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05A -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05A
KR20140000605A KR1020120085073A KR20120085073A KR20140000605A KR 20140000605 A KR20140000605 A KR 20140000605A KR 1020120085073 A KR1020120085073 A KR 1020120085073A KR 20120085073 A KR20120085073 A KR 20120085073A KR 20140000605 A KR20140000605 A KR 2014000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locking
guide
upper rail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647B1 (ko
Inventor
안재옥
Original Assignee
안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옥 filed Critical 안재옥
Publication of KR2014000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Abstract

본 발명은 3중 연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출입문 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중간도어가 설치되는 제1안내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전면도어가 제2안내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후면도어가 설치되는 제3안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레일의 제3안내부에는 상기 후면도어가 상기 상부레일의 단부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도록 하는 충격완충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간도어와 전면도어와 후면도어가 각각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될 때, 각각의 도어가 상부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유격 공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각 도어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도어가 문틀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THREE SLIDING DOOR}
본 발명은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도어가 상부레일 상에서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이동을 하도록 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가 문틀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다른 도어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되게끔 하는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는 기존의 2도어 시스템에 비하여 출입구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3중 연동 도어의 기술로서, 국내 특허등록 제10-0724592호 "개폐체 연동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어 연동장치에 설치된 가이드 블럭이 상부 레일의 제1의 결합고리부에 의해 형성된 접동홈부를 통해 접동(摺動 : 미끄럼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도어체를 열고 닫을 때마다 상기 가이드 블럭이 접동홈부에서 마찰운동에 따른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도어 연동장치의 기판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편부를 통해 각 전달체의 결합홈부가 접동되게 설치되고, 도어 연동장치는 제2의 도어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체는 접동구멍부를 통해 중간도어체 및 후면도어체의 피벗축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체를 열고 닫을 때 상기 도어 연동장치에서 각 전달체의 결합홈부가 결합편부를 통해 미끄럼 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달체의 미끄럼 운동이 도어체를 여닫을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마찰에 따른 마모가 발생되고, 이와 함께 중간도어체와 전면도어체와 후면도어체에서 도어 연동장치가 평행하게 조립되지 않고 약간의 비틀어진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질 경우 각 도어체의 미끄럼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마모와 함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0880272호의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는 제1, 2, 3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롤러가 상부레일의 요홈부의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은 시공과정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문틀에 장착하거나 소비자가 사용하면서 착탈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3-64003호의 연동하는 미닫이는 문틀의 하면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1연동문짝, 중간문짝 및 제2연동문짝; 상기 중간문짝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장착된 회전벨트; 상기 제1연동문짝의 일측과 제2연동문짝의 타측에서 각각 위로 형성된 한 쌍의 슬리브; 및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벨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은 제1연동문짝, 중간문짝 및 제2연동문짝을 연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제1연동문짝과 제2연동문짝에 슬라브를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브에 고정구를 연결시켜야 되므로, 기존의 제1연동문짝 및 제2연동문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 문틀의 하면에 설치된 세 개의 안내레일에 제1연동문짝, 중간문짝 및 제2연동문짝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안내롤러가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각 안내롤러가 안내레일에서 이동하는 과정에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위의 선행기술들은 모두 도어가 문틀에 접촉하여 닫히게 될 때, 도어의 닫히는 힘이 그대로 문틀에 가해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를 닫게 될 때, 충격력이 그대로 사용자들에게 전달되게 되어 소음을 야기시키고 사용에 불편을 초래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간도어와 전면도어와 후면도어가 각각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될 때, 각각의 도어가 상부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유격 공차를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각 도어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방지하기 위한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문틀에 접촉되는 충격력을 최대한 완충시키도록 하여 도어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도록 할 수 있고, 또 상기 충격완충장치를 상부레일의 내부에 간단한 구조로 내장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동장치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건물의 출입문 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중간도어가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안내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전면도어가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안내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후면도어가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안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레일의 제3안내부에는 상기 후면도어가 상기 상부레일의 단부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도록 하는 충격완충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중간도어와 전면도어와 후면도어가 각각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될 때, 각각의 도어가 