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691B1 - 비상 게이트용 힌지 - Google Patents

비상 게이트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691B1
KR102314691B1 KR1020200076725A KR20200076725A KR102314691B1 KR 102314691 B1 KR102314691 B1 KR 102314691B1 KR 1020200076725 A KR1020200076725 A KR 1020200076725A KR 20200076725 A KR20200076725 A KR 20200076725A KR 102314691 B1 KR102314691 B1 KR 10231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enter shaft
rotation
fixe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숙
Original Assignee
신동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숙 filed Critical 신동숙
Priority to KR102020007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게이트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게이트 포스트와 게이트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에 있어서, 중심에는 상부로 센터축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좌회전 가동돌기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좌회전 가동돌기가 위치하여 좌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부에 호형 홈이 형성되는 좌회전 디스크; 상기 좌회전 디스크의 상부에 센터축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디스크; 및 상기 좌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 사이에 센터축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단은 고정 디스크에 고정되고, 하단은 좌회전 디스크에 고정되는 좌회전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로써,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는 좌회전 가동돌기가 일정 길이만큼만 돌출 형성되어 좌회전 디스크의 하부에 형성된 호형 홈에 위치하여 좌회전 디스크가 좌회전되도록 가압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토크를 최소화하여 좌회전 가동돌기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게이트용 힌지{Hinges for Emergency Gate}
본 발명은 비상 게이트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트 포스트와 게이트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게이트 도어의 양방향 개폐 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게이트 도어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나 지하철의 역사에는 티켓을 수검하는 게이트 이외에 장애인이나 노약자 기타 긴급 상황에서 승객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비상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 게이트는 양측의 포스트 사이로 게이트의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며, 게이트의 타측에는 중앙 관리실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락킹부가 구비되어 승객의 호출이나 비상시에 개방이 가능함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자동으로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상 게이트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6641호 "지하철 역사 양방향 비상 게이트"(2007. 9. 3.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양방향으로 게이트가 개방되도록 구현하면서도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력을 바탕으로 게이트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그 구조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스프링의 상하단 사이에 비틀림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으며, 게이트의 양방향 회동에 따른 하중이 회전축에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문헌이 개시하고 있는 회전축은 하단만이 고정된 상태로 상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됨에 따라 좌회전 회동에는 안정적인 하중 전달이 가능하나, 우회전 회동에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회전축이 기울어져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외력에 의하여 쉽게 절곡 변형되어 내구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게이트에 과도하게 젖히게 될 경우 힌지의 부속들에 무리한 하중 부담이 가해져 쉽게 파손되고, 유지 보수가 잦을 수밖에 없는 추가적인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전체적인 디스크의 형상이 복잡하고, 홀이나 홈의 개수가 많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작 가공이 어렵고 비경제적인 한계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66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85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게이트의 안정적인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면서도 부속에 무리한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이트의 개방과정에서 특정한 각도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여 부속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이트가 개방된 후 닫히는 과정에서 원위치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H)는, 게이트 포스트(P)와 게이트 도어(D)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중심에는 상부로 센터축(1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디스크(10); 상기 회전 디스크(10)의 상부에 센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위치하여 좌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부에 호형 홈(22)이 형성되는 좌회전 디스크(20);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부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디스크(30); 및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와 고정 디스크(30) 사이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되고, 하단은 좌회전 디스크(20)에 고정되는 좌회전 스프링(40);을 포함한다.
