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517B1 - 철근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17B1
KR102188517B1 KR1020190040363A KR20190040363A KR102188517B1 KR 102188517 B1 KR102188517 B1 KR 102188517B1 KR 1020190040363 A KR1020190040363 A KR 1020190040363A KR 20190040363 A KR20190040363 A KR 20190040363A KR 102188517 B1 KR102188517 B1 KR 10218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coupling
reinforcing bar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759A (ko
Inventor
김수명
Original Assignee
김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명 filed Critical 김수명
Priority to KR102019004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5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1커플러 및 전방측은 상기 제1커플러의 후방측과 힌지결합하고, 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철근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결합 방식을 통하여 철근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철근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와, 제2커플러에 연결된 철근부재가 서로 꺾인 상태로 연결될 수 있어, 주변에 시공된 다른 철근부재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커플러 또는 제2커플러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제1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 또는 제2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의 불편함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근용 커플러{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철근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고 철근이 인장력을 부담하는 구조로써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콘크리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타설하므로 이를 일체로 시공할 수 있으나, 철근은 일정한 길이의 규격품을 이어가며 시공해야 하는 바, 철근과 철근간의 조인트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철근이 소요 인장력에 충분히 저항하기 위해서는 철근과 철근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두 개의 철근을 서로 겹치게 한 다음 묶어서 연결하는 겹이음, 가스압접이음, 그리고 기계적 이음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겹이음은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구조물이 고층일 경우 적용하는데 위험성이 있으며, 가스압점이음은 가열된 부분의 열변형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어 안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겹이음 및 가스압접의 단점인 내구성이 확보되며 시공이 간편한 기계적 이음을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이음의 대표적인 예인 철근커플러는 많은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하게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 커플러는 단순하게 철근을 연결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유동되지 않은 상태로 밀착 결합시키는 여러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철근의 경우에는 상호 연결이 불가능하였으며, 더욱이 연결 후 자유로운 회동이 불가능하여 오차발생시 연결자체가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3073(2018.11.3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1커플러 및 전방측은 상기 제1커플러의 후방측과 힌지결합하고, 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철근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철근용 커플러의 일 실시예는, 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1커플러; 및 전방측은 상기 제1커플러의 후방측과 힌지결합하고, 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커플러 또는 상기 제2커플러에 고정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2커플러 또는 상기 제1커플러에 회전결합하는 회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커플러는, 후방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2커플러의 전방측 외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제2커플러의 전방측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커플러 돌기부에 걸리는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커플러는, 전방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1커플러의 후방측 외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제1커플러의 후방측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커플러 돌기부에 걸리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커플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힌지결합 방식을 통하여 철근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철근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와, 제2커플러에 연결된 철근부재가 서로 꺾인 상태로 연결될 수 있어, 주변에 시공된 다른 철근부재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커플러 또는 제2커플러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제1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 또는 제2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의 불편함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커플러와 매립철근 결합방식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커플러와 매립철근 결합방식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힌지결합에 대한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힌지결합에 대한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힌지결합에 대한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제1스토퍼의 일 실시예에 대한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제2스토퍼의 일 실시예에 대한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철근용 커플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는, 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1커플러(100); 및 전방측은 제1커플러(100)의 후방측과 힌지결합하고, 후방측은 철근부재를 탈부착 하는 제2커플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커플러와 매립철근 결합방식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커플러(100′)의 전방측은 제1커플러 결합부(111)을 형성하고, 제1커플러 결합부(111)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한다.
결합부재(400)는 긴 봉 형상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고, 중공홀 양단 내측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한다.
이 때, 결합부재(400)의 일단은, 타 끝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매립철근(11)을 삽입하여 나사결합한다.
또한, 결합부재(400)의 타단은, 제1커플러 결합부(111)와 나사결합한다.
한편, 제2커플러(200)의 후방측은 제2커플러 삽입부(210)을 형성하고, 제2커플러 삽입부(21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다.
제2커플러 삽입부(210)에 일 끝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이음철근(31)이 삽입되어 나사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1커플러 결합부(111)가 일단에 매립철근(11)이 결합한 결합부재(400)의 타단에 결합하고, 제2커플러 삽입부(210)에 이음철근(31)의 일단이 결합함으로써, 매립철근(11)과 이음철근(31)이 연결된다.
