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771Y1 -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771Y1
KR200334771Y1 KR20-2003-0027679U KR20030027679U KR200334771Y1 KR 200334771 Y1 KR200334771 Y1 KR 200334771Y1 KR 20030027679 U KR20030027679 U KR 20030027679U KR 200334771 Y1 KR200334771 Y1 KR 200334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plate
sli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환
Original Assignee
장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환 filed Critical 장경환
Priority to KR20-2003-0027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가 부착된 미닫이식 도어의 상/하부에 힌지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를 미닫이 방식은 물론 여닫이 방식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제 1 공간(10)과 제 2 공간(11)을 구획하는 창틀(20); 상기 창틀(20)의 저면에 설치된 하부레일(21)에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되고 상면 일 측에는 하부 힌지(3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3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의 저면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판(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활차(35)로 이루어진 안내수단(30); 상기 창틀(20)의 상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되며 저면 일측에 하향 돌출되게 상부 힌지(52)가 형성된 지지부재(51)로 이루어진 지지수단(50); 상기 상부 힌지(52)와 하부 힌지(32)가 끼워지는 상/하부 삽입공(43,45)이 각각 형성된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의 중앙부에 고정된 유리(42)로 이루어진 도어(40) 및 상기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도어(40)의 타 측 하부에 설치된 고정수단(7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Sliding type and opening and shutting type door}
본 고안은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가 부착된 미닫이식 도어의 상/하부에 힌지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를 미닫이 방식은 물론 여닫이 방식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과 베란다 또는 거실과 방 등과 같이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중앙부에 유리가 부착된 미닫이식 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식 도어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공간(200)과 제 2 공간(210)을 구획하기 위하여 창틀(100)이 마련되어 있되, 그 창틀(100)은 상측에는 상부레일(11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레일(1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 측 벽면에는 지지바(1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틀(100)의 내부에는 하부레일(112)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복수개의 도어(1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도어(120)의 중앙부에는 유리(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도어(120)는 공간을 차단할 때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어(120)가 겹쳐지지 않도록 닫는 것이고, 공간을 개방시킬 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20)가 겹쳐지도록 복수개의 도어(120)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밀어 공간을 개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120)는 하부레일(112)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게 되어 있으므로,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는 최대 폭은 전체 폭의 1/2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는 폭이 제한될 경우에는 환기를 시킬 때에는 도어(120)에 의해서 환기되는 면적이 축소되었으며, 부피가 큰 물건(장롱, 침대 등)을 이동시킬 때에는 도어(120)를 분리시킨 후 물건을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의 일측에 힌지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도어를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공간 11 : 제 2 공간
20 : 창틀 21 : 하부레일
22 : 상부레일 23 : 지지바
30 : 안내수단 31 : 하부 플레이트
32 : 하부 힌지 33,44,46,53 : 경사면
34 : 지지판 35 : 활차
36 : 고정공 40 : 도어
41 : 프레임 42 :유리
43 : 상부 삽입공 45 : 하부 삽입공
47 : 고정볼 51 : 지지부재
52 : 상부 힌지 54 : 고정볼 삽입홈
55 : 고정판 60 : 자성체
70 : 고정수단 72 : 고정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측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레일이 설치되며 양 측 벽면에는 지지바가 설치된 창틀; 상기 창틀의 저면에 설치된 하부레일에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일 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힌지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활차로 이루어진 안내수단; 상기 창틀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레일에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 일 측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힌지로 이루어진 지지수단;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가 끼워지도록 상/하부면 일 측에는 상/하부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된 유리로 이루어진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도어의 타 측 하부에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 공간(10)과 제 2 공간(11)을 구획하는 창틀(2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창틀(20)의 상측에는 상부레일(2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레일(21)이 설치되며 양 측 벽면에는 지지바(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창틀(20)의 저면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수단(3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안내수단(3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31)가 마련되어 있고, 그 하부 플레이트(31)의 일측면에는 이물질이 하부레일(2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기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일측에는 하부 힌지(32)가 상향 돌출되도록 체결부재(38)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지지판(34)이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판(34)에는 하부레일(21)을 따라서 이동되는 활차(3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하부 플레이트(3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블럭(3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틀(2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레일(22)에는 이후에 설명할 도어(4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5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지지수단(50)은 상부레일(22)에 끼워지는 지지부재(5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51)의 저면에는 상부 플레이트(5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 플레이트(56)의 저면 일 측에는 상부 힌지(52)가 하향 돌출되게 체결부재(57)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51)의 상면 타측에는 자력을 갖는 고정판(55)이 내장되고, 상기 지지부재(51)가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판(55)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레일(22)에는 자성체(6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수단(30)과 지지수단(50)의 사이에는 도어(40)가 설치되어 있되, 그 도어(40)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프레임(41)이 설치되어 있고, 그 프레임(41)의 상/하부면 일 측에는 상/하부 삽입공(43,45)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41)의 중앙부에는 유리(4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힌지(52) 및 하부 힌지(32)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53,33)이 형성되고, 프레임(41)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상/하부 삽입공(43,45)의 내부에는 또 따른 경사면(44,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40)의 타 측 하부에는 그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70)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고정수단(70)은 프레임(41)의 타 측 하부에 고정판(55)이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판(55)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봉(7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고정봉(72)의 외측면에는 고정봉(7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7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의 타 측에는 