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544B1 - 서버 케이지 - Google Patents

서버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544B1
KR101545544B1 KR1020150025796A KR20150025796A KR101545544B1 KR 101545544 B1 KR101545544 B1 KR 101545544B1 KR 1020150025796 A KR1020150025796 A KR 1020150025796A KR 20150025796 A KR20150025796 A KR 20150025796A KR 101545544 B1 KR101545544 B1 KR 10154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pper frame
roller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대준
Original Assignee
백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대준 filed Critical 백대준
Priority to KR102015002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97Rooms for data centers; Shipping contain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틀 형상의 상부프레임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철망 벽체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의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어 어느 일측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다수의 출입도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부; 어느 하나의 상기 출입도어와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다수의 상기 출입도어 중 어느 하나를 밀거나 당기면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다수의 출입도어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도어부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함으로써, 서버 케이지 내의 더 많은 랙 장비 등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서버 케이지의 더 좋은 환경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버 케이지{Server cage}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하여, 서버 케이지 내의 더 많은 랙 장비 등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출입도어가 개방되는 공간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버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사용하는 서버장비 및 통신장비의 운영은, 각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서버 및 통신 장비를 관리하기에 인적, 재산적으로 부담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최첨단 전산시설과 완벽한 통신 네크워크를 갖추면서 통제된 구역 내 보안시설까지 구성되어 각 기업체의 서버를 안전하게 한 곳에서 관리하는 통합서버관리센터에 입주하여 대행으로 관리, 운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통합서버관리센터는, 각각의 서버를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사용되도록 유지 및 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담당자가 아닌 외부인으로부터 서버를 물리적으로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통제된 구역 내에 있더라도 안정성과 보안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철망 등으로 구성된 서버 케이지를 더 설치하여 서버 케이지 내에 서버를 보관함으로서, 외부인의 접근과 물리적 장애를 차단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서버 운영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서버 케이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29472호(2014.8.6, '서버 케이지')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서버 케이지의 전, 후방으로 유동하여 개폐되는 출입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출입문은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어 있어, 출입문이 개폐되는 데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하고,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이다.
다른 종래의 서버 케이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5555호(2006.8.29, '서버케이지')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출입문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미닫이식으로 개폐되지만, 출입문은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어,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이 적으므로 출입 가능한 폭의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입문의 하중이 하부에 배치된 레일에만 집중되므로 사람들이 드나드는 하부에 배치된 레일의 파손이 종종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함으로써, 서버 케이지 내의 더 많은 랙 장비 등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출입도어가 개방되는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큰 장비의 출입도 가능한 장점이 있는 서버 케이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틀 형상의 상부프레임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철망 벽체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의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어 어느 일측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다수의 출입도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부; 어느 하나의 상기 출입도어와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다수의 상기 출입도어 중 어느 하나를 밀거나 당기면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는,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도어와, 상기 중앙도어를 사이에 두고 각각 외측에 배치되는 제1외측도어 및 제2외측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도어와 상기 제2외측도어는, 상기 중앙도어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포개짐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출입도어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출입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출입도어의 상기 걸림부가,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의 상기 걸림부와 맞닿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부에는 상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도어에는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상부롤러부의 회전축은 상기 출입도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부가 상기 출입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블럭부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롤러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레일은 다수의 단위레일로 구성되되, 다수의 상기 단위레일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레일은, 상기 상부롤러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하부로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전방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롤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개방부의 후방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롤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내측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의 내측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천정에는 앵커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상기 앵커는 연결선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하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도어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이탈방지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롤러부의 회전축은 상기 출입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하부이탈방지롤러부에 의해 상기 출입도어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버 케이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의 출입도어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도어부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함으로써, 서버 케이지 내의 더 많은 랙 장비 등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케이지의 더 좋은 