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036A - 엣지형 조명등 - Google Patents

엣지형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036A
KR20200132036A KR1020190056836A KR20190056836A KR20200132036A KR 20200132036 A KR20200132036 A KR 20200132036A KR 1020190056836 A KR1020190056836 A KR 1020190056836A KR 20190056836 A KR20190056836 A KR 20190056836A KR 20200132036 A KR20200132036 A KR 2020013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eiling
frame
locking
ligh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102019005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036A/ko
Publication of KR2020013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엣지형 조명등은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장착부,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둘레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측의 회동고정단과 타측의 개방단을 갖는 조명프레임을 갖는 조명유니트, 회동고정단과 천장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개방단이 천장에 장착된 장착상태로부터 하측으로 개방회동하도록 하며 회동고정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향 편위된 위치에 존재하는 회동축선을 갖는 개방힌지, 조명프레임과 천장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며 개방단이 장착상태에 유지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 및 천장장착부에 대한 조명프레임의 개방각도를 미리 정해진 한계개방각도로 제한하는 개방각도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엣지형 조명등{Edge Type 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엣지형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수려하며 지지강도가 우수한 엣지형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엣지형 조명등은 천장브래킷과 천장브래킷에 대하여 상하측으로 회동되어 개방 및 폐쇄되는 조명프레임을 포함한다. 조명프레임은 일측에 경첩이 마련되어 천장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락킹부가 마련되어 천장브래킷에 락킹 및 해제 가능하다.
그러나 경첩이 조명프레임의 테두리에 설치되면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게 되고 경첩의 지지면적이 좁아서 충분한 지지강도를 가질 수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첩을 조명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내측에 배치시켰다. 그러나 경첩이 조명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내측에 배치되므로 인하여 조명프레임이 브래킷에 대하여 회동되는 경우 경첩을 중심으로 조명프레임 일측의 테두리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보드를 파손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첩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충분한 지지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으면서 천장을 보호할 수 있는 엣지형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엣지형 조명등은,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장착부;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둘레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측의 회동고정단과 타측의 개방단을 갖는 조명프레임을 갖는 조명유니트; 상기 회동고정단과 상기 천장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방단이 상기 천장에 장착된 장착상태로부터 하측으로 개방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고정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향 편위된 위치에 존재하는 회동축선을 갖는 개방힌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천장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방단이 장착상태에 유지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 및 상기 천장장착부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개방각도를 미리 정해진 한계개방각도로 제한하는 개방각도제한부를 포함한다. 개방힌지가 조명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배치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며 넓은 지지면적을 가질 수 있어 충분한 지지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개방각도제한부로 인하여 조명프레임의 회동고정단이 상측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므로 천장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각도제한부는, 멈춤링크와, 상기 멈춤링크의 양단부를 상기 천장장착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에 연결하는 한 쌍의 회동핀 및 상기 회동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길이 구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딩슬롯을 가지면 회동핀이 슬라이딩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만큼만 조명프레임을 개방회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각도제한부는, 상기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천장장착부 영역에 지지되는 롤링보빈; 상기 롤링보빈에 감기는 현수끈; 및 상기 현수끈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지지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면 천장장착부에서 개방단을 지지하므로 개방된 상태에서 조명프레임의 지지강도가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슬롯의 슬라이딩 영역을 조절하는 슬라이딩조절부를 더 포함하면 조명프레임의 한계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는, 상기 개방힌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바아, 상기 락킹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브래킷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락킹바아가이드,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걸리는 락킹걸림부를 가지면 조명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쉽게 조명프레임을 개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힌지가 조명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배치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며 넓은 지지면적을 가질 수 있어 충분한 지지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고, 개방각도제한부로 인하여 조명프레임의 회동고정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므로 천장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엣지형 조명등의 사시도.
도 2는 개방각도제한부의 상세도.
도 3 내지 도 5는 엣지형 조명등의 개폐동작도.
도 6은 변형 실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엣지형 조명등(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에 설치된 엣지형 조명등(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방각도제한부(50)의 상세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엣지형 조명등(1)의 개폐동작도이다.
엣지형 조명등(1)은 천장보드(3)의 상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천장프레임(2)에 설치된다. 엣지형 조명등(1)은 천장장착부(10), 조명유니트(20), 개방힌지(30), 락킹부(40), 개방각도제한부(50) 및 슬라이딩조절부(60)를 포함한다. 천장장착부(10)는 브래킷(11)과 지지프레임(12)를 포함한다. 브래킷(11)은 막대형상 및 판상을 갖고 천장프레임(2)에 체결스크류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다. 브래킷(11)은 상부브래킷(미도시), 하부브래킷(미도시) 및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유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브래킷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천장프레임(2)에 걸린다. 상부브래킷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천장프레임(2)에 가로로 걸쳐 지지된다. 상부브래킷은 암나사산이 형성된 길이조절공이 형성된다. 길이조절공은 후술할 간격조절부 즉, 길이조절볼트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연결부를 상하 이동하게 한다. 하부브래킷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부브래킷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후술할 조명프레임(23)을 지지하며 결합된다. 하부브래킷은 길이조절수용부와 측면지지부를 갖는다. 길이조절수용부는 연결부의 간격조절부가 삽입되며 관통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다. 측면지지부는 하부브래킷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측면지지부는 이격거리를 갖고 한 쌍이 형성되며 각각은 측면지지공이 형성된다.
