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521B1 -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521B1
KR100926521B1 KR1020070119742A KR20070119742A KR100926521B1 KR 100926521 B1 KR100926521 B1 KR 100926521B1 KR 1020070119742 A KR1020070119742 A KR 1020070119742A KR 20070119742 A KR20070119742 A KR 20070119742A KR 100926521 B1 KR100926521 B1 KR 10092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lap
open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086A (ko
Inventor
백영애
Original Assignee
장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덕 filed Critical 장정덕
Priority to KR102007011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5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 측에 위치하며, 측면 상에 복수의 내측 환기구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창문의 상부 프레임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상부 프레임 및 하부면이 창문용 유리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하부 프레임을 구비한 제 1 프레임; 힌지부를 구비하며 회동 가능한 플랩(flap); 상기 제 1 상부 프레임의 외측 하단부 및 상기 제 1 하부 프레임의 외측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 상에 복수의 외측 환기구를 구비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플랩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회동 가능한 플랩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환기장치, 개폐부재

Description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VENTILLATION DEVICE TO BE INSTALLED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창문의 상부에 제공되며 환기장치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위치와 같은 개폐부재를 창문틀 하부면 상에 제공함으로써 환기장치의 개폐 용이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는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해 창문을 일정시간 열거나 또는 별도의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환기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의 개폐를 이용하여 환기를 하는 경우에는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는 냉방 또는 난방된 실내 공기의 유출에 따라 상당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유입된 공기를 다시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냉방 또는 난방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별도의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환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창문의 개폐를 이용한 환기의 경우에 비해 편리하지만, 이러한 별도의 환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추가되고 또한 별도의 환기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추가 시설 비용 및 전력 에너지 사용에 따른 추가 비용 등이 발생하므로, 특히 일반 가정에서는 이러한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해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창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소형의 환기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환기장치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의 상부에 설치된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100)는 창문용 유리(110) 및 창문의 상부 프레임(120)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100)는 실내 측에 위치하며, 측면 상에 복수의 내측 환기구(132)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창문의 상부 프레임(120)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상부 프레임(134) 및 하부면이 창문용 유리(110)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하부 프레임(136)을 구비한 제 1 프레임(130); 힌지부(142)를 구비하며 회동 가능한 플랩(flap: 날개판)(140); 상기 제 1 프레임(130)과 대향하여 실외측에 위치하며, 상부면이 창문의 상부 프레임(120)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2 상부 프레임(152)을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회동 가능한 플랩(140)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 수용부(154)를 구비한 제 2 프레임(150); 및 상기 플랩(140)의 하단부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랩(140)을 회동시키는 개폐부재(160)를 포함한다. 제 2 프레임(150)의 하단부와 제 1 프레임(130)의 제 1 하부 프레임(136) 사이에는 외측 환기구(146)가 제공된다. 여기서, 외측 환기구(146)는 빈 공간이거나 또는 내측 환기구(13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환기장치를 구비한 별도의 프레임 또는 플레이 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랩(140)은 개폐부재(160)의 손잡이(162)를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시킴으로써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 놓이게 되어, 상기 환기장치(100)를 개방 및 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용 상부용 환기장치(100)는 창문의 높이를 고려하면 개폐부재(160)가 통상적으로 2m 이상의 위치에 제공되므로, 일반 사람의 경우 개폐부재(160)에 손이 닿지 않아 직접적으로 개폐부재(160)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개폐부재(160)를 사용하기 위해 의자 등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폐부재(160)에 끈을 연결하거나 또는 막대를 연결하여 개폐부재(160)를 개폐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끈 또는 막대가 창문의 내측에 노출되므로 창문을 열고 닫는 경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창문에 블라인드를 사용하는 경우, 블라인드의 경사 및 높이 조절용 끈 또는 막대와 겹치게 되어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더 심각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10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창문 상부에 제공되는 개폐부재를 창문틀 하부 중간면 상에 제공함으로써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개폐하고 또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 측에 위치하며, 측면 상에 복수의 내측 환기구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창문의 상부 프레임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상부 프레임 및 하부면이 창문용 유리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하부 프레임을 구비한 제 1 프레임; 힌지부를 구비하며 회동 가능한 플랩(flap); 상기 제 1 상부 프레임의 외측 하단부 및 상기 제 1 하부 프레임의 외측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 상에 복수의 외측 환기구를 구비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플랩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회동 가능한 플랩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개폐부재가 창문틀의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므로, 창호 설치 형 환기장치의 개폐가 용이하다.
