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935A -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935A
KR20220049935A KR1020200133667A KR20200133667A KR20220049935A KR 20220049935 A KR20220049935 A KR 20220049935A KR 1020200133667 A KR1020200133667 A KR 1020200133667A KR 20200133667 A KR20200133667 A KR 20200133667A KR 20220049935 A KR20220049935 A KR 20220049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shboard
monitor
connection
vehic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935A/ko
Priority to CN202111204464.0A priority patent/CN114368348B/zh
Priority to EP21202874.0A priority patent/EP3984803B1/en
Priority to US17/502,662 priority patent/US11919398B2/en
Publication of KR20220049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K35/22
    • B60K35/50
    • B60K35/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60K2360/40
    • B60K2360/84
    • B60K35/6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측 대시 보드의 절곡된 내측면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연장된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이 구비된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 풀리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의 구조체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일측에 모니터가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홀이 구비된 레일 아세이 조립체;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홀을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직선 동력 전달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상기 모니터를 상기 직선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홀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Vehicle sliding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칵핏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 보드에는 차량의 AVN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센터페시아가 고정된 형태로 장착된다.
그러나, 차량의 각 부분 단위로 생산하여 조립하는 경우, 조립 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기판(Instrument Panel), 크로스 바(Cross Bar), 공조시스템, 에어백(Airbag), 각종 계기판, 오디오 등 전장부품 스티어링 컬럼 및 휠, 페달 어셈블리 등을 조립된 상태, 즉, 슬라이딩 모니터용 모듈 조립체(Cockpit Module) 단위로 자동차 업체에 단위부품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모니터용 모듈 조립체 단위로 자동차 업체에 공급하는 경우 설계 업무의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모니터용 모듈 조립체에 적용되는 이동형 타입의 모니터의 경우, 조립 구조를 통해 장치의 강건성을 유지할 수 있으나, 작동 부품의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부하를 견디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형 타입의 모니터의 경우, 모니터의 고정 또는 이동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외력이 발생하면, 고정 또는 이동중인 모니터의 연결 부분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슬라이딩 무빙 모니터는 슬라이딩 공간조가 이동에 따라 이동 거리만큼 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슬릿의 형태로 외관에 모니터의 이동 궤적이 드러나고, 외관 및 이물질에 의한 작동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형 타입의 모니터의 이동 또는 고정 시, 비정상 적인 외력에 의해 장치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니터 작동 메커니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타입으로 작동되는 작동 메커니즘 내 별도 고정을 위한 록킹 수단을 추가하여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및 관성하중 발생 시에도 장치를 고정하고, 장치의 사용상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슬립 기어와 록킹 수단을 동시 사용하여 장치 파손 방지할 수 있는 킬 수 있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타입으로 작동되는 모니터 구조에 있어 모니터 이동 궤적에 의하여 발생하는 슬릿 구조를 주변 상관품으로 은닉시킴으로써 외관성을 개선하고, 장치 사용의 안전성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상측 대시 보드의 절곡된 내측면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연장된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이 구비된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 풀리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의 구조체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일측에 모니터가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홀이 구비된 레일 아세이 조립체;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홀을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직선 동력 전달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상기 모니터를 상기 직선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홀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대시 보드는, 보디의 프론트 수직 평면을 이루는 보디 프런트 앤드 어셈블리인 상측 대시 보드; 및 상기 상측 대시 보드에 조립되어 차량의 프런트 보디와 차실을 나누는 격벽을 형성하는 하측 대시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측 대시 보드와 하측 대시 보드의 조립 시, 상기 연결프레임이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딩 공간이 상기 상측 대시 보드와 상기 하측 대시 보드 사이에 일정 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대시 보드는, 종단이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은, 상측 대시 보드의 절곡된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의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상기 레일 아세이 조립체가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 아세이 조립체는, 상기 풀리, 타이밍벨트 및 타이밍벨트 클립으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의 구조체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홀이 일정 이동 범위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의 홀에 삽입된 후 상기 타이밍벨트 클립과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재; 상기 벨트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벨트 연결부재 종단에 구비되는 하측 고정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상측 대시 보드 또는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종단에서 운전자의 시선과 대칭되는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모니터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모니터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상측 연결부; 상기 상측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측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하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브라켓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연결프레임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대시 보드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측 가니쉬; 및 상기 모니터 브라켓의 하측 연결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하측 대시 보드를 덮는 하측 가니쉬로 이루어진 