조명유니트(20)는 도광판(21)과 LED유니트(22)로 이루어진 조명부 및 조명프레임(23)을 포함한다. 도광판(21)은 LED유니트(22)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조명구역으로 출력되도록 안내한다. 조명유니트(20)는 도광판(21) 이외에 확산판(미도시)을 더 가질 수 있다. 도광판(11)의 상면에는 도광판(11)으로부터 상방으로 방사되는 빛을 확산판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광판(11) 혹은 반사판의 상면에 강도 보강을 위한 조명부지지판이 배치되기도 한다.
LED유니트(22)는 도광판(11)의 어느 일 측연 혹은 대향한 양 측연에 배치되어 도광판(11)의 측면을 통해 판면을 따라 광원을 제공한다. 조명프레임(23)은 조명부의 둘레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측의 회동고정단과 타측의 개방단을 갖는다. 조명프레임(23)은 도광판(21)과 LED유니트(22)를 지지한다. 조명프레임(23)은 사각틀의 형상을 이루는 4개의 프레임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부재 중 어느 하나는 LED 유니트(22)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4개의 프레임부재는 도광판(21)을 일부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슬롯이 형성된다. 조명프레임(23)의 상측연은 조명프레임(23)이 회동하는 경우 후술할 회동축(31)를 수용하는 회동힌지부와 고정힌지부로 이루어진 축수용부(32)의 외표면을 따라 접촉하며 회동되도록 원형고리형상을 갖는다.
개방힌지(30)는 회동고정단과 천장장착부(10) 사이에 개재되어 개방단이 천장에 장착된 장착상태로부터 하측으로 개방회동하도록 하며, 회동고정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향 편위된 위치에 존재하는 회동축선을 갖는다. 회동고정단은 조명프레임(23)의 개방힌지(30)가 설치되는 측의 외측 말단을 의미한다.
개방힌지(30)는 조명프레임(23)의 일측 회동단과 지지프레임(12)을 연결하여 천장보드(3)에 직교한 선회평면을 따라 조명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12)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 조명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12)으로부터 개방된 해제위치 간을 회동 이동 가능하게 한다. 개방힌지(30)는 조명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개방힌지(30)는 조명프레임(23)의 일측단의 회동지점 영역과 지지프레임(12)을 연결한다. 개방힌지(40)는 회동축(41), 축수용부(42)를 갖는다.
회동축(41)은 프레임부재 중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회동힌지부는 회동축(41)의 일부 구간을 수용하며 측방 즉 조명유니트(20) 방향으로 연장되며 조명프레임(23)에 고정 결합된다. 축수용부(42)는 회동축(41)의 나머지 구간을 수용하며 측방 즉, 조명유니트(20)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프레임(12)에 고정 결합ㄷ된. 개방힌지(40)가 힌지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힌지만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수단으로 구형 가능하다.
락킹부(40)는 조명프레임(23)과 천장장착부(10) 사이에 개재되며 개방단이 장착상태에 유지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락킹부(40)는 락킹바아(41), 조작노브(42), 락킹바아가이드(43), 락킹걸림부(44), 락킹탄성부재(45) 및 바아스토퍼(46)를 갖는다. 락킹바아(41)는 조명프레임(23)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락킹바아(41)는 막대형상을 갖고 락킹되는 부분의 말단영역은 락킹걸림부(44)에 의해 밀려지도록 락킹되는 방향을 따라 둥그런 형상을 가진다. 조작노브(42)는 락킹바아(41)에 연결되며 조명프레임(23)의 외측에 배치되어 락킹바아(41)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조작노브(42)는 락킹바아(41)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조작손잡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락킹바아가이드(43)는 장착위치에서 락킹바아(41)가 조명프레임(23)과 브래킷(10)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락킹바아가이드(43)는 조명프레임(23)의 두께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어 락킹바아(41)의 슬라이딩 측면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바아가이드(미도시) 및 조명프레임(23)의 외연부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조작노브(4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노브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락킹걸림부(44)는 락킹위치에서 락킹바아(41)가 걸리게 한다. 락킹탄성부재(45)는 락킹바아(41)에 락킹위치 방향으로 탄성을 가한다. 바아스토퍼(46)는 락킹탄성부재(45)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락킹바아(41)를 저지한다.