2. 개폐부재가 창문틀의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므로, 개폐부재를 사용하기 위해 의자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3. 개폐부재에 별도의 끈을 연결하거나 또는 막대를 노출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끈 또는 막대의 사용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승강부재가 창문틀 내로 내장되어 사용되므로 미관상으로도 양호하다.
4. 창문에 블라인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의 개폐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의 상부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외측 프레임(제 2 프레임) 및 승강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의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외측 프레임(제 2 프레임) 및 승강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플랩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의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d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외측 프레임(제 2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플랩의 폐쇄 위치 및 개 방 위치에 있는 경우의 환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e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승강부재가 지지부재를 통해 승강부재 수용부와 요홈부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f는 승강부재와 플랩 및 제 1 프레임의 요홈부 간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g는 승강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h는 도 2g에 도시된 승강부재의 절첩부분(A)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i는 도 2g에 도시된 승강부재의 절첩부분(A)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j는 승강부재의 하부 수직바와 연결되는 개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창문용 유리(110) 및 창문의 상부 프레임(120)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는 실내 측에 위치하며, 측면 상에 복수의 내측 환기구(232)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창문의 상부 프레임(120: 도 1 참조)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상부 프레임(234) 및 하부면이 창문용 유리(110: 도 1 참조)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2 하부 프레임(236)을 구비한 제 1 프레임(230); 힌지부(242)를 구비하며 회동 가능한 플랩(flap: 240); 상기 제 1 상부 프레임(234)의 외측 하단부 및 상기 제 1 하부 프레임(236)의 외측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프레임(23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 상에 복수의 외측 환기구(252)를 구비하는 제 2 프레임(250); 상기 플랩(240)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260); 상기 승강부재(260)가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한 공간(273a,273b)을 구비한 지지부재(270); 및 상기 승강부재(26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2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부재(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230)은 내부에 상기 회동 가능한 플랩(240)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 수용부(238)를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는 개폐부재(310)가 창문(틀) 하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및 이들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에서는 플랩(240)의 힌지부(242)가 제 1 프레임(230)의 내측에 제공되는 힌지 수용부(238)에 수용되어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플랩(240)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에서 도 2b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회동하는 경우, 플랩(240)의 힌지부(242)와 제 1 프레임(230)의 힌지 수용부(238) 사이의 마찰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의 존재로 인하여, 플랩(240)이 제대로 폐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프링(239)이 제 1 상부 프레임(234) 내에 장착된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239)은 플랩(240)의 외부표면과 접촉하여, 플랩(240)의 폐쇄 위치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탄성력(즉, 복원력)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술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239)의 사용은 선택 사양으로,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플랩(240)은 승강부재(260)를 수용하는 승강부재 수용부(244) 및 승강부재 수용부(244)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1 프레임(230)의 요홈부(231)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는 플랩(240)의 개폐시에 승강부재 수용 부(244)와 요홈부(231) 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 또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미도시)의 사용도 선택 사양으로,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d를 참조하면, 플랫(240)이 폐쇄 위치(수직방향)에 있는 경우, 복수의 내측 환기구(232)가 플랫(240)에 의해 복수의 외측 환기구(252)와 차단되어 환기가 차단된다. 