가니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가니쉬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모니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삽입 가이드 홀이 일정 깊이를 갖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의 슬라이딩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해당 외력이 액추에이터 모듈 및 모터에 인가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모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만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의 슬립에 의해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다른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 사이의 마찰력보다 높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슬립이 발생하고, 슬립이 발생한 후방 슬립 기어(81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나 나머지 장치는 정지되어 슬라이딩을 위한 나머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가니쉬의 삽입 가이드 홀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과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에서는 내부 슬릿 형상 및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용 모니터링 슬라이딩 시스템을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동력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500)을 운전자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연결프레임(500)을 고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외부 외력에 의해 모니터가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는 비정상 작동 구간이 발생 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정지에 따른 외력 인가 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용 모니터링 슬라이딩 시스템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액추에이터 모듈(100), 메인 하우징(200), 모터(300), 직선 동력 전달부(400), 연결프레임(500)을 포함하고, 슬립 기어 모듈(800)을 더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모듈(100)은 모터(300)에 전력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메인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된다.
메인 하우징(200)은 상측 대시 보드(11)와 하측 대시 보드(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200)은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모터(300)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500)이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메인 하우징(200)은 대시 보드(10)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타이밍벨트 클립(430)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400)를 수용하고, 가이드 레일(440)이 외부에 구비된다.
모터(300)는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력을 풀리(410)에 제공한다.
그리고,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0)로부터 인기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타이밍벨트 클립(430)를 포함하고, 가이드레일(4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풀리(410)는 모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슬립 기어 모듈(800)로부터 모터 회전축(310)을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연결된 타이밍벨트(4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타이밍벨트(420)는 메인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풀리(410)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축(310)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때, 타이밍벨트(420)는 풀리(410)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메인 프레임(200) 범위 내에서 모니터가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타이밍벨트(420)의 타단에는 롤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타이밍벨트(4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장치 사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되는 좌우 작동거리 390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차종 및 작동 컨셉에 따라 가변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일측이 타이밍벨트(420)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4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메인 하우징(200) 내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연결프레임(500)과 연결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440)은 메인 하우징(200)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500) 이동 시,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연결프레임(500)에는 가이드레인(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가 구비된다.
연결프레임(500)은 일측이 타이밍벨트 클립(430)와 연결되고, 타측이 모니터와 연결된다. 이에, 연결프레임(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측에 위치해 있다가 동승자 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자측 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 측으로 연결프레임(500)과 연결된 모니터가 대시 보드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V' 확대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310)에는 슬립 기어 모듈(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립 기어 모듈(8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회전축(310)에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전방 슬립 기어(830) 및 스플링(8400)을 포함한다.
후방 슬립 기어(810)는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되어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와 접속되도록 타측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 플레이트(820)는 중공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되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 사이에 구비된다. 슬립 플레이트(820)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전방 슬립 기어(830)는 모터 회전축(31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립 플레이트(820)에 접촉되는 일측이 중공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와 마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풀리(4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전방 슬립 기어(830)는 상기 후방 슬립 기어와 상기 슬립 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8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831)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 및 슬립 플레이트(82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840)은 전방 슬립 기어(830)와 상기 메인 하우징(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슬립 기어(830)가 슬립 플레이트(82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한다.
따라서, 슬립 기어 모듈(800)은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의 중심에 모터 회전축(310)이 연결되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간 마찰력을 통해 모터 회전축(3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 동력 전달부(400)에 전달한다.