환경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출입도어가 다수로 구성되어 있어, 출입도어가 개방되는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큰 장비의 출입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부프레임부가 출입도어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배선 등의 복잡한 케이블 선이 배치되는 통합서버관리센터의 바닥면에 출입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종래의 구조보다 상부에서 출입도어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바닥면에 위치한 케이블 선 등의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상부레일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의해 상부롤러부의 전방롤러와 후방롤러는 전후방향의 흔들림없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슬라이딩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이탈방지롤러부의 회전축은 출입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하부이탈방지롤러부가 출입도어의 하부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출입도어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어, 출입도어의 안정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천정에는 앵커가 설치되어, 상부프레임부와 앵커는 연결선으로 이어져 있음에 따라, 출입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부를 더욱 견고히 지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케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상부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단위 철망 벽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부 프레임부와 철망 벽체부가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상부 프레임과 기둥바가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슬라이딩 도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상부레일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상부레일과 상부롤러부가 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8의 상부롤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8의 하부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하부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하부레일과 하부이탈방지롤러부가 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8의 하부이탈방지롤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8의 연동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8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연동부재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2는 상부프레임부와 앵커가 연결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케이지의 전체 사시도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서버관리센터(미도시) 내에 별도의 보안공간을 이루는 서버 케이지(1000)는 상부프레임부(100)와 철망 벽체부(200)와 슬라이딩 도어부(300)를 포함하여,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보통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전체적인 서버 케이지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부(100)는 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합서버관리센터 내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인 상부 프레임(110) 네 개에 의해 사각틀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프레임부(100)는 통합서버관리센터 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망 벽체부(200)는 바닥면과 상부프레임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바닥면과 상부프레임부(100)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틀 형상의 상부프레임부(100)와 바닥면 사이의 어느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개의 측면에 철망 벽체부(2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철망 벽체부(200)를 이루는 단위 철망 벽체(250)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철망 벽체(250)는 사각틀 형상의 단위 프레임(251)과, 단위 프레임(251) 내부에 마련되는 철망(253)과, 단위 프레임(251)의 중간에 가로로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25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프레임부(100)와 철망 벽체부(200)가 조립되는 구조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따르면, 먼저 기둥바(150)를 통합서버관리센터 내 바닥면에 세우고, 상부 프레임(110)을 천장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 프레임(110)과 기둥바(1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30)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30)의 단면은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브라켓(130)의 단면은 상부 프레임(110)의 단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연결된다.
조립된 상부 프레임(110)과 기둥바(150) 내에 다수의 단위 철망 벽체(250)를 하나씩 배치하여 단위 철망 벽체(250)끼리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10)과 기둥바(150) 내에 두 개의 단위 철망 벽체(250)를 배치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두 개의 단위 철망 벽체(250)를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위 철망 벽체(250)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단위 철망 벽체(250) 사이 사이에 기둥바(150')를 더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조립된 상부 프레임(110)과 기둥바(150) 내에 다수의 단위 철망 벽체(250)를 다 배치하고 나면, 배치된 단위 철망 벽체(250)에 또 다른 기둥바(150')를 조립한다.
단위 철망 벽체(250)를 통합서버관리센터 내 바닥면에 브라켓(미도시) 등으로 고정한다.
철망 벽체부(20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부프레임부(100)와 바닥면 사이의 어느 일측면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부(300)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슬라이딩 도어부(300)는 철망 벽체부(20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바닥면과 상부프레임부(100) 사이의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어 어느 일측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부프레임부(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다수의 출입도어(310, 311, 312)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출입도어(310, 311, 31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도어(310)와 제1외측도어(311)와 제2외측도어(312)인 세 개의 출입도어(310, 311, 312)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도어(310)는 중앙에 배치되고, 중앙도어(3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외측에 제1외측도어(311)와 제2외측도어(312)가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도 9에서 중앙도어(310)의 좌측에 배치된 외측도어를 제1외측도어(311)라 하고, 중앙도어(310)의 우측에 배치된 외측도어를 제2외측도어(312)라 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외측도어(311)와 제2외측도어(312)는, 중앙도어(31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포개짐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딩 도어부(300)가 개방될 때 도 3과 같이, 중앙도어(310)의 전방에 제1외측도어(311)가 배치되고, 중앙도어(310)의 후방에 제2외측도어(312)가 배치되어 세 개의 출입도어(310, 311, 312)가 포개어진다.
다시 말하면, 서버 케이지의 최내측에는 제2외측도어(312)가 배치되며, 서버 케이지의 최외측에는 제1외측도어(311)이 배치되고, 제1외측도어(311)와 제2외측도어(312)의 사이에는 중앙도어(310)가 배치되는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최외측에 위치한 출입도어(311, 312)에는 번호키 등의 잠금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관련인을 제외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부(300)가 상부프레임부(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부(100)에는 상부레일(40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부(100)는 두 개의 상부 프레임(110) 사이에 상부 보강프레임(120)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두 개의 상부 프레임(110)과, 그 사이에 연결된 상부 보강프레임(120)의 하면에 상부레일(400)이 고정된다.