도 2는 제1커플러와 매립철근 결합방식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커플러(100″)의 전방측은 제1커플러 삽입홈(113)을 형성하고, 제1커플러 삽입홈(113)은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다.
이 때, 타 끝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매립철근(11)이 제1커플러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나사결합한다.
한편, 제2커플러(200)의 후방측은 제2커플러 삽입부(210)을 형성하고, 제2커플러 삽입부(21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한다.
제2커플러 삽입부(210)에 일 끝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이음철근(31)이 삽입되어 나사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1커플러 삽입홈(113)에 매립철근(11)의 타단이 결합하고, 제2커플러 삽입부(210)에 이음철근(31)의 일단이 결합함으로써, 매립철근(11)과 이음철근(31)이 연결된다.
도 3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힌지결합에 대한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은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을 형성하고,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은 연결부재(300)(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를 삽입하는 제1커플러 힌지홀(131a)을 형성한다.
이 때,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은 이격된 두 개의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230a″)을 형성하고,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230a″)은 연결부재(300)를 삽입하는 제2커플러 힌지홀(231a′, 231a″)을 각각 형성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은 이격된 두 개의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230a″) 사이에 삽입되고, 연결부재(300)는 제1커플러 힌지홀(131a) 및 제2커플러 힌지홀(231a′, 231a″)에 관통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커플러(200a)는 연결부재(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200a)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제2커플러(200a)가 회전함으로써, 제1커플러(100a)에 결합된 철근부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철근부재를 제2커플러(200a)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제1커플러(100a)가 연결부재(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커플러(100a)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힌지결합에 대한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커플러(100b)의 후방측은 이격된 두 개의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b′, 130b″)을 형성하고,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b′, 130b″)은 연결부재(300)가 삽입되는 제1커플러 힌지홀(131b′, 131b″)을 각각 형성한다.
이 때, 제2커플러(200b)의 전방측은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b)을 형성하고,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b)은 연결부재(300)가 삽입되는 제2커플러 힌지홀(231b)을 형성한다.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b)은 이격된 두 개의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b′, 130b″) 사이에 삽입되고, 연결부재(300)는 제1커플러 힌지홀(131b′, 131b″) 및 제2커플러 힌지홀(231b)에 관통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커플러(200b)는 연결부재(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200b)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제2커플러(200b)가 회전함으로써, 제1커플러(100b)에 결합된 철근부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철근부재를 제2커플러(200b)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제1커플러(100b)가 연결부재(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커플러(100b)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힌지결합에 대한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커플러(100c)의 후방측은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c)을 형성하고,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c)은 연결부재(300)가 삽입되는 제1커플러 힌지홀(131c)을 형성한다.
이 때, 제2커플러(200c)의 전방측은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c)을 형성하고,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c)은 연결부재(300)가 삽입되는 제2커플러 힌지홀(231c)을 형성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c)과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c)은 맞닿아 서로 결합하고, 연결부재(300)는 제1커플러 힌지홀(131c) 및 제2커플러 힌지홀(231c)에 관통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커플러(200c)는 연결부재(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200c)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제2커플러(200c)가 회전함으로써, 제1커플러(100c)에 결합된 철근부재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은 철근부재를 제2커플러(200c)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제1커플러(100c)가 연결부재(3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커플러(100c)의 상단 또는 하단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재(300a, 300b, 300c)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제1커플러(100a, 100b, 100c) 또는 제2커플러(200a, 200b, 200c)에 고정결합하는 결합부(310a′, 310a″, 310b, 310c)와 제2커플러(200a, 200b, 200c) 또는 제1커플러(100a, 100b, 100c)에 회전결합하는 회전부(330a, 330b′, 330b″, 330c)를 형성하면서 힌지결합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은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0a)는, 수나사산을 형성하는 결합부(310a′, 310a″)를 양단에 형성하고, 회전면을 형성하는 회전부(330a)를 중앙에 형성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힌지결합이 제1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은, 제1커플러 힌지홀(131a) 일 변형예인, 내주면에 회전면을 형성하는 제1커플러 회전홀(135a)를 형성한다.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230a″)은, 제2커플러 힌지홀(231a′, 231a″) 일 변형예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제2커플러 결합홀(233a′, 233a″)을 각각 형성한다.
연결부재(300a)가 제1커플러 회전홀(135a) 및 제2커플러 결합홀(233a′, 233a″)에 삽입되면, 결합부(310a′)와 제2커플러 결합홀(233a′)은 고정결합하고, 또한 결합부(310a″)와 제2커플러 결합홀(233a″)도 고정결합한다.