이러한 슬립 기어 모듈(800)은 기설정된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전방 슬립 기어(830)에 발생하면, 슬립 플레이트(820)와의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동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이용한 모니터의 슬라이딩 과정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를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모터(3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모니터(1)가 동승자 측 종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모니터가 운전자 측에서 동승자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모니터(1)를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300)이 회전을 종료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500)을 동승자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통해 모터(30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모터(300)의 회전력이 모터 회전축(310)를 통해 풀리(410)에 전달되고, 풀리(410)가 회전됨에 따라 풀리(410)에 의해 타이밍벨트(42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타이밍벨트(420)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20)의 이동에 따라 같이 메인 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이용한 모니터의 슬라이딩 과정 중 외력 발생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0)에는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전방 슬립 기어(830) 및 스프링(840)으로 이루어진 슬립 기어 모듈(80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슬립 기어 모듈(800)은 모터(30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이 풀리(410)에 인가되되, 외부로부터 기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외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인가되어 모터(300) 및 액추에이터 모듈(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및 전방 슬립 기어(830)가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되고, 스프링(840)이 전방 슬립 기어(830)와 메인 하우징(20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 슬립 기어(83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에,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및 후방 슬립 기어(810)가 스프링(84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다.
이렇게,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및 후방 슬립 기어(810)가 밀착된 상태에서, 모터(300)가 구동하게 되어 모터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되면,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된 후방 슬립 기어(810)가 모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슬립 플레이트(820)를 사이에 두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가 스프링(840)에 의해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방 슬립 기어(810)와 슬립 플레이트(820)의 마찰력, 그리고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의 마찰력에 의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 또한 모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전방 슬립 기어(830)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전방 슬립 기어(830)와 연결된 풀리(410) 또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풀리(4000와 연결된 타이밍벨트(420)의 구동에 따라, 타이밍벨트(420)에 연결된 타이밍벨트 클립(430), 연결프레임(500)이 좌우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되는 모니터 또는 모니터브라켓(570)에 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이물질이 삽입되어 모니터가 슬라이딩되지 않은 힘 또는 사용자 및 외부의 힘에 의해 모니터가 역방향 또는 정방향에 인가되는 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 모니터브라켓(570), 연결프레임(500), 타이밍벨트(420), 가이드 레일(440) 등에 외력이 발생하면, 해당 외력은 타이밍벨트(420)를 통해 풀리(410)에 전달되고, 풀리(410)에 전달된 외력은 전방 슬립 기어(830)에 전달된다.
이렇게 전방 슬립 기어(830)에 외력이 전달되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림 기어(830)간 마찰력을 외력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간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전방 슬립 기어(830)는 슬립 플레이트(820)와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어, 전방 슬립 기어(83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슬립 플레이트(820) 및 후방 슬립 기어(810)를 따라 모터(300)에 전달되지 않고 차단됨으로써, 외부 외력으로부터 모터 및 액추에이터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일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모듈(100), 메인 하우징(200), 모터(300), 직선 동력 전달부(400) 및 연결프레임(500)를 포함하고, 슬립 기어 모듈(800)과 고정 기어 모듈(900)을 더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고정한 메인 하우징(200)은 상측 대시 보드(11)와 하측 대시 보드(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200)은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모니터가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서 가이드한다.
메인 하우징(200)은 대시 보드(10)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가이드 레일(440) 및 타이밍벨트 클립(430)를 수용한다.
모터(300)는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축(3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모터(300)로부터 인기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타이밍벨트 클립(430)을 포함하고 가이드레일(440)더 구비할 수 있다.
풀리(410)는 풀리 회전축(401)을 구비하고, 슬립 기어 모듈(800)을 통해 폴리 회전축(401)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한편, 풀리 회전축(401)에는 연동 기어(910), 록킹 기어(930)로 이루어진 고정 기어 모듈(900)이 구비된다.
타이밍벨트(420)는 메인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풀리(410)에 연결되어 풀리 회전축(401)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타이밍벨트(420)는 메인 프레임(200) 내에 구비되어, 풀리(41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동력을 메인 프레임(200) 범위 내에서 모니터가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직선 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타이밍벨트(4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운전자 또는 동승석 사용자의 장치 사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되는 좌우 작동거리 390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차종 및 작동 컨셉에 따라 가변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일측이 타이밍벨트(420)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4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메인 하우징(200) 내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한편, 타이밍벨트 클립(430)는 연결프레임(500)이 타이밍벨트(420)에 의해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440)이 메인 하우징(200)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프레임(500)에는 연결프레임(500)을 일측 종단에 고정 시, 록킹 기어(930)가 후방 슬립 기어(810)에 물리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록킹 기어(93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 리브(510)를 더 구비된다.
