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784A -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784A
KR20160043784A KR1020140138425A KR20140138425A KR20160043784A KR 20160043784 A KR20160043784 A KR 20160043784A KR 1020140138425 A KR1020140138425 A KR 1020140138425A KR 20140138425 A KR20140138425 A KR 20140138425A KR 20160043784 A KR20160043784 A KR 2016004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link member
vehicle
sli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496B1 (ko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Abstract

차량에 사용되어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는 입력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표시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사용되어 탑승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의 경로에 대한 정보나, 현재의 차량의 위치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표시장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날씨나 뉴스 등과 같은 같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28호에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28호(2013년 6월 7일 공개)
본 발명은 표시부에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필요시에만 사용자의 가시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표시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측이 차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측이 상기 커버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링크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크래쉬패드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입력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표시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일 측은 상기 크래쉬패드 내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를 향해 전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크래쉬패드와 공조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미사용 시 상기 수용공간에 매설된 상태로 유지되고, 필요 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 노출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표시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필요 시에만 사용자의 가시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미사용 시에 사용자의 개방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인테리어를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회전함에 따라 커버부재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 커버부재로 인한 시선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회전과 커버부재의 돌출이 동시에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가 신속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전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가 전개되는 모습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 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장치자전거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는 크래쉬패드(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필요 시 회전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방향으로 전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크래쉬패드(10)는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이 외부로 전개되어 탑승자의 머리 또는 가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에어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크래쉬패드(10)는 대시보드의 상부면으로 달리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장치(100)는 대시보드의 상부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는 대시보드의 정면(사용자를 바라보는 면)에 위치하는 센터페시아(20)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센터페시아(20)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큰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가 센터페시아(20)에 설치되는 경우 운전 중에 운전자의 시선 변화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크래쉬패드(10) 상에 영상표시장치(100)를 매설하거나 부착하는 설치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크래쉬패드(10)에 영상표시장치(100)를 설치하는 경우 윈드실드(30)(혹은 앞유리창)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표시부(110)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는 윈드실드(30)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는 크래쉬패드(10)와 공조덕트(4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공조덕트(40)는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통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공조덕트(40)는 카울바(50)의 상측에 설치되며, 공조덕트(40)와 크래쉬패드(10) 상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는 공조덕트(40)와 크래쉬패드(1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기존의 차량 구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영상표시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데 드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모습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가 전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가 전개되는 모습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는 표시부(110)와, 표시부(110)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120)와, 지지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부(110) 전방으로 돌출하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크래쉬패드(10)에 형성되는 수용홈(11)에 수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표시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수용홈(11)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지만 필요 시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전개되어 사용자의 시선 범위에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영상표시장치(100)의 주변 구조물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두께 등의 여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일부가 크래쉬패드(10)의 상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회전부는 차량의 후방(또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영상표시장치(100)가 전개되는 때에 크래쉬패드(10)의 상부로 표시부(110) 상단부터 노출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입력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시부(110)의 주변에 노브 또는 다이얼 등의 조작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표시부(1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지지부(120)의 일 예는 표시부(110)의 일 측면 만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120)는 차량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부(120)와 함께 표시부(110)도 회전한다. 도면에는 지지부(120)와 표시부(110)가 동시에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다만, 이와 달리 지지부(120)와 표시부(110)가 동시에 회전하지 않거나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지부(120)와 표시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지지부(120)와 표시부(110) 사이에 커버부재(130)가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지지부(120)와 표시부(110)의 구체적인 결합모습은 생략하였다. 이러한 생략에 불구하고 지지부(120)의 회전에 따라 표시부(11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120)는 크래쉬패드(10) 내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2)에 대하여 제1회전부(12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20)는 제1고정부(12)와 맞닿는 면이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지지부(120)와 제1고정부(12)가 맞닿는 면은 제1회전부(121)로부터 거리가 일정하도록 마련되어 지지부(1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1고정부(12)와 제1연결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지지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부(110)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커버부재(130)는 표시부(110)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으로 전개되었을 때 표시부(110)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표시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표시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는 의미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차량의 후방, 즉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다는 의미이다.