상부레일(400)의 상세구조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였다.
상부레일(400)은 다수의 단위레일(41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도어부(300)가 세 개의 출입도어(310, 311, 312)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세 개의 단위레일(410)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위레일(410)의 개수는 출입도어(310, 311, 312)의 개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개의 단위레일(410)은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최전방에 배치되는 단위레일(410)에는 제1외측도어(311)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롤러부(500)가 삽입되고, 최후방에 배치되는 단위레일(410)에는 제2외측도어(312)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롤러부(500)가 삽입되어, 사이에 배치되는 단위레일(410)에는 중앙도어(310)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롤러부(500)가 삽입된다.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롤러부(500)의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이러한 각각의 단위레일(41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411)와 개방부(412)와 제1지지부(413)와 제2지지부(414)와 제1돌기부(415)와 제2돌기부(4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부(41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상부롤러부(5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개방부(412)는 공간부(411)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다.
공간부(411)와 개방부(412)에 의해 단위레일(410)의 단면은 하부로 개방된 '디귿자' 형상이다.
제1지지부(413)는 개방부(412)의 전방을 따라 단위레일(4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도 12와 같이 상부롤러부(500)의 전방롤러(520)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지지부(413)의 내측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돌기부(415)가 형성되어 있어, 도 12와 같이 전방롤러(52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제2지지부(414)는 개방부(412)의 후방을 따라 단위레일(4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도 12와 같이 상부롤러부(500)의 후방롤러(530)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지지부(414)의 내측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2돌기부(416)가 형성되어 있어, 도 12와 같이 후방롤러(53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413)와 제2지지부(414)에 의해 상부롤러부(500)의 전방롤러(520)와 후방롤러(530)는 전후방향의 흔들림없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슬라이딩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롤러부(500)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부롤러부(500)는 상부프레임부(100)에 설치된 상부레일(400)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부프레임부(100)가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렇게 상부프레임부(100)가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면, 배선 등의 복잡한 케이블 선이 배치되는 통합서버관리센터의 바닥면에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중을 지지하는 종래의 구조보다 상부에서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바닥면에 위치한 케이블 선 등의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상부롤러부(500)의 상세구조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롤러부(500)는 고정블럭부(5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롤러(5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롤러(5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블럭부(510)는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단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단위레일(410)의 공간부(411) 내에 위치한다. 고정블럭부(510)의 하면에는 체결수단(57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블럭부(510)가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조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블럭부(510)의 전방 양측에는 전방롤러(52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롤러 안착부(511)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블럭부(510)의 후방 양측에는 후방롤러(53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후방롤러 안착부(513)가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롤러(520)는 고정블럭부(51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 전방롤러(520)는 두 개로 구성되어 고정블럭부(510) 전방 양측에 형성된 전방롤러(520) 안착부(51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롤러(530)는 고정블럭부(5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 후방롤러(530)는 두 개로 구성되어 고정블럭부(510) 후방 양측에 형성된 후방롤러 안착부(51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롤러부(500)의 각 전방롤러(520) 및 각 후방롤러(530)의 회전축은 출입도어(310, 311, 312)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부롤러부(500)에 의해 각 출입도어(310, 311, 312)가 상부프레임부(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출입도어(310, 311, 312)의 전후방향이란, 도 9에서 상부프레임부(100)와 기둥(950)에 공통으로 수직한 방향, 다시 말하면 상부프레임부(100)와 기둥(950)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말한다.
