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22Y1 -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22Y1
KR200237622Y1 KR2020010010103U KR20010010103U KR200237622Y1 KR 200237622 Y1 KR200237622 Y1 KR 200237622Y1 KR 2020010010103 U KR2020010010103 U KR 2020010010103U KR 20010010103 U KR20010010103 U KR 20010010103U KR 200237622 Y1 KR200237622 Y1 KR 200237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topper
pivo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일
Original Assignee
장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일 filed Critical 장경일
Priority to KR2020010010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22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는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판(31), 도어(10)의 회동 중심선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을 갖도록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중심축(32), 및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33)로 이루어진 고정부(30);와, 상기 회동중심축(32)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체(41)와 이 회동체(41)를 도어(10)에 지지하는 브라켓(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체(41)가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33)에 간섭되는 각도제한면(41b)이 그 회동체(41)의 복수개소에 형성된 회동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Device for limiting rotation angle of opening and shutting door}
본 고안은 여닫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닫이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도어는 그 일측 상, 하단부에 힌지가 구비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힌지는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부와, 도어의 일측 상,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로 구성된다.
즉,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회동부가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여닫이 도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여닫이 도어의 회전 경로상에 그 도어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됨으로써 그 여닫이 도어의 회전 각도를 제한시키거나, 도어체크가 설치됨으로써 여닫이 도어의 회전 각도를 제한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스토퍼가 설치되어지는 방법은 그 스토퍼를 바닥에 고정시켜 도어가 설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이고, 도어체크가 설치되어지는 방법은 도어체크의 일단을 도어의 상단 일측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써 도어의 회전속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최대 회전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중 전자는 손잡이 또는 도어의 다른 부분을 밀거나당기는 힘이 과도하고 또한 그러한 힘을 가한 다음에 손을 떼었을 때 스토퍼에는 도어에 의하여 큰 충격이 가해지고, 이는 스토퍼 및 도어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후자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과다함은 물론 고장이 잦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여닫이 도어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시켜 도어가 과도하게 열려 도어 또는 그 도어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구조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힌지가 구비된 여닫이 도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요부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3a 내지 도3c는 본 고안의 힌지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20 : 힌지
30 : 고정부 31 : 고정판
32 : 회동중심축 33 : 스토퍼
40 : 회동부 41 : 회동체
41a : 호형면 41b : 각도제한면
42 : 브라켓 43 : 수용구
46 : 조절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도어와 건물의 구조물을 연결하여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 여닫이 도어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도어의 회동 중심선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을 갖도록 상기 고정판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중심축, 및 상기 고정판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상기 회동중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체와 이 회동체를 도어에 지지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체가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는 각도제한면이 그 회동체의 복수개소에 형성된 회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힌지를 구비한 여닫이 도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요부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3a 내지 도3c는 본 고안의 힌지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여닫이 도어(11)는 소정 두께로 형성된 유리(12)를 구비하고, 그 유리(12)의 상단과 하단에는 철재 등으로 된 상단프레임(13)과 하단프레임(14)이 장착된다.
상기 상단프레임(13)과 하단프레임(14)의 일측에는 각각 힌지가 마련되며, 편의상 하단프레임(14)에 구비된 힌지의 구성을 도2에 도시하여 설명하고 상단프레임(13)에 구비된 힌지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물론, 상기 상단프레임(13)과 하단프레임(14)의 힌지 구성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며, 이는 본 고안의 힌지가 상단프레임(13)과 하단프레임(14)의 모두에 구비되거나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힌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 및/또는 천정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부(30)와, 도어(11)의 상단프레임(13) 및/또는 하단프레임(1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40)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고정부(30)를 도어(10)에 고정하고 상기 회동부(40)를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하여도 좋다.
상기 힌지(20)의 고정부(30)는 건물의 바닥 및/또는 천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10)의 회동 중심선과 일치되는 길이방향을 갖는 회동중심축(32), 및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31)은 건물의 바닥 및/또는 천정 구조물에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회동중심축(32)은 도어(10)의 회동중심선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을 갖도록 상기 고정판(31)의 소정 위치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회동중심축(32)은 소정 강도와 내마모성을 갖는다.
