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312B1 -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312B1
KR101964312B1 KR1020170063593A KR20170063593A KR101964312B1 KR 101964312 B1 KR101964312 B1 KR 101964312B1 KR 1020170063593 A KR1020170063593 A KR 1020170063593A KR 20170063593 A KR20170063593 A KR 20170063593A KR 101964312 B1 KR101964312 B1 KR 10196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fixing bracket
guide groov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256A (ko
Inventor
박재구
이재엽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입소문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입소문하우징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입소문하우징
Priority to KR102017006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내구성이 강하고 설치 후 파손이나 고정의 염려가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의 설치 목적과 장소에 따라 도어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더라도 별도의 연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강하고 설치 후 파손이나 고정의 염려가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의 설치 목적과 장소에 따라 도어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더라도 별도의 연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는 미닫이 도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어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다중 중첩되어 있는 도어중에서 하나의 도어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나머지 도어들도 함께 이동시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장치가 도입되어 가구의 전면이나 칸막이벽 또는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출입문용 도어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대한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의 연동을 위해 대부분이 와이어나 회전벨트 및 이들의 회전이동을 위한 회전롤러나 풀리 또는 랙기어를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하지만, 종래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는 도어의 연동을 위한 핵심부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설치구조상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와이어나 회전벨트가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와이어나 회전벨트가 이탈되는 경우에는 연동장치로서의 제기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와이어나 회전벨트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인위적인 연결구조로 복잡한 구성을 갖게 됨은 물론 연결부분의 상당한 견고함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장소와 목적에 따라 연동되는 도어가 2개 내지 6개의 도어가 다양한 길이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도어의 길이에에 대응하기 어려워 다양한 길이의 연동장치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4592호(2007.05.28)의 개폐체 연동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0300호(2016.06.08)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길이로 설치되는 도어에 대응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으로 중첩되어 설치되는 도어를 좌측 및 우측이 바뀌더라도 제1 또는 제3 도어를 무난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조립상태에서도 동일한 연동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두께에 따른 규격이 변동되더라도 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결브라켓을 갖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가구의 전면이나 출입구 또는 칸막이벽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되어 다중으로 중첩된 도어를 상부틀의 레일홈 상에서 상호 연결된 동작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제2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 가이드홈과,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 가이드홈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 가이드홈이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형 가이드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 관로와, 'U'자형 가이드홈에 대응하도록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 관로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 관로가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관로; 저면에 상기 '〓'자형 가이드홈과 'U'자형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덮개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가이드관로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쇠구슬; 상기 '〓'자형관로를 따라 내부에서 측부로 연통되는 슬릿홈; 상기 '〓'자형관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쇠구슬의 사이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슬릿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무빙브라켓과, 일단이 이웃하여 마련되는 도어의 상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브라켓의 단부에 고정브라켓이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무빙브라켓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이 수평방향 이상 상부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무빙브라켓과 힌지결합된 고정브라켓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 수평방향으로 유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는 고정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단턱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도어의 수평프레임의 상부면에 '〓'자형가이드홈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설치 목적과 장소에 따라 도어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더라도 별도의 연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도어의 수평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제1덮개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쉽게 설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중으로 중첩되어 설치되는 도어를 좌측 및 우측이 바뀌더라도 제1 또는 제3 도어를 무난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조립상태에서도 동일한 연동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어의 두께에 따른 규격이 변동되더라도 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결브라켓을 갖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도 2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연동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연동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연동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수직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일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수직절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브라켓이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연동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연동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연동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수직절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일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은 도 8의 수직절단면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어의 상부에 결합된 연결브라켓이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가구의 전면이나 출입구 또는 칸막이벽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되어 다중으로 중첩된 도어(10)를 상부틀(20)의 레일홈(21) 상에서 상호 연결된 동작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연동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는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도어(11,12,13)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장치(30)는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관로(31)와,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관로(3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관로(32)가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관로(33); 상기 가이드관로(33)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쇠구슬(36); 적어도 상기 '〓'자형관로를 따라 내부에서 측부로 연통되는 슬릿홈(37); 상기 '〓'자형관로(31)를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쇠구슬의 사이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무빙브라켓(381), 일단이 이웃하여 마련되는 도어(10')의 상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82)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38)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고정브라켓(382)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100)는 가구의 전면이나 출입구 또는 칸막이벽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중으로 중첩된 도어(10)를 상부틀(20)의 레일홈(21) 상에서 상호 연결된 동작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는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도어(11,12,13)를 포함하며, 상부틀(20)의 레일홈(21) 상에서 상호 연결된 동작으로 슬라이딩 개폐된다.
