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724B1 -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 Google Patents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724B1
KR101252724B1 KR1020130014532A KR20130014532A KR101252724B1 KR 101252724 B1 KR101252724 B1 KR 101252724B1 KR 1020130014532 A KR1020130014532 A KR 1020130014532A KR 20130014532 A KR20130014532 A KR 20130014532A KR 101252724 B1 KR101252724 B1 KR 10125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plate
inl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1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전후를 관통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도어의 투입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연동되는 받침이 도어의 실내측 판체에 형성되며, 받침을 들면 투입구가 개폐되면서 통풍과 투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에 관한 것이며,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 형상의 투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실내측 판체(11)에 투입구(12)의 아래 방향 양쪽으로 힌지(13)가 형성되는 도어(10); 수납부(21)의 일측단에 힌지축(22)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도어(10)의 힌지(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20); 도어(10)의 투입구(12)를 가로막도록 장방형 블럭으로 형성되고,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6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이동하도록 설치된 차단블럭(30); 제1고정판(41)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제1고정판(41)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홀(41-1)이 형성되며, 제1고정판(41)에 제1롤러(42)가 한쌍 설치되고, 제2고정판(43)이 도어(10)의 실외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제2고정판(43)에 한쌍의 제2롤러(44)가 제1롤러(42)와 마주보게 고정되는 롤러어셈블리(40);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판체(51)가 고정되고, 판체(51)의 저면에 한쌍의 스프링(52)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52)의 타단이 차단블럭(30)의 상단 양쪽에 고정되며, 스프링(52)은 한쌍이 투입구(12)에 노출되지 않게 판체(51)와 차단블럭(30)에 고정되는 고정체(50);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차단블럭(30)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롤러(44)와 제1롤러(42)에 걸리며, 제1롤러(42)에서 제1고정판(41)의 홀(41-1)과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받침(20)의 하단에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70); 몸체(81)의 내부에 차단바(82)가 내장되되 선택적으로 몸체(81)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몸체(81) 일측에 가이드홀(84)이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차단바(8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83)가 삽입되어 가이드홀(8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차단바(82)가 노출되었을 때 받침(20)의 아래를 받치도록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스톱퍼(80); 장방형 가이드프레임(91)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에 고정되되 도어(10)의 투입구(12)가 가이드프레임(91) 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가이드프레임(91)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다수의 창살이 사각의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창살판(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 A door having a feeding entrance being well lighting and ventilation }
본 발명은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후를 관통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도어의 투입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연동되는 받침이 도어의 실내측 판체에 형성되며, 받침을 들면 투입구가 개폐되면서 통풍과 투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도어는 공간을 나누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실내외 실외를 구분하는 현관문의 경우 방범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관문을 닫으면 일반적으로 외부의 채광이 단절되어 어둡고, 통풍도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채광이란 실내공간에 창문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채광 방식으로는 통상적으로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 받아 들이는 직접 채광 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 방식이 있다.