커버부재(130)는 표시부(110)의 외곽에 마련되며, 표시부(110)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30)는 표시부(110)의 외곽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커버부재(130)의 이동궤적은 직선궤적 또는 곡선궤적이거나 직선궤적과 곡선궤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상부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상부부재(131)와, 측방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측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재(130)는 표시부(110)에 입사되는 모든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입사되는 빛의 방향 및 광량은 경우에 따라 달라지고, 굴절되거나 산란되는 빛까지 모두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커버부재(130)가 표시부(110)에 입사되는 빛의 일부만을 차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일 측이 차량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지지부(120)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140)와, 일 측이 커버부재(13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지지부(120)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재(140)의 일 측은 크래쉬패드(10) 내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13)에 대하여 제2회전부(14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부재(140)의 타 측은 지지부(1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슬라이더(160)와 제3회전부(15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링크부재(150)의 일 측은 슬라이더(160)와 제3회전부(15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고, 타 측은 커버부재(130)와 제4회전부(16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2링크부재(150)의 타 측이 제1링크부재(14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링크부재(140)의 일 측은 제2고정부(13)에, 타 측은 슬라이더(1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링크부재(150)의 일 측은 커버부재(130)에, 타 측은 제1링크부재(1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1링크부재(140)와 제2링크부재(150)의 사이에 슬라이더(160)가 개재되고, 제1링크부재(140)와 슬라이더(160)와 제2링크부재(150)가 동일한 회전축(제4회전부(161))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링크부재(140)와 제2링크부재(150)와 슬라이더(160)의 위치 관계는 도면과 달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140)와 슬라이더(160)의 회전축과 제2링크부재(150)와 슬라이더(160)의 회전축이 서로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160)는 지지부(120)에 마련되는 가이드홀(12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이드홀(122)과 사각형 형상의 슬라이더(160)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160)는 가이드홀(122)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160)와 가이드홀(12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홀(122)의 안내면은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122)의 안내면 형상에 따라 슬라이더(160)가 이동하는 궤적이 달라지기 때문에 제1링크부재(140) 및/또는 제2링크부재(150)의 회전속도 및/또는 회전방향이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홀(122)의 안내면 형상에 따라 표시부(110)와 커버부재(130)의 상대적인 전개모습 및 전개속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160)는 도면과 달리 제1링크부재(140) 또는 제2링크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160)는 가이드홀(122)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더(16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슬라이더(160)와 달리 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링크부재(140)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70)는 코일 스프링 일 수 있으며, 제2회전부(141)에 설치되어 제1링크부재(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70)의 일 단은 제2고정부(13)에 지지되고 타 단은 제1링크부재(140)에 지지될 수 있다. 제2고정부(13)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70)는 제1링크부재(140)를 회전시키는 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과 도 6은 영상표시장치(100)를 미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미사용 시에 크래쉬패드(10)의 수용홈(11)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크래쉬패드(10)의 상부면과 평행하거나 크래쉬패드(10)의 상부면 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크래쉬패드(10)의 상부면에서 다소 돌출되는 등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들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크래쉬패드(1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와 도 7은 지지부(120)가 제1회전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70)는 제1링크부재(14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링크부재(140)와 연결된 슬라이더(160)가 가이드홀(122)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60)의 이동에 의해 지지부(1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부(120)와 연결된 표시부(11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회전부(121)와 제4회전부(161) 사이의 거리보다 제2회전부(141)와 제6회전부(161) 사이의 거리가 길게 마련되기 때문에, 제1링크부재(140)의 회전각보다 지지부(120)의 회전각이 크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20)가 신속하게 회전하여 전개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150)는 슬라이더(16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링크부재(150)와 연결된 커버부재(130)가 표시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커버부재(130)와 표시부(110)의 상대적인 위치는 가이드홀(122) 상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더(160)의 위치와 관련된다. 커버부재(130)는 슬라이더(160)와 제2링크부재(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60)가 가이드홀(122)의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표시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 때, 커버부재(130)의 상부부재(131)는 표시부(110)의 상부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링크부재(150)는 회전운동을 포함하여 움직이지만, 제2링크부재(150)와 제3회전부(151)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부재(130)는 표시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표시부(110)의 상부면을 따라 병진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인은 제2링크부재(150)의 회전운동과 슬라이더(160)의 병진운동이 결합됨으로써 가능하다.
도 5와 도 8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 시에 크래쉬패드(10)의 수용홈(11)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노출된다. 지지부(120)와 지지부(120)와 연결된 표시부(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커버부재(130)가 표시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작을 계속한다. 그 결과, 표시부(110)의 회전 전개가 완료되면 커버부재(130)는 표시부(110)에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충분한 정도로 돌출된 상태에 위치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링크부재(140)와 가이드홀(122)의 안내면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5의 상태가 지지부(120)와 표시부(110)가 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전한 것임을 나타낸다. 만일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제1링크부재(14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다면, 지지부(120)와 표시부(110)는 오히려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홀(122)은 슬라이더(16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표시부(110)가 원하는 정도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22)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와 도 8에는 표시부(110)가 전개된 후의 위치가 크래쉬패드(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지 않고 어느 정도 각을 두고 기울어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표시부(110)가 전개된 후의 위치가 크래쉬패드(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도록 하기를 원한다면, 제1회전부(121)와 제2회전부(141)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개시와 종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100)는 센터페시아(20) 등에 마련되는 버튼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링크부재(140)는 멈춤부재(미도시)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표시부(110)가 크래쉬패드(10)의 수용홈(11)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구속력에 의해 제1링크부재(140)는 탄성부재(17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불구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표시부(110)를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함으로써 제1링크부재(140)에 작용하는 멈춤부재의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링크부재(140)는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1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향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멈춤부재의 설치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시와 상세한 설명이 없어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표시부(110)가 전개된 이후에 다시 표시부(110)를 크래쉬패드(10)의 수용홈(11)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10)에 힘을 가하여 멈춤부재가 다시 제1링크부재(140)를 구속할 수 있는 위치(즉, 초기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표시장치(100)의 구동방법은 오로지 탄성부재(170)의 탄성력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별도의 모터나 유압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장치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크래쉬패드, 11: 수용홈,
12: 제1고정부, 13: 제2고정부,
20: 센터페시아, 30: 윈드실드,
40: 공조덕트, 50: 카울바,
100: 영상표시장치, 110: 표시부,
120: 지지부, 121: 제1회전부,
122: 가이드홀, 130: 커버부재,
131: 상부부재, 132: 측부부재,
140: 제1링크부재, 141: 제2회전부,
150: 제2링크부재, 151: 제3회전부,
160: 슬라이더, 161: 제4회전부,
170: 탄성부재.