상부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유격 공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각 도어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문틀에 접촉되는 충격력을 최대한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도록 할 수 있고, 또 상기 충격완충장치를 상부레일의 내부에 간단한 구조로 내장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동장치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상부레일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가동체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제1연동구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하부에 결합되는 3개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대한 주요부를 일부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3중 연동 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3중 연동 도어가 중간 정도 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3중 연동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후면도어가 문틀에서 이격되어 있을 때, 연동장치의 상태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밀대가 오일쇼바에 접촉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서 후면도어가 문틀에 접촉될 때, 밀대와 오일쇼바의 상태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서 다른 충격완충장치의 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밀대가 오일쇼바에 접촉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서 후면도어가 문틀에 접촉될 때, 밀대와 오일쇼바의 상태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건물의 출입문이나 이동식 칸막이벽 등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10)과, 슬라이더(20)와, 전동수단과, 제1연동구(40)와, 제2연동구(50)와, 충격완충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레일(10)은 문틀(미도시)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3개의 도어 즉, 중간도어(D1), 전면도어(D2), 후면도어(D3)가 서로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11)와,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안내부(12)와,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안내부(13)와,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안내부(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면과 후면이라는 용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설치판부(11)에서 도면의 우측과 좌측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1안내부(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도어(D1)를 상기 상부레일(10)의 하부 중앙에서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직벽(15)과, 제2수직벽(16)과, 제1안내홈부(12a)와, 제2안내홈부(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벽(15)은 상기 설치판부(11)의 중앙지점을 기준으로 전면측에 위치한 일지점에서 하면쪽으로 수직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벽(16)은 상기 설치판부(11)의 중앙지점을 기준으로 후면측에 위치한 일지점에서 상기 제1수직벽(15)과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홈부(12a)와 상기 제2안내홈부(12b)는 후술하는 슬라이더(20)를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제1안내홈부(1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벽(15)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안내홈부(12b)는 상기 제2수직벽(16)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부(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도어(D2)를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직벽(15)과, 제3수직벽(17)과, 제1안내레일(15a)과, 제3안내레일(17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수직벽(17)은 상기 제1수직벽(15)보다 상기 설치판부(11)의 전면측에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제1수직벽(15)과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레일(15a)은 상기 제1수직벽(15)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3안내레일(17a)은 상기 제3수직벽(17)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3안내부(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도어(D3)를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수직벽(16)과, 제4수직벽(18)과, 제2안내레일(16a)과, 제4안내레일(18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수직벽(18)은 상기 제2수직벽(16)보다 상기 설치판부(11)의 후면측에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제2수직벽(16)과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16a)은 상기 제2수직벽(16)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4안내레일(18a)은 상기 제4수직벽(18)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중간도어(D1)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1안내부(12)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3중 연동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미도시)의 중앙쪽에 위치하게 되며, 상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베이스판(21)의 관통구멍(22)에 끼워져서 상기 베이스판(21)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피봇축(p1, p2)이 서로 이격져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도어(D2)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3중 연동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연동구(40)와 전면도어 보조가이더(65)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피봇축(p3, p4)이 서로 이격져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도어(D3)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3중 연동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연동구(50)와 후면도어 보조가이더(70)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피봇축(p5, p6)이 서로 이격져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도어(D1)가 상기 제1안내부(12)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1)과, 한 쌍의 가동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부(1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평판상의 부재로서, 일측에는 상기 중간도어(D1)의 상부에 형성한 한 쌍의 피봇축(p1, p2, 도 6 참조)을 끼우기 위한 한 쌍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후술하는 전동수단 즉, 벨트(3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가동체(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2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홈부(12a)와 상기 제2안내홈부(12b)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베이스판(21)이 상기 제1안내부(12)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돌출부(31)와, 제2돌출부(32)와, 관통구멍(33, 34)을 구비한다.