고정봉(72)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고정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40)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프레임(41)의 상면 타측에는 고정볼(47)이 내장되어 있되, 그 고정볼(47)의 상단부는 프레임(4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지지부재(51)의 타측 저면에는 상기 고정볼(47)이 끼워지는 고정볼 삽입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공간(10)과 제 2 공간(11)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된 창틀(20)의 내부에 도어(40)를 설치하되, 상기 도어(40)의 하부에는 안내수단(30)을 결합하고, 도어(40)의 상부에는 지지수단(50)을 결합한 상태에서 창틀(20)에 끼우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40)가 창틀(20)에 결합된 후 도어(4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안내수단(30)의 저면에 설치된 활차(35)는 하부레일(21)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게 되고, 도어(4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수단(50)은 상부레일(22)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 플레이트(3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지지블럭(37)에 의해서 유동이 방지되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40)를 미닫이식(좌/우로 개폐)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40)의 일측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 삽입공(43,45)에는 상/하부 힌지(52,32)가 각각 끼워져 있고 타측 하부에는 고정수단(70)에 의해서 하부 플레이트(31)와 고정되고 타측 상부에 설치된 고정볼(47)의 상단부는 지지부재(51)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고정볼 삽입홈(54)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40)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40)를 여닫이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어(40)를 지지바(23) 측으로 열고 도어(40)의 프레임(41) 타측 하부에 설치된 고정수단(70)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고정수단(70)의 손잡이(73)를 상부로 올리면 그 손잡이(73)가 설치된 고정봉(72)의 선단부가 하부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고정공(36)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40)의 타측을 당기면 그 도어(40)는 상/하부 힌지(52,3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이때의 프레임(41)의 타측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볼(47)은 고정볼 삽입홈(54)에서 이탈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40)가 회전될 때 상/하부 힌지(52,32)에 형성된 경사면(53,33)과 상/하부 삽입공(43,45)에 형성된 경사면(44,46)이 접촉되게 되므로 지지수단(50)의 지지부재(51)는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1)가 상부로 이동되면 그 지지부재(51)의 타측에 내장된 고정판(55)은 상부레일(22)에 내장된 자성체(60)에 부착되므로 도어(40)가 회전되어도 지지부재(51)의 타측이 하부로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도어(40)를 여닫이식으로 개방시키게 되면 각 도어(4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므로 제 1 공간(10)과 제 2 공간(11)의 전면이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레일에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어 개폐되는 미닫이식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그 도어의 일 측에 힌지를 설치하여 도어를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도어에 의해서 분할된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분하는 도어의 개폐량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제 1 공간(10)과 제 2 공간(11)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측에는 상부레일(2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레일(21)이 설치되며 양 측 벽면에는 지지바(23)가 설치된 창틀(20);
    상기 창틀(20)의 저면에 설치된 하부레일(21)에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3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의 상면 일 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힌지(3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1)의 저면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판(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활차(35)로 이루어진 안내수단(30);
    상기 창틀(2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레일(22)에 안내를 받으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1)의 저면 일 측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힌지(52)로 이루어진 지지수단(50);
    상기 상부 힌지(52)와 하부 힌지(32)가 끼워지도록 상/하부면 일 측에는 상/하부 삽입공(43,45)이 각각 형성된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의 중앙부에 고정된 유리(42)로 이루어진 도어(40) 및
    상기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도어(40)의 타 측 하부에 설치된 고정판(55)과, 상기 고정판(55)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봉(72)과, 상기 고정봉(72)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하부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고정공(36)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7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52) 및 하부 힌지(32)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53,33)이 형성되고, 프레임(41)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상/하부 삽입공(43,45)의 내부에는 또 따른 경사면(44,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1)의 상면 타측에는 자력을 갖는 고정판(55)이 내장되고, 상기 도어(40)가 열려진 상태에서 고정판(55)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레일(22)에는 자성체(60)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0)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프레임(41)의 상면 타측에 내장된 고정볼(47)과, 상기 고정볼(47)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지지부재(51)의 타측 저면에 형성된 고정볼 삽입홈(54)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KR20-2003-0027679U 2003-08-28 2003-08-28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KR200334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79U KR200334771Y1 (ko) 2003-08-28 2003-08-28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679U KR200334771Y1 (ko) 2003-08-28 2003-08-28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771Y1 true KR200334771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79U KR200334771Y1 (ko) 2003-08-28 2003-08-28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7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57B1 (ko) 2012-09-13 2013-07-11 주식회사 강탄산업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57B1 (ko) 2012-09-13 2013-07-11 주식회사 강탄산업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WO2014042382A1 (ko) * 2012-09-13 2014-03-20 주식회사 강탄산업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9389011B2 (en) 2012-09-13 2016-07-12 Kangtansanup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sliding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6974U (ja) 安全ゲート
KR1002150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1270318B1 (ko) 개폐문시스템
KR101871475B1 (ko)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
KR100926521B1 (ko)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KR100624169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20090006190U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도어 시스템
KR200334771Y1 (ko)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20060017478A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US20070245633A1 (en) Sliding louvered doors
JPH0711846A (ja) 換気装置付きドア
KR102099674B1 (ko) 벨트창호
KR20180042990A (ko) 미닫이식 루버셔터
KR200379502Y1 (ko) 시스템창
JP5089315B2 (ja) 浴室ドア
KR101197455B1 (ko) 창문시스템
KR200163740Y1 (ko) 붙박이장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2556809B1 (ko)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0365297B1 (ko) 슬라이드 접이식 창호용 롤러
KR100637284B1 (ko) 강화 자동도어용 힌지장치
KR100342881B1 (ko) 개폐형 문지방
KR200241471Y1 (ko) 미닫이 창문
JP2003193764A (ja) ドアボトムの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