Claims (11)

  1. 입력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표시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 측이 차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커버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링크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8. 크래쉬패드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입력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표시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 측은 상기 크래쉬패드 내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를 향해 전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크래쉬패드와 공조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미사용 시 상기 수용공간에 매설된 상태로 유지되고, 필요 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 노출되는 차량용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40138425A 2014-10-14 2014-10-14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11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25A KR102111496B1 (ko) 2014-10-14 2014-10-14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25A KR102111496B1 (ko) 2014-10-14 2014-10-14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84A true KR20160043784A (ko) 2016-04-22
KR102111496B1 KR102111496B1 (ko) 2020-05-15

Family

ID=5591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425A KR102111496B1 (ko) 2014-10-14 2014-10-14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5019A1 (fr) * 2018-08-14 2020-02-21 Psa Automobiles Sa Support pour tablette multimedia dans un vehic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53A (ja) * 1997-07-15 1999-02-09 Kojima Press Co Ltd モニタの収納起立装置
JP2002057962A (ja) * 2000-08-08 2002-02-22 Fuji Heavy Ind Ltd 収納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26135A (ja) * 2005-10-31 2007-05-24 Robert Bosch Gmbh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カバーを備えた旋回可能な表示装置
KR20130060328A (ko) 2010-09-18 2013-06-0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차량 내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53A (ja) * 1997-07-15 1999-02-09 Kojima Press Co Ltd モニタの収納起立装置
JP2002057962A (ja) * 2000-08-08 2002-02-22 Fuji Heavy Ind Ltd 収納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26135A (ja) * 2005-10-31 2007-05-24 Robert Bosch Gmbh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カバーを備えた旋回可能な表示装置
KR20130060328A (ko) 2010-09-18 2013-06-0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차량 내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5019A1 (fr) * 2018-08-14 2020-02-21 Psa Automobiles Sa Support pour tablette multimedia dans un ve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496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441B1 (ko) 오토모티브 표시 장치
US10917984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10919456B2 (en) Display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apparatus, and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apparatus
KR10164005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060158740A1 (en) Display arrangement for a vehicle
US20120262673A1 (en) Vehicula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JP5969973B2 (ja) 車載画像表示装置
CN110337377B (zh) 具有显示装置的机动车和用于运行机动车的显示装置的方法
JPWO2005016697A1 (ja) 車載用表示装置
CN109969092B (zh) 一种车载显示组件及汽车
CN105723272A (zh) 平视显示器
CN104908660B (zh) 车用的移动式显示装置
KR102111496B1 (ko) 차량용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5229350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が搭載された車両
JP478491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8162486A (ja) 車両用通信装置の設置構造
JP2019206192A (ja) 表示装置および車室内システム
US11840144B2 (en) Deployable rollable display for a vehicle
JP5040606B2 (ja) 可視方向切替え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4179223B2 (ja) 車両用遮光装置
US20240149675A1 (en) Road vehicle equipped with convex curved content display device
JP7131404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240149679A1 (en) Road vehicle equipped with concave curved content display
CN214822983U (zh) 载具舱室
JP2006056281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