상기 제1돌출부(31)는 상기 제1안내홈부(12a)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1안내홈부(12a)를 따라 이동되게 되며, 상기 제2돌출부(32)는 상기 제2안내홈부(12b)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2안내홈부(12b)를 따라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31)는 상기 제1안내홈부(12a)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1안내홈부(12a)를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상기 제1돌출부(31)를 홈부로 바꾸고, 상기 제1안내홈부(12a)를 단순히 돌출부로 변경하여, 상기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안내되어 상기 제1안내부(12)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구멍(33, 34)은 상기 베이스판(21)과 상기 가동체(30)를 고정하기 위한 핀 구멍으로서, 상기 베이스판(21)의 핀 구멍(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35는 풀리축(39)을 끼우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판(21)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1연동구(40) 또는 제2연동구(50)가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제1연동구(40) 또는 제2연동구(50)가 상기 슬라이더(20)와 서로 상대이동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벨트나 와이어 또는 치차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벨트를 이용한 전동수단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벨트(37)는 도 2,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2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38)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1연동구(40) 또는 제2연동구(50)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제1연동구(40) 또는 제2연동구(50)가 이동되는 힘을 상기 슬라이더(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39는 풀리축이다.
상기 제1연동구(40)는 도 2,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7)를 회전시켜 상기 전면도어(D2)와 상기 중간도어(D1)가 서로 상대이동되도록 연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트고정부(41)와, 전면도어 고정부(42)와, 제1가이더(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벨트고정부(41)는 도 2,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7)의 일지점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벨트(37)가 이동되게 될 때, 상기 제1연동구(4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도어 고정부(42)는 상기 제1벨트고정부(41)와 인접형성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중앙에는 상기 중간도어(D1)의 전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D2)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관통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더(43)는 상기 전면도어 고정부(42)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레일(10)의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제3안내홈부(43a)와 제4안내홈부(43b)가 구비된다.
상기 제3안내홈부(43a)는 상기 제1안내레일(15a)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1안내레일(15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4안내홈부(43b)는 상기 제3안내레일(17a)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3안내레일(17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45, 46은 후술하는 밀대(61)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볼트 구멍이다.
상기 제2연동구(50)는 도 2,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7)를 회전시켜 상기 후면도어(D3)와 상기 중간도어(D1)가 서로 상대이동되도록 연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벨트고정부(51)와, 후면도어 고정부(52)와, 제2가이더(53)를 구비한다.
상기 제2벨트고정부(51)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7)의 일지점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벨트(37)가 이동되게 될 때, 상기 제2연동구(5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후면도어 고정부(52)는 상기 제2벨트고정부(51)와 인접형성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중앙에는 상기 중간도어(D1)의 후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면도어(D3)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더(53)는 상기 후면도어 고정부(52)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레일(10)의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제5안내홈부(53a)와 제6안내홈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5안내홈부(53a)는 상기 제2안내레일(16a)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2안내레일(16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6안내홈부(미도시)는 상기 제4안내레일(18a)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제4안내레일(18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충격완충수단(60)은 상기 전면도어(D2)나 후면도어(D3)가 문틀(미도시)에 부딪치게 될 때,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충시켜주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61)와, 오일쇼바(62)와, 스토퍼(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대(61)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동구(40) 또는 제2연동구(5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연동구(40)에 설치된 밀대(61)는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연동구(50)에 설치된 밀대(61)는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일쇼바(6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와 제3안내부(14)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61)가 접촉될 때, 상기 밀대(61)로부터 가압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63)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또는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안내부(13)에 고정설치된 상기 스토퍼(63)는 상기 오일쇼바(62)가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3안내부(14)에 고정설치된 상기 스토퍼(63)는 상기 오일쇼바(62)가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63)를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또는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하는 구성은 다양한 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상기 제3안내부(14)에 상기 스토퍼(63)를 설치할 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안내부(14)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a, 도 3 참조)에 고정편(63a)과, 압착편(63b)과, 볼트(63c)를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도록 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고정편(63a)은 돌출부(14a)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압착편(63b)은 돌출부(14a)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63c)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편(63a)과 상기 압착편(63b)을 체결시키면, 상기 압착편(63b)이 상기 고정편(63a) 쪽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압착편(63b)이 상기 돌출부(14a)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3a는 상기 스토퍼(63)를 상기 제2안내부(13)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돌출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도 2,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전면도어 보조가이더(65)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도어 보조가이더(65)는 상기 전면도어(D2)가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를 따라 더욱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상기 피봇축(p4, 도 3 참조)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66)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제1안내레일(15a)을 끼우기 위한 제7안내홈부(65a)와, 제3안내레일(17a)을 끼우기 위한 제8안내홈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도 2,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도어(D3)의 피봇축(p5)을 끼우기 위한 후면도어 보조가이더(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후면도어 보조가이더(70)는 상기 후면도어(D3)가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를 따라 더욱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후면도어 보조가이더(70)는 상기 전면도어 보조가이더(65)와 비교할 때, 위치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며, 그 구조는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 부호 90은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전면도어(D2)가 상부레일(10)의 좌측 즉, 문틀(미도시)의 좌측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90)로서, 상기 고정부재(90)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압착편(91), 고정편(92), 볼트(93)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90)를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 단부에 고정설치하는 경우, 상기 후면도어(D3)가 상부레일(10)의 우측 즉, 문틀(미도시)의 우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3b는 상기 고정부재(90)를 상기 제2안내부(13)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돌출턱이고, 49, 59는 바람막이 가이드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대한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어가 열려져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상부레일(10)은 3개의 도어(D1, D2, D3)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고, 고정부재(90)는 실제로는 상부레일(10)의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것이지만, 전면도어(D2)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전면도어(D2)의 상부에 도시하였다.
