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286B1 - 도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286B1
KR101256286B1 KR1020110045012A KR20110045012A KR101256286B1 KR 101256286 B1 KR101256286 B1 KR 101256286B1 KR 1020110045012 A KR1020110045012 A KR 1020110045012A KR 20110045012 A KR20110045012 A KR 20110045012A KR 101256286 B1 KR101256286 B1 KR 10125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oor
guide block
le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063A (ko
Inventor
지춘남
Original Assignee
지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춘남 filed Critical 지춘남
Publication of KR2011012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여닫이식 양문(兩門) 도어에서 한쪽 도어의 내측단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레버(Lever)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젖히는 동작에 따라 걸쇠가 문틀과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공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닫혀진 상태의 도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고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시에도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어의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도어의 내측단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하부 체결공 사이에 해당되는 면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단과 하단에 손가락끼움홈이 구비된 절개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이면(裏面)의 절개공 가장자리면에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리벳결합된 다수개의 간격유지핀에 의하여 절개공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뒷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양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스톱퍼(Stopper)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심부에는 반원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의 중심점이 되는 위치에 힌지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럭(Guide block)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이면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되게 결합되며, 가이드블럭상의 상하부 스톱퍼 사이에 위치되는 좌우 측단에는 전후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이드블럭상의 가이드공과 항상 겹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작동공이 형성된 작동편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스톱퍼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단 또는 하단에는 별도의 걸림쇠가 나사결합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쇠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베이스판의 절개공 이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블럭상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에 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내측단의 좌우 양쪽 중심에는 가이드블럭상의 가이드공과 작동부재상의 작동편에 형성된 작동공을 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핀이 돌출되게 형성된 레버와; 한쪽 끝은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 내면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은 레버의 내측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의 상하방향 회동조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현관출입문이나 방화문(防火門) 또는 장롱(欌籠) 등에 적용되는 여닫이식 양문(兩門) 도어에서 한쪽 도어의 내측단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레버(Lever)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젖히는 동작에 따라 걸림쇠가 문틀과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공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닫혀진 상태의 도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고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시에도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물의 현관 출입문, 방화문, 장롱 등에 설치되어 양측을 여닫는 형태로 구성되는 양문 도어를 록킹(Locking)시키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한쪽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문틀이나 바닥(또는 천장)에 고정한 후 다른쪽 도어를 고정된 일측 도어에 잠그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양문 도어를 구성하는 한쪽의 도어를 문틀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한쪽 도어의 내측단의 상하부에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걸림쇠가 고정장치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문틀과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어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 고정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 고정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948호(명칭: 도어용 고정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46948호의 선행기술은 일측 단부가 손가락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회동축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 사이에는 회동축에 근접하여 중심축이 형성된 레버; 중앙에는 상기 레버의 중심축이 결합되고, 그로부터 상부와 하부에는 레버가 수용되도록 제1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입홈의 중간지점에는 제2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요입홈과 제2요입홈을 연결하는 상하 경사면을 관통하여 승강구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승강구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걸쇠가 결합된 승강부재; 및 상기 제2요임홈 내부에서 움직이는 승강부재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회동축에 결합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46948호의 선행기술에서는 레버의 회전동작에 따른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이 판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빈번한 작동에 따른 피로하중에 의하여 판스프링이 절단되는 경우 도어의 고정 및 해제동작이 불능상태가 되는 것은 물론, 고정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46948호의 선행기술 이외에도 비철금속인 아연(Zn)을 재질로 하여 주물방식으로 제작한 다양한 형태의 도어 고정장치가 선행기술로 제시되고 있는바, 