-20 백대준 서버 케이지
KR200478622Y1 (ko) * 2015-08-27 2015-11-02 이광훈 어린이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 어셈블리
KR101642410B1 (ko)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704585B1 (ko) * 2016-05-17 2017-02-08 이광재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1717732B1 (ko) * 2016-05-17 2017-03-27 이광재 3중 슬라이딩 도어 체결장치
KR101736357B1 (ko) * 2015-07-07 2017-05-16 동서콘트롤(주)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20170003097U (ko)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오엠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0490457Y1 (ko) * 2019-05-28 2019-11-13 김영덕 프레임 일체형 연동 도어용 가이드 모듈 및 이에 의한 연동 도어
KR200490456Y1 (ko) * 2019-05-17 2019-11-13 김영덕 연동 도어용 피봇 모듈
KR20200023963A (ko) * 2018-08-27 2020-03-06 하나산(주) 미닫이 창호용 안전 상부레일
KR102259142B1 (ko) * 2019-12-23 2021-05-31 김정현 다중 도어의 연동식 개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022A (ja) * 1998-10-27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連動引戸
KR20100093265A (ko) * 2009-02-16 2010-08-25 김권중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KR101040497B1 (ko) * 2009-05-06 2011-06-09 주식회사 씨쓰리 복수 문의 연동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101172697B1 (ko) * 2011-06-14 2012-08-10 송진화 미닫이 도어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022A (ja) * 1998-10-27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連動引戸
KR20100093265A (ko) * 2009-02-16 2010-08-25 김권중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KR101040497B1 (ko) * 2009-05-06 2011-06-09 주식회사 씨쓰리 복수 문의 연동이 가능한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101172697B1 (ko) * 2011-06-14 2012-08-10 송진화 미닫이 도어의 연동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41B1 (ko) * 2013-12-30 2015-03-04 정재홍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KR101502470B1 (ko) 2014-09-02 2015-03-24 김광복 문틀과 문짝 사이의 빈틈을 줄여주는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545544B1 (ko) * 2015-02-24 2015-08-20 백대준 서버 케이지
KR101542798B1 (ko) 2015-04-22 2015-08-07 정재홍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WO2016171355A1 (ko) * 2015-04-22 2016-10-27 정재홍 연동형 도어 이송장치
KR101736357B1 (ko) * 2015-07-07 2017-05-16 동서콘트롤(주) 반자동 3연동 도어 시스템
KR101642410B1 (ko)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200478622Y1 (ko) * 2015-08-27 2015-11-02 이광훈 어린이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 어셈블리
KR20170003097U (ko)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오엠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717732B1 (ko) * 2016-05-17 2017-03-27 이광재 3중 슬라이딩 도어 체결장치
KR101704585B1 (ko) * 2016-05-17 2017-02-08 이광재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20200023963A (ko) * 2018-08-27 2020-03-06 하나산(주) 미닫이 창호용 안전 상부레일
KR102129512B1 (ko) * 2018-08-27 2020-07-02 하나산(주) 미닫이 창호용 안전 상부레일
KR200490456Y1 (ko) * 2019-05-17 2019-11-13 김영덕 연동 도어용 피봇 모듈
KR200490457Y1 (ko) * 2019-05-28 2019-11-13 김영덕 프레임 일체형 연동 도어용 가이드 모듈 및 이에 의한 연동 도어
KR102259142B1 (ko) * 2019-12-23 2021-05-31 김정현 다중 도어의 연동식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38B1 (ko)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CN210370444U (zh) 门栏
EP2900894B1 (en) Control and movement device for mosquito screens, curtains and the like
KR101871475B1 (ko)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
KR101966890B1 (ko) 폴딩도어용 롤러장치장치
KR100754021B1 (ko) 다양한 개폐구조를 갖는 전시용 실내벽체
KR101311425B1 (ko) 창호의 힌지 구조물
KR101759322B1 (ko)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EA035794B1 (ru) Шарн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скрыт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JP2002138772A (ja) 吊戸装置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101232512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101192824B1 (ko) 미닫이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의 열림량 설정장치
KR101964312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20100104169A (ko) 천장 점검구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20200132036A (ko) 엣지형 조명등
KR102456008B1 (ko)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US20170211311A1 (en) Rotatable and hung safety window assembly
KR101328686B1 (ko) 미서기형 이중창
KR200334771Y1 (ko)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KR20090095080A (ko) 도어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