도 8에서 3개의 도어 즉, 중간도어(D1)와 전면도어(D2)와 후면도어(D3)는 한 쪽 방향으로 위치하여 모두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는 도어가 열려져 있는 상태로서, 제1연동구(40)는 도 8의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한 상태이고, 제2연동구(50)는 도 8의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도어(D3)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후면도어(D3)의 상부에 위치한 제3연동구(50)와 후면도어 보조가이더(70)가 도 9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연동구(50)에는 전동수단 즉, 벨트(37)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연동구(50)의 이동과 함께 벨트(37)도 연동하여 점차로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벨트(37)가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중간도어(D1)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전면도어(D2)는 고정부재(90)에 의해서 일측단이 도 9에서는 미도시된 상부레일(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면도어(D2)는 이동을 하지 않고 중간도어(D1)만 이동을 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어(D2)는 좌측에 위치하고, 중간도어(D1)는 중앙에 위치하며, 후면도어(D3)는 우측에 위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중간도어(D1)의 상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20)에 형성한 가동체(30)의 제1돌출부(31)와 제2돌출부(3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일(10)의 제1안내홈부(12a)와 제2안내홈부(12b)에 각각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중간도어(D1)가 상기 제1안내부(12)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될 때, 상기 중간도어(D1)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중간도어(D1)의 유격공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도어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전면도어(D2)의 상부에 형성한 제1연동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안내홈부(43a)와 제4안내홈부(43b)가 형성된 제1가이더(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가이더(43)는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에 끼워맞추어져서 안정적인 이동을 하게 되므로 전면도어(D2)의 이동에 따른 유격공차나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후면도어(D3)의 상부에 형성한 제2연동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안내홈부(53a)와 제6안내홈부(미도시)가 형성된 제2가이더(5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가이더(53)는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 끼워맞추어져서 안정적인 이동을 하게 되므로 후면도어(D3)의 이동에 따른 유격공차나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전면도어(D2)나 후면도어(D3)가 문틀에 부딪치게 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충격완충장치(60)에 의해서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3은 충격완충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 내지 도 13에서 3개의 도어는 도시를 생략하고, 상부레일(10)은 하부쪽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충격완충장치(60)가 상세하게 도시될 수 있도록 도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었다.