반면에, 플랫(240)이 개방 위치(경사방향)에 있는 경우, 복수의 내측 환기구(232)가 복수의 외측 환기구(252)와 연통되어 환기가 가능하다. 도 2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250)은 예를 들어 상부 나사(254) 및 하부 나사(256)에 의해 제 1 프레임(2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승강부재(260)가 지지부재(270)를 통해 승강부재 수용부(244)와 요홈부(231)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승강부재(260)는 제 1 지지부재(272) 및 제 1 지지부재(272)와 스냅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재(274)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70)를 통해 플랩(240)의 승강부재 수용부(244)와 제 1 프레임(230)의 요홈부(231) 사이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제 1 지지부재(272) 및 제 2 지지부재(274)는 각각 승강부재(260)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제 1 공간(273a) 및 제 2 공간(273b)을 구비한다. 도 2e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부재(272) 및 제 2 지지부재(274)가 별개의 부품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제 1 지지부재(272) 및 제 2 지지부재(274)가 하나의 일체형 지지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2 지지부재(274)의 하부 중간 부분에 승강부재(260)의 상하 이동시 좌우 이동 또는 측방향(즉, 제 2 지지부재(27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27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홈(276)은 내부에 반원 형상의 가이드 홈(groove)을 구비하며, 중간 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2개의 피스(piece)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f 및 도 2g를 참조하면, 승강부재(260)는 플랩(240)의 승강부재 수용부(244)와 제 1 프레임의 요홈부(231) 사이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승강부재(260)는 수평바(bar: 261), 수평바(261)의 일측에 제공되는 볼록 휨부(convex bending portion: 262), 볼록 휨부(262)에서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slant extension: 263), 수평바(261)의 타측에 제공되는 수직바(264,265)로 이루어진다(도 2g 참조). 승강부재(260)의 수평바(261)는 도 2e에 도시된 지지부재(270)의 제 1 및 제 2 공간(273a,273b) 내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승강부재(260)의 볼록 휨부(262)는 도 2f에 도시된 플랩(240)의 승강부재 수용부(244)와 제 1 프레임의 요홈부(231) 사이에 수용된다. 승강부재(260)가 상승하면, 경사 연장부(263)가 플랩(240)의 승강부재 수용부(244) 내에서 상승하면서 플랩(240)이 개방위치로 회동한다. 그 후, 승강부재(260)가 하강하면, 경사 연장부(263)가 플랩(240)의 승강부재 수용부(244) 내에서 하강하면서 플랩(240)이 폐쇄위치로 회동한다. 승강부재(260)가 최저 높이로 하강하면, 볼록 휨부(262)는 승강부재 수용부(244)와 요홈부(231) 사이에 수용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2g 내지 도 2i를 참조하면, 승강부재(260)의 수직바(264,265)는 상부 수직바(264) 및 하부 수직바(26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부재(26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승강부재(260)가 임의 재질의 강체(rigid body)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승강부재(260)의 상부 수직바(264) 및 하부 수직바(265)는 리벳 등과 같은 연결부재(267)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2h 참조). 상부 수직바(264) 및 하부 수직바(265)의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상부 수직바(264)의 제 1 돌출부(268)가 하부 수직바(265)의 2개의 제 2 돌출부(269) 사이에서 삽입되고 연결부재(267)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부 수직바(264)의 제 1 돌출부(268)가 하부 수직바(265)의 제 2 돌출부(269)가 연결부재(267)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수직바(265)는 90°로 회동하여 도 2a에 도시된 제 1 하부 프레임(236)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바(264,265)가 상부 수직바(264) 및 하부 수직바(265)로 이루어지는 경우, 승강부재(260)를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편리하다. 그러나, 도 2g 내지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수직바(264) 및 하부 수직바(265)로 이루어지는 수직바(264,265)는 예시적인 것으로, 당업자라면 수직바(264,265)가 일체형 수직바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수직바(265)의 하부 단부(266)는 도 2j에 도시된 개폐부재(310)에 연결된다.
도 2j를 참조하면, 도 2g에 도시된 승강부재(260)는 하부 수직바(265)의 하부 단부(266)를 통해 개폐부재(310)와 연결된다. 승강부재(260)의 길이는 창문 또는 창문틀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승강부재(260)는 스위치 부재(3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부 재(260)의 상하 높이 조절에 따라 볼록 휨부(262)와 경사 연장부(263)에 의해 플랩(240)의 회동이 제어된다. 이하에서 승강부재(260)와 개폐부재(310)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상세히 기술한다.
