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585B1 -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 Google Patents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585B1
KR101704585B1 KR1020160060219A KR20160060219A KR101704585B1 KR 101704585 B1 KR101704585 B1 KR 101704585B1 KR 1020160060219 A KR1020160060219 A KR 1020160060219A KR 20160060219 A KR20160060219 A KR 20160060219A KR 101704585 B1 KR101704585 B1 KR 10170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s
spring
mol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최묵선
Original Assignee
이광재
최묵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최묵선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102016006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나란한 3개의 메인 레일이 설치된 문틀과 상기 메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상단에 설치된 3개의 문짝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3개의 문짝이 서로 연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상단에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중간 문짝의 상단 전후에 축 설치되는 풀리; 상기 전후 풀리를 통해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끼움 돌기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출입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3개의 문짝 중 양측 문짝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연결 홈이 형성된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양측에 나머지 두 개의 문짝을 더욱 간편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3 Sliding System Door}
본 발명은 3개의 문짝이 연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이나 중문으로 사용되는 미닫이 문은 문짝이 문틀의 상하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 문은 보통 2개의 문짝이 문틀에 설치되는데, 이 경우 문이 반밖에 열리지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3 개의 문짝이 문틀에 설치되면서 상기 3개의 문짝이 연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3연동 시스템도어의 실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9141호(2008.03.21. 공고)에는 문틀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단에 롤러, 궤도를 이루는 견인와이어를 지지하는 풀리 또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대칭위치에 고정된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핀축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수단; 및 상기 풀리에 궤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핀홀을 갖춘 한 쌍의 슬라이더를 구비한 견인와이어;가 구성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의 연동장치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3연동 시스템도어에 의하면 3개의 문짝을 상기 문틀에 설치할 때 상기 슬라이더의 핀홀이 슬라이딩수단의 핀축에 끼워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분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3연동 시스템도어를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3개의 문짝 중 중간의 문짝을 레일에 설치한 후 나머지 두 개의 양측 문짝을 설치하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핀축을 상기 슬라이더의 핀홀에 맞춰 끼워야 하는데, 상기 슬라이더는 견인 와이어에 물려 있어서 처짐이나 위치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맞춰 끼우는 것이 매우 불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양측에 나머지 두 개의 문짝을 설치시 서로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짝을 탈착시에 사용자가 문틀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중간문짝과 연동하기 위해 결합하는 방식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도체결방식의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나란한 3개의 메인 레일이 설치된 문틀과 상기 메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상단에 설치된 3개의 문짝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3개의 문짝이 서로 연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한 3연동 시스템도어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상단에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중간 문짝의 상단 전후에 축 설치되는 풀리; 상기 전후 풀리를 통해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끼움 돌기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출입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 및 상기 3개의 문짝 중 양측 문짝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연결 홈이 형성된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문짝에 형성된 몰드의 연결 홈을 상기 끼움 돌기의 위치에 맞춰 밀어 올리면 상기 끼움 돌기가 자연스럽게 후퇴하였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연결 홈으로 밀려 들어가기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를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문틀의 상부에는 홈과 상기 홈의 양쪽에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문짝이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에 의하면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양측에 나머지 두 개의 문짝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문틀에 장착시에 상부 문틀홈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경사면을 형성하여 누구나 문틀에 장착이 편리하고, 특히 중간문짝에 결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체결되어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가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의 요부를 도시한 요부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는 연결홈이 형성된 몰드에 체결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가 문틀에 장착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의 상부 롤러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문틀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나란한 3개의 메인 레일이 설치된 문틀(250)과 상기 메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 롤러부(280)가 상단에 설치된 3개의 문짝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3개의 문짝이 서로 연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상단에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00);
상기 중간 문짝의 상단 전후에 축 설치되는 풀리(200); 상기 전후 풀리를 통해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300);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끼움 돌기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출입하는 슬라이더(400); 및 상기 3개의 문짝 중 양측 문짝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끼움 돌기(410)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연결 홈이 형성된 몰드(500);
상기 몰드의 연결 홈(510)을 상기 끼움 돌기(410)의 위치에 맞춰 밀어 올리면 상기 끼움 돌기가 자연스럽게 후퇴하였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연결 홈으로 밀려 들어가기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0)은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A)의 상단에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문짝의 상단에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0)은 상기 슬라이더(400)가 빠지지 않고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단면이 'ㄱ' 형태로 절곡이 된다.
