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31A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31A
KR20170004231A KR1020150094300A KR20150094300A KR20170004231A KR 20170004231 A KR20170004231 A KR 20170004231A KR 1020150094300 A KR1020150094300 A KR 1020150094300A KR 20150094300 A KR20150094300 A KR 20150094300A KR 20170004231 A KR20170004231 A KR 2017000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member
smartphone
vehic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231A/ko
Priority to US14/941,966 priority patent/US9548782B1/en
Priority to DE102015120494.0A priority patent/DE102015120494A1/de
Priority to CN201510891379.4A priority patent/CN106314300A/zh
Publication of KR2017000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7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wo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방에서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을 거치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재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기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 링크; 그리고 상기 고정 링크와 함께 4절 링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링크 작동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2, 3링크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빛 반사를 최소화하여 시인성을 향상하고 스마트 폰의 시인 거리 및 시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 사이에 손을 넣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을 스마트 폰으로 대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 작동에 의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smart phone)의 보급률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운전자가 손쉽게 인터넷을 이용한 오디오, 동영상, 그리고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대형화되어 그 시인성이 향상됨에 따라 내비게이션 및 인터넷의 활용도가 증가되었고, 차량의 운전 중에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운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이용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운전자가 운전을 하는 중에도 용이하게 통화 또는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시 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 중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여 접착제 성분의 효과가 떨어진 때 이탈될 염려가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임의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거하는 때, 접착제 성분이 차량의 패널에 잔류하게 되어 미관상으로 좋지 않게 된다. 나아가, 잔류 접착제를 제거하는 동안 차량의 패널도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유리에 탈부착을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경우에도 그 흡착력이 감소하는 때 차량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하여 거치대가 전면 유리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전면 유리에 투과되는 빛이 스마트폰에 반사되어 시인성이 악화되는 문제도 있다.
한편,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의 클러스터 내측으로 스마트폰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거치대를 클러스터 내측에 설치할 경우, 운전자가 주행 중에 스마트폰의 거치 또는 조작을 위하여 스티어링 휠 사이에 스마트폰이나 손을 넣는 행위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대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방 차체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의 전방에서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을 거치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기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 링크; 그리고 상기 고정 링크와 함께 4절 링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링크 작동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2, 3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3링크 부재는 링크 작동 시 상기 스마트폰이 향하는 방향을 대체로 일정하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2링크 부재 각각은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 링크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3링크 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2링크 부재 각각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링크 부재는 제1, 2링크 부재의 회전 시 그 방향성이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링크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3링크 부재와 설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3링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 부재는 상기 제1링크 부재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의 길이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3링크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장착부는 스티어링 휠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3링크 부재는 차량의 클러스터 내측에서 링크 작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3링크 부재는 차량의 클러스터 하측 및 센터페시아의 일측에서 링크 작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3링크 부재가 링크 작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 어느 한 지점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거치대가 카울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어 클러스터 내측 또는 대시 보드로부터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빛 반사를 최소화하여 그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고, 스마트 폰의 시인 거리 및 시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 사이에 손을 넣는 안전상의 위험한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을 스마트 폰으로 대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장착된 대시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장착된 대시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상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2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3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의 좌측은 '일측', '일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고, 도면의 우측은 '타측', '타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차량의 길이방향 전방은 '전측', '전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그 후방은 '후측', '후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장착된 대시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장착된 대시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1상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2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3상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전방에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와 같은 공조 모듈이 결합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200)는 차실로 드러나지 않으며, 대시 보드(20)에 의하여 덮어진다.
상기 대시 보드(20)는 차실과 엔진룸을 격리하는 격벽으로, 그 일측에서 차량의 운전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5)를 구비한 클러스터(10)와,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페시아(25), 그리고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앞바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된 스티어링 휠(3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차량의 카울 크로스 멤버(200)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200)에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량 전방에서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링크 부재(101)와 장착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부재(101)는 4절 링크 구조로 링크 작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후방, 즉 운전자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스마트폰 거치대(100)에 손쉽게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30) 사이에 손을 넣어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위험한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4절 링크 구조는 다른 구조에 비하여 마찰이 크지 않고 안정적인 링크 작동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200)에 장착되나, 상기 링크 부재(101)와 상기 장착부(150)는 차량의 대시 보드(20)에서 후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링크 부재(101)와 상기 장착부(150)는 상기 클러스터(10) 내측에 위치하며 링크 작동으로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센터페시아(25)의 일측면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상기 클러스터(10) 내측 또는 센터페시아(25)의 일측면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차실 내부로 들어오는 빛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클러스터(10) 내측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구성하게 되면, 그 인지 속도는 0.2초에 불과하여 종래의 센터페시아(25)의 중앙부 내지 대시 보드 상부에 부착하는 방법보다 시인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하게 된다.
