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45B1 -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45B1
KR101536245B1 KR1020090031909A KR20090031909A KR101536245B1 KR 101536245 B1 KR101536245 B1 KR 101536245B1 KR 1020090031909 A KR1020090031909 A KR 1020090031909A KR 20090031909 A KR20090031909 A KR 20090031909A KR 101536245 B1 KR101536245 B1 KR 10153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ood
coupling
uni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370A (ko
Inventor
권두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4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후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쿨링모듈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헤드램프모듈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후드와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를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자 충돌 감지시 후드와 캐리어 사이의 공간부를 확장시켜 보행자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차량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드, 캐리어, 프런트 엔드 모듈

Description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CARRIER AND FRONT END MODULE THEREWITH}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서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codule)이 있다.
프런트 엔드 모듈은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것으로, 프런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Carrier) 내부에는 라디에이터 등과 같은 부품들이 탑재되고, 이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상부에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리어는 라디에이터와 같은 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과 내구성을 가져야 하며, 후드의 하부에 위치되되, 후드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충돌 에너지 흡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후드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프런트 엔드 모듈에 따르면, 강성을 가진 캐리어와 후드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 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 충돌 에너지 흡수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보행자 충돌시 충돌 에너지 흡수가 미약하여 보행자의 상해치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리어는: 후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쿨링모듈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헤드램프모듈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후드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회전부의 타측을 상기 서브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잠금부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끼움홀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은: 후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후드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캐리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쿨링모듈; 및 상기 서브프레임에 설치되는 헤드램프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드와 결합되는 후드래치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후드래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드래치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드래치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후드래치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후드래치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에 따르면, 보행자 충돌 감지시 후드와 캐리어 사이의 공간부를 확장시켜 보행자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차량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500)은 캐리어(100)와, 쿨링모듈(200)과, 헤드램프모듈(3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캐리어(100)는 고정부(110)와, 회전부(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후드(10; 도 16 참조)의 하부에 구비되며, 메인프레임(112)과 서브프레임(114)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2)은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프레임(112)의 전방에는 범퍼(20; 도 16 참조)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12)의 내부에는 쿨링모듈(200)이 설치된다. 쿨링모듈(200)은 엔진 계통 등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Radi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12)의 양 측부에 고정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2)에 설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114)은 메인프레임(112)의 상부에 위치되며, 메인프레임(112)의 양 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12)의 측방 및 후방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114)의 전방에는 헤드램프모듈(300)이 설치된다. 헤드램프모듈(300)은 서브프레임(114) 및 메인프레임(112)에 해당되는 부분에만 고정됨으로써 서브프레임(114)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고정부(110)의 상부, 즉 후드(10)와 고정부(110) 사이에 배치 된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결합부(130)에 의해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처럼 회전부(120)를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130)는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5)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배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회전부에 결합된 제1결합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31)는 회전부(120)의 일측을 메인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31)는 힌지부(132)와 제1구동부(133)를 포함한다.
힌지부(132)는 회전부(120)와 메인프레임(112)을 힌지 결합시킨다. 힌지부(132)는 메인프레임(112)에 결합되는 제1부분(부호생략)과, 제1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호생략) 및 회전부(120)를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제2부분(부호생략)을 포함한다. 이러한 힌지부(132)에 의해, 회전부(120)의 일측, 즉 회전부(120)의 하측은 메인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구동부(133)는 힌지부(132)와 연결되어 힌지부(132)를 회전시킨다. 제1구동부(133)는 힌지부(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부호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은 액추에이터와 힌지부(132)의 회전축을 연결시는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힌지부(132)의 회전축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131)는,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제어부(미도시)가 제1결합부(131)의 제1구동부(133)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33)의 작동에 의해 힌지부(132)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회전부(120)를 캐리어(100)의 후방 측으로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의 배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2결합부(135)는 회전부(120)의 타측을 서브프레임(11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135)는 가이드부(136)와, 슬라이딩부(137) 및 잠금부(138)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36)는 회전부(120)와 서브프레임(11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부(137)는 회전부(120)와 서브프레임(114) 중 가이드부(136)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36)가 서브프레임(114)에 구비되고 슬라이딩부(137)는 회전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가이드부(136)는 서브프레임(114)에 구비되며, 가이드부(136)의 내부에는 가이드홈(부호생략)이 형성된다. 가이드홈은 회전부(120)의 회전시 회전부(120)의 타측, 즉 회전부(120)의 상측이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37)는 회전부(120)에 구비되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 록 가이드부(136)에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137)는 회전부(120)의 회전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잠금부(138)는 회전부(12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잠금부(138)는 회전부(120)와 서브프레임(114)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회전부(120)와 서브프레임(114) 중 잠금부(138)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는 잠금부(138)가 끼워지는 끼움홀(부호생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부(138)가 서브프레임(114)에 구비되고 끼움홀은 서브프레임(114)과 맞닿는 회전부(12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예시된 잠금부(138)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8a)와, 이동부재(138b) 및 제2구동부(138c)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38a)는 회전부(120)와 서브프레임(11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38a)가 서브프레임(114)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부재(138a)의 내부에는 이동부재(138b) 및 제2구동부(138c)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동부재(138b)는 고정부재(138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부재(138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고정부재(138a)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재(138b)는 끼움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동부재(138b)가 끼움홀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회전부(120)가 이동부재(138b)에 걸려 그 이동이 구속된다.