이때,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100)의 전후에는 상기 슬라이더(400)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110)가 결합이 된다. 즉, 상기 스토퍼(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0)의 전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400)의 전후 이동거리를 제한하면서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3개의 문짝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며 문짝의 상부에 돌출 롤러부(280)는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 사이의 전후에 형성된다.
상기 풀리(200)는 상기 중간 문짝의 상단 전후에 축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100) 사이의 전후에 설치되면서 상기 돌출 롤러부 보다 더 전후에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전후 풀리(200)를 통해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슬라이더(400)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300)는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 조로 이루어지면서 각 끝단에 걸림 뭉치(310)가 결합이 된다. 와이어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00)와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 뭉치(310)는 구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슬라이더에 끼울 수 있다면 육면체 또는 판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00)는 상기 와이어(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끼움 돌기(410)가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출입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슬라이더(400)에 대하여 각 하나의 끼움 돌기(410)가 외측으로 출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돌기(410)의 머리를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끼움 돌기(410)에 의해 양측 문짝(B)이나 몰드(500)가 긁히지 않고 안전하게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 홈(430)이 형성되는데, 실시 예로서 상기 레일 홈(4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면이 'ㄱ' 형태로 절곡된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도록 'ㄱ'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400)가 가이드 레일(100)로부터 이탈하거나 양측으로 밀리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00)는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뭉치(310)가 끼워지도록 끼움 홈(44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끼움 홈(440)으로 와이어(300)가 통과하여 설치되도록 통로 홈(4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와이어(300)와 슬라이더(400)의 연결은 볼트 조임이나 볼트 체결이 아닌 끼움 방식으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00)의 끼움 홈(440)과 통로 홈(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상부에 각각 형성하거나, 일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00)는 상기 끼움 돌기(410)와 스프링(420)을 수용하면서 상기 끼움 돌기(410)가 일측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설치 홀(46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홈(460)의 타측에는 마감편(47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끼움 돌기(410)의 내측 단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 홀(460)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끼움 돌기(410)가 설치 홀(46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몰드(500)는 상기 3개의 문짝 중 양측 문짝(B)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끼움 돌기(410)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연결 홈(5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몰드(500)는 연결 홈(510)을 통해 상기 끼움 돌기(410)가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양측 슬라이더와 함께 양측 문짝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다. 즉 연결 홈의 양측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끼움 돌기(410)가 라운드면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A)을 먼저 문틀의 중간 레일에 걸어 설치한 상태에서 그 양측에 양측 문짝(B)을 각각 설치하는데, 상기 양측 문짝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몰드(500)의 연결 홈(510)을 상기 끼움 돌기(410)의 위치에 맞춰 밀어 올리면 상기 끼움 돌기(410)가 자연스럽게 후퇴하였다가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연결 홈((510)으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양측 문짝(B)을 분리할 때에도 상기 끼움 돌기(410)가 후퇴할 수 있어서 어려움 없이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중간 문짝(A)을 장착시에 그 양측에 양측 문짝(B)을 장착시에 3개의 문짝이 서로 연동이 되도록 체결시 결합하지 않아도 원터치로 쉽게 끼워져 연동 되도록 형성하였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의 상부에 문짝이 쉽게 밀어서 장착할 수 있도록 문틀홈(270)의 양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면(260)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문짝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 롤러부(280)를 끼울시에 가이드돌기면(260)을 타고 중앙의 문틀홈(270)에 결합되도록 하여 쉽게 문틀에 장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문틀의 상부면에 가이드돌기면(260)에 견고하게 하기 위해 중앙꼭지돌기(330)를 형성하여 제작의 편리성과 견고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문짝은 돌출 롤러부(180)와 하부 롤러부(280-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 롤러부(280)는 문짝의 상부에 고정하도록 케이스(19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스프링(29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290)에는 지지봉(220)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회전휠(230)이 축(240)으로 고정되어 회전휠(230)이 회전하여 상부의 문틀홈(270)내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문틀에 문짝을 결합시에 문짝을 맞추지 않아도 자동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A: 중간 문짝 B: 양측 문짝