아연은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아 화재발생시 높은 열에 의하여 녹아 눌러붙기 때문에 고정상태에서의 해제가 불가능함에 따라 인명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 승강부재상의 걸림쇠가 결합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제작된 후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충격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연재를 주물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도장(塗裝)작업시 이물질의 유입으로 레버의 젖힘동작 및 승강부재의 직선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약간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현관출입문이나 방화문(防火門) 또는 장롱(欌籠) 등에 적용되는 여닫이식 양문(兩門) 도어에서 한쪽 도어의 내측단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레버(Lever)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젖히는 동작에 따라 걸쇠가 문틀과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공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닫혀진 상태의 도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고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시에도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버의 강도(强度)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반복사용에 따른 피로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도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는 상부와 하부에 도어의 내측단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하부 체결공 사이에 해당되는 면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단과 하단에 손가락끼움홈이 구비된 절개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이면(裏面)의 절개공 가장자리면에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리벳결합된 다수개의 간격유지핀에 의하여 절개공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뒷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양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스톱퍼(Stopper)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심부에는 반원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의 중심점이 되는 위치에 힌지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럭(Guide block)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이면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되게 결합되며, 가이드블럭상의 상하부 스톱퍼 사이에 위치되는 좌우 측단에는 전후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이드블럭상의 가이드공과 항상 겹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작동공이 형성된 작동편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스톱퍼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단에는 별도의 걸림쇠가 나사결합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쇠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베이스판의 절개공 이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블럭상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에 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내측단의 좌우 양쪽 중심에는 가이드블럭상의 가이드공과 작동부재상의 작동편에 형성된 작동공을 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핀이 돌출되게 형성된 레버와; 한쪽 끝은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 내면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은 레버의 내측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의 상하방향 회동조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판, 가이드블럭, 작동부재 및 레버는 용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스틸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블럭은 베이스판에 형성된 절개공의 뒷쪽 가장자리면에 대하여 스크류로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의 외측 둘레면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가 씌워지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면상에 걸림쇠의 상하직선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동방지공이 형성된 유동방지편이 절곡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양측면의 후단으로부터 반원형의 가이드공에 이르는 면상에는 레버가 후방으로부터 베이스판상의 절개공쪽으로 간섭 없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폭의 레버끼움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버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레버편이 서로 중첩(重疊)된 상태에서 리베팅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레버의 헤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핀이 가이드블럭상의 반원형 가이드공을 통하여 작동부재상의 작동편상에 형성된 작동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레버의 젖힘동작에 따라 가이드핀이 작동편을 밀어주거나 당겨지는 동작에 의하여 걸림쇠의 고정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물의 현관출입문이나 방화문(防火門) 또는 장롱(欌籠) 등에 적용되는 여닫이식 양문(兩門) 도어에서 한쪽 도어의 고정 및 해제상태가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판, 가이드블럭, 작동부재 및 레버가 상대적으로 융점이 높은 스틸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고열에 의하여 쉽게 용융되면서 눌러붙지 않아 화재시에도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어 인명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판에 대한 가이드블럭의 결합이 스크류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레버편을 서로 중첩(重疊)시킨 상태에서 리베팅결합한 구조의 레버가 적용되는 경우 종래의 도어 고정장치에 적용되는 레버에 비하여 강도가 한층 높아짐에 따라 반복사용에 따른 피로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제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에서 다른 예의 가이드블럭 및 레버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상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의 작동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의 작동 중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에서 걸림쇠가 고정공에 끼워져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10)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도어(12)의 내측단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상하부 체결공(14) 사이에 해당되는 면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단과 하단에 손가락끼움홈(16)이 구비된 절개공(18)이 형성된 