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775A -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 Google Patents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775A
KR20190023775A KR1020170110024A KR20170110024A KR20190023775A KR 20190023775 A KR20190023775 A KR 20190023775A KR 1020170110024 A KR1020170110024 A KR 1020170110024A KR 20170110024 A KR20170110024 A KR 20170110024A KR 20190023775 A KR20190023775 A KR 2019002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nit
cockpit module
moving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548B1 (ko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는: 칵핏모듈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와, 칵핏모듈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지지부를 칵핏모듈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이동지지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핸들부 및 이동지지부와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POP-UP TYPE STEERING WHEEL DEVICE}
본 발명은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칵핏모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필요시 칵핏모듈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핸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향신호를 입력받는 스티어링휠 장치가 설치된다. 스티어링휠 장치는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티어링휠과, 스트어링휠의 가운데에 설치되어 차량 사고시에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석용 에어백모듈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스티어링휠 장치가 칵팟모듈(COCKPIT MODULE)에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자율주행 차량과 같이 필요시에만 스티어링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6203호(2015.12.07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핸들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칵핏모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필요시 칵핏모듈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핸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는: 칵핏모듈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와, 칵핏모듈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지지부를 칵핏모듈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이동지지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핸들부 및 이동지지부와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지지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동지지부의 일측은 칵핏모듈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동지지부의 타측은 핸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지지부는,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재 및 핸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지지부재에 연이어 설치되고 핸들부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구동부는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또는 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지지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구동부는 제2지지부재와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의 동력으로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부는, 이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코어부 및 핸들코어부를 감싸며 핸들코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핸들코어부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핸들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부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부는, 핸들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핸들프레임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는, 자율주행 차량의 정상 주행시에는 핸들부가 칵핏모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칵핏모듈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핸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가 칵핏모듈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가 칵핏모듈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의 동작으로 핸들부가 칵핏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이동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이동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칵핏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프레임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가 칵핏모듈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가 칵핏모듈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의 동작으로 핸들부가 칵핏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이동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이동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칵핏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프레임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는, 칵핏모듈(10)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30)와, 칵핏모듈(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지지부(30)를 칵핏모듈(10)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40)와, 이동지지부(3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핸들부(50) 및 이동지지부(30)와 핸들부(5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핸들부(50)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칵핏모듈(10)은 차실 내의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되어,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는 모듈이다. 칵핏모듈(1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크로스바와 공조시스템과 에어백과 오디오 등의 전장부품을 포함한 모듈이며,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에 포함된 제어부(20)는 조작신호나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제1구동부(40)와 제2구동부(80) 및 표시부(70)를 동작시킨다. 제어부(20)는 차량의 제어장치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를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30)는 칵핏모듈(10)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부(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지지부(30)는 봉과 막대가 혼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동지지부(30)의 일측은 칵핏모듈(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동지지부(30)의 타측은 핸들부(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30)는 제1지지부재(32)와 제2지지부재(34)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32)는 제1구동부(40)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34)는 핸들부(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지지부재(32)에 연이어 설치되고, 핸들부(50)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1지지부재(32)는 제1구동부(40)에 의해서만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며, 회전되지는 않는다. 제2지지부재(34)는 제1지지부재(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50)와 함께 회전된다.
제1구동부(40)를 향항 연장된 제1지지부재(32)의 일측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지지부재(34)를 향하여 연자오딘 제1지지부재(32)의 타측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34)는 제1지지부재(32)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부재(32)와 함께 칵핏모듈(10)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부재(32)와 제2지지부재(34)는 육면체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32)와 제2지지부재(34)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핸들부(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일체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40)는 칵핏모듈(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지지부(30)를 칵핏모듈(10)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동부(40)는 제1지지부재(32)에 연결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또는 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지지부재(32)를 직선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40)는 칵핏모듈(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한다.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가 제1지지부재(32)에 기어 연결되므로, 제1지지부재(32)의 직선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부(40)는 랙 피니언 기어의 연결방식을 사용하여 제1지지부재(32)를 이동시키며, 제1구동부(40)에 구비된 모터는 서보모터를 사용하므로 제1지지부재(32)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모터의 출력축에 피니언 기어가 연결되며, 이러한 피니언기어는 제1지지부재(32)의 측면에 형성된 랙기어에 맞물리므로, 제1지지부재(32)의 직선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랙 피니언 기어 방식에 의해 제1지지부재(32)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40)의 상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마그네트를 사용하는 직선 이동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직선 이동장치를 제1구동부(40)에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50)는 이동지지부(3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0)는 핸들코어부(52)와 핸들프레임부(60)와 표시부(70)를 포함한다.