이러한, 모터 회전축(310)에는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전방 슬립 기어(830) 및 스프링(840)를 포함하는 슬립 기어 모듈(800)이 구비된다.
슬립 기어 모듈(800)의 후방 슬립 기어(810)는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되어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후방 슬립 기어(810)는 전방 슬립 기어 연결부(811)와 록킹 기어 연결부(813)를 포함한다.
전방 슬립 기어 연결부(811)는 풀리 회전축(401)이 중심에 삽입되고, 하부면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록킹 기어 연결부(813)는 전방 슬립 기어 연결부(811) 상부에 구비되어 모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고, 록킹 기어(930)의 하단 일부분에 구비된 삽입 기어(931)에 맞물린다.
이때, 록킹 기어(930)에는 풀리 회전축(4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연동 기어(910)를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이 풀리 회전축(401)을 통해 풀리(410)에 인가되도록, 록킹 기어(930)에 일 회전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950)이 더 구비된다.
한편, 후방 슬립 기어(810)와 록킹 기어(930)간 체결구조는 록킹 기어(930)의 하단부에 후방 슬립 기어(810)에 맞물리기 위한 삽입 기어(931)가 일부분 구비되고, 록킹 기어(930)의 타측에는 연결프레임(500)의 가이드리브(610)에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돌기(933)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방 슬립 기어(810)에는 록킹 기어(930)의 삽입 기어(931)가 안착하기 위한 록킹 기어 연결부(81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록킹 기어(930) 물리적 결속은 후방 슬립 기어(810)가 슬립 플레이트(820)간 슬립이 발생하도록,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인가된다.
그리고, 슬립 플레이트(820)는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전방 슬립 기어(830)는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에 접촉 시 마찰에 의해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와 함께 회전하되, 기설정된 마찰력 이상의 외력 발생 시 슬립 플레이트(820)와의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동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그리고 스프링(840)은 전방 슬립 기어(830)와 메인 하우징(200) 사이에 구비되어 전방 슬립 기어(830)가 슬립 플레이트(82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한다.
한편, 고정 기어 모듈(900)의 연동 기어(910)는 슬립 기어 모듈(800)의 전방 슬립 기어(830)와 맞물려 전방 슬립 기어(8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 폴리 회전축(401)이 중심에 삽입되고, 전방 슬립 기어(830)에 물리적으로 결속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폴리 회전축(401)에 전달한다.
록킹 기어(93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및 관성하중 발생 시에도 슬라이딩되는 연결프레임(500)을 종단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풀리 회전축(401)이 중심에 삽입되고, 상기 연동 기어(910) 상측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외력 인가 시,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와 결속되어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를 물리적으로 록킹시킨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슬라이딩 시 동력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연결프레임(500)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풀리 회전축(410)이 삽입된 록킹 기어(930)가 토션 스프링(950)에 의해 일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방 슬립 기어(810)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고, 전방 슬립 기어(830)와 연동 기어(910)는 맞물림 상태이다.
이와 같이, 록킹 기어(930)와 후방 슬립 기어(810)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방 슬립 기어(83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이 연동 기어(910)에 인가되어 풀리(41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모듈(100)이 모터(300)에 전력을 제공하면, 모터(300)에 의해 모터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되고,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된 후방 슬립 기어(8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후방 슬립 기어(810) 하부에 구비된 슬립 플레이트(820)와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 하부에 구비된 전방 슬립 기어(830)는 스프링(840)에 의해 밀착되고, 각 마찰력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와 함께 전방 슬립 기어(830)가 회전한다.
이에, 전방 슬립 기어(830)와 맞물린 연동 기어(910) 또한 회전하게 되고, 연동 기어(910)에 의해 풀리 회전축(410)도 회전한다.