베이스판(20)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판(20) 뒷쪽의 절개공(18)의 가장자리면에는 별도의 가이드블럭(30)이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럭(30)은 상단과 하단에 리베팅 결합된 다수개의 간격유지핀(22)에 의하여 절개공(18)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뒷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그 양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스톱퍼(Stopper:2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양측면의 중심부에는 반원형의 가이드공(2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6)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의 중심점이 되는 위치에는 힌지공(28)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이면 내측으로는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되는 별도의 작동부재(4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재(40)는 가이드블럭(3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좁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이드블럭(30)상의 상하부 스톱퍼(24) 사이에 위치되는 작동부재(40)의 좌우 측단에는 전후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이드블럭(30)상의 가이드공(26)과 항상 겹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작동공(32)이 형성된 작동편(34)이 절곡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스톱퍼(24)의 외측에 위치되는 작동부재(4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별도의 걸림쇠(36)가 나사결합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쇠결합부(38)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판(20)의 절개공(18) 이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는 별도의 레버(44)가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레버(44)는 가이드블럭(30)상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28)에 힌지핀(44a)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레버(44)의 헤드부의 좌우 양쪽 중심에는 가이드블럭(30)상의 가이드공(26)과 작동부재(40)상의 작동편(34)에 형성된 작동공(32)을 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핀(4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버(44)의 상하방향 회동조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40)의 하부 내면과 레버(44)의 내측단에는 별도의 패널스프링(46)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판(20), 가이드블럭(30), 작동부재(40) 및 레버(44)는 비철금속에 비하여 용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스틸(Steel)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이드블럭(30)은 베이스판(20)에 형성된 절개공(18)의 이면 또는 전면의 가장자리면에 대하여 복수개의 스크류로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20)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블럭(30)상에는 별도의 커버(52)를 씌워 먼지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면상에 걸림쇠(36)의 상하직선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동방지공(54)이 형성된 유동방지편(56)이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가이드블럭(30)과 레버(44)는 조립상의 편의성 또는 강도(强度)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레버(44)가 후방으로부터 베이스판(20)상의 절개공(18)쪽으로 간섭 없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양측면의 후단으로부터 반원형의 가이드공(26)에 이르는 면상에 소정 폭의 레버끼움홈(30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다른 예의 레버(44)는 강도(强度)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다수의 레버편(44b)을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리베팅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앞쪽의 간격유지편(22)에 의하여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가이드블럭(30)의 중간부분의 틈새 또는 레버끼움홈(30a)을 통하여 레버(44)를 끼운 다음, 상기 레버(44)의 헤드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핀(42)이 가이드블럭(30)의 측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가이드공(26)에 끼워지도록 하고, 힌지핀(44a)이 가이드블럭(30)상의 힌지공(28)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의 뒷부분에 별도로 마련되는 작동부재(40)를 안착시키되 작동부재(40)의 양측면 중간부분으로부터 전방쪽으로 절곡형성된 작동편(34)이 상하부 스톱퍼(24)사이에 해당되는 가이드블럭(30)의 측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작동편(34)상에 형성된 작동공(32)이 가이드블럭(30)상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26)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반원형의 가이드공(26)을 통하여 끼워진 가이드핀(42)이 작동편(34)상의 작동공(32)에 끼워져 걸리도록 결합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블럭(30)에 끼워지는 레버(44)의 헤드부와 작동부재(40)의 하단부의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패널스프링(46)이 설치되어 레버(44)의 상하방향 회동조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상하부 스톱퍼(24)의 면상에 간격유지편(22)을 리베팅결합하여 가이드블럭(30)에 결합된 작동부재(40)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작동부재(40)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쇠결합부(38)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걸림쇠(36)의 아랫부분을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의 뒷부분에는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52)가 씌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부재(40) 및 레버(44)가 결합된 상태의 가이드블럭(30)을 베이스판(20)의 뒷쪽에 고정시키면 되는데, 이를 위하여 베이스판(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형성된 절개공(18)의 뒷쪽 가장자리면에 가이드블럭(30)의 기저부(基底部)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거나 다수개의 스크류를 체결하여 베이스판(20)과 가이드블럭(30)이 서로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블럭(30)에 결합된 레버(44)는 베이스판(20)상의 절개공(18)을 통하여 베이스판(20)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고정장치(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도어의 고정장치(10)를 도어(12)의 측면 상단과 하단의 정해진 위치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베이스판(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4)에 고정스크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작동부재(40)상의 걸림쇠결합부(38)에 나사결합된 걸림쇠(36)가 