개방각도제한부(50)는 천장장착부(10)에 대한 조명프레임(23)의 개방각도를 미리 정해진 한계개방각도로 제한한다. 개방각도제한부(50)는 멈춤링크(51), 회동핀(52), 슬라이딩슬롯(53) 및 연결부재(54)를 포함한다. 멈춤링크(51)는 막대형상 및 판상을 갖는다. 멈춤링크(51)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회동핀(52)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된다. 슬라이딩슬롯(53)은 지지프레임(12), 조명프레임(23) 및 멈춤링크(51)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슬라이딩슬롯(53)은 회동핀(52)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길이 구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연결부재(54)는 조명프레임(23)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체결스크류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형성된 긴 막대형상의 장착부과 장착면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회동공 혹은 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된 링크지지부를 갖는다. 조명프레임(23)의 회동고정단 영역이 연결부재(54)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 연결부재(54)를 따로 제조하여 조명프레임(23)의 회동고정단 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개방각도제한부(50)는 개방단영역에 설치되어 개방단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며, 한계개방각도에서의 개방단이 하방으로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할 수 있다. 개방각도제한부(50)는 개방단에 대응하는 천장장착부(10) 영역에 지지되는 롤링보빈(55), 롤링보빈(55)에 감기는 현수끈(56) 및 현수끈(56)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지지탄성부재(5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조절부(60)는 슬라이딩슬롯(53)의 슬라이딩 영역을 조절한다. 슬라이딩조절부(60)는 슬라이딩슬롯(53)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2), 조명프레임(23) 및 멈춤링크(51)에 지지되며 전체 슬라이딩 영역 중 일부영역을 막아서 회동핀(52)의 슬라이딩 영역의 범위를 조절 할 수 있다. 슬라이딩조절부(60)는 체결공을 갖고 막대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2), 조명프레임(23) 및 멈춤링크(51)에는 슬라이딩슬롯(53)에서 이격 간격을 갖는 양측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조절부(60)가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조절부(60)는 슬라이딩슬롯(53)에 물림결합되어 슬라이딩영역을 줄이는 수단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엣지형 조명등(1)의 개폐동작도이다.
도 3 (a), 도 4 (a), 도 5 (a)는 개방각도제한부(50)의 상세동작을 나타내며, 도 3 (b), 도 4 (b), 도 5 (b)는 락킹부(40)의 상세동작을 나타낸다.
도 3 (a) 조명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12)에 장착되어 멈춤링크(5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핀(52)이 슬라이딩슬롯(53) 중 회동고정단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해 있다. 롤링보빈(55)이 지지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고, 롤링보빈(55)에 감겨있는 현수끈(56)은 조명프레임의 개방단과 연결되어 있다.
도 3 (b) 락킹걸림부(44)에 락킹바아(41)가 걸려 락킹되어 있다.
도 4 (a) 락킹부(40)의 락킹해제에 따라 조명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12)으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된다. 이때 현수끈(56)이 롤링보빈(55)에 감긴 부분이 풀리게 되는데 지지탄성부재(57)는 현수끈(56)이 롤링보빈(55)에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고 있으므로 조명프레임(23)은 급격하게 하락하지 않고 천천히 하방으로 개방회동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슬롯(53) 중 회동고정단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해 있던 회동핀(52)이 슬라이딩슬롯(53) 중 회동고정단으로부터 가까운 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결국 회동핀(52)이 슬라이딩슬롯(53) 중 회동고정단으로부터 가까운 측에 멈추면서 조명프레임(23)의 개방회동이 정지한다.
도 4 (b) 사용자가 조작노브(42)를 락킹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락킹바아(41)를 락킹걸림부(44)로부터 락킹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명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12)으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된다.