상기 도어(1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도어(11,12,13)의 각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래치(22)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22)가 레일홈(21)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1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4)과,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5)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래치(22)는 제1 내지 제3 도어(11,12,13)의 상부에서 각 양쪽 단부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장치(30)는 상기 제2 도어(12)의 상부에 배치되며,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관로(31)와,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관로(3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관로(32)가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관로(33); 상기 가이드관로(33)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쇠구슬(36); 적어도 상기 '〓'자형관로를 따라 내부에서 측부로 연통되는 슬릿홈(37); 상기 '〓'자형관로(31)를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쇠구슬의 사이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무빙브라켓(381)과, 일단이 이웃하여 마련되는 도어(11,13)의 상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82)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38)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고정브라켓(382)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로(33)는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관로(31)와,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관로(3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관로(32)가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관로(33)는 적어도 제2 도어(12)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가이드홈(341)과,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가이드홈(34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가이드홈(341)이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패널(34)과, 저면에 '〓'자형가이드홈(341)과 'U'자형가이드홈(341)에 대응하는 덮개가이드홈부(35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를 덮는 덮개(35)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패널(34)은 상부면에 상부에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가이드홈(341)과,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가이드홈(34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가이드홈(341)이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35)는 저면에 상기 '〓'자형가이드홈(341)과 'U'자형가이드홈(341)에 대응하는 덮개가이드홈부(3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35)가 상기 베이스패널(34)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페널의 상부에 형성된 '〓'자형가이드홈(341)과 'U'자형가이드홈(342), 및 덮개의 저면에 형성된 덮개가이드홈부(351)가 서로 결합되어 가이드관로(33)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35)의 양쪽에는 상기 래치(22)가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쇠구슬(36)은 상기 가이드관로(33)를 따라 이동하도록 내부로 삽입된다.
즉, 상기 쇠구슬(36)은 제2 도어(12)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패널(34)에 형성된 '〓'자형가이드홈(341)과, 'U'자형가이드홈(342)에 안착되고, 상부를 덮개(35)가 덮어 고정함으로써, 가이드관로(33)의 내부로 투입되어 이동되게 된다.
또한, 도 5 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홈(37)은 적어도 상기 '〓'자형관로(31)을 따라 베이스패널(34)의 상부면과 덮개(35)의 저면이 서로 이격되어 가이드관로(33)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슬릿홈(37)은 상기 베이스패널(34)의 상측면과 덮개(35)의 저면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어, 적어도 '〓'자형가이드홈(341)을 따라 외부로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38)은 한쪽은 쇠구슬(36)의 사이에서 '〓'자형가이드홈(341)을 따라 이동되고 다른쪽은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외부로 돌출된 단부가 제1 또는 제3 도어(11,13)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38)은 한쪽 단부는 다수의 쇠구슬(36)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쪽 단부는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제1 또는 제3 도어의 상측 일부에 결합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연결브라켓(38)의 단부가 제1 또는 제3 도어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래치(22) 중 어느 하나에 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8)은 상기 제2 도어(12)의 측방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도어(11,13)의 상부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38)은 상기 쇠구슬의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브라켓(381)과, 제1 또는 제3 도어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82)으로 분리되어 구비되되, 상기 무빙브라켓(381)과 고정브라켓(382)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빙브라켓(381)은 한쪽 단부가 상기 쇠구슬(36)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82)은 상기 제1 또는 제3 도어의 상측 일측에 배치된 래치(22)에 각 결합되어 고정되며, 다른쪽 단부는 슬릿홈(37)의 외부로 배출된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힌지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무빙브라켓(381)은 쇠구슬의 사이에서 슬릿홈(37)을 따라 이동되며, 고정브라켓(382)은 제1 또는 제3 도어의 일측에 구비된 래치(22)에 결합되어 슬릿홈(37)을 통해 배출된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382)를 무빙브라켓(381)과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도어(11,12,13)의 두께에 따른 규격이 변동되더라도 해당 두께에 대응하는 고정브라켓(382)을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연동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와 고정브라켓(382)은 서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82)가 회동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도어(11,12,13)를 분리하여 보관시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82)가 하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 도어(12)의 상측 수평프레임(15a)의 옆면에 나란하게 밀착되나, 도어(11,12,13)를 나란하게 설치할 때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82)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는 무빙브라켓과 힌지결합된 고정브라켓(382)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부(383)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수평방향 이상 상부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382)가 회동됨에 있어서, 고정브라켓(382)가 하부로 회동되어 제2 도어의 상측 수평프레임(15a)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최대 수평방향까지만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부(38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82)의 일측에는 고정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단턱부(383)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돌기(384)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 수평방향으로 유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동장치(30)이 구비된 제2 도어(12)를 보관하거나 이송할 때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하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15a)의 옆면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보관이 용이해지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제2 도어(12)를 도어틀(20)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82)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돌기(38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제2 도어의 측방으로 돌출된 고정브라켓(382)에 제1 또는 제3 도어의 래치(22)를 수직방향으로 삽입시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모든 형태의 연동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일체형 연동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10: 도어 11: 제1 도어