그리고 풀리 회전축(410)의 회전에 따라 풀리(410)가 회전하게 되고, 풀리(410)에 의해 타이밍벨트(42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타이밍벨트(420)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20)의 이동에 따라 같이 메인 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500)을 동승자 측에서 운전자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한편, 연결프레임(500)을 운전자 측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모듈(100)과 모터(300)를 이용하여 연결프레임(500)을 운전자 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다가 운전자 측 종단에 오면, 연결프레임(500)을 고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500)을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다 보면, 모니터와 연결된 연결프레임(500)의 가이드 리브(510)가 록킹 기어(93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933)에 접촉된다.
이렇게 록킹 기어(930)의 가이드돌기(933)와 연결프레임(500)의 가이드 리브(510)가 접촉된 상태에서 모니터가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록킹 기어(9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933)는 연결프레임(500)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에 연결된 연결프레임(500)이 운전자 측 종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록킹 기어(9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록킹 기어(930)의 하단 일부분에 구비된 삽입 기어(931)가 후방 슬립 기어(810)에 맞물리면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외력에 의해 모니터가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는 비정상 작동 구간이 발생하여, 타이밍벨트(420)를 통해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외력(P1)이 풀리(410), 풀리 회전축(401), 연동 기어(910)를 통해 전방 슬립 기어(830)에 전달되고,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간 마찰력보다 클 경우 슬립이 발생한다.
이에, 외력(P1)이 전방 슬립 기어(830)와, 모터 회전축(310)을 따라 모터(300) 및 액추에이터 모듈(1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모터(300)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만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의 슬립에 의해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다른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정상 구동 중 외력에 의해 모니터가 멈추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정지에 따라, 타이밍벨트(420), 풀리(410), 풀리 회전축(401), 연동 기어(910), 전방 슬립 기어(830) 순으로 회전 및 이동 정지된다.
이때,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 사이의 마찰력보다 높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슬립이 발생하고, 슬립이 발생한 후방 슬립 기어(810)는 모터(300)에 의해 회전하나 나머지 장치는 정지되어 슬라이딩을 위한 나머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 연결 브라켓(540), 모니터 브라켓(570)를 포함한다.
대시 보드 조립체(10)의 상측 대시 보드(11)는 모니터가 대시 보드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측 대시 보드(13) 결합 시, 모니터가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구(15)가 상기 하측 대시 보드(13) 사이에 형성된다.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는 상기 모니터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54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420) 및 풀리(410)가 수용되는 레일 어세이 조립체(530)가 내부에 구비된다.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은 상측 대시 보드(11)의 절곡된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의 절곡부(521)를 구비하고, 절곡부(521)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가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523)이 구비된다.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및 타이밍벨트 클립(430)으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400)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200)과 상기 메인 하우징(200)을 상기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531)을 포함한다.
그리고,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의 고정용 브라켓(531)에는 메인 하우징(200)에 수용된 타이밍벨트 클립(430)과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540)이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홀(533)이 일정 이동 범위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용 브라켓(531)은 제품의 강성을 위하여 상부와 하부가 일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브라켓(540)에는 벨트 연결부재(541), 연장부재(543), 하측 고정부재(545), 지지부재(547) 및 모니터 연결부재(549)를 포함한다.
벨트 연결부재(541)는 일측이 고정용 브라켓(531)의 홀(533)에 삽입된 후 타이밍 벨트 클립(430)과 연결되고, 연장부재(543)는 벨트 연결부재(541)의 일측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 고정부재(545)는 상기 벨트 연결부재(541) 종단에 구비되고, 지지부재(547)는 연장부재(543)의 종단에서 상측 대시 보드(11) 또는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모니터 연결부재(549)는 지지부재(547)의 종단에서 운전자의 시선과 대칭되는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모니터 브라켓(570)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니쉬(600)는 상측 가니쉬(610), 및 하측 가니쉬(630)로 이루어진다.
