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221B1 - 자동 경첩 - Google Patents

자동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221B1
KR101705221B1 KR1020160012138A KR20160012138A KR101705221B1 KR 101705221 B1 KR101705221 B1 KR 101705221B1 KR 1020160012138 A KR1020160012138 A KR 1020160012138A KR 20160012138 A KR20160012138 A KR 20160012138A KR 101705221 B1 KR101705221 B1 KR 10170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lasticity
adjusting
g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무일
임석봉
Original Assignee
양무일
임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무일, 임석봉 filed Critical 양무일
Priority to KR102016001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B63B2707/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4Rotary motion around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는 스프링의 탄력조절구조를 간단하고 견고히 함과 아울러 탄력조절정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세밀하고 안정적인 탄력조절과 압축된 스프링을 일시에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해제장치 등을 부가하여 사용수명의 연장을 도모하고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판(10)의 중앙 조립관(11)과 가동판(20)의 상하 조립관(21,22)내에 스프링(1)을 설치한 자동경첩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 하부의 고정구(2)는 하부 조립관(22) 내측과 가동판(20)의 중앙 조립관(11)에 내측에 결합하여 중앙 조립관(11)에 고정핀(9)으로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1) 상부의 조절구(3)는 상부 조립관(21) 내측에서 상부 조립관(3)과 서로 기어(Gear)로 맞물려 결합되어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하는 자동 경첩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경첩{AUTOMATIC HINGE}
본 발명은 개방 후 자동으로 문이 닫히도록 하는 자동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는 스프링의 탄력조절구조를 간단하고 견고히 함과 아울러 탄력조절정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세밀하고 안정적인 탄력조절과 압축된 스프링을 일시에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해제장치 등을 부가하여 사용수명의 연장을 도모하고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경첩에 관한 것이다.
선박 내 여러 출입구, 건물 출입구의 도어 등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 다양한 경첩이 설치되며, 이러한 경첩 중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동 경첩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 문틀과 도어에 고정편과 작동편이 각각 설치되고 이들이 서로 엇갈리게 결합된 힌지축에 스프링을 결합하여 스프링의 비틀림 탄력(이하, 탄력이라 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한 자동 경첩은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선행기술에 대해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참고문헌1에; 고정축 경첩판의 힌지너클을 3단으로 구성하고 이에 치합되는 가동축 경첩판의 힌지너클을 2단으로 구성하여 응력을 분산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첩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도어 회전을 매끄럽게 한 셔터비상문용 자동 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힌지에 팔각홈을 형성하여 팔각형의 고정부를 가진 탄성조절구를 삽입하고 고정경첩편에는 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게 고정홈을 만들어 스프링을 장치한 후 부싱과 축핀을 끼우고 고정경첩편과 가동경첩편을 결합한 자동폐문 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고정경첩과 회전경첩 사이 회전축에 스프링과 구슬을 구비하여 도어가 열릴때 회전경첩이 회전하면서 소정 각도가 되면 구슬이 고정홈에 걸려 도어가 고정되고, 닫을때 스프링의 회전저항에 의해 도어가 자연스럽게 닫히도록 한 자동 닫힘기능의 도어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힌지너클과 상기 힌지핀이 표면마찰을 일으키는 복수의 개소에 베어링, 스프링, 조절너트로 구성한 완충기 내장형 자동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도어 경첩은 도어와 문틀에 결합된 경첩에 스프링을 내장하고 탄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것으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부재하여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없어 여러 도어의 용도와 목적 등에 부합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경첩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바, 이를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5에; 경첩의 회전축이 상부에 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 헤드를 형성하고 고정링에는 상기 헤드의 걸림턱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스프링의 탄력조절로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 경첩의 탄력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힌지핀의 가이드홈에 복수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가동용 경첩의 힌지너클 상부에 형성된 너트공을 통해 고정용 볼트를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시켜서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참고문헌7에; 고정구와 고정하우징이 접하는 대응면으로 고정핀이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홈으로 구성한 탄력조절부를 구비시켜 고정핀의 결합으로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 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9841호, 1998.11.05. (참고문헌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545호, 2004.11.26.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147호, 2006.10.09.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2706호, 1999.05.15.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6541호, 2001.05.07.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668호, 2003.02.15. (참고문헌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910호, 2003.10.01.