도 2k는 도 2f에 도시된 개폐부재를 우측 방향에서 본 경우, 개폐부재의 손잡이, 제 2 연결 부재,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위치 제어부재가 제공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이들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l은 도 2j에 도시된 개폐부재를 배면 방향에서 본 경우, 도 2k에 도시된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또는 덮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k 및 도 2l을 참조하면, 승강부재(290)의 하부 수직바(265)의 하부 단부(266)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330) 상에 제공되는 이동부재(340)와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동부재(340)의 상부에는 하부 수직바(265)의 하부 단부(266)를 수용하는 하부 단부 수용부(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수직바(265)의 하부 단부(266)와 하부 단부 수용부(341)는 걸림부재(292)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개폐부재(310)의 손잡이(320)는 제 1 및 제 2 돌출부재(322a,322b)로 구성된 제 1 체결부재(322)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돌출부재(322a,322b) 사이에는 제 1 수용공간(324)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부재(340)는, 손잡이(320)의 제 1 체결부재(322)에 대응하여, 일측면(도 2k의 경우 좌측면)에 제 3 내지 제 5 돌출부재(342a,342b,342c)로 구성된 제 2 체결부재(342)를 구비한다. 제 3 돌출부재(342a)와 제 4 돌출부재(342b) 사이 및 제 4 돌출부재(342b)와 제 5 돌출부재(342c) 사이에는 각각 제 2 수용 공간(344a) 및 제 3 수용 공간(344b)이 제공된 다. 손잡이(320)의 제 1 및 제 2 돌출부재(322a,322b)는 각각 이동부재(340)의 제 2 수용 공간(344a) 및 제 3 수용 공간(344b) 내에 수용되고, 또한 이동부재(340)의 제 5 돌출부재(342c)는 손잡이(320)의 제 1 수용공간(324) 내에 수용됨으로써, 손잡이(320)의 제 1 체결부재(322)와 이동부재(340)의 제 2 체결부재(342)는 스냅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330) 상에는 이동 부재(340)가 손잡이(3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부재(3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부재(346a,346b)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부재(348a,348b)가 제공된다. 한 쌍의 제 1 가이드부재(346a,346b)는 제 2 체결부재(342)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 2 가이드부재(348a,348b)는 이동부재(340)의 위치 제어부재(35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340)의 타측면(도 2k의 경우 우측면)은 위치 제어부재(350)와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요홈부(349a,349b,349c)를 구비한다. 위치 제어부재(350)는 내부에 볼 베어링(ball bearing) 또는 탄성 돌출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동부재(340)가 복수의 요홈부(349a,349b,349c)의 위치에서 단속적으로(intermitently)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2k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340)의 복수의 요홈부(349a,349b,349c)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요홈부 개수가 증감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홈부(349a,349b,349c)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플랩(240)의 회동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2g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에 도시된 이동부재(340)는 손잡이(320)가 상부로 이동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에 도시된 이동부재(340)는 손잡이(320)가 하부로 이동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l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또는 덮개 플레이트)(360)는 도 2k에 도시된 하부 플레이트(330)와 스냅 결합 방식 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에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개폐부재가 창문틀의 좌측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문(300)에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 중 개폐부재(310)는 좌측 창문틀(302)의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된다. 도 2a 내지 도 2l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의 구성요소 중 지지부재(270), 승강부재(260), 이동부재(340), 이동부재(330)의 위치 제어부재(350), 하부 플레이트(330), 및 상부 플레이트(360)는 모두 좌측 창문틀(302)의 내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손잡이(320)를 구비한 개폐부재(310)만이 창문틀(302)의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므로, 환기장치의 개폐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미관상으로도 양호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는 개폐장치(310)가 왼쪽 창문틀(302)의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 및 기술하고 있지만, 개폐장치(310)가 오른쪽 창문틀(302)의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200)가 창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이도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창문 이외의 임의의 환기가 요구되는 대상물(예를 들어, 벽, 천정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의 상부에 설치된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의 상부에 설치된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외측 프레임(제 2 프레임) 및 승강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의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외측 프레임(제 2 프레임) 및 승강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플랩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의 환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외측 프레임(제 2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플랩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의 환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e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승강부재가 지지부재를 통해 승강부재 수용부와 요홈부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f는 승강부재와 플랩 및 제 1 프레임의 요홈부 간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 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g는 승강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h는 도 2g에 도시된 승강부재의 절첩부분(A)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i는 도 2g에 도시된 승강부재의 절첩부분(A)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j는 승강부재의 하부 수직바와 연결되는 개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k는 도 2f에 도시된 개폐부재를 우측 방향에서 본 경우, 개폐부재의 손잡이, 제 2 연결 부재,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위치 제어부재가 제공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이들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l은 도 2j에 도시된 개폐부재를 배면 방향에서 본 경우, 도 2k에 도시된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또는 덮개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에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중 개폐부재가 창문틀의 좌측 중간 부분 또는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 측에 위치하며, 측면 상에 복수의 내측 환기구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창문의 상부 프레임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상부 프레임 및 하부면이 창문용 유리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제 1 하부 프레임을 구비한 제 1 프레임;