도 5 (a) 조명프레임(23)이 폐쇄되는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슬라이딩슬롯(53) 중 회동고정단으로부터 가까운 측에 위치해 있던 회동핀(52)이 슬라이딩슬롯(53) 중 회동고정단으로부터 먼 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 5 (b) 사용자가 조명프레임(23)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개방단이 천장프레임(2)에 접근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락킹바아(41)가 락킹걸림부(44)에 의해 락킹해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다가 조명프레임(23)이 장착위치가 되면 락킹바아(41)가 락킹걸림부(44)에 걸리는 방향으로 다시 슬라이딩 되면서 락킹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조명프레임에 지지되며, 조명프레임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상방회동되는 경우 지지프레임의 회동경로를 안내하는 회동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동가이드는 락킹바아가 락킹걸림부에 정확하게 걸리도록 안내한다. 회동가이드는 조명프레임의 폭에 대응하는 넓이로 조명프레임에 배치되며, 조명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넓이가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조금 비뚤어지게 회전되고 있는 조명프레임을 폐쇄위치에 정확하게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조명프레임의 회동고정단 영역에 설치되지만 조명프레임의 개방단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슬롯은 회동고정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회동핀은 회동고정단으로부터 먼 측의 슬라이딩슬롯에서 조명프레임이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회동고정단으로부터 가까운 측으로 슬라이딩되므로 경사를 이기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조명프레임이 보다 천천히 하방으로 개방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엣지형 조명등(1)으로 인하여, 개방힌지(30)가 조명프레임(23)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배치되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며 넓은 지지면적을 가질 수 있어 충분한 지지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개방각도제한부(50)로 인하여 조명프레임(23)의 회동고정단이 상측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므로 천장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핀(52)이 슬라이딩슬롯(53)에서 슬라이딩되는만큼만 조명프레임(23)을 개방회동시킬 수 있다. 천장장착부(10)에서 조명프레임(23)의 개방단을 지지하므로 개방된 상태에서 조명프레임(23)의 지지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슬라이딩조절부(60)로 조명프레임(23)의 한계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프레임(23)의 외측면을 따라 조작노브(42)를 조작하여 쉽게 조명프레임(23)을 개방할 수 있다.
1 : 엣지형 조명등 2 : 천장프레임
3 : 천장보드(천장텍스타일) 10 : 천장장착부
11 : 브래킷 12 : 지지프레임
20 : 조명유니트 21 : 도광판
22 : LED유니트 23 : 조명프레임
30 : 개방힌지 31 : 회동축
32 : 축수용부 40 : 락킹부
41 : 락킹바아 42 : 조작노브
43 : 락킹바아가이드 44 : 락킹걸림부
50 : 개방각도힌지부 51 : 멈춤링크
52 : 회동핀 53 : 슬라이딩슬롯
54 : 연결부재 55 : 롤링보빈
56 : 현수끈 57 : 지지탄성부재
111 : 체결공

Claims (5)

  1. 엣지형 조명등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장착부;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둘레를 둘러싸며 지지하며 일측의 회동고정단과 타측의 개방단을 갖는 조명프레임을 갖는 조명유니트;
    상기 회동고정단과 상기 천장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방단이 상기 천장에 장착된 장착상태로부터 하측으로 개방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고정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향 편위된 위치에 존재하는 회동축선을 갖는 개방힌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천장장착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방단이 장착상태에 유지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 및
    상기 천장장착부에 대한 상기 조명프레임의 개방각도를 미리 정해진 한계개방각도로 제한하는 개방각도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제한부는,
    멈춤링크와, 상기 멈춤링크의 양단부를 상기 천장장착부와 상기 조명프레임에 연결하는 한 쌍의 회동핀 및 상기 회동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길이 구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딩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제한부는,
    상기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천장장착부 영역에 지지되는 롤링보빈;
    상기 롤링보빈에 감기는 현수끈; 및
    상기 현수끈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지지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슬롯의 슬라이딩 영역을 조절하는 슬라이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락킹부는,
    상기 개방힌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연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락킹바아, 상기 락킹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조명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바아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노브,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브래킷을 락킹시키는 락킹위치와 해제위치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락킹바아가이드,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락킹바아가 걸리는 락킹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형 조명등.
KR1020190056836A 2019-05-15 2019-05-15 엣지형 조명등 KR20200132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836A KR20200132036A (ko) 2019-05-15 2019-05-15 엣지형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836A KR20200132036A (ko) 2019-05-15 2019-05-15 엣지형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36A true KR20200132036A (ko) 2020-11-25

Family

ID=7364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836A KR20200132036A (ko) 2019-05-15 2019-05-15 엣지형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15B1 (ko) * 2021-05-18 2021-11-22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내진성능을 갖춘 설치가 편리한 엣지형 led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15B1 (ko) * 2021-05-18 2021-11-22 주식회사 현다이엔지 내진성능을 갖춘 설치가 편리한 엣지형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7142C2 (ru) Потайная дверная петля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US10604979B2 (en) System for the rotatable coupling of a closing element and stationary support structure
KR20200132036A (ko) 엣지형 조명등
KR101625214B1 (ko) 천장 매립형 조명등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102209521B1 (ko) 엣지형조명등
KR20200097073A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102112231B1 (ko) 엣지형 조명등
KR101831849B1 (ko) 닫힘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20200126081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102390609B1 (ko) 조명등장치
JP4907363B2 (ja) すべり出し窓用のステー
KR20210060056A (ko) 조명등장치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JPH07324566A (ja) ブラインド式シャッター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KR101252724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JP2015151751A (ja) 開口部装置
JP4956075B2 (ja) 施錠装置
JP7263134B2 (ja) 建具
JP7257266B2 (ja) ガイド部材位置調整機構
EP2396489A2 (en) Winding device for belts and related cover
JP6948831B2 (ja) 横型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