먼저, 도 11은 후면도어(D3)가 문틀(미도시)에서 이격되어 있을 때, 연동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도 11의 상태에서 스토퍼(63)은 상부레일(10)의 돌출턱(14a)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오일쇼바(62)는 상기 스토퍼(63)에 인접되어 있으며, 밀대(61)는 오일쇼바(62)와 이격져서 제2연동부(5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도어(D3)를 문틀(미도시) 쪽으로 즉, 밀대(61)를 오일쇼바(62)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점차 밀대(61)가 오일쇼바(62)와 가까워지게 되고, 도 12에서와 같이 밀대(61)가 오일쇼바(62)의 피스톤(62a)에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62a)은 오일쇼바(62)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오일의 작용에 의해서 급격하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하면서 서서히 실린더 내부로 인입되게 되고, 밀대(61)가 더욱 전진을 하게 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밀대(61)가 피스톤(62a)을 최대한 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도어(D3)가 문틀(미도시)에 접촉되게 되므로 후면도어(D3)와 문틀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대한 완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도어(D3)를 다시 열게 되면, 후면도어(D3)의 이동과 함께 밀대(61)도 도 13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밀대(61)의 이동과 함께 오일쇼바(62)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던 피스톤(62a)도 다시 돌출되게 되고, 밀대(61)가 더욱 이동을 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61)가 피스톤(62a)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피스톤(62a)은 다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는 도 11 내지 도 13에 설명된 충격완충장치 이외에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충격완충장치를 이용하여 도어가 문틀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충격완충장치는 도 11 내지 도 13에 설명된 충격완충장치와 비교하여 오일쇼바의 작용이 상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설명된 충격완충장치에서는 오일쇼바(62)의 피스톤(62a)이 밀대(61)와 접촉하게 될 때, 밀대(61)의 전진에 따라서 피스톤(62a)이 오일쇼바(62)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고, 다시 밀대(61)가 피스톤(62a)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면, 피스톤(62a)이 오일쇼바(62)의 내부에서 다시 저절로 돌출되게 되지만,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충격완충장치의 오일쇼바(72)는 오일쇼바(72)의 피스톤(72b)이 밀대(71)와 접촉하게 될 때, 밀대(71)의 전진에 따라서 피스톤(72b)이 오일쇼바(72)의 내부로 인입되는 점은 같지만, 밀대(71)가 피스톤(72b)으로부터 이탈되게 될 때에 피스톤(72b)이 오일쇼바(72)의 내부에서 다시 저절로 돌출되지 않고, 오일쇼바(72)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충격완충장치의 오일쇼바(72)에서는 밀대(71)가 피스톤(72b)으로부터 접촉되었다가 이탈되게 될 때에 피스톤(72b)이 오일쇼바(72)의 내부에서 다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스프링(74)을 사용하게 되며,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충격완충장치의 주요 구성부는 밀대(71)와, 오일쇼바(72)와, 오일쇼바 고정구(73)와, 스프링(74)과, 스프링 고정구(7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대(7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동구(40) 또는 제2연동구(5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도 11에 도시된 밀대(61)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오일쇼바(7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와 제3안내부(14)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71)가 접촉될 때, 상기 밀대(71)로부터 가압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도록 하며, 몸체(72a)와 피스톤(72b)을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72b)은 밀대(71)가 접촉하게 될 때, 상기 밀대(71)의 가압력에 의해 몸체(72a) 내부로 인입되게 되며, 몸체(72a) 내부로 인입된 피스톤(72b)은 상기 밀대(71)가 다시 이탈되게 된다 하더라도 외력이 주어지지 않으면, 몸체(72a) 내부에서 다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미설명 부호 72c는 피스톤(72b)의 선단에 부착되는 접촉편이다.