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여 도어 개폐를 보다 부드럽게 하고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경첩의 텐션조절장치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경첩은 탄력조절을 위한 조절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치 않을 뿐 아니라 내구성이 약하고 작동안정성이 불량하며, 스프링의 탄력 조절을 위해 스프링을 제동시키는 고정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하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일례로, 참고문헌5의 경우는, 경첩 회전축에 걸림턱과 스토퍼로 구성되어 이들의 성형구조가 복잡하고, 하나의 스토퍼가 스프링 탄력을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강한 탄력이 장시간에 걸쳐 작용된 경우에 스토퍼의 내구성 저하로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 참고문헌6, 참고문헌7의 경우는, 고정용 볼트, 고정핀으로 스프링의 탄력을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이 역시 내구성 저하고 작동안정성이 불량할 수 밖에 없고, 별도의 고정수단(고정용 볼트, 고정핀)을 일일히 결합,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구조의 취약성을 극복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스프링의 탄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고 탄력조절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스프링의 탄력조절정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상기 스프링의 탄력조절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의 부재는 스프링의 탄력정도를 세밀하고 적절히 조절,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와 함께 스프링 탄력의 탄성한도(탄성한계), 즉 피로한계(Fatigue Limit)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므로 스프링 탄력을 최대치까지 압축시켜 사용할 경우에 경첩의 파손우려는 물론 사용수명단축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 종래에는 압축된 스프링을 해제하기 위해 탄력조절장치를 조작하여 스프링의 탄력을 단계적으로 내리거나 해제해야 하였으므로 신속한 스프링의 압축해제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거나 압축된 스프링을 빨리 해제해야 하는 경우 등) 기민하게 대처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더욱 간단하고 튼튼한 구조로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또 세밀하게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와 함께 스프링의 탄력조절정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기어(Gear)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로 탄력조절이 이루어지게하여 튼튼하고 안정된 조절구조를 달성하고, 또 이들 고정돌기와 고정홈의 결합으로 조절되는 탄력조절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프링의 피로한계에 임박할 경우를 보조 스프링이 동작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압축된 스프링의 탄력부하를 일시에 해제할 수 있는 기능 제공으로 뛰어난 사용편리성 등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 중앙 조립관과 가동판의 상,하 조립관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 하부 고정구는 하부 조립관 내측과 가동판의 중앙 조립관에 고정핀으로 고정하며, 상기 스프링 상부 조절구는 상부 조립관 내측과 기어(Gear)로 맞물려 결합되게 하여 스프링 탄력을 조절하는 자동 경첩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상부 조절구에 외측물림 기어(Outer Gear)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가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 조립관에는 내측물림 기어(Inner Gear)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의 외측물림 기어와 상부 조립관의 내측물림 기어가 다수 개의 기어(Gear)로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하며, 상기 조절구에는 조절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홈을 형성하고 조절구 외경은 상부 조립관의 내측물림 기어의 내경 보다 크게 하여 조절구가 상부 조립관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조절구를 눌러 스프링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 탄력을 증감시킨 후 조절구를 복귀시켜 조절구의 외측물림 기어를 상부 조립관의 내측물림 기어에 맞물리게 결합하여 스프링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부에 연결구로 스프링 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보조스프링을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작하는 과정에서 스프링 탄력이 피로한계로 상승하게 되면 보조스프링이 압축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고정핀이 결합된 핀구멍에 스프링의 해제방향[스프링의 압축 반대방향]으로 해제작동공을 형성하여 핀구멍에 결합된 고정핀을 해제작동공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스프링 하부의 고정구가 스프링의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된 스프링의 탄력을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는 스프링의 탄력조절구조를 기어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간단하면서도 매우 튼튼한 구조로 이루어져 뛰어난 내구성과 안정된 작동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력조절정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기어 결합에 의해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사용편의성을 제공하고 스프링의 피로한계를 분명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내구성 증대와 오랜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보조 스프링과 압축된 스프링의 탄력부하를 일시에 해제할 수 있는 해제기능의 제공으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경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발췌도
도 11은 도 9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작용상태도
본 발명은, 좌우 고정판과 작동판의 조립관이 서로 교호로 결합되고, 상기 조립관 내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동 경첩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가동판의 조립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면서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력정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여러 개의 기어(Gear Tooth)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간단하면서 튼튼한 구조로 구성하여 뛰어난 사용안정성과 내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보조 스프링의 결합으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력을 일시에 해제할 수 있는 해제기능의 제공으로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주로 문틀 등에 설치되는 고정판은 중앙에 중앙 조립관이 형성되고, 주로 도어에 설치되는 가동판은 상하에 조립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의 중앙 조립관 상하로 상하 조립관이 결합된다.