상부롤러부(500)가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한 고정브라켓(5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550)은 하부로 개방된 '디귿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551)와, 본체부(551)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53)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551)에는 체결수단(57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홀(552)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51)의 상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555)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보강부(555)에는 제1체결홀(552)과 대응하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555)의 일측에는 하부로 연장된 연장편(556)이 형성되어 있어, 연장편(556)이 본체부(55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보강부(555)가 본체부(551)와의 부착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플랜지부(553)에는 다수의 제2체결홀(5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브라켓(55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570)이 본체부(551)의 제1체결홀(552)을 관통하여 고정블럭부(510)(510)의 체결홈에 체결됨으로써, 상부롤러부(500)(500)에 고정브라켓(550)이 고정되며, 고정브라켓(550)의 플랜지부(553)에 형성된 제2체결홀(554)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고정브라켓(550)은 출입도어(310, 311, 312)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하부에는 하부레일(60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통합서버관리센터 내 바닥면에 하부레일(600)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레일(600)의 상세구조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4에 도시한 하부레일(600)은 노출형 하부레일(600)로서, 바닥면으로부터 하부레일(600) 전체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형 하부레일(600)은 다수의 단위 하부레일(6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도어부(300)가 세 개의 출입도어(310, 311, 312)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세 개의 단위 하부레일(610)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위 하부레일(610)의 개수는 출입도어(310, 311, 312)의 개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개의 단위 하부레일(610)은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최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부레일(610)에는 제1외측도어(311)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가 삽입되고, 최후방에 배치되는 단위 하부레일(610)에는 제2외측도어(312)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가 삽입되어, 사이에 배치되는 단위 하부레일(610)에는 중앙도어(310)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가 삽입된다.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고정되는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의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각 단위 하부레일(610)은 상부로 개방되어 있어,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내부에 하기에서 설명할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가 삽입된다.
각 단위 하부레일(610)은 연결편(6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편(620)은 단위 하부레일(61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최전방에 위치한 단위 하부레일(610)의 전방에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전방 지지프레임(630)이 연결되어 있고,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 하부레일(610)의 후방에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후방 지지프레임(640)이 연결되어 있다.
하부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5에 하부레일(600')은 매립형 하부레일로서, 하부레일하부레일(600')이 바닥면에 매립되어 하부레일(600')의 상면만 바닥면으로 노출이 되는 경우이다. 도 15에 도시한 매립형 하부레일(600')은 노출형 하부레일(600)과 대동소이하며, 노출형 하부레일(600과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매립형 하부레일(600')은 세 개의 단위 하부레일(610)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위 하부레일(610)은 연결편(620)에 의해 상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최전방에 위치한 단위 하부레일(610)의 상부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된 전방 여장부(650)가 연결되어 있고,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 하부레일(610)의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660)가 연결되어 있다.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면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의 상세구조를 도 17에 도시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는 고정편(710)과 회전축(730)과 이탈방지롤러(7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710)은, 도 16에 바와 같이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제3체결홀(71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730)은 고정편(710)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탈방지롤러(750)는 회전축(73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16과 같이 고정편(710)는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면에 부착되고, 회전축(730)과 이탈방지롤러(750)는 하부레일(600) 내에 배치된다. 이때,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의 회전축(730)은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하부이탈방지롤러부(700)가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부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출입도어(310, 311, 312)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어, 출입도어(310, 311, 312)의 안정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출입도어(310, 311, 312)의 상하방향이란, 기둥(95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말한다.
다수의 출입도어(310, 311, 312) 중 어느 하나를 밀거나 당기면 인접한 출입도어(310, 311, 312)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부재(800)의 설치구조를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연동부재(800)는,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어느 하나의 출입도어(310, 311, 312)와 인접한 출입도어(310, 311, 312)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외측도어(311)의 우측에 연동부재(800)가 마련되고, 중앙도어(310)의 양측에 연동부재(800)가 각각 마련되고, 제2외측도어(312)의 좌측에 연동부재(800)가 마련되어 있다.
각 출입도어(310, 311, 312)에 마련되는 연동부재(80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810)와 걸림부(8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과 같이 각 출입도어(310, 311, 312)에 마련되는 연동부재(800)의 형상은 동일하나 출입도어(310, 311, 312)에 배치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장착부(810)는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측면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즉, 출입도어(310, 311, 312)에 인접한 출입도어(310, 311, 312)가 있는 측면에 장착부(810)가 장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8과 같이 제1외측도어(311)의 우측면, 중앙도어(310)의 양측면, 제2외측도어(312)의 좌측면에 각각 연동부재(800)의 장착부(810)가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최하단에 연동부재(800)가 배치되어 있다.