상기 오일쇼바 고정구(7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또는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안내부(13)에 고정설치된 상기 오일쇼바 고정구(73)는 상기 오일쇼바(72)가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3안내부(14)에 고정설치된 상기 오일쇼바 고정구(73)는 상기 오일쇼바(72)가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오일쇼바 고정구(73)를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또는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하는 구성은 다양한 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스토퍼(63)와 같은 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4)은 피스톤(72b)의 선단부와 후술하는 스프링 고정구(75) 사이에 설치되며, 피스톤(72b)이 오일쇼바(72)의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72b)을 오일쇼바(72)의 외부로 다시 돌출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밀대(71)가 피스톤(72b)의 선단부로부터 이탈하게 될 때, 상기 피스톤(72b)은 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서 오일쇼바(72)의 몸체(72a)에서 다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구(75)는 상기 스프링(74)의 일단을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일측에는 스프링(74)을 걸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구(75)를 상기 상부레일(10)의 제2안내부(13) 또는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하는 구성은 다양한 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상기 제3안내부(14)에 상기 스프링 고정구(75)를 설치할 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안내부(14)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a)에 고정편(75a)과, 볼트(75b)를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상기 고정편(75a)을 고정하는 구체적인 수단은 상기 고정편(75a)을 돌출부(14a)의 상부(도 11에서는 상부레일이 뒤집어 놓은 상태이므로 도 11의 하부 쪽이 실제로는 상부가 됨)에 위치시키고, 볼트(75b)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편(75a)의 구멍에 끼워서 체결시키면, 상기 볼트(75b)에 의해서 상기 고정편(75a)이 상기 돌출부(14a) 쪽으로 압착되게 되면서 상기 고정편(75a)이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충격완충장치(6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4에서는 밀대(71)가 피스톤(72b)의 선단으로부터 이탈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72b)이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피스톤(72b)의 선단부에는 스프링(74)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대(71)가 전진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71)가 오일쇼바(72)의 피스톤(72b)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72b)의 선단에는 스프링(74)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72b)은 상기 스프링(74)을 잡아 당기면서 서서히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밀대(71)가 더욱 전진하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72b)은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후면도어가 문틀에 부딪히는 충격을 최대한 완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후면도어(미도시)를 열기 위해서 후면도어를 문틀(미도시)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후면도어의 이동과 함께 밀대(71)도 도 16의 상태에서 도 15의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72b)은 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서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부에서 돌출되게 되며, 밀대(71)를 더욱 도 15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밀대(71)는 피스톤(72b)의 선단부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되고, 상기 피스톤(72b)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부에서 완전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상부레일 11 : 설치판부
12 : 제1안내부 13 : 제2안내부
14 : 제3안내부 20 : 슬라이더
21 : 베이스판 22 : 관통구멍
30 : 가동체 37 : 벨트
38 : 풀리 40 : 제1연동구
50 : 제2연동구 60 : 충격완충수단
D1 : 중간도어 D2 : 전면도어
D3 : 후면도어

Claims (5)

  1. 건물의 출입문 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10)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D1, D2, D3)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10)은,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11);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중간도어(D1)가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안내부(12);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전면도어(D2)가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안내부(13); 및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후면도어(D3)가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안내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는 상기 후면도어(D3)가 상기 상부레일(10)의 단부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도록 하는 충격완충수단(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D3)의 상부에는 상기 후면도어(D3)가 이동될 때, 상기 후면도어(D3)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중간도어(D1)를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2연동구(50)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연동구(50)는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60)은,
    상기 제2연동구(50)에 설치되며, 상기 제2연동구(50)가 이동될 때,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밀대(61);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61)가 접촉될 때, 상기 밀대(61)로부터 가압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오일쇼바(62); 및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오일쇼바(62)가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63);로 이루어지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63)는, 상기 제3안내부(14)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a)에 고정설치되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60)은,