상기 스토퍼(33)는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고정되며, 이때 상기 스토퍼(33)와 회동중심축(32)의 외표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야 하고, 이 간격은 회동부(40)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33)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판(31)의 일측 끝단을 회동중심축(32)이 형성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시킴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스토퍼(33)의 중앙부가 절곡될 수 있으며(미도시함), 이 절곡상태는 회동중심축(32)쪽에서 측정된 절곡각도가 180°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스토퍼(33)의 절곡각도에 의해 도어의 회동각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회동중심축(32)의 하단 외표면부를 에워싸고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갖는 슬라이딩지지체(34)가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그 슬라이딩지지체(34)의 상부면은 매끈하게 하여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20)의 회동부(40)는 상기 고정부(30)의 회동중심축(3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된 회동체(41)와, 그 회동체(41)를 지지하고 도어(10)의 상단프레임(13) 및/또는 하단프레임(14)에 고정되는 브라켓(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체(41)에는 하단부 중앙에 상기 고정부(30)의 회동중심축(32)이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구(43)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구(43)의 내표면부에는 소정 강도와 내마모성을 갖는 부시(44)가 고정되어 그 부시(44) 내부로 상기 회동중심축(32)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회동중심축(32)과 부시(44)의 하단면은 상기 슬라이딩지지체(34)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회동중심축(32)과 부시(44)의 하단면을 매끈하게 하여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체(41)의 저부측 외표면에는 수용구(43)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연속된 호형면(41a)이 형성되며, 그 호형면(41a)의 외표면이 상기 스토퍼(33)의 중앙부에 선접촉될 수 있도록 호형면(41a)의 외경크기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호형면(41a)이 형성된 각도는 상기 스토퍼(33)의 절곡각도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본 고안에서는 그 각도가 180°인 상태만을 도시한다. 물론, 상기 호형면(41a)의 높이는 상기 스토퍼(33)의 상단 위치보다 약간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형면(41a)이 끝나는 부분에는 수용구(43)를 중심으로 한 접선 형태로 된 각도제한면(41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42)은 도어(10)의 상단프레임(13) 및/또는 하단프레임(14)에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브라켓(42)과 상기 회동체(41)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브라켓(42)에 대하여 회동체(4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브라켓(42)은 그 길이방향이 도어(10)의 상단프레임(13) 및/또는 하단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있도록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42)의 양단에 고정부(30)쪽으로 절곡된 절곡부(45)를 형성하고, 그 절곡부(45)의 각각에 다른 절곡부(45)쪽으로 관통된 구멍(45a)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45a)을 통해 조절나사(46)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46)가 결합되는 암나사구멍(41c)을 상기 회동체(41)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46)의 머리부(46a)는 도어(10)의 가장자리쪽에 있도록 하여 필요시 그 머리부(46a)에 형성된 홈(46b)에 드라이버(미도시) 등을 끼워 조절나사(4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절나사(46)의 타측 단부에는 너트(47)가 끼워 고정된다. 물론, 이러한 너트(47)는 상기 조절나사(46)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의 스토퍼(33)와 회동부(40)의 각도제한면(41b)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 형상이나 그 이외의 웨이브(wave)형 단면을 가져도 좋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어(10)는 손잡이 또는 도어(10)의 소정 부분에 힘을 가하여 그 도어(1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개폐된다.
즉, 도어(10)는 그 상단과 하단 일측에 구비된 힌지(20)에 의해 설정된 회동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고, 이러한 도어(10)를 개폐하기 위하여 그 도어(10)에 가한 힘의 크기에 의해 도어(10)의 개폐 각도가 결정된다.
그리고, 그러한 힘이 과도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힌지(20)가 도어(10)의 개폐 각도를 제한시킴으로써 도어(10)가 다른 구조물과 충돌되어 서로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도어(10)의 개폐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a는 도어(10)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하며, 이는 도어(10)에 구비된 회동부(40)의 호형면(41a) 중앙부가 고정부(30)의 스토퍼(33) 중앙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임을 보인다.