핸들코어부(52)는 이동지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코어부(52)는 코어몸체(54)와 안착홈부(56)와 스토퍼(58)를 포함한다.
코어몸체(54)는 제2지지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코어몸체(54)는 제2지지부재(34)의 양측에 돌기가 걸리므로 제2지지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몸체(54)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지지부재(34)와 마주하는 코어몸체(54)의 측면에는 안착홈부(56)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재(34)가 코어몸체(5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작과, 제2지지부재(34)와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코어몸체(54)가 회전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58)는 코어몸체(54)에서 돌출되어 제2지지부재(34)의 하부에 접하는 돌출된 부분을 형성한다. 제1구동부(40)의 동작으로 이동지지부(30)와 함께 칵핏모듈(10)의 전방으로 돌출된 핸들부(50)는 힌지 연결된 이동지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핸들부(50)의 휠 조작시 강성 확보를 위해 핸들부(50)가 이동지지부(30)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할 때 핸들부(50)는 이동지지부(30)의 하부에 접하는 돌기인 스토퍼(58)를 형성한다. 스토퍼(58)는 핸들부(50)가 제2지지부재(34)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는 동작이 완료될 때, 제2지지부재(34)와 접하는 스토퍼(58)를 구비한다. 스토퍼(58)는 제2지지부재(34)의 하부에 밀착되어 핸들부(50)의 유동을 방지하므로 핸들부(50)의 구조강성을 증대시키며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핸들프레임부(60)는 핸들코어부(52)를 감싸며 핸들코어부(52)의 외측에 위치하며, 핸들코어부(52)에 연결되어 핸들코어부(52)와 함께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프레임부(60)는 프레임몸체(62)와 고정홈부(64)를 포함한다.
프레임몸체(62)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핸들코어부(52)에 연결되므로 핸들코어부(52)와 함께 이동된다. 운전자는 프레임몸체(62)를 손으로 파지한 후 회전시키므로 자동차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다. 프레임몸체(62)가 이동지지부(30)에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동지지부(30)와 접하는 프레임몸체(62)의 측면에는 고정홈부(64)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홈부(64)에 이동지지부(30)의 일부가 삽입되므로 이동지지부(3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접혀진 핸들프레임부(60)의 이동은 구속된다.
프레임몸체(62)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프레임부(65)의 양측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핸들프레임부(65)의 양측 단부가 이격된 거리는 이동지지부(30)의 폭에 비례하므로 핸들프레임부(65)가 이동지지부를 향하여 접혀질 때 핸들프레임부(65)가 이동지지부(30)에 간섭됨을 방지한다. 이러한 핸들프레임부(65)의 형상은 "ㄷ"자 형상이나 "ㅇ"자 형상이나 타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70)는 핸들프레임부(6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핸들프레임부(60)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70)는 핸들부(50)가 칵핏모듈(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칵핏모듈(10)의 외측에 노출된 부분인 핸들프레임부(60)의 하측면에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칵핏모듈(10)의 내측에 핸들부(50)가 수납된 상태에서, 핸들프레임부(60)의 하측면만 칵핏모듈(10)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핸들프레임부(60)의 하측면에 디스플레이나 디자인 패턴 이미지를 형성하므로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면서도 운전자와 차량의 정보 등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50)가 칵핏모듈(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핸들부(50)의 좌우 손잡이 영역에 LED 조명장치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70)를 구비하여 턴시그널과 연동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2구동부(80)는 이동지지부(30)와 핸들부(5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핸들부(5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80)는 제2지지부재(34)와 핸들부(5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의 동력으로 핸들부(50)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80)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는 핸들코어부(52) 또는 제2지지부재(34)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2지지부재(34)의 내측에 모터가 설치된 경우, 핸들코어부(52)에서 제2지지부재(34)의 내측으로 삽입된 돌기에 원추형의 기어가 연결되며, 모터의 출력축에도 원추형의 기어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80)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핸들코어부(52)를 회전시키며, 베벨기어를 사용하는 제2구동부(80)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구동부(80)는 베벨기어와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회전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자율주행 시 칵핏모듈(10)의 내측에 이동지지부(30)와 핸들부(50)가 수납된다. 핸들프레임부(60)는 이동지지부(30)에 접하는 형상으로 회전되어 접혀진 상태이며, 고정홈부(64)가 이동지지부(30)의 제2지지부재(34)에 접하며 이동이 구속된다.