베이스판(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유동방지편(56)상의 유동방지공(54)에 끼워진 상태가 되면서 문틀(48)에 형성된 고정공(50)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의 고정이 해제된 작동 초기상태에서 도어(12)를 문틀(48)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베이스판(20)의 절개공(18) 상단에 형성된 손가락끼움홈(16)에 손가락을 끼워 윗쪽으로 눕혀져 있는 레버(44)를 잡고 아랫쪽으로 젖히면, 그 작동힘에 의하여 레버(44)의 헤드부가 힌지핀(44a)을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가이드블럭(30)상의 반원형 가이드공(26)에 끼워진 가이드핀(42)이 가이드공(26)을 따라 점차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공(32)을 통하여 걸려 있는 작동편(34)을 윗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40) 전체가 점차 윗쪽으로 직선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44)를 아랫쪽으로 완전히 젖히면 가이드핀(42)이 가이드공(26)의 상한점까지 회전되면서 작동편(34)를 밀어 작동부재(40)가 상부 끝점까지 직선이동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40)상의 걸림쇠결합부(38)에 결합된 걸림쇠(36)는 문틀(48)에 형성된 고정공(50)에 끼워져 걸리면서 도어(12)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12)를 고정상태로부터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레버(44)를 윗쪽으로 젖히면 작동부재(40)가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되면서 문틀(48)상의 고정공(50)에 끼워져 있던 걸림쇠(36)가 빠지게 되어 도어(12)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쇠(36)의 상하방향 승강동작은 유동방지편(56)상의 유동방지공(54)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레버(44)의 젖힘동작에 따른 작동부재(40)의 직선이동시에 작동부재(40)의 하단 저면부와 레버(44)의 헤드부 사이에 개재된 패널스프링(46)이 압축 및 신장되면서 레버(44)의 상하방향 젖힘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작동부재(34)의 상하방향 직선이동은 가이드블럭(30)상의 스톱퍼(24)에 의하여 제한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패널스프링(46)은 레버(44)의 젖힘동작에 탄성력만 부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패널스프링(46)이 파손되더라도 레버(44)에 끼워진 가이드핀(42)이 반원형의 가이드공(26)과 겹쳐지게 끼워진 작동편(34)을 밀거나 당겨 작동부재(40) 전체를 승강시킴에 따라 도어(12)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한편, 상기 레버(4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레버편(44b)을 중첩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리베팅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종래의 주물제작형태로 이루어진 레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피로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외부의 충격력이 인가되는 경우 쉽게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12 : 도어 14 : 체결공
18 : 절개공 20 : 베이스판
22 : 간격유지편 24 : 스톱퍼
26 : 가이드공 28 : 힌지공
30 : 가이드블럭 32 : 작동공
34 : 작동편 36 : 걸림쇠
38 : 걸림쇠결합부 40 : 작동부재
42 : 가이드핀 44 : 레버
44a : 힌지핀 44b : 레버편
46 : 패널스프링 48 : 문틀
50 : 고정공 52 : 커버
54 : 유동방지공 56 : 유동방지편.

Claims (5)

  1. 상부와 하부에 도어(12)의 내측단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상하부 체결공(14) 사이에 해당되는 면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단과 하단에 손가락끼움홈(16)이 구비된 절개공(18)이 형성된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 이면(裏面)의 절개공(18) 가장자리면에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리벳결합된 다수개의 간격유지핀(22)에 의하여 절개공(18)의 너비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뒷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양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스톱퍼(Stopper:24)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의 중심부에는 반원형의 가이드공(2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공(26)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의 중심점이 되는 위치에 힌지공(28)이 형성된 가이드블럭(Guide block:30)과;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이면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되게 결합되며, 가이드블럭(30)상의 상하부 스톱퍼(24) 사이에 위치되는 좌우 측단에는 전후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이드블럭(30)상의 가이드공(26)과 항상 겹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작동공(32)이 형성된 작동편(34)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4)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단 또는 하단에는 별도의 걸림쇠(36)가 나사결합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쇠결합부(38)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재(40)와;
    상기 베이스판(20)의 절개공(18) 이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가이드블럭(30)상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28)에 힌지핀(44a)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내측단의 좌우 양쪽 중심에는 가이드블럭(30)상의 가이드공(26)과 작동부재(40)상의 작동편(34)에 형성된 작동공(32)을 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핀(42)이 돌출되게 형성된 레버(44)와;
    한쪽 끝은 상기 작동부재(40)의 하부 내면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은 레버(44)의 내측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44)의 상하방향 회동조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널스프링(4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은 베이스판(20)에 형성된 절개공(18)의 뒷쪽 가장자리면에 대하여 스크류로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베이스판(20)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외측 둘레면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52)가 씌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면상에 걸림쇠(36)의 상하직선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동방지공(54)이 형성된 유동방지편(56)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양측면의 후단으로부터 반원형의 가이드공(26)에 이르는 면상에는 레버(44)가 후방으로부터 베이스판(20)상의 절개공(18)쪽으로 간섭 없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폭의 레버끼움홈(3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44)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레버편(44b)이 서로 중첩(重疊)된 상태에서 리베팅(Riveting)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고정장치.