제2구동부(138c)는 이동부재(138b)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는, 제2구동부(138c)가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동부재(138b)는 제2구동부(138c)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잠금부(138)는 탄성부재(138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8d)는 이동부재(138b)를 끼움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제2결합부(135)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제어부(미도시)가 제2결합부(135)의 잠금부(138)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제2구동부(138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이동부재(138b)를 이동시킨다.
이처럼 이동되는 이동부재(138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홀에서 이탈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137)는 가이드부(136)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회전부(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137)와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구동부(138c)가 전자석에 의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이동부재(138c)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구동부(138c)는, 이동부재(138b)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이동부재(138b)에 전달하여 이동부재(138b)를 이동시키는 기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부 및 후드래치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결합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런트 엔드 모듈(500)은 후드래치부(400) 및 후드래치결합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래치부(400)는 후드(10; 도 16 참조)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후드(10)는 엔진룸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캐리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후드래치부(400)에 의해 캐리어(100)에 고정되어 임의적인 개방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120)에는 삽입홀(부호생략)이 형성되며, 후드래치부(400)는 이 삽입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회전부(12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후드래치부(400)는 후드래치결합부(450)에 의해 캐리어(100)와 결합된다. 후드래치결합부(450)는 캐리어(100)의 회전부(120)를 후드래치부(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가이드부(452)와, 슬라이딩부(454) 및 잠금부(45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52)는 회전부(120)와 후드래치부(4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부(454)는 회전부(120)와 후드래치부(400) 중 가이드부(452)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452)가 회전부(120)에 구비되고 슬라이딩부(454)는 후드래치부(4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가이드부(452)는 회전부(120)에 구비된다. 가이드부(452)는 삽입홀의 외측에 배치되며, 가이드부(452)의 내부에는 가이드홈(부호생략)이 형성된다. 가이드홈은 회전부(120)의 회전시 회전부(120)의 상측이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딩부(454)는 후드래치부(400)에 구비되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452)에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454)는 회전부(120)의 회전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잠금부(456)는 회전부(12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잠금부(456)는 회전부(120)와 후드래치부(4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회전부(120)와 후드래치부(400) 중 잠금부(456)가 구비되지 않은 하나에는 잠금부(456)가 끼워지는 끼움홀(부호생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부(456)가 후드래치부(400)에 구비되고 끼움홀은 후드래치부(40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잠금부(456)의 구조 및 작용은 제2결합부(135; 도 6 참조)에 구비되는 잠금부(138; 도 7 참조)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후드래치결합부(45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제어부(미도시)가 후드래치결합부(450)의 잠금부(456)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잠금부(456)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홀에서 이탈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454)는 가이드부(452)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회전부(1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454)와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런트 엔드 모듈(500)의 작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차량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미도시)나 카메라(미도시) 등에 의해 범퍼(20; 도 16 참조)에 보행자가 충돌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캐리어(100)의 회전부(120)가 범퍼(20)의 후방 측으로 회전하도록 캐리어(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범퍼(20)에의 보행자 충돌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결합부(131)의 제1구동부(133)와, 제2결합부(135)의 잠금부(138) 및 후드래치결합부(450)의 잠금부(456)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31)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33)가 작동되어 힌지부(132)의 회전에 의한 회전부(120) 하측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2결합부(135)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38)가 작동되어 서브프레임(114)에 고정된 회전부(120) 상측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드래치결합부(450)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456)가 작동되어 후드래치부(400)에 고정된 회전부(120) 상측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회전부(1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114) 및 후드래치부(400; 도 11 참조)와 분리되어 메인프레임(1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부(120)의 상측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20)의 후방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부(120)의 이동에 의해, 후드(10)와 캐리어(100) 사이에는 회전부(120)의 이동 전에 비해 상당 크기 확장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프런트 엔드 모듈(5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행자 충돌 감지시 후드(10)와 캐리어(100) 사이의 공간부를 확장시켜 보행자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차량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엔드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배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회전부에 결합된 제1결합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의 배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부 및 후드래치결합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결합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결합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캐리어 110 : 고정부
112 : 메인프레임 114 : 서브프레임
120 : 회전부 130 : 결합부
131 : 제1결합부 132 : 힌지부
133 : 제1구동부 135 : 제2결합부
136,452 : 가이드부 137,454 : 슬라이딩부
138,456 : 잠금부 200 : 쿨링모듈
300 : 헤드램프모듈 400 : 후드래치부
450 : 후드래치결합부