이동지지부(30)는 칵핏모듈(10) 내측에 구비된 제1구동부(40)에 연결되며, 제1구동부(40)는 차체나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자율 주행모드에서 수동모드로 변환되는 경우, 핸들부(50)의 팝업 동작을 위해 제어부(20)는 제1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 제1구동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32)를 칵핏모듈(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1지지부재(32)에 연결된 제2지지부재(34)와 핸들부(50)도 칵핏모듈(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구동부(40)는 제1지지부재(32)에 설치되거나 스티어링 컬럼과 같은 차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구동부(40)는 랙 피니언 기어와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액츄에이터와 링크 연결구조 등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칵핏모듈(10)의 외부로 핸들부(50)가 이동된 이후에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30)를 중심으로 핸들부(50)가 종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제어부(20)는 제2구동부(80)를 동작시켜 핸들부(50)를 회전시킨다. 이때 핸들코어부(52)의 스토퍼(58)가 이동지지부(30)의 하부에 접하므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핸들부(50)가 회전됨을 방지한다. 또한 핸들부(50)가 이동지지부(30)에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핸들부(5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구동부(80)는 이동지지부(30)에 설치되어 핸들부(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핸들부(50)의 내측에 장착되어 핸들부(5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핸들부(50)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 운전자의 핸들부(50) 조작시 핸들부(50) 변형 등 강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핸들부(50)가 회전된 내측에 스토퍼(58)를 형성한다. 스토퍼(58)는 이동지지부(30)의 제2지지부재(34)와 접촉되는 구간에 소정의 안착 좌면을 형성하므로, 각 구성품간 밀착을 통한 유동 방지 등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수동운전 시 칵핏모듈(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펼쳐진 핸들부(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이동지지부(30)는 제1지지부재(32)와 제2지지부재(34)로 분할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핸들부(50)가 회전될 때 핸들부(50)와 함께 제2지지부재(34)가 회전되며, 제1지지부재(32)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핸들부(50)만 이동지지부(30)의 단부에서 회전되는 경우, 이동지지부(3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는, 자율 주행 상황에서는 칵핏모듈(10)에 핸들부(50)가 삽입된다. 그리고 운전자 제어권 이양 등에 따른 수동 주행 필요 시 칵핏모듈(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팝업 타입 핸들부(50)의 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핸들부(50)가 칵핏모듈(10)의 내측으로 은닉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핸들부(50)의 표면에 디스플레이나 디자인 패턴 이미지를 구비하므로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며, 운전자의 운행정보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핸들부(50)가 칵핏모듈(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핸들부(50)의 좌우 손잡이 영역에 LED 조명구조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표시부(70)를 설치하여 턴시그널과 연동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와 관련된 모든 동작 구조에 대해서는 전동으로 작동되거나 일부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주행 차량의 정상 주행시에는 핸들부(50)가 칵핏모듈(1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칵핏모듈(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핸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핸들부(50)가 차량의 자율주행 시 칵핏모듈(10)에 은닉되므로, 차량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핸들부(50)의 표면에 표시부(70)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핸들부(50)의 좌우에도 표시부(70)를 각각 설치하여 턴 시그널과 관련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칵핏모듈(10) 외관 디자인의 최소한의 영역만 활용하여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1)를 설치하므로 디자인의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10: 칵핏모듈 20: 제어부
30: 이동지지부 32: 제1지지부재
34: 제2지지부재 40: 제1구동부
50: 핸들부 52: 핸들코어부
54: 코어몸체 56: 안착홈부
58: 스토퍼 60,65: 핸들프레임부
62: 프레임몸체 64: 고정홈부
70: 표시부 80: 제2구동부

Claims (8)

  1. 칵핏모듈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
    상기 칵핏모듈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를 상기 칵핏모듈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이동지지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운전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핸들부; 및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칵핏모듈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지지부의 타측은 상기 핸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핸들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핸들부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또는 실린더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지지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코어부; 및
    상기 핸들코어부를 감싸며 상기 핸들코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핸들코어부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 핸들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핸들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핸들프레임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KR1020170110024A 2017-08-30 2017-08-30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KR102331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24A KR102331548B1 (ko) 2017-08-30 2017-08-30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24A KR102331548B1 (ko) 2017-08-30 2017-08-30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75A true KR20190023775A (ko) 2019-03-08