걸림부(830)는 장착부(8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출입도어(310, 311, 31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와 같이 제1외측도어(311)의 우측면에 장착된 장착부(810a)의 후방으로부터 제1외측도어(311)의 내측방향으로 걸림부(830a)가 연장되어 있다. 중앙도어(310)의 좌측면에 장착된 장착부(810b)의 전방으로부터 중앙도어(310)의 내측방향으로 걸림부(830b)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외측도어(311)의 걸림부(830a)와 중앙도어(310)의 걸림부(830b)는 도 20과 같이 서로 맞닿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제1외측도어(311)의 걸림부(830a)와 제1외측도어(311)의 후면은 이격되고, 중앙도어(310)의 걸림부(830b)와 중앙도어(310)의 후면은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출입도어(310, 311, 312)의 걸림부(830)와 출입도어(310, 311, 312)의 후면이 이격된 공간에 인접한 출입도어(310, 311, 312)의 걸림부(830)가 삽입됨으로써, 인접한 걸림부(830)는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9에서는 제1외측도어(311)에 마련된 연동부재(800a)와 중앙도어(310)의 좌측면에 마련된 연동부재(800b)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중앙도어(310)의 우측면에 마련된 연동부재(800a)와 제2외측도어(312)에 마련된 연동부재(800b)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부(100)와 상부레일(400)이 배치되고,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하부에는 하부레일(600)이 배치된다.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양측에는 기둥(950)이 세워지며, 기둥(950)과 상부프레임부(100) 사이에는 보강꺽쇠(951)가 장착된다.
기둥(950)의 내측에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인 도어문틀(960)이 장착되어, 출입도어(310, 311, 312)가 닫힐 때 도어문틀(960) 내에 최외측에 배치되는 출입도어(310, 311, 312)인 제1외측도어(311)와 제2외측도어(312)의 측면이 각각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부(300)의 작동 상태를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외측도어(312)를 도 20에서 좌측으로 밀어서 제2외측도어(312)만 개방한 상태는 도 2와 같다.
이 상태에서 중앙도어(310)를 좌측으로 밀면, 도 20과 같이 중앙도어(310)의 연동부재(800)와 제2외측도어(312)의 연동부재(800)가 서로 맞닿아 있어, 중앙도어(310)를 밀면 중앙도어(310)의 연동부재(800)의 걸림부(830)가 제2외측도어(312)의 연동부재(800)의 장착부를 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중앙도어(310)만 밀어도 제2외측도어(312)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중앙도어(310)와 연동하여 제2외측도어(312)가 함께 개방되어 도 3과 같다. 이렇게 중앙도어(310)와 제2외측도어(312)가 모두 개방된 상태는 도 21과 같으며, 앙도어의 전방에 제1외측도어(311)가 배치되고, 중앙도어(310)의 후방에 제2외측도어(312)가 배치되어 세 개의 출입도어(310, 311, 312)가 포개어진다.
개방된 출입도어(310, 311, 312)를 폐쇄하고자 할 때에는, 제2외측도어(312)를 도 21에서 우측방향으로 밀면, 제2외측도어(312)와 중앙도어(310)가 연동하여 함께 이동한다.
즉, 제2외측도어(312)를 밀면, 제2외측도어(312)의 연동부재(800)의 걸림부(830)가 중앙도어(310)의 연동부재(800)의 장착부(810)를 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2외측도어(312)만 밀어도 중앙도어(310)가 함께 이동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서버 케이지에 따르면, 다수의 출입도어(310, 311, 312)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도어부(300)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부(300)가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함으로써, 서버 케이지 내의 더 많은 랙 장비 등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케이지의 더 좋은 환경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출입도어(310, 311, 312)가 다수로 구성되어 있어, 출입도어(310, 311, 312)가 개방되는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큰 장비의 출입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프레임부(100)가 통합서버관리센터 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부프레임부(100)는 천장과 이격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상부프레임부(100)의 상면을 덮도록 철망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프레임부(100)는 천장과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천정에는 앵커(900)가 설치되어, 상부프레임부(100)와 앵커(900)는 연결선(910)으로 이어져 있음에 따라, 출입도어(310, 311, 312)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부(100)를 더욱 견고히 지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상부프레임부 200 : 철망 벽체부
300 : 슬라이딩 도어부 310, 311, 312 : 출입도어
400 : 상부레일 410 : 단위레일
411 : 공간부 412 : 개방부
413 : 제1지지부 414 : 제2지지부
415 : 제1돌기부 416 : 제2돌기부
500 : 상부롤러부 510 : 고정블럭부
520 : 전방롤러 530 : 후방롤러
600 : 하부레일 700 : 하부이탈방지롤러부
800 : 연동부재 810 : 장착부
830 : 걸림부 900 : 앵커
910 : 연결선

Claims (8)

  1.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틀 형상의 상부프레임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철망 벽체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프레임부 사이의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어 어느 일측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다수의 출입도어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부;
    어느 하나의 상기 출입도어와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다수의 상기 출입도어 중 어느 하나를 밀거나 당기면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가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부에는 상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도어에는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상부롤러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블럭부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롤러와,
    상기 고정블럭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레일은 다수의 단위레일로 구성되되,
    상기 단위레일은,
    상기 상부롤러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하부로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전방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롤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개방부의 후방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롤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는,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도어와,
    상기 중앙도어를 사이에 두고 각각 외측에 배치되는 제1외측도어 및 제2외측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도어와 상기 제2외측도어는,
    상기 중앙도어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포개짐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케이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출입도어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출입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출입도어의 상기 걸림부가, 인접한 상기 출입도어의 상기 걸림부와 맞닿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케이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단위레일은 상기 출입도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롤러부의 회전축은 상기 출입도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부가 상기 출입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케이지.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의 내측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부의 내측 끝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케이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천정에는 앵커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상기 앵커는 연결선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케이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하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도어에는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이탈방지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롤러부의 회전축은 상기 출입도어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하부이탈방지롤러부에 의해 상기 출입도어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케이지.