    상기 제2연동구(50)에 설치되며, 상기 제2연동구(50)가 이동될 때,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밀대(71);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 설치되어, 상기 밀대(71)가 접촉될 때, 상기 밀대(71)로부터 가압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오일쇼바(72);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오일쇼바(72)가 상기 제3안내부(1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쇼바 고정구(73);
    상기 오일쇼바(72)와 이격져서 상기 상부레일(10)의 제3안내부(14)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구(75); 및
    상기 오일쇼바(72)의 피스톤(72b) 선단과 상기 스프링 고정구(75)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72b)이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밀대(71)가 상기 오일쇼바(72)의 몸체(72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72b)을 상기 오일쇼바(72)의 몸체(72a)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74);으로 이루어지는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20120085073A 2012-06-25 2012-08-03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94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142 2012-06-25
KR1020120068142 2012-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05A true KR20140000605A (ko) 2014-01-03
KR101946647B1 KR101946647B1 (ko) 2019-02-11

Family

ID=5013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73A KR101946647B1 (ko) 2012-06-25 2012-08-03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6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034A (ko) * 2014-05-13 2015-11-23 양영희 댐핑력 조절이 가능한 이판 슬라이딩 방식의 복동 실린더형 대형 캐비넷용 양방향 쇼크 옵서버 및 양방향 쇼크 옵서버를 장착한 캐비넷
KR101704585B1 (ko) * 2016-05-17 2017-02-08 이광재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1717732B1 (ko) * 2016-05-17 2017-03-27 이광재 3중 슬라이딩 도어 체결장치
KR200486944Y1 (ko) * 2016-10-21 2018-07-16 김용갑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KR102111421B1 (ko) * 2020-02-11 2020-05-18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승압 또는 강압의 변전기능을 수행하는 옥내 변전소용 방음 방폭 설비
KR200491942Y1 (ko) 2019-06-07 2020-07-07 이상준 셔츠형 수납백
CN112696115A (zh) * 2020-12-03 2021-04-23 苏州立科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车间进出门自动开启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55A (ko) 2019-07-24 2021-02-03 박희숙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US11691732B2 (en) 2020-07-10 2023-07-04 B/E Aerospace, Inc. Modular multiple-egress doors for dual occupancy aircraft passenger suit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212A (ja) * 1996-12-28 1998-07-28 Matsuroku Kk 引き戸クローザ
JPH11229712A (ja) * 1998-02-18 1999-08-24 Murakoshi Mfg Corp 扉装置
JP2003020862A (ja) * 2001-07-10 2003-01-24 Daiken Co Ltd 連動式重ね引戸装置
JP2005139720A (ja) * 2003-11-06 2005-06-02 Enomoto Co Ltd 連動引戸
JP2007107261A (ja) * 2005-10-13 2007-04-26 Nippon Spindle Mfg Co Ltd 引戸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212A (ja) * 1996-12-28 1998-07-28 Matsuroku Kk 引き戸クローザ
JPH11229712A (ja) * 1998-02-18 1999-08-24 Murakoshi Mfg Corp 扉装置
JP2003020862A (ja) * 2001-07-10 2003-01-24 Daiken Co Ltd 連動式重ね引戸装置
JP2005139720A (ja) * 2003-11-06 2005-06-02 Enomoto Co Ltd 連動引戸
JP2007107261A (ja) * 2005-10-13 2007-04-26 Nippon Spindle Mfg Co Ltd 引戸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034A (ko) * 2014-05-13 2015-11-23 양영희 댐핑력 조절이 가능한 이판 슬라이딩 방식의 복동 실린더형 대형 캐비넷용 양방향 쇼크 옵서버 및 양방향 쇼크 옵서버를 장착한 캐비넷
KR101704585B1 (ko) * 2016-05-17 2017-02-08 이광재 3연동 자동체결 시스템도어
KR101717732B1 (ko) * 2016-05-17 2017-03-27 이광재 3중 슬라이딩 도어 체결장치
KR200486944Y1 (ko) * 2016-10-21 2018-07-16 김용갑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연결대가 장착된 댐퍼장착용 도어 프레임
KR200491942Y1 (ko) 2019-06-07 2020-07-07 이상준 셔츠형 수납백
KR102111421B1 (ko) * 2020-02-11 2020-05-18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승압 또는 강압의 변전기능을 수행하는 옥내 변전소용 방음 방폭 설비
CN112696115A (zh) * 2020-12-03 2021-04-23 苏州立科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车间进出门自动开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647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213B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20140000605A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1182413B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KR100861561B1 (ko) 중장비용 운전실
KR100872183B1 (ko) 중장비용 운전실
JP5102540B2 (ja) 引き戸の走行制御装置
TWI706751B (zh) 滑軌總成
JP4583360B2 (ja) 建設装備用運転室
CN102985720B (zh) 缓冲装置
CN109312590B (zh) 撑杆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5312633B2 (ja) 制動装置
JPH0317024Y2 (ko)
JP5087465B2 (ja) 制動装置
JP4036821B2 (ja) 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等の目地装置
CN209924721U (zh) 一种推拉移门的缓冲装置
CN114711572B (zh) 滑轨总成
KR101998880B1 (ko) 도어 개폐기구
KR100756912B1 (ko) 미닫이 문용 스토퍼 장치
TWI642837B (zh) Door switch device
KR101384531B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JPWO2021029120A1 (ja) 引戸装置
JP5877606B2 (ja) 開閉体ブレーキ装置
KR19990027392A (ko) 버스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롤러 구조
KR101536245B1 (ko)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