    힌지부를 구비하며 회동 가능한 플랩(flap);
    상기 제 1 상부 프레임의 외측 하단부 및 상기 제 1 하부 프레임의 외측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 상에 복수의 외측 환기구를 구비하는 제 2 프레임;
    상기 플랩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회동 가능한 플랩을 수용할 수 있는 힌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창문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상기 플랩의 외부표면과 접촉하여 상기 플랩의 폐쇄 위치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승강부재를 수용하는 승강부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승강부재 수용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요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 수용부 및 상기 요홈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는 완충부재가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승강부재를 수용하는 승강부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승강부재 수용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요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 수용부 및 상기 요홈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는 완충부재가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스냅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구비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하나의 일체형 지지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제공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외측 일부에 승강부재의 상하 이동시 좌우 이동 또는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일측에 제공되는 볼록 휨부(convex bending portion);
    상기 볼록 휨부에서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slant extension); 및
    상기 수평바의 타측에 제공되는 수직바
    를 포함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상부 수직바 및 하부 수직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수직바 및 하부 수직바는 소정의 연결부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수직바의 하부 단부와 각각 고정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수직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재;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위치 제어부재가 제공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가이드부재 및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 2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측면 상에 복수의 요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제어부재는 내부에 볼 베어링(ball bearing) 또는 탄성 돌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위치 제어부재가 상기 복수의 요홈부의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단속적으로(intermitently)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KR1020070119742A 2007-11-22 2007-11-22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KR10092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742A KR100926521B1 (ko) 2007-11-22 2007-11-22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742A KR100926521B1 (ko) 2007-11-22 2007-11-22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86A KR20090053086A (ko) 2009-05-27
KR100926521B1 true KR100926521B1 (ko) 2009-11-12

Family

ID=4086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742A KR100926521B1 (ko) 2007-11-22 2007-11-22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23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KR20190003870A (ko) 2017-06-30 2019-01-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IoT를 이용한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제어시스템
KR20200118951A (ko)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기밀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자연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70Y1 (ko) * 2009-09-15 2012-06-13 타이톤코리아 (주) 건축물용 환기장치
CN103244032B (zh) * 2013-05-24 2015-04-01 谢登常 自带通风门窗结构
KR101993561B1 (ko) * 2018-11-29 2019-06-26 조진숙 창문형 공기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837A (ja) 1997-05-21 1998-12-02 Meiko:Kk 換気装置
KR200384769Y1 (ko) 2005-03-09 2005-05-17 이종철 통풍장치
KR200385554Y1 (ko) 2005-03-09 2005-05-31 이종철 통풍장치
KR200436719Y1 (ko) 2006-12-15 2007-09-27 이종철 창틀용 통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837A (ja) 1997-05-21 1998-12-02 Meiko:Kk 換気装置
KR200384769Y1 (ko) 2005-03-09 2005-05-17 이종철 통풍장치
KR200385554Y1 (ko) 2005-03-09 2005-05-31 이종철 통풍장치
KR200436719Y1 (ko) 2006-12-15 2007-09-27 이종철 창틀용 통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23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KR20190003870A (ko) 2017-06-30 2019-01-10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IoT를 이용한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제어시스템
KR20200118951A (ko)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기밀성능이 향상된 창호용 자연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86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21B1 (ko) 창호 설치형 환기장치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KR101871475B1 (ko)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
KR101270318B1 (ko) 개폐문시스템
US20100267326A1 (en) Ventilation device for windows
KR100910043B1 (ko) 창문용 상부 환기장치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EP4357569A1 (en) Window/door assembly having ventilation function and horizontal sealing function
KR102075071B1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JP5385644B2 (ja) 上げ下げ窓
KR20110023239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80042990A (ko) 미닫이식 루버셔터
KR101197455B1 (ko) 창문시스템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KR200421506Y1 (ko)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
JP3077641B2 (ja)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KR200173252Y1 (ko) 건물용 환기장치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334771Y1 (ko) 미닫이식 및 여닫이식 도어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JP2007315131A (ja) 倒し窓
KR102150950B1 (ko) 좌우 높낮이 조절 창호
JP3663592B2 (ja) 換気框
JPS61419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