상측 가니쉬(610)는 대시 보드(10)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할 수 있도록, 상측 대시 보드(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모니터 연결부재(549)가 관통되도록 삽입 가이드 홀(6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측 가니쉬(610)는 대시 보드(10)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대시 보드(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측 가니쉬(610)에 구비된 삽입 가이드 홀(611)은 모니터 연결부재(549)가 삽입된 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과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에서는 내부 슬릿 형상 및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모니터 브라켓(570)은 상측 가니쉬(610)를 관통한 모니터 연결부재(549)와 체결되는 상측 연결부(571)와 상측 연결부(57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73)와, 연장부(57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575)로부터 연장되어 하측 고정부재(545)와 체결되는 하측 연결부(57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측 가니쉬(630)는 모니터 브라켓(570)의 하측 연결부(577)의 일측에 체결되고, 하측 대시 보드(13)를 덮는다.
한편 상측 대시 보드(11)는 운전자에게 노출되는 제1 보드와, 상기 제1 보드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보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은 상기 상측 대시 보드(11) 하부면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으로부터 일정 각도 절곡되는 제 2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 보드 조립체(10)의 상측 대시 보드(11)에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의 절곡부(521)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후, 메인 프레임(200)과 고정용 브라켓(531)으로 이루어진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를 연결 브라켓(540)과 결합한 상태에서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의 구조체 삽입홈(523)에 고정용 브라켓(351)이 삽입한 후 고정한다.
여기서,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및 타이밍벨트 클립(430)으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400)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200)과 상기 메인 하우징(200)을 상기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5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 브라켓(540)은 상기 메인 하우징(200)의 홀(5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밍벨트(420) 및 풀리(410)에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재(541)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541)의 일측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543)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541) 종단에 구비된 하측 고정부재(545)와 상기 연장부재(543)의 종단에서 상기 상측 대시 보드(11) 또는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재(547)와 상기 지지부재(547)의 종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모니터 브라켓(570)과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재(549)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연결부재(549)를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에 관통시켜 조립한다. 이때, 상측 가니쉬(610)는 상측 대시 보드(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대시 보드(1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이후,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을 관통한 모니터 연결부재(549)을 모니터 브라켓(570)의 상측 연결부(571)와 조립하고, 연결 브라켓(540)의 하측 고정부재(545)를 모니터 브라켓(570)의 하측 연결부(577)와 체결한다.
여기서, 모니터 브라켓(570)은 상측 가니쉬(610)를 관통한 상기 모니터 연결부재(549)와 체결되는 상측 연결부(571)와 상기 상측 연결부(57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73)와, 상기 연장부(57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575)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측 고정부재(545)와 체결되는 하측 연결부(577)로 이루어진다.
이후,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니쉬(630)를 모니터 브라켓(570)의 하측 연결부(577)와 체결하면서 하측 대시 보드(13)를 덮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는 대시 보드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모니터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을 통해 운전자가 내부 슬릿의 형상이나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상측 가니쉬(610)에 구비된 삽입 가이드 홀(611)은, 모니터 연결부재(549)가 삽입된 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차량용 대시 보드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측 대시 보드의 절곡된 내측면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연장된 일측에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이 구비된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
    풀리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의 구조체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일측에 모니터가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홀이 구비된 레일 아세이 조립체;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홀을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직선 동력 전달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모니터에 체결되어, 상기 모니터를 상기 직선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홀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연결프레임(540)을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 보드는,
    보디의 프론트 수직 평면을 이루는 보디 프런트 앤드 어셈블리인 상측 대시 보드; 및
    상기 상측 대시 보드에 조립되어 차량의 프런트 보디와 차실을 나누는 격벽을 형성하는 하측 대시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측 대시 보드와 하측 대시 보드의 조립 시, 상기 연결프레임이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딩 공간이 상기 상측 대시 보드와 상기 하측 대시 보드 사이에 일정 길이 구비되는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대시 보드는,
    종단이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은,
    상측 대시 보드의 절곡된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의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상기 레일 아세이 조립체가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이 구비된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아세이 조립체는,