직접 채광 방식은 태양광의 입사공간이 적어 실내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이 적게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간접 채광 방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자연채광이라고 하면 창문을 통하여 채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통상적인 건축물의 문(도어)은 채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채광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구성으로 생각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도어를 통한 채광은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채광을 원한다면 건축물의 도어를 열어 놓는 방법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겨울철 등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장시간 도어를 열어 놓아 채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09900930호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편광판을 회전시키면 편광판의 편광 정도에 따라 빛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경우 정밀한 편광판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고 수직 상태를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힘들었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162274호 에는 건축물의 투입구 겸용 자연채광이 가능한 도어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통풍과 투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도어 내부에 내장된 모터에 의해 동작되어 전원 교체가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모터 등이 고장 나면 교체 또한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를 통해 투입과 채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고장이 잘 나지 않으면서 전원 공급이 필요 없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투입구를 열었을 때 받침이 존재하여 투입구로부터 받은 물건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받침 위에 놓이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받침은 평소에는 아래를 향하여 눕혀져 있다가 사용할 때만 수평상태로 만들어 투입구에서 들어오는 물건이 바닥에 직접 떨어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받침이 수평상태로 세워질때 도어의 투입구를 막고 있던 차단블럭도 투입구에서 내려와 투입구가 열리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즉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 장치에 의해 도어의 전후를 관통하는 투입구를 차단블럭이 평소에는 막고 있다가 사용하고자 할 때 받침과 같이 움직여 열리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투입구를 열었을 때 창살판이 내려와 방범의 기능을 더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 형상의 투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실내측 판체(11)에 투입구(12)의 아래 방향 양쪽으로 힌지(13)가 형성되는 도어(10); 수납부(21)의 일측단에 힌지축(22)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도어(10)의 힌지(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20); 도어(10)의 투입구(12)를 가로막도록 장방형 블럭으로 형성되고,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6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이동하도록 설치된 차단블럭(30); 제1고정판(41)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제1고정판(41)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홀(41-1)이 형성되며, 제1고정판(41)에 제1롤러(42)가 한쌍 설치되고, 제2고정판(43)이 도어(10)의 실외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제2고정판(43)에 한쌍의 제2롤러(44)가 제1롤러(42)와 마주보게 고정되는 롤러어셈블리(40);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판체(51)가 고정되고, 판체(51)의 저면에 한쌍의 스프링(52)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52)의 타단이 차단블럭(30)의 상단 양쪽에 고정되며, 스프링(52)은 한쌍이 투입구(12)에 노출되지 않게 판체(51)와 차단블럭(30)에 고정되는 고정체(50);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차단블럭(30)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롤러(44)와 제1롤러(42)에 걸리며, 제1롤러(42)에서 제1고정판(41)의 홀(41-1)과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받침(20)의 하단에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70); 몸체(81)의 내부에 차단바(82)가 내장되되 선택적으로 몸체(81)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몸체(81) 일측에 가이드홀(84)이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차단바(8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83)가 삽입되어 가이드홀(8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차단바(82)가 노출되었을 때 받침(20)의 아래를 받치도록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스톱퍼(80); 장방형 가이드프레임(91)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에 고정되되 도어(10)의 투입구(12)가 가이드프레임(91) 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가이드프레임(91)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다수의 창살이 사각의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창살판(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과 채광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기계적으로 동작이 가능하여 고장이 잘 나지 않으면서 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구동되는 효과가 있다.
받침을 들면 자동으로 투입구를 가로 막고 있던 차단블럭이 아래로 내려가 투입구가 열리고, 받침은 수평상태에서 고정되므로 투입구로부터 받은 물건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받침 위에 놓여 안전하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받침은 평소에는 아래를 향하여 눕혀져 있다가 사용할 때만 수평상태가 되므로 도어를 사용할 때 간섭되지 않고 여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블럭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받침을 올리면서 동작되어 투입구를 열게 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차단블럭이 내려오고 받침이 설치되므로 간편하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투입구를 열었을 때 창살판을 내려 방범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에서 받침이 수평으로 들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에서 받침이 수평으로 들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의 일부 절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어(10)에 투입구(12)를 형성하고, 투입구(12)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차단블럭(30)을 설치하되 차단블럭(30)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에 형성된 받침(20)에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어(10)는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 형상의 투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실내측 판체(11)에 투입구(12)의 아래 방향에 양쪽으로 힌지(13)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13)에 후술할 받침(20)이 고정된다.
받침(20)은 판체의 둘레에 내용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방지판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납부(21)가 구비되고, 수납부(21)의 일측단에 힌지축(22)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도어(10)의 힌지(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받침(20)은 평소에는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에 평행하게 있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할 경우에 도어(10)에 수직되도록 세워서 후술할 스톱퍼(80)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차단블럭(30)은 상기 받침(20)과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도어(10)의 투입구(12)를 가로막도록 장방형 블럭으로 형성된다. 차단블럭(30)은 투입구(12) 보다 크게 형성하여 투입구(12)를 완전히 막도록 하며 후술할 스프링(52)이 고정되는 곳이 투입구(12) 바깥쪽이 되도록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러한 차단블럭(30)은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6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이동 하게 된다.