이 때, 회전부(330a)와 제1커플러 회전홀(135a)은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결합은 연결부재(300a)가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230a″)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고, 회전결합은 제1커플러(100a) 또는 제2커플러(200a)가 연결부재(300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힌지결합이 제2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b′, 130b″)은, 제1커플러 힌지홀(131b′, 131b″) 일 변형예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커플러 결합홀(133b′, 133b″)을 각각 형성한다.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b)은, 제2커플러 힌지홀(231b) 일 변형예인, 내주면에 회전면을 형성하는 제2커플러 회전홀(235b)를 형성한다.
연결부재(300a)가 제1커플러 결합홀(133b′, 133b″) 및 제2커플러 회전홀(235b)에 삽입되면, 결합부(310a′)와 제1커플러 결합홀(133b′)은 고정결합하고, 또한 결합부(310a″)와 제1커플러 결합홀(133b″)도 고정결합한다.
이 때, 회전부(330a)와 제2커플러 회전홀(235b)은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결합은 연결부재(300a)가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b′, 130b″)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고, 회전결합은 제1커플러(100b) 또는 제2커플러(200b)가 연결부재(300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8 및 도 9는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0b)는, 수나사산을 형성하는 결합부(310b)를 중앙에 형성하고, 회전면을 형성하는 회전부(330b′, 330b″)를 양단에 형성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힌지결합이 제1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은, 제1커플러 힌지홀(131a) 다른 변형예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커플러 결합홀(133a)을 형성한다.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230a″)은, 제2커플러 힌지홀(231a′, 231a″) 다른 변형예인, 내주면에 회전면을 형성하는 제2커플러 회전홀(235a′, 235a″)를 각각 형성한다.
연결부재(300b)가 제1커플러 결합홀(133a) 및 제2커플러 회전홀(235a′, 235a″)에 삽입되면, 결합부(310b)와 제1커플러 결합홀(133a)은 고정결합한다.
이 때, 회전부(330b′)와 제2커플러 회전홀(235a′)은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하고, 또한 회전부(330b″)와 제2커플러 회전홀(235a″)도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결합은 연결부재(300b)가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고, 회전결합은 제1커플러(100a) 또는 제2커플러(200a)가 연결부재(300b)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힌지결합이 제2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b′, 130b″)은, 제1커플러 힌지홀(131b′, 131b″) 다른 변형예인, 내주면에 회전면을 형성하는 제1커플러 회전홀(135b′, 135b″)를 각각 형성한다.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b)은, 제2커플러 힌지홀(231b) 다른 변형예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제2커플러 결합홀(233b)을 형성한다.
연결부재(300b)가 제1커플러 회전홀(135b′, 135b″) 및 제2커플러 결합홀(233b)에 삽입되면, 결합부(310b)와 제2커플러 결합홀(233b)은 고정결합한다.
이 때, 회전부(330b′)와 제1커플러 회전홀(135b′)은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하고, 또한 회전부(330b″)와 제1커플러 회전홀(135b″)도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결합은 연결부재(300b)가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b)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고, 회전결합은 제1커플러(100b) 또는 제2커플러(200b)가 연결부재(300b)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0c)는, 수나사산을 형성하는 결합부(310c)를 일단에 형성하고, 회전면을 형성하는 회전부(330c)를 타단에 형성한다.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c)은, 제1커플러 힌지홀(131c) 일 변형예인,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커플러 결합홀(133c)을 형성한다.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c)은, 제2커플러 힌지홀(231c) 일 변형예인, 내주면에 회전면을 형성하는 제2커플러 회전홀(235c)를 형성한다.
연결부재(300c)가 제1커플러 결합홀(133c) 및 제2커플러 회전홀(235c)에 삽입되면, 결합부(310c)와 제1커플러 결합홀(133c)은 고정결합하고, 회전부(330c)와 제2커플러 회전홀(235c)은 회전면끼리 서로 맞닿아 회전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결합은 연결부재(300c)가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c)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고, 회전결합은 제1커플러(100c) 또는 제2커플러(200c)가 연결부재(300c)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제1스토퍼의 일 실시예에 대한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스토퍼(151, 153)는,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 외측면에서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 외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커플러 돌기부(271′, 271″, 273′, 273″)에 걸린다.