    상기 풀리, 타이밍벨트 및 타이밍벨트 클립으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기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의 구조체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홀이 일정 이동 범위내에 형성된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는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의 홀에 삽입된 후 상기 타이밍벨트 클립과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재;
    상기 벨트 연결부재의 일측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벨트 연결부재 종단에 구비되는 하측 고정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종단에서 상기 상측 대시 보드 또는 대시 보드 연결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종단에서 운전자의 시선과 대칭되는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모니터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모니터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상측 연결부;
    상기 상측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측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하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브라켓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연결프레임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대시 보드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측 가니쉬; 및
    상기 모니터 브라켓의 하측 연결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하측 대시 보드를 덮는 하측 가니쉬로 이루어진 가니쉬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니쉬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모니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삽입 가이드 홀이 일정 깊이를 갖도록 구비된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KR1020200133667A 2020-10-15 2020-10-15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KR20220049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67A KR20220049935A (ko) 2020-10-15 2020-10-15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CN202111204464.0A CN114368348B (zh) 2020-10-15 2021-10-15 车辆驾驶舱模块组件
EP21202874.0A EP3984803B1 (en) 2020-10-15 2021-10-15 Dashboard with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US17/502,662 US11919398B2 (en) 2020-10-15 2021-10-15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67A KR20220049935A (ko) 2020-10-15 2020-10-15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35A true KR20220049935A (ko) 2022-04-22

Family

ID=7848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67A KR20220049935A (ko) 2020-10-15 2020-10-15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9398B2 (ko)
EP (1) EP3984803B1 (ko)
KR (1) KR20220049935A (ko)
CN (1) CN114368348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2847A1 (de) * 1992-09-30 1994-03-31 Audi Ag Armaturenbret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44163B3 (de) * 2004-09-13 2006-04-27 Siemens Ag Armaturentafel für ein Kraftfahrzeug
FR2964084B1 (fr) * 2010-08-24 2012-10-05 Airbus Operations Sas Support de dispositifs d'affichage pour un poste de pilotage d'aeronef
DE102011000924A1 (de) * 2011-02-24 2012-08-30 Volkswagen Ag Anordnung einer Anzeige-Eingabeeinheit in einem Fahrzeug
KR101281077B1 (ko) * 2011-06-03 2013-07-09 주식회사 정빈산업 자동차 데쉬보드용 커버
US9415688B2 (en) * 2011-10-20 2016-08-16 Yazaki Corporation Vehicular display unit
US9211794B2 (en) * 2011-10-20 2015-12-15 Yazaki Corporation Vehicular display unit
JP5921173B2 (ja) 2011-12-12 2016-05-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装置、及び回転方法
DE102012005858A1 (de) * 2012-03-22 2013-09-26 Audi Ag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Informationen in einem Kraftfahrzeug
KR101481289B1 (ko) * 2013-07-05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엔 모니터 작동장치
FR3070933B1 (fr) 2017-09-11 2020-10-09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un ecran avec deux configurations et vehicule associe
US11091109B1 (en) * 2020-03-12 2021-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nee bolster with variable resistance to forward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8348B (zh) 2023-08-01
US20220134883A1 (en) 2022-05-05
CN114368348A (zh) 2022-04-19
US11919398B2 (en) 2024-03-05
EP3984803B1 (en) 2023-05-31
EP3984803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0772B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1012572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EP2686201B1 (en) Vehicle seat
WO2009028820A1 (en) Overhead console for vehicle
JPH0747227Y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EP3901002A1 (en) Steering device
JP380348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支持装置
KR20190023775A (ko)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CN216733915U (zh) 车辆驾驶舱模块组件和滑动齿轮模块
KR20220049935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JP2006111124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220049933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KR20220049934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KR20170004231A (ko) 스마트폰 거치대
JP2008013056A (ja) サンバイザー装置
KR10112572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5200689B2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部構造
CN114194113B (zh) 车辆构造
KR20040100437A (ko) 차량의 모드 스위치용 노브 충격흡수 구조
US20220153100A1 (en) Door module of a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having the door module
KR19990083942A (ko) 차량의 키보드 설치 구조
JP7360928B2 (ja) ドア開閉装置及びドアチェック装置
JP5939761B2 (ja) 車両用表示装置
CN218594269U (zh) 一种用于车载摄像头的支架及车辆
JP3513095B2 (ja) 車載装置のスライド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車載モニ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