도3b와 도3c는 도3a의 상태에 있던 도어(10)를 어느 일측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해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이는 도어(10)에 구비된 회동부(40)가 회동하여 그 회동부(40)의 호형면(41a) 중앙부가 고정부(30)의 스토퍼(33) 중앙부로부터 최대로 멀어짐과 동시에 호형면(41a)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각도제한면(41b)의 어느 일측이 스토퍼(33)쪽으로 회동하여 그 스토퍼(33)와 면접촉함으로써 도어(10)의 회동이 정지됨을 보인다.
즉, 상기 각도제한면(41b)과 스토퍼(33)의 접촉에 의해 도어(10)의 회동 각도가 제한되고,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상기 각도제한면(41b)의 형상과 위치 및 스토퍼(33)의 형상과 위치 등을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도어(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모든 변형예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에 의하면, 회동부에 형성된 각도제한면과 고정부에 형성된 스토퍼가 도어의 회동에 의해 서로 접촉되게 하여 그 도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여닫이 도어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시켜 그 도어가 과도하게 열려 도어 또는 그 도어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구조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Claims (3)

  1. 도어와 건물의 구조물을 연결하여 도어를 여닫이 방식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 여닫이 도어용 힌지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판(31), 상기 도어(10)의 회동 중심선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을 갖도록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중심축(32), 및 상기 고정판(31)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33)로 이루어진 고정부(30);와,
    상기 회동중심축(32)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동체(41)와 이 회동체(41)를 도어(10)에 지지하는 브라켓(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체(41)가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33)에 간섭되는 각도제한면(41b)이 그 회동체(41)의 복수개소에 형성된 회동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40)에는 상기 회동중심축(32)을 중심으로 하면서 전체 원호의 ½이하인 길이를 갖는 호형면(41a)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제한면(41b)은 상기 호형면(41a)의 양단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3)는 상기 호형면(41a)의 양단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그 중앙부가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41)는 조절나사(46)를 매개로 브라켓(42)에 설치되어 도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KR2020010010103U 2001-04-11 2001-04-11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KR200237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03U KR200237622Y1 (ko) 2001-04-11 2001-04-11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03U KR200237622Y1 (ko) 2001-04-11 2001-04-11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22Y1 true KR20023762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03U KR200237622Y1 (ko) 2001-04-11 2001-04-11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593A (ko) * 2019-02-20 2020-08-28 신윤경 철도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2314691B1 (ko) * 2020-06-23 2021-10-20 신동숙 비상 게이트용 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593A (ko) * 2019-02-20 2020-08-28 신윤경 철도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2167596B1 (ko) * 2019-02-20 2020-10-19 신윤경 철도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2314691B1 (ko) * 2020-06-23 2021-10-20 신동숙 비상 게이트용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270B2 (en) Disappearing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ith wing and swivel wing opening
JP2005530064A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ヒンジ
CA2626366A1 (en) Compression device having weld seam moisture transfer
US4102005A (en) Door closer arm
KR200237622Y1 (ko)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US4366597A (en) Multi-pintle hinge
JPH0243187Y2 (ko)
EP0089813A2 (en) A hinge device for tiltable windows for installation in an inclined roof
US6578320B1 (en) Sliding door closer
KR100383948B1 (ko) 백도어의 힌지구조
JP3645628B2 (ja) 扉等の緩衝装置
JP2008163715A5 (ko)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KR102428942B1 (ko) 도어 개폐장치
JP3570238B2 (ja) 戸当り金具
US6237191B1 (en) Hinge of the soft type with braked open position
JP3926671B2 (ja) 弧状扉の開閉装置
JP2001348848A (ja) 水門扉
KR200334571Y1 (ko) 도어힌지장치
KR200319067Y1 (ko) 선반장의 도어개폐구조
EP4019721B1 (en) Concealed hinge and concealed glass door hinge with temporary positioning function for opening angle
KR102181562B1 (ko)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CN218176967U (zh) 门窗上开合机构
CN217205950U (zh) 平开窗用铰链装置
CN100476156C (zh) 窗或门用的配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