다만, 도 11 및 도 12에 제2커플러 돌기부(273″)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스토퍼(151)는 긴 바(bar) 형상을 형성하고, 제1스토퍼(151)의 중앙은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의 상단에 결합한다.
또한, 일 끝단을 제1스토퍼(151)의 중앙에서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타 끝단을 제1스토퍼(151) 중앙에서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한편, 제1스토퍼(153)는 긴 바(bar) 형상을 형성하고, 제1스토퍼(153)의 중앙은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의 하단에 결합한다.
또한, 일 끝단을 제1스토퍼(151)의 중앙에서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타 끝단을 제1스토퍼(151) 중앙에서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한편,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은 상단에 제2커플러 돌기부(271′)를 돌출 형성하고, 하단에 제2커플러 돌기부(273′)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은 상단에 제2커플러 돌기부(271″)를 돌출 형성하고, 하단에 제2커플러 돌기부(273″)를 돌출 형성한다.
이 때, 제1커플러(100a)와 제2커플러(200a)가 힌지결합하면, 제1스토퍼(151)와 제2커플러 돌기부(271′, 271″)는 동일 면상에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스토퍼(153)와 제2커플러 돌기부(273′, 273″)도 동일 면상에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커플러(200a)가 연결부재(300a)를 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200a)의 상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커플러 돌기부(271′, 271″)가 제1스토퍼(151)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또한, 제2커플러(200a)가 연결부재(300a)를 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100a)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커플러 돌기부(273′, 273″)가 제1스토퍼(153)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스토퍼(151, 153) 및 제2커플러 돌기부(271′, 271″, 273′, 273″)를 형성함으로써, 제2커플러(200a)에 결합된 철근부재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 불편함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제2스토퍼의 일 실시예에 대한 철근용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스토퍼(251′, 251″, 253′, 253″)는, 전방측 외측면에서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 외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커플러 돌기부(171, 173)에 걸린다.
다만, 도 13 및 도 14에 제2스토퍼(253″)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스토퍼(251′)는, 긴 바(bar) 형상을 형성하고, 타 끝단이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의 상단에 결합하고, 일 끝단을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또한, 제2스토퍼(251″)는, 긴 바(bar) 형상을 형성하고, 일 끝단이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의 상단에 결합하고, 타 끝단을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또한, 제2스토퍼(253′)는, 긴 바(bar) 형상을 형성하고, 타 끝단이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의 하단에 결합하고, 타 끝단을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또한, 제2스토퍼(253″)는, 긴 바(bar) 형상을 형성하고, 일 끝단이 제2커플러(200a)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230a″)의 하단에 결합하고, 타 끝단을 제1커플러(100a)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한편,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130a)은 상단에 제1커플러 돌기부(171)를 돌출 형성하고, 하단에 제1커플러 돌기부(2173)를 돌출 형성한다.
이 때, 제1커플러(100a)와 제2커플러(200a)가 힌지결합하면, 제2스토퍼(251′, 251″)와 제1커플러 돌기부(171)는 동일 면상에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스토퍼(253′, 253″)와 제1커플러 돌기부(173)도 동일 면상에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커플러(200a)가 연결부재(300a)를 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200a)의 상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토퍼(251′, 251″)가 제1커플러 돌기부(171)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또한, 제2커플러(200a)가 연결부재(300a)를 축으로 하여 제2커플러(200a)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스토퍼(253′, 253″)가 제1커플러 돌기부(173)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스토퍼(251′, 251″, 253′, 253″) 및 제1커플러 돌기부(171, 173)를 형성함으로써, 제2커플러(200a)에 결합된 철근부재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 불편함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철근용 커플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철근용 커플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PC보(1)에 시공된 매립철근(11) 및 제2PC보(2)에 시공된 매립철근(21)이 동일 선상에 시공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1PC보(1) 및 제2PC보(2)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철근(31)의 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결합 방식을 통하여 철근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철근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와, 제2커플러에 연결된 철근부재가 서로 꺾인 상태로 연결될 수 있어, 주변에 시공된 다른 철근부재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커플러 또는 제2커플러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제1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 또는 제2커플러에 결합된 철근부재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의 불편함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제1PC보