상기 중앙 조립관과 상하 조립관 내에는 경첩의 자동 작동을 위한 스프링이 내장된다.
상기 가동판과 고정판의 조립관에 내장되는 스프링은, 고정판의 중앙 조립관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부는 가동판의 상부 조립관의 내측 조절구에 고정되어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절구는 조립관에 내장된 스프링의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상부가 고정되는 조절구와 상부 조립관은 서로 기어(GEAR)로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조절구에는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면서 그 탄력정도를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스프링의 탄력정도를 표시하는 탄력표시부가 구비된다.
또, 스프링 하부에는 스프링의 탄력이 피로한계에 임박하면 작동되는 보조스프링이 구비된다.
또, 압축된 스프링의 탄력을 일시에 해제할 수 있는 해제장치가 구비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이다.
주로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판(10)은 중앙에 중앙 조립관(11)을 형성하고, 주로 도어에 설치되는 가동판(20)은 상하에 조립관(21,22)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 조립관(21,22)과 중앙 조립관(11)을 결합하여 경첩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10)과 작동판(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문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고정판(10)으로, 주로 도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가동판(20)으로 명명하였을 뿐, 고정판(10)과 가동판(20)은 그 기능과 역할(고정/가동)을 서로 바꾸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과 가동판(20)에는 문틀과 도어 등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조립공(부호 생략)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된 고정판(10)과 가동판(20)의 조립관(11)(21,22)내에는 스프링(1)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1)은 하부를 고정구(2)에 고정결합하고, 상부는 조절구(3)에 고정결합한다.
상기 스프링(1) 하부의 고정구(2)는 하부 조립관(22) 내측과 가동판(20)의 중앙 조립관(11)에 내측에 결합하여 중앙 조립관(11)에 고정핀(9)으로 고정하고, 스프링(1) 상부의 조절구(3)는 상부 조립관(21) 내측에서 상부 조립관(3)과 서로 맞물리게 결합한다.
상기 조절구(3)는 외주면에 외측물림 기어(Outer Gear)(4)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3)가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 조립관(21)에는 내측물림 기어(Inner Gear)(5)를 형성하여 서로 기어(Gear)로 맞물려 결합되게 함으로써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조절구(3)의 외측물림 기어(4)와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 기어(5)는 도시한 예와 같이 이들의 상측부에 형성하여 조절구(3)를 하향으로 눌러서(이때, 조절구(3)는 스프링(1)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을 압축하게 된다.) 조절구(3)의 외측물림 기어(4)를 상부 조립관(21)의 내측 물림기어(5)로부터 해제한 다음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조절구(3)를 눌러서 스프링(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1)의 탄력을 증감시킨후 원하는 위치에서 조절구(3)를 다시 복귀시켜 외측물림 기어(Outer Gear)(4)를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 기어(Inner Gear)(5)에 맞물리게 결합하면(이때, 조절구(3)는 스프링(1)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원하는 위치에 조절구(3)가 고정되어 스프링(1)의 탄력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구(3)의 외경은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기어(4)의 내경 보다 크게 하여 스프링(1)에 탄력결합되어 있는 조절구(3)가 상부 조립관(21)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또 조절구(3) 상부에는 렌치 등의 도구를 결합하여 조절구(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홈(3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3)와 상부 조립관(21) 상면에는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하면서 그 탄력정도를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스프링(1)의 탄력정도를 표시하는 탄력표시부(6)를 구비한다.