12: 제2 도어 13: 제3 도어
14: 수직프레임 15: 수평프레임
20: 상부틀 21: 레일홈
22: 래치 30: 연동장치
31: '〓'자형관로 32: 'U'자형관로
33: 가이드관로 34: 베이스패널
341: '〓'자형가이드홈 342: 'U'자형가이드홈
35: 덮개 351: 덮개가이드홈부
36: 쇠구슬 37: 슬릿홈
38: 연결브라켓 381: 무빙브라켓
382: 고정브라켓 383: 단턱부
384: 고정돌기

Claims (4)

  1. 가구의 전면이나 출입구 또는 칸막이벽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되어 다중으로 중첩된 도어(10)를 상부틀(20)의 레일홈(21) 상에서 상호 연결된 동작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연동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는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도어(11,12,13)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장치(30)는 상기 제2 도어(1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도어(12)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 가이드홈(341)과,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 가이드홈(34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 가이드홈(341)이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패널(34);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자형 가이드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평행한 한 쌍의 직선형으로 형성된 '〓'자형 관로(31)와, 'U'자형 가이드홈(341)에 대응하도록 '⊂'자 및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형 관로(31)의 양쪽에 배치되는 'U'자형 관로(32)가 서로 연결되어 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이드관로(33);
    저면에 상기 '〓'자형 가이드홈(341)과 'U'자형 가이드홈(341)에 대응하는 덮개 가이드홈부(35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를 덮는 덮개(35);
    상기 가이드관로(33)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쇠구슬(36);
    상기 '〓'자형관로를 따라 내부에서 측부로 연통되는 슬릿홈(37);
    상기 '〓'자형관로(31)를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쇠구슬의 사이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슬릿홈(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무빙브라켓(381)과, 일단이 이웃하여 마련되는 도어(11,13)의 상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82)을 포함하는 연결브라켓(38);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라켓(38)은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 고정브라켓(382)이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무빙브라켓(381)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수평방향 이상 상부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무빙브라켓과 힌지결합된 고정브라켓(382)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단턱부(383)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82)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 수평방향으로 유지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382)의 일측에는 고정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단턱부(383)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돌기(38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63593A 2017-05-23 2017-05-23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10196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93A KR101964312B1 (ko) 2017-05-23 2017-05-23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93A KR101964312B1 (ko) 2017-05-23 2017-05-23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56A KR20180128256A (ko) 2018-12-03
KR101964312B1 true KR101964312B1 (ko) 2019-04-01

Family

ID=6474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93A KR101964312B1 (ko) 2017-05-23 2017-05-23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57Y1 (ko) * 2019-05-28 2019-11-13 김영덕 프레임 일체형 연동 도어용 가이드 모듈 및 이에 의한 연동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94B1 (ko) 2004-11-25 2006-10-11 김준영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0969972B1 (ko) * 2010-03-23 2010-07-16 최현철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1498641B1 (ko) * 2013-12-30 2015-03-04 정재홍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768A (ko) * 2011-06-03 2012-12-12 김동현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94B1 (ko) 2004-11-25 2006-10-11 김준영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0969972B1 (ko) * 2010-03-23 2010-07-16 최현철 슬라이딩도어의 연동장치
KR101498641B1 (ko) * 2013-12-30 2015-03-04 정재홍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56A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961B1 (ko) 슬라이딩 도어
KR101257338B1 (ko)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KR101964312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101761003B1 (ko) 실내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및 회전장치
KR101012061B1 (ko)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 지지봉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미닫이 도어 이동장치
JP5439286B2 (ja) 上げ下げ窓
KR200448166Y1 (ko) 일체형 도어 연결부재를 갖는 슬라이드형 욕실 수납장
KR102075071B1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KR101982169B1 (ko) 일체형 연동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KR101734456B1 (ko) 미서기 창호
JP2008023028A (ja) 冷蔵ショーケースの上吊引戸
KR101110872B1 (ko)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JP2004238931A (ja) 建物の引き戸枠
KR10161609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브래킷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CN110552593A (zh) 用于滑动门的壁内框架的复合成型元件
WO2019130830A1 (ja) 建具
KR102595301B1 (ko)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JP6305034B2 (ja) 折畳みシャッター
JP4928423B2 (ja) 建具
JP2018188858A (ja) 折戸装置
KR101219380B1 (ko)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방풍 및 방음장치
KR101000292B1 (ko)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20100108766A (ko)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