2 : 제2PC보
11, 21 : 매립철근
31 : 이음철근
100′, 100″, 100a, 100b, 100c : 제1커플러
111 : 제1커플러 결합부
113 : 제1커플러 삽입홈
130a, 130b′, 130b″, 130c :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
131a, 131b′, 131b″, 131c : 제1커플러 힌지홀
133a, 133b′, 133b″, 133c : 제1커플러 결합홀
135a, 135b′, 135b″, 135c : 제1커플러 회전홀
151, 153 : 제1스토퍼
171, 173 : 제1커플러 돌기부
200, 200a, 200b, 200c : 제2커플러
210 : 제2커플러 삽입홈
230a′, 230a″, 230b, 230c :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
231a′, 231a″, 231b, 231c : 제2커플러 힌지홀
233a′, 233a″, 233b, 233c : 제2커플러 결합홀
235a′, 235a″, 235b, 235c : 제2커플러 회전홀
251′, 251″, 253′ : 제2스토퍼
271′, 271″, 273′ : 제2커플러 돌기부
300, 300a, 300b, 300c : 연결부재
310a′, 310a″, 310b, 310c : 결합부
330a, 330b′, 330b″, 330c : 회전부
400 : 결합부재

Claims (4)

  1. 제1커플러 결합부를 전방측에 형성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커플러 결합홀을 구비하는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을 후방측에 형성하는 제1커플러;
    제2커플러 회전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커플러 힌지결합편과 힌지결합하는 제2커플러 힌지결합편을 전방측에 형성하고, 철근부재를 탈부착하는 제2커플러 삽입부를 후방측에 형성하는 제2커플러;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제1커플러 결합홀에 고정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2커플러 회전홀에 회전결합하는 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결합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및
    일단에 철근부재를 삽입하고, 타단은 상기 제1커플러 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커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는,
    후방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2커플러의 전방측 외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제2커플러의 전방측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커플러 돌기부에 걸리는 제1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는,
    전방측 외측면에서 상기 제1커플러의 전방측 외측면을 향해 형성되어, 제1커플러의 후방측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커플러 돌기부에 걸리는 제2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커플러.
KR1020190040363A 2019-04-05 2019-04-05 철근용 커플러 KR10218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63A KR102188517B1 (ko) 2019-04-05 2019-04-05 철근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63A KR102188517B1 (ko) 2019-04-05 2019-04-05 철근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59A KR20200117759A (ko) 2020-10-14
KR102188517B1 true KR102188517B1 (ko) 2020-12-08

Family

ID=728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63A KR102188517B1 (ko) 2019-04-05 2019-04-05 철근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5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53A (ja) * 2003-02-27 2004-09-16 Masazumi Ishida 戸当り不要蝶番と戸当り不要蝶番付ドア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877A (ja) * 1996-02-16 1997-08-26 Hitachi Metals Ltd ネジ鉄筋継手
KR100323653B1 (ko) * 1999-05-11 2002-02-07 이동성 도어 스토퍼
JP6226434B2 (ja) 2015-09-30 2017-11-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53A (ja) * 2003-02-27 2004-09-16 Masazumi Ishida 戸当り不要蝶番と戸当り不要蝶番付ド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59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7819A1 (en)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CN106836530A (zh) 一种现浇混凝土构件外保温构造及其施工方法
KR102188517B1 (ko) 철근용 커플러
JP4794309B2 (ja) 構造物の連結装置
KR20090054506A (ko) 벽 거푸집 유닛 및 벽 거푸집 구조체
AU2022211166A1 (en) A coupling device for scaffolding
KR20130143331A (ko) 철근 커플러
JP2009179961A (ja) コンクリート補強材の継手構造
KR102474154B1 (ko) 철근 커플러
JP4449788B2 (ja) Rc構造部材のヒンジ継手構造
CN207211532U (zh) 连接头
CN209686682U (zh) 方便快速拆装的混凝土预制板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KR102301128B1 (ko) 원터치 회전결합형 철근 커플러
JP2010236348A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及び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
KR100610498B1 (ko) 철근 이음장치
US20210025419A1 (en) Coupler for connecting a rebar to a threaded rod or another rebar
KR200211394Y1 (ko) 철근연결용 커플러
KR101025489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철근 커플러
JP3826353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KR100497305B1 (ko) 철근 이음구
KR102358007B1 (ko)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JP3826354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KR102521646B1 (ko) 구조물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KR102273375B1 (ko) 교량의 케이블 연결부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연결부의 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