상기 링크 부재(101)는 고정 링크(110), 제1링크 부재(120), 제2링크 부재(130), 그리고 제3링크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링크(110)는 차량 전방에서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링크(110)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200) 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링크(1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 부재(120) 및 제2링크 부재(130)가 상기 고정 링크(110)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링크 부재(120)에는 양 단부에 제1체결홀(121)과 제2체결홀(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홀(123)은 상기 고정 링크(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 링크홀(1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 부재(120)는 상기 고정 링크(11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회전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체결홀들 또는 체결홀과 링크홀에 핀이 삽입되어 링크들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링크들을 힌지 결합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결합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2링크 부재(130)에는 양 단부에 제3체결홀(131)과 제4체결홀(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체결홀(133)은 상기 고정 링크(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고정 링크홀(113)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 부재(130)는 상기 제1링크(12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링크(120)가 이동될 때 연동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링크 부재(130)는 상기 제1링크 부재(120)보다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 부재(120)와 상기 제2링크 부재(130)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 부재(120)는 상기 제2링크 부재보다 하측에서 서로 겹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1링크 부재(120)와 제2링크 부재(13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링크 부재(120)와 제2링크 부재(130)의 상하 위치 관계는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 부재(120)와 상기 제2링크 부재(130)의 길이는 서로 같거나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제2링크 부재(120, 130)는 각각 대체적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제1링크 부재(120)는 완전히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2고정 링크홀(113)을 지나가지 않는다.
상기 제3링크 부재(140)의 양 단부에는 제5체결홀(141)과 제6체결홀(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 6체결홀(141, 143)은 상기 제1링크 부재(120)와 제2링크 부재(130)의 각각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제3체결홀(121, 131)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링크 부재(120, 130)가 회전하면, 상기 제3링크 부재(140)는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링크 부재(140)는 상기 고정 링크(110)와 대체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링크 부재(120, 130)가 회전할 때 그 방향성이 대체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링크 부재(140)의 타단은 제6체결홀(142)이 형성된 타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장착부(150)는 상기 제3링크 부재(140)의 타단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50)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장착부(150)에 스마트폰이 장착될 때, 상기 장착부(150)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후방을 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부(150)는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재(151, 155)와 폭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평부재(153)을 포함하고, 그 내측에 장착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수직부재(151, 155)와 수평부재(153)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을 지지하며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부재(151, 155) 및 상기 수평부재(153)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크래들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크래들에 탄성 부재를 장착하여 스마트폰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수직부재(151, 155)와 수평부재(153)에 벨크로를 부착하고, 스마트폰의 후면에도 벨크로를 부착하여 벨크로에 의해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고정 방법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니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장착부(150)는 상기 제3링크 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3링크 부재(14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제3링크 부재(140)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링크 부재(140)가 링크 작동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항시 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제3링크 부재(1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링크 부재(120, 130, 140)는 링크 작동되어 회전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장착부(150)는 일정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링크 부재(140)는 상기 고정 링크(110)와 같은 방향인 대체적으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3링크 부재(140)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유지하게 되면, 상기 제3링크 부재(14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착부(150)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장착부(150)에 장착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항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 작동 상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후방으로 전개되기 전의 제1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제2링크 부재(120, 13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제2링크 부재(120, 130)는 상기 클러스터(10) 내측 전방면에 접촉하거나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후방으로 전개되는 중간 단계의 제2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제2링크 부재(120, 130)가 상기 고정 링크(11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장착부(15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장착부(150)의 전후방 이동거리는 크지만, 차량의 폭방향으로는 이동거리는 크지 않게 되어 클러스터 내측의 표시부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링크 부재(120, 130)는 상기 고정 링크(11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길이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제2링크 부재는 링크 작동 초기에는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거의 같은 선형 궤적을 그리면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일정한 회전 각도 이상에서는 상기 제2링크 부재(130)의 궤도를 상기 제1링크 부재(120)가 따라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 부재(120)와 연결된 상기 제3링크 부재(14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링크 부재(130)의 궤도를 맞추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후방으로 최종적으로 전개되는 최종 단계의 제3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 부재(120)가 상기 제2링크 부재(130)의 하측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 부재(120)와 상기 제2링크 부재(130)는 서로 겹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링크 부재(130)와 상기 고정 링크(110)가 각각 전개된 길이만큼, 상기 제1링크 부재(120)와 상기 제3링크 부재(140)가 전개되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링크 부재(130)는 더 이상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제1, 제2, 제3링크 부재는 구조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3링크 부재(14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링크 작동될 때 그 움직임이 최소화 되어, 장착부(150)가 대체적으로 후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유지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최종적으로 전개되면, 장착부(150)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타측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차체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을 스마트폰으로 대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AVN시스템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된다면, 종래 AVN시스템이 위치하는 공간에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제어부 상향하여 배치하여 운전자의 조작성을 증대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 클러스터 20 : 대시 보드