KR1020110045012A 2010-05-14 2011-05-13 도어의 고정장치 KR101256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03 2010-05-14
KR20100005103 2010-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063A KR20110126063A (ko) 2011-11-22
KR101256286B1 true KR101256286B1 (ko) 2013-04-18

Family

ID=4539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012A KR101256286B1 (ko) 2010-05-14 2011-05-13 도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67B1 (ko) 2014-05-01 2015-10-06 김영석 양문형 출입문용 링크식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25Y1 (ko) * 2012-03-23 2013-09-30 주식회사 금천 문고정용 잠금봉 구조체
KR101713100B1 (ko) * 2015-07-27 2017-03-07 이석범 도어 록킹장치
KR101951708B1 (ko) * 2017-06-16 2019-04-29 (주)다우솔루션 창문잠금장치
CN111910998B (zh) * 2020-08-06 2021-09-21 中山欧朗金属制品有限公司 扣盒式插销及防盗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961A (ja) * 1995-12-15 1997-06-24 Tostem Corp 両開きドア
JPH09170369A (ja) * 1995-12-20 1997-06-30 Meiko:Kk 子扉用戸締り金具
JPH09242397A (ja) * 1996-03-13 1997-09-16 Shin Nikkei Co Ltd 上げ落し錠
JP2007016424A (ja) 2005-07-06 2007-01-25 Ykk Ap株式会社 両開きド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961A (ja) * 1995-12-15 1997-06-24 Tostem Corp 両開きドア
JPH09170369A (ja) * 1995-12-20 1997-06-30 Meiko:Kk 子扉用戸締り金具
JPH09242397A (ja) * 1996-03-13 1997-09-16 Shin Nikkei Co Ltd 上げ落し錠
JP2007016424A (ja) 2005-07-06 2007-01-25 Ykk Ap株式会社 両開きド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67B1 (ko) 2014-05-01 2015-10-06 김영석 양문형 출입문용 링크식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063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286B1 (ko) 도어의 고정장치
JP5952970B2 (ja) 引戸クローザーセット
US7735261B2 (en) Self-locking door assembly
JP6062164B2 (ja) ヒンジ装置
CN108291414B (zh) 具有锁式致动的连接机构的门或其他可关闭的板体
US9540842B2 (en) Door latch assembly with movable lock plate
EP1553253A1 (en) Egress hinge
JP4076559B2 (ja) 自動閉鎖型蝶番
KR20080025410A (ko) 힌지
CN208943395U (zh) 固定钩环
KR101333053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200467766Y1 (ko) 미닫이의 도어 롤러 장착용 브래킷
EP2145067B1 (en) Sliding skid for wardrobe doors
CN202831928U (zh) 五连杆结构滑撑铰链
US20160010380A1 (en) Damped Hinge Assemblies
CN102877724A (zh) 五连杆结构滑撑铰链
KR10134729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200465469Y1 (ko) 프로젝트 창문용 로킹암
KR102339023B1 (ko) 도어용 힌지 구조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133305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JP5219347B2 (ja) 開閉装置
KR101254787B1 (ko) 시스템창호용 스테이바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US20230392421A1 (en) A door hinge for household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