롤러어셈블리(40)는 받침과 차단블럭(30)을 연결하는 와이어(7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판(41), 제1롤러(42), 제2고정판(43), 제2롤러(44)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판(41)은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의 내측면, 즉 실내측 판체와 실외측 판체 사이에 있는 실내측 판체의 면에 고정되고, 제1고정판(41)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홀(41-1)이 한쌍 형성된다. 이러한 제1고정판(41)에 제1롤러(42)가 한쌍 설치되고, 제1롤러(42)에 걸린 와이어가 나오는 곳에 홀(41-1)이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제2고정판(43)은 도어(10)의 실외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제2고정판(43)에 한쌍의 제2롤러(44)가 제1롤러(42)와 마주보게 고정된다.
고정체(50)는 차단블럭(30)을 탄력지지하도록 도어(10) 내부에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판체(51)가 고정되고, 판체(51)의 저면에 한쌍의 스프링(52)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52)의 타단이 차단블럭(30)의 상단 양쪽에 고정되고, 스프링(52) 한쌍이 투입구(12)에 노출되지 않게 판체(51)와 차단블럭(30)에 고정된다.
와이어(70)는 차단블럭(30)과 받침(2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쌍이 구비된다.
한쌍의 와이어(70)는 각각 차단블럭(30)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롤러(44)와 제1롤러(42)에 걸려 안내되면서 받침(20)의 저면에 고정된다. 즉 와이어(70)는 제1롤러(42)에서 제1고정판(41)의 홀(41-1)과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의 일측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서 받침(20)의 하단에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된다.
스톱퍼(80)는 받침(20)이 내려오지 않도록 받쳐주는 구성으로서, 몸체(81)의 내부에 차단바(82)가 내장되되 차단바(82)가 선택적으로 몸체(81)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차단바(82)는 수평이동하도록 형성되어 받침(20)의 아래를 받쳐주거나 받침(20)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몸체(81)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스톱퍼(80)의 몸체(81) 일측에 가이드홀(84)이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차단바(8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83)가 삽입되어 가이드홀(8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손잡이(83)를 잡고 이동시키면 차단바(82)를 노출시키거나 수납시킬 수 있다.
받침(20)을 위로 들어올리면, 스프링(52)을 당기면서 차단블럭(30)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차단블럭(30)이 아래로 내려오면 투입구(12)가 열리게 된다. 이때 스프링(52)은 항상 차단블럭(30)을 위로 당기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스톱퍼(80)의 차단바(82)가 받침(20)의 아래를 받쳐주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바(82)가 노출되었을 때 받침(20)의 아래를 받치도록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에 창살판(90)을 설치하여 방범의 효과를 얻는다.
창살판(90)이 상하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장방형 가이드프레임(91)을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에 고정하고, 가이드프레임(91)은 도어(10)의 투입구(12)가 가이드프레임(91) 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창살판(90)은 가이드프레임(91)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다수의 창살이 사각의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고, 가이드프레임(91)을 따라 창살판(90)이 이동하다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압착볼트(미도시) 창살판(90)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0 : 도어 11 : 판체
12 : 투입구 13 : 힌지
20 : 받침 21 : 수납부
22 : 힌지축 30 : 차단블럭
40 : 롤러어셈블리 41 : 제1고정판
41-1 : 홀 42 : 제1롤러
43 : 제2고정판 44 : 제2롤러
50 : 고정체 51 : 판체
52 : 스프링 60 : 가이드
70 : 와이어 80 : 스톱퍼
81 : 몸체 82 : 차단바
83 : 손잡이 84 : 가이드홀
90 : 창살판 91: 가이드프레임

Claims (1)

  1.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 형상의 투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실내측 판체(11)에 투입구(12)의 아래 방향 양쪽으로 힌지(13)가 형성되는 도어(10);
    수납부(21)의 일측단에 힌지축(22)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도어(10)의 힌지(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20);
    도어(10)의 투입구(12)를 가로막도록 장방형 블럭으로 형성되고,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6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이동하도록 설치된 차단블럭(30);