25 : 센터페시아 30 : 스티어링 휠
100 : 스마트폰 거치대 110 : 고정 링크
120 : 제1링크 부재 130 : 제2링크 부재
140 : 제3링크 부재 150 : 장착부

Claims (12)

  1. 차량의 전방에서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을 거치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 링크; 그리고
    상기 고정 링크와 함께 4절 링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링크 작동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2, 3링크 부재;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링크 부재는 링크 작동 시 상기 스마트폰이 향하는 방향을 대체로 일정하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링크 부재 각각은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 링크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3링크 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2링크 부재 각각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링크 부재는 제1, 2링크 부재의 회전 시 그 방향성이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3링크 부재와 설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3링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부재는 상기 제1링크 부재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의 길이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링크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장착부는 스티어링 휠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링크 부재는 차량의 클러스터 내측에서 링크 작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링크 부재는 차량의 클러스터 하측 및 센터페시아의 일측에서 링크 작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링크 부재가 링크 작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 어느 한 지점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50094300A 2015-07-01 2015-07-01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04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00A KR20170004231A (ko) 2015-07-01 2015-07-01 스마트폰 거치대
US14/941,966 US9548782B1 (en) 2015-07-01 2015-11-16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DE102015120494.0A DE102015120494A1 (de) 2015-07-01 2015-11-26 Mobiltelefonhalterung für ein Fahrzeug
CN201510891379.4A CN106314300A (zh) 2015-07-01 2015-11-30 用于车辆的智能电话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00A KR20170004231A (ko) 2015-07-01 2015-07-01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31A true KR20170004231A (ko) 2017-01-11

Family

ID=5758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300A KR20170004231A (ko) 2015-07-01 2015-07-01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8782B1 (ko)
KR (1) KR20170004231A (ko)
CN (1) CN106314300A (ko)
DE (1) DE1020151204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5170A (zh) * 2019-06-28 2019-09-10 东莞洁涂箱包有限公司 一种基于人像拍摄的手机辅助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72145A1 (en) * 2017-03-16 2018-09-27 West Affum Holdings Corporation Wcd with separable ecg acquisition features
US10442367B1 (en) * 2018-08-01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evice holder
US11796128B1 (en) * 2023-06-26 2023-10-24 Guangdong Shuowei Technology Co., Ltd. Two-in-one multi-functional magnetic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459C2 (sv) * 1994-03-31 1995-10-23 Volvo Ab Konsol för instrumentpanel
US7403613B2 (en) * 2004-07-20 2008-07-22 Haicom International Co., Ltd. Holder for supporting objects in vehicle
TW201011981A (en) * 2008-09-09 2010-03-16 Asustek Comp Inc Hold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vehicle with enhanced wireless signals
CN101530268B (zh) * 2009-04-16 2010-12-08 礼恩派(嘉兴)有限公司 一种活动座椅靠头装置
EP2395324A1 (en) * 2010-06-09 2011-12-14 BURY Sp. z o.o.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20267061A1 (en) * 2011-04-25 2012-10-25 Eagle Fan Shad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Holder
CN202419072U (zh) * 2012-01-10 2012-09-05 泰州汇锦电子有限公司 电脑一体机气弹簧折叠架
DE102012012603A1 (de) * 2012-06-23 2013-12-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lösbaren Anbringen einer tragbaren 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KR101947832B1 (ko) 2012-07-03 2019-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스터와 휴대기기를 사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5996312B2 (ja) * 2012-07-20 2016-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携帯端末保持装置
JP2014044692A (ja) 2012-08-29 2014-03-13 Toyoda Gosei Co Ltd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JP6162983B2 (ja) 2013-03-11 2017-07-12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端末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60354B1 (ko) 2014-02-11 2015-10-1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3d 디지털 캐릭터 생성을 위한 복합 편집 시스템 및 방법
DE202014006158U1 (de) * 2014-07-30 2014-10-09 Cristino Spinelli Kfz-Halter für Smartphone und Navigationsgerät
CN204172806U (zh) 2014-09-19 2015-02-25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汽车用多媒体机器支架及汽车
US9281857B1 (en) * 2015-02-05 2016-03-08 Allstate Insurance Company Phone h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5170A (zh) * 2019-06-28 2019-09-10 东莞洁涂箱包有限公司 一种基于人像拍摄的手机辅助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05682A1 (en) 2017-01-05
US9548782B1 (en) 2017-01-17
DE102015120494A1 (de) 2017-01-05
CN106314300A (zh)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8882B2 (ja) 自律的な後方視野センサの取付部
EP3057305B1 (en) Vehicle front camera module integrated with rearview mirror
JP6007731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の取付構造
KR20170004231A (ko) 스마트폰 거치대
CN101790472B (zh) 用于汽车的顶置控制台
US8730128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motor vehicle
US7239101B2 (en) A/V monito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7531154A (zh) 用于汽车的显示装置、用于运行显示装置的方法和具有显示装置的汽车
JP6100971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モジュールのバンパの支持構造
EP3782854A1 (en) Vehicle-mounted display assembly and vehicle
WO2015111514A1 (ja) 自動車のルームミラーアダプタ
JP6391809B2 (ja) ステアリング支持部材構造
CN202294523U (zh) 汽车后视镜
US20230095308A1 (en) Display device and motor vehicle with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isplay content
JP5387234B2 (ja) 車両のスピーカ取付け構造
JP675425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構造
JP2011057004A (ja) ステアリング調整用間隙遮蔽構造
JP201519645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17061220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45412A (ja) インナーミラー取付構造
KR102624873B1 (ko) 자동차용 클러스터 장치
JP7131404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6781000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取付構造
KR20070061940A (ko)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조립구동체
KR200422257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