KR1020150025796A 2015-02-24 2015-02-24 서버 케이지 KR10154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96A KR101545544B1 (ko) 2015-02-24 2015-02-24 서버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96A KR101545544B1 (ko) 2015-02-24 2015-02-24 서버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544B1 true KR101545544B1 (ko) 2015-08-20

Family

ID=5406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796A KR101545544B1 (ko) 2015-02-24 2015-02-24 서버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5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30B1 (ko) 2018-12-14 2019-05-22 김성준 서버 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서버랙
KR102176097B1 (ko) 2020-05-07 2020-11-10 김태균 냉각수단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시스템
KR20210074653A (ko) 2019-12-12 2021-06-22 엔씨엔스페이스(주) 복수사용자용 데이터센터를 위한 스마트케이지
KR20220120185A (ko) 2021-02-23 2022-08-30 (주)금녕산업 내부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367Y1 (ko) * 2002-02-21 2002-05-11 주식회사 코라시스 서버용 케이지 조립체
KR200425555Y1 (ko) * 2006-06-20 2006-09-11 최현택 서버케이지
KR101257338B1 (ko) * 2013-01-10 2013-04-23 강선애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367Y1 (ko) * 2002-02-21 2002-05-11 주식회사 코라시스 서버용 케이지 조립체
KR200425555Y1 (ko) * 2006-06-20 2006-09-11 최현택 서버케이지
KR101257338B1 (ko) * 2013-01-10 2013-04-23 강선애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30B1 (ko) 2018-12-14 2019-05-22 김성준 서버 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서버랙
KR20210074653A (ko) 2019-12-12 2021-06-22 엔씨엔스페이스(주) 복수사용자용 데이터센터를 위한 스마트케이지
KR102176097B1 (ko) 2020-05-07 2020-11-10 김태균 냉각수단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시스템
KR20220120185A (ko) 2021-02-23 2022-08-30 (주)금녕산업 내부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 서버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544B1 (ko) 서버 케이지
US4418551A (en) Vending machine security cage
US10237994B2 (en) Vertical mounting rail with cable management features
US6101773A (en) Wire management system
US20170298669A1 (en) Sliding barn door hardware
US20120062091A1 (en) Vertical mounting rail with cable management features
KR102070830B1 (ko)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폐구조
US6364439B1 (en) Computer storage systems for computer facilities
US11319750B2 (en) Self-contained gate
KR200425555Y1 (ko) 서버케이지
JPH09118391A (ja) 配送品受取りボックス
JP4824982B2 (ja) 建物
KR101208476B1 (ko)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WO2006137804A1 (en) Top hung sliding door system for interior use
KR101218254B1 (ko)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KR101021648B1 (ko)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1050131B1 (ko)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JP7293542B2 (ja) 収納部の設置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JP6521684B2 (ja) 仕切り装置
KR101429472B1 (ko) 서버 케이지
KR20090003147U (ko) 미닫이 도어 개폐장치
CZ54193A3 (en) Transport spatial cell as a transformer substa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JP5052961B2 (ja) 収納室構造
JP2005016205A (ja) 補助扉およびこれを備えた玄関構造
JP2023085000A (ja) 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