100: 가이드 레일 110: 스토퍼
200: 풀리
300: 와이어 310: 걸림 뭉치
400: 슬라이더 410: 끼움 돌기
420: 스프링 430: 레일 홈
440: 걸림 홈 450: 통로 홈
460: 설치 홀 470: 마감편
500: 몰드 510: 연결 홈

Claims (5)

  1. 상부에 나란한 3개의 메인 레일이 설치된 문틀과 상기 메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 롤러부가 상단에 설치된 3개의 문짝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3개의 문짝이 서로 연계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한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문짝 중 중간 문짝의 상단에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중간 문짝의 상단 전후에 축 설치되는 풀리; 상기 전후 풀리를 통해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끼움 돌기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출입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3개의 문짝 중 양측 문짝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연결 홈이 형성된 몰드;
    상기 몰드의 연결 홈을 상기 끼움 돌기의 위치에 맞춰 밀어 올리면 상기 끼움 돌기가 자연스럽게 후퇴하였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연결 홈으로 밀려 들어가기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문틀은 양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면이 형성되고, 문짝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 롤러부를 끼울시에 가이드돌기면을 타고 중앙의 문틀홈에 결합되도록 형성한 것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 롤러부(280)는
    문짝의 상부에 고정하도록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는 지지봉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회전휠이 축으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상부면에 가이드돌기면에 견고하게 하기 위해 중앙꼭지돌기를 형성하여 제작의 편리성과 견고성을 높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연결 홈의 양측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20160060219A 2016-05-17 2016-05-17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170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219A KR101704585B1 (ko) 2016-05-17 2016-05-17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219A KR101704585B1 (ko) 2016-05-17 2016-05-17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85B1 true KR101704585B1 (ko) 2017-02-08

Family

ID=5815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219A KR101704585B1 (ko) 2016-05-17 2016-05-17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704B1 (ko) 2022-10-20 2023-02-17 문대원 슬라이딩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338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씨쓰리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101257338B1 (ko) * 2013-01-10 2013-04-23 강선애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KR20140000605A (ko) * 2012-06-25 2014-01-0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366508B1 (ko) * 2013-05-08 2014-02-25 한의수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338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씨쓰리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20140000605A (ko) * 2012-06-25 2014-01-03 안재옥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257338B1 (ko) * 2013-01-10 2013-04-23 강선애 연동 도어, 그리고 그것에 적용되는 연동장치 및 연동구
KR101366508B1 (ko) * 2013-05-08 2014-02-25 한의수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704B1 (ko) 2022-10-20 2023-02-17 문대원 슬라이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0475B1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US11555350B2 (en) Screen mounting assembly and window having the same
KR101728078B1 (ko)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101630300B1 (ko)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80044057A (ko)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US20190234125A1 (en) Retaining Device
KR20140013195A (ko)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200362772Y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1704585B1 (ko)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1717732B1 (ko) 3중 슬라이딩 도어 체결장치
KR101948758B1 (ko) 조립식 구조체
CN102821653A (zh) 推出装置
KR101864016B1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TW201606174A (zh) 移動門用的輪箍
CN112443228B (zh) 具有可自调节止动件的缓冲装置
KR200488952Y1 (ko) 연동 슬라이딩 도어 장치
US20220142363A1 (en) Pull-out system
KR102115975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의 연결구조
CN211573067U (zh) 一种带阻尼结构的滑动组件及滑动门结构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550404B1 (ko) 3중 연동 도어의 도어 고정장치
KR10128709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23535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KR101823053B1 (ko) 삽입형 연결구를 이용한 연동도어 이송장치
EP3553266B1 (en) Sliding accessory with d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