Claims (9)

  1. 후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쿨링모듈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헤드램프모듈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후드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회전부의 타측을 상기 서브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잠금부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끼움홀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7. 후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구비하는 고정부와, 상기 후드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쿨링모듈;
    상기 서브프레임에 설치되는 헤드램프모듈;
    상기 후드와 결합되는 후드래치부; 및
    상기 회전부를 상기 후드래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드래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래치결합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후드래치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후드래치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KR1020090031909A 2009-04-13 2009-04-13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KR10153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09A KR101536245B1 (ko) 2009-04-13 2009-04-13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09A KR101536245B1 (ko) 2009-04-13 2009-04-13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70A KR20100113370A (ko) 2010-10-21
KR101536245B1 true KR101536245B1 (ko) 2015-07-14

Family

ID=4313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09A KR101536245B1 (ko) 2009-04-13 2009-04-13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2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429A (ja) * 2004-09-09 2006-03-23 Toyota Motor Corp 車両前部構造
JP2006264495A (ja) * 2005-03-23 2006-10-05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KR20080099719A (ko) * 2007-05-10 2008-1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429A (ja) * 2004-09-09 2006-03-23 Toyota Motor Corp 車両前部構造
JP2006264495A (ja) * 2005-03-23 2006-10-05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KR20080099719A (ko) * 2007-05-10 2008-1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70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0772B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1798311B1 (ko) 조작 케이블의 배선 구조
JP6491802B2 (ja) パワースライドウィンドウ
JP6350451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2012148705A (ja) 車両用空気取入口開閉装置
JP2008290559A (ja)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KR101536245B1 (ko) 캐리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
JP2011093471A (ja) サンルーフ装置及び遮蔽体
JP375560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構造
JP4665702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2009255635A (ja) フードロック装置
KR20220163755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KR20230001351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KR101393972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JP5013914B2 (ja) 自動車のフード衝撃吸収構造
KR20120006376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07099062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802690B2 (ja) 車両前部構造
KR20090130569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JP2004352131A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US20230202270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JP6617128B2 (ja) 車両用ラッチ装置
KR102085768B1 (ko) 자동차용 도어가니쉬
KR20130019625A (ko) 후방 카메라 장치
JP3926179B2 (ja) 車両用リヤゲート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