KR102331548B1 KR102331548B1 (ko) 2021-11-26

Family

ID=6580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24A KR102331548B1 (ko) 2017-08-30 2017-08-30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5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8969A (zh) * 2017-07-24 2020-04-03 奥迪股份公司 用于机动车的转向设备、用于运行转向设备的方法、控制装置以及机动车
CN112298328A (zh) * 2019-07-29 2021-02-02 株式会社捷太格特 转向系统
KR20220001565A (ko) * 2020-06-30 2022-01-0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WO2022264296A1 (ja) * 2021-06-16 2022-1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2264295A1 (ja) * 2021-06-16 2022-1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65A (ja) * 1998-02-26 1999-09-07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装置
US20140028008A1 (en) * 2012-07-25 2014-01-30 Audi Ag Motor vehicle with retractable steering wheel
US20150224877A1 (en) * 2014-02-12 2015-08-13 Volkswagen Ag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of an infotainment system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US20160244070A1 (en) * 2013-10-01 2016-08-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vehicle
US20160347348A1 (en) * 2015-05-29 2016-12-01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assembly
US20160368522A1 (en) * 2015-06-16 2016-12-2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US20160375923A1 (en) * 2015-06-26 2016-12-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365A (ja) * 1998-02-26 1999-09-07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装置
US20140028008A1 (en) * 2012-07-25 2014-01-30 Audi Ag Motor vehicle with retractable steering wheel
EP2698301A2 (de) * 2012-07-25 2014-02-19 Audi Ag Kraftfahrzeug mit versenkbarem Lenkrad
US20160244070A1 (en) * 2013-10-01 2016-08-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vehicle
US20150224877A1 (en) * 2014-02-12 2015-08-13 Volkswagen Ag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of an infotainment system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US20160347348A1 (en) * 2015-05-29 2016-12-01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assembly
US20160368522A1 (en) * 2015-06-16 2016-12-2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US20160375923A1 (en) * 2015-06-26 2016-12-2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Vehicle steer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8969A (zh) * 2017-07-24 2020-04-03 奥迪股份公司 用于机动车的转向设备、用于运行转向设备的方法、控制装置以及机动车
US11352044B2 (en) 2017-07-24 2022-06-07 Audi Ag Stee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steering device, control unit, and motor vehicle
CN112298328A (zh) * 2019-07-29 2021-02-02 株式会社捷太格特 转向系统
KR20220001565A (ko) * 2020-06-30 2022-01-0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WO2022264296A1 (ja) * 2021-06-16 2022-1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22264295A1 (ja) * 2021-06-16 2022-12-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548B1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3775A (ko) 팝업형 스티어링휠 장치
JP6007731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の取付構造
US11746891B2 (en) Shift device
JP2007126136A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旋回可能な表示装置
US11352044B2 (en) Stee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steering device, control unit, and motor vehicle
US20190185042A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EP2712767B1 (en) On-vehicle electronic device
US11952031B2 (en) Steering handle of a vehicle
JP2009502609A (ja) 車両を換気する装置
US20110036194A1 (en) Shift device
JP2015160450A (ja) サイドミラー装置
JP4184688B2 (ja) 操作力支援装置と変速機用切り替え装置
KR20220026389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220049935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JP7023987B2 (ja) 表示装置
KR102669650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06323A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20240143037A (ko) 차량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
KR0153317B1 (ko) 자동차 기능 선택 스위치 박스 출몰장치
KR10231719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0844660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JP2024125659A (ja) 車室の前部駆動装置
JP6755617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20070061940A (ko)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조립구동체
KR20160043784A (ko)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