상기 탄력표시부(6)는; 도 3 등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구(3)에 조절구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와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1) 탄력정도의 증감을 표시하는 증감부호(+,-)를 형성하고,
상부 조립관(21)에는 스프링(1) 탄력정도의 최고점(피로한계점)과 최저점을 표시하는 대소부호(○,ㅇ) 등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1) 탄력정도의 증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부호 등은 위에서 예시한 외에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구(3)는 외주면의 외측물림 기어(Outer Gear)(4)가 상부 조립관(21)에는 내측물림 기어(Inner Gear)(5)에 서로 결합되어 다수 개의 기어(Gear Tooth)로 맞물려 스프링(1)의 탄력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매우 튼튼한 구조로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이들 조절구(3)의 외측물림 기어(Outer Gear)(4)와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 기어(Inner Gear)(5)가 서로 맞물리는 기어(Gear Tooth) 개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더욱 세밀하고 안정적으로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스프링(1) 하부에는 스프링(1)의 탄력이 피로한계점에 임박하면 작동되는 보조스프링(7)을 구비하여 조작 중에 스프링(1)이 피로한계를 넘지 않도록 실시할 수 있다.
스프링(1) 하부에는 스프링(1) 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 스프링(1)이 피로한계점의 대략 80∼90%에 이르게 되면 탄력(비틀림 응력)이 발생되는(비틀림 압축이 시작되는) 보조스프링(7)을 결합한다.
상기 보조스프링(7)은 상부에 연결구(71)로서 스프링(1)과 연결하여 결합하고, 하부는 전술한 예의 경우와 같이 고정핀(9)으로 중앙 조립관(11)에 고정된 고정구(3)에 결합한다.
즉, 연결구(71) 상부로 스프링(1) 하부를 결합하고, 하부에는 보조스프링(7)의 상부를 결합하여 연결구(71)를 매개로 스프링(1)과 보조스프링(7)을 연결한다.
상기한 구성의 보조스프링(7)은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작하는 과정 등에서 스프링(1) 탄력이 피로한계의 80∼90%로 상승하게 되면 보조스프링(1)이 응력을 받아 압축되기 시작하므로 스프링(1)에 가해지는 무리한 응력을 감쇄시키고, 또 스프링(1)과 연결된 보조스프링(7)에 의한 이중 압축이 진행되어 스프링(1)의 피로도가 한계에 이르는 것을 억제시켜 줌으로써 과도한 조작 등으로 인해 스프링(1)이 피로한계를 넘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스프링(7)은 도시한 예와 같이 스프링(1)과 동일한 나선방향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구성하여 스프링(1)의 압축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보조스프링(7)이 압축되도록 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보조스프링(7)을 역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스프링(1)의 과도한 조작시에 스프링(1)이 압축과정에서 역방향으로 압축되는 보조스프링(7)에의한 저항력으로 스프링(1)이 피로한계를 넘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스프링(7)의 결합방법은 경첩이 사용되는 도어의 용도,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와 같이 탄력압축시킨 스프링(1)의 탄력을 일시에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해제장치를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해제장치는 스프링(1) 하부를 가동판(10)의 중앙 조립관(11)에 고정시킨 고정구(2)의 고정핀(9)을 이용해 압축된 스프링(1)이 해제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구(3)의 고정핀(9)이 결합된 핀구멍(91)에 스프링(1)의 해제방향[스프링(1)의 압축 반대방향]으로 해제작동공(8)을 형성하여 핀구멍(91)에 결합된 고정핀(9)을 해제작동공(8)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스프링(1) 하부의 고정구(3)가 스프링(1)의 압축 반대방향인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된 스프링(1)의 탄력을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하에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고정핀(3)이 결합되는 핀구멍(91) 위로 이동공(81)을 형성하고 중앙 조립관(11)의 원호를 따라 해제방향으로 해제작동공(8)을 형성하여 핀구멍(91) 내의 고정핀(9)을 이동공(81)을 통해 해제작동공(8)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해제장치는 스프링(1)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중앙 조립관(11)과 하부 조립관(22) 내측에 결합된 고정구(3)를 위로 밀어올리면 [고정구(3) 아래를 도구 등을 사용하여 밀어올린다.] 