    제1고정판(41)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제1고정판(41)의 일측에 전후 관통되는 홀(41-1)이 형성되며, 제1고정판(41)에 제1롤러(42)가 한쌍 설치되고, 제2고정판(43)이 도어(10)의 실외측 판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제2고정판(43)에 한쌍의 제2롤러(44)가 제1롤러(42)와 마주보게 고정되는 롤러어셈블리(40);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판체(51)가 고정되고, 판체(51)의 저면에 한쌍의 스프링(52)의 일단이 고정되고, 스프링(52)의 타단이 차단블럭(30)의 상단 양쪽에 고정되며, 스프링(52)은 한쌍이 투입구(12)에 노출되지 않게 판체(51)와 차단블럭(30)에 고정되는 고정체(50);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차단블럭(30)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롤러(44)와 제1롤러(42)에 걸리며, 제1롤러(42)에서 제1고정판(41)의 홀(41-1)과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받침(20)의 하단에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70);
    몸체(81)의 내부에 차단바(82)가 내장되되 선택적으로 몸체(81)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몸체(81) 일측에 가이드홀(84)이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차단바(8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83)가 삽입되어 가이드홀(8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차단바(82)가 노출되었을 때 받침(20)의 아래를 받치도록 도어(10)의 실내측 판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스톱퍼(80);
    장방형 가이드프레임(91)이 도어(10)의 실내측 판체(11)에 고정되되 도어(10)의 투입구(12)가 가이드프레임(91) 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가이드프레임(91)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다수의 창살이 사각의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창살판(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KR1020130014532A 2013-02-08 2013-02-08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KR10125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32A KR101252724B1 (ko) 2013-02-08 2013-02-08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32A KR101252724B1 (ko) 2013-02-08 2013-02-08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724B1 true KR101252724B1 (ko) 2013-04-09

Family

ID=4844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32A KR101252724B1 (ko) 2013-02-08 2013-02-08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6103A (zh) * 2019-09-19 2019-12-13 宋江河 一种防盗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147U (ja) 1982-10-31 1984-05-12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換気装置
JPH041989U (ko) * 1990-04-23 1992-01-09
JPH0932419A (ja) * 1995-07-24 1997-02-04 Nippon Cable Syst Inc ドア用小窓の開閉装置
JP2010209672A (ja) 2009-03-11 2010-09-24 Yoji Yamada 防犯玄関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147U (ja) 1982-10-31 1984-05-12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換気装置
JPH041989U (ko) * 1990-04-23 1992-01-09
JPH0932419A (ja) * 1995-07-24 1997-02-04 Nippon Cable Syst Inc ドア用小窓の開閉装置
JP2010209672A (ja) 2009-03-11 2010-09-24 Yoji Yamada 防犯玄関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6103A (zh) * 2019-09-19 2019-12-13 宋江河 一种防盗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970B2 (ja) 引戸クローザーセット
US7984744B2 (en) Foldable screen device
US10597940B2 (en) Motor-driv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movable screen consisting of a windable canvas of a window-covering device or projection screen
US20150376939A1 (en) Motorized Window Blind
EP3396101A1 (en) Fly screen with lateral winding for doors or windows
JP6367066B2 (ja) ガイドレール
KR101252724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KR20080086599A (ko) 창문설치구조
KR101252016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통풍 가능 도어
KR101598977B1 (ko) 건축물의 채광 가능한 도어
KR101550274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JP2012007377A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KR100937628B1 (ko) 친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JP501557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を備えた窓シャッター装置
AU2011343291A1 (en) Mechanism for rotating the slats of a roller shutter
KR101576596B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JP6454134B2 (ja) シャッターボックスの取付構造
KR20210025370A (ko) 블라인드 내장 이중창호
KR20150025579A (ko) 지붕의 개폐장치
KR101318196B1 (ko) 통풍과 채광 기능이 우수한 공동주택용 도어
IT202100017459A1 (it) Porta scorrevole
KR20170037034A (ko) 차양스크린과 방충망 일체형 창호구조
JP6168074B2 (ja) 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