핀구멍(91)의 고정핀99)이 이동공(81)을 따라 상승하고, 해제작동공(8)에 이르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1)의 복원력으로 고정구(3)와 함께 고정핀(9)이 해제작동공(8)의 끝까지 빠르게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1)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1)의 압축의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스프링(1)의 탄력이 양측 고정판(20) 및 가동판(10)에 작용되지 않으므로 긴급상황 등에 용이하고 기민하게 스프링(1)의 압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해제장치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스프링(1)의 압축이 완전해제되지 않는 이상에는 여분의 스프링(1) 탄력이 양 고정판(20)과 가동판(10)에 미력하게 작용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프링(1)의 해제상태에서 다시 상부 조절구(3)를 회전시켜 스프링(1)을 압축시키게 되면 압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프링(1)을 따라 하부의 고정구(2) 역시 고정핀(9)과 함께 해제작동공(8)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공(91)을 통해 핀구멍(8)에 다시 자리잡고 고정되면서 스프링(1) 압축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해제장치는 간단한 구성과 간편한 조작성으로 압축된 스프링(1)을 일시에 신속하게 해제시킬 수 있어 긴급히 스프링의 압축해제가 요구되는 여러 상황에서 기민하게 스프링(1)의 압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주요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스프링 2:고정구
3:조절구 31:홈
4:외측물림 기어(Outer Gear) 5:내측물림 기어(Inner Gear)
6:탄력표시부
7:보조스프링 71:연결구
8:해제작동공 81:이동공
9:고정핀 91:핀구멍
10:고정판 11:중앙 조립관
20:가동판 21,22:상/하부 조립관

Claims (6)

  1. 고정판(10) 중앙 조립관(11)과 가동판(20)의 상,하 조립관(21,22)내에 스프링(1)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1) 하부 고정구(2)는 하부 조립관(22) 내측과 가동판(20)의 중앙 조립관(11)에 고정핀(9)으로 고정하며, 상기 스프링(1) 상부 조절구(3)는 상부 조립관(21) 내측과 기어(Gear)로 맞물려 결합되게 하여 스프링(1) 탄력을 조절하는 자동 경첩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 상부 조절구(3)에 외측물림 기어(Outer Gear)(4)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3)가 내측에 결합되는 상부 조립관(21)에는 내측물림 기어(Inner Gear)(5)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3)의 외측물림 기어(4)와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 기어(5)가 다수 개의 기어(Gear)로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하며,
    상기 조절구(3)에는 조절구(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홈(31)을 형성하고 조절구(3) 외경은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 기어(4)의 내경 보다 크게 하여 조절구(3)가 상부 조립관(21) 바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조절구(3)를 눌러 스프링(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1) 탄력을 증감시킨 후 조절구(3)를 복귀시켜 조절구(3)의 외측물림 기어(4)를 상부 조립관(21)의 내측물림 기어(5)에 맞물리게 결합하여 스프링(12) 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 하부에 연결구(71)로 스프링(1) 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보조스프링(7)을 연결하여 스프링(1)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작하는 과정에서 스프링(1) 탄력이 피로한계로 상승하게 되면 보조스프링(1)이 압축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의 고정핀(9)이 결합된 핀구멍(91)에 스프링(1)의 해제방향[스프링(1)의 압축 반대방향]으로 해제작동공(8)을 형성하여 핀구멍(91)에 결합된 고정핀(9)을 해제작동공(8)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스프링(1) 하부의 고정구(2)가 스프링(1)의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된 스프링(1)의 탄력을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경첩.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12138A 2016-02-01 2016-02-01 자동 경첩 KR10170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38A KR101705221B1 (ko) 2016-02-01 2016-02-01 자동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38A KR101705221B1 (ko) 2016-02-01 2016-02-01 자동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221B1 true KR101705221B1 (ko) 2017-02-09

Family

ID=5815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138A KR101705221B1 (ko) 2016-02-01 2016-02-01 자동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2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01B1 (ko) * 2018-01-17 2018-07-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장거리 레이더의 너비 조절이 가능한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한 장거리 레이더와 방열핀의 힌지구조
GR20170100124A (el) * 2017-03-28 2018-10-31 Κωνσταντινος Τιτου Στεφανιδης Μεντεσεδες ανοιγομενης πορτας με ελεγχο επαναφορας (φρενο) μιας ή διπλης κατευθυνσης (αλε-ρετουρ)
US11767694B2 (en) * 2017-11-24 2023-09-26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KR102593129B1 (ko) 2023-02-28 2023-10-24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닫힘이 가능한 경첩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459A (ko) 1998-12-29 2000-07-15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KR20000051843A (ko) * 1999-01-27 2000-08-16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10017276A (ko) 1999-08-10 2001-03-05 이구택 냉연 내후성강
KR20010036541A (ko) 1999-10-09 2001-05-07 백남돈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KR100316232B1 (ko) * 1999-01-13 2001-12-12 장종복 코일스프링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304668Y1 (ko) 2002-11-13 2003-02-15 김기수 방화셔터 비상문용 경첩
KR200328910Y1 (ko) 2003-07-16 2003-10-01 이인광 스프링 경첩
KR200357309Y1 (ko) * 2004-04-24 2004-07-27 윤문석 도어용 자유경첩
KR200368545Y1 (ko) 2004-08-31 2004-11-26 정대헌 자동폐문 경첩
KR200428147Y1 (ko) 2006-07-11 2006-10-09 오치완 자동고정/닫힘기능의 도어경첩
KR20070078958A (ko) * 2006-01-30 2007-08-03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폐쇄형 경첩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459A (ko) 1998-12-29 2000-07-15 김영환 무선가입자망 시스템내 가입자 정합장치의 데이터 서비스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
KR100316232B1 (ko) * 1999-01-13 2001-12-12 장종복 코일스프링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00051843A (ko) * 1999-01-27 2000-08-16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10017276A (ko) 1999-08-10 2001-03-05 이구택 냉연 내후성강
KR20010036541A (ko) 1999-10-09 2001-05-07 백남돈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KR200304668Y1 (ko) 2002-11-13 2003-02-15 김기수 방화셔터 비상문용 경첩
KR200328910Y1 (ko) 2003-07-16 2003-10-01 이인광 스프링 경첩
KR200357309Y1 (ko) * 2004-04-24 2004-07-27 윤문석 도어용 자유경첩
KR200368545Y1 (ko) 2004-08-31 2004-11-26 정대헌 자동폐문 경첩
KR20070078958A (ko) * 2006-01-30 2007-08-03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폐쇄형 경첩
KR200428147Y1 (ko) 2006-07-11 2006-10-09 오치완 자동고정/닫힘기능의 도어경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170100124A (el) * 2017-03-28 2018-10-31 Κωνσταντινος Τιτου Στεφανιδης Μεντεσεδες ανοιγομενης πορτας με ελεγχο επαναφορας (φρενο) μιας ή διπλης κατευθυνσης (αλε-ρετουρ)
GR1009560B (el) * 2017-03-28 2019-07-05 Κωνσταντινος Τιτου Στεφανιδης Μεντεσεδες ανοιγομενης πορτας με ελεγχο επαναφορας (φρενο) μιας ή διπλης κατευθυνσης (αλε-ρετουρ)
US11767694B2 (en) * 2017-11-24 2023-09-26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KR101879401B1 (ko) * 2018-01-17 2018-07-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장거리 레이더의 너비 조절이 가능한 방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한 장거리 레이더와 방열핀의 힌지구조
KR102593129B1 (ko) 2023-02-28 2023-10-24 주식회사 뉴퍼스 자동 닫힘이 가능한 경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221B1 (ko) 자동 경첩
JP5368975B2 (ja) 工具アタッチメントを着脱自在に係合する連結機構を有する自在継手
TWI558608B (zh) 用於自行車換檔機構的致動器裝置和用於此種裝置的螺母
TWI673142B (zh) 棘輪設備及其組裝方法
DE602005000691T2 (de) Türfeststeller für Kraftwagentür
US20110041285A1 (en) Separated type hinge apparatus with return function
DE112008001490B4 (de) Kupplungssystem mit Hebeleinrücker
JP2009539048A5 (ko)
TWI633243B (zh) 蓋體用開闔裝置及具備此開闔裝置的設備
US6042083A (en) Butterfly valve
KR100740809B1 (ko) 도어 개폐용 자유경첩
RU2532028C2 (ru) Регулирование натяжения пружины
AU5944999A (en) Door hinge device
DE102017108626A1 (de) Drehmomentsteckhülse
DE102018133431A1 (de) Betankungs- oder ladeanschluss-türverriegelungsanordnung
US20100294062A1 (en) Fast clutch mechanism for industrial door
KR101256286B1 (ko) 도어의 고정장치
US2251491A (en) Automatic stud driver
CN115823323A (zh) 一种球阀执行器
DE102010003854B4 (de) Verschlusseinrichtung für eine Tür und Verschlusszunge
CN209340366U (zh) 平移门的离合机构
JP6765716B2 (ja) ヒンジアセンブリ
JP7450266B2 (ja) 上げ下げ窓の釣合装置
DE102011082559A1 (de) Reibungskupplung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