또한, 중심에는 센터축(11)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우회전 가동돌기(52)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헤드 디스크(50);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하부에 센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우회전 가동돌기(52)가 위치하여 우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상부에 호형 홈(62)이 형성되는 우회전 디스크(60); 및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와 고정 디스크(30) 사이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단은 우회전 디스크(60)에 고정되고, 하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되는 우회전 스프링(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디스크(30)에는 걸림축(31)이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상단 또는 우회전 스프링(70)의 하단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단에는 회동 방지돌기(23)가 형성되어 좌회전 후 복귀시 상기 걸림축(31)에 걸려 기준 위치에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의 하단에는 회동 방지돌기(63)가 형성되어 우회전 후 복귀시 상기 걸림축(31)에 걸려 기준 위치에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부 또는 우회전 디스크(6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21)(61)가 형성되어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하단 또는 우회전 스프링(70)의 상단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상부에 센터축(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센터축 멈춤몸체(80)가 구비되되,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일측에 상부로 멈춤턱(8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터축(11)의 상단에는 센터축 멈춤편(13)이 형성되어 상기 멈춤턱(82)에 걸려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축 멈춤편(13)의 양측에는 코일 완충부재(14)가 결합되어 멈춤턱(82) 사이에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상부에는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51)이 대향되도록 이격 구비되고,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하부에도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상부 마그네틱(81)이 대향되도록 이격 구비되어 상기 헤드 디스크(50)와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상대적인 회전시 자력에 의하여 특정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51) 사이에는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호형 공간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 게이트용 힌지에 의하면, 회전 디스크의 상부에는 좌회전 가동돌기가 일정 길이만큼만 돌출 형성되어 좌회전 디스크의 하부에 형성된 호형 홈에 위치하여 좌회전 디스크가 좌회전되도록 가압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모멘트를 최소화하여 좌회전 가동돌기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가동축 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작 효율이 향상되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에 형성된 좌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에 형성된 홀이나 홈 구조를 최소화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센터축 멈춤몸체의 일측에 상부로 멈춤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센터축의 상단에 형성된 센터축 멈춤편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시 걸리도록 함으로써 게이트의 개방과정에서 특정한 각도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여 부속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코일 완충부재에 의하여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센터축 멈춤편과 멈춤턱의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디스크와 센터축 멈춤몸체에는 각각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과 상부 마그네틱을 구비하여 상대적인 회전시 자력에 의하여 특정 위치로 유도되는 바, 게이트가 개방된 후 닫히는 과정에서 원위치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가 설치된 비상 게이트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의 기본상태의 제1 방향 단면도 및 제1 방향과 수직된 제2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의 (a) 기준상태와 (b) 좌회전 상태를 도시한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의 (a) 기준상태와 (b) 우회전 상태를 도시한 B-B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H)를 설치한 비상 게이트 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비상 게이트 구조는 한 쌍의 게이트 포스트(P) 사이에 게이트 도어(D)가 구비되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도어(D)의 일측이 게이트 포스트(P)에 비상 게이트용 힌지(H)를 매개로 양방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게이트 포스트(P)에 락킹부(L)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락킹 또는 언락킹되도록 형성된다.
도 1에서는 한 쌍의 지주형 게이트 포스트(P)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게이트 포스트(P) 이외에도 개구부가 형성된 벽체에 게이트 도어(D)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벽체가 구비되고, 타측에만 게이트 포스트(P)가 형성된 실시형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 게이트용 힌지(H)는 기본적으로 좌회전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디스크(10), 좌회전 디스크(20), 고정 디스크(30) 및 좌회전 스프링(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디스크(10)는 게이트 도어(D)의 회전에 종속되어 함께 회동하는 구성으로 중심에는 상부로 센터축(1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센터축(11)은 회전 디스크(10)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 디스크(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부속을 회전 디스크(10)에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는 상기 회전 디스크(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센터축(11)이 중심에 관통되어 상기 센터축(1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와 센터축(11)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하부에는 호형 홈(22)이 형성되어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위치하여 좌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후술할 우회전시에는 상기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상기 호형 홈(22)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는 회전력을 받지 않아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 디스크(30)는 게이트 도어(D)의 회동과는 무관하게 게이트 포스트(P)에 고정되어 상대 회동하지 않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 디스크(30)는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센터축(11)이 보다 안정적으로 관통되도록 중공형 실린더축(32)이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중공형 실린더축(32)에 센터축(11)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디스크(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축(11)은 상대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센터축(11)과 실린더축(32) 사이에도 베이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은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와 고정 디스크(30) 사이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디스크(30)에 하부로 중공형 실린더축(32)이 형성된 경우 상기 중공형 실린더축(3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상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되고, 하단은 좌회전 디스크(2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디스크(30)에는 걸림축(31)이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상단이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부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좌회전 스프링(40)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고정 디스크(30)와 좌회전 디스크(20)에 끼움공을 형성하여 좌회전 스프링(40)의 상하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도어(D)가 좌회전되도록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게이트 도어(D)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상기 회전 디스크(10)가 센터축(11) 및 좌회전 가동돌기(12)와 함께 좌회전되고, 상기 좌회전 가동돌기(12)는 좌회전됨과 동시에 좌회전 디스크(20)의 호형 홈(22)의 좌측단부를 가압하므로써 상기 좌회전 디스크(20)를 좌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좌회전 가동돌기(12)는 일정 길이만큼만 상향 돌출 형성되어 좌회전 디스크(20)가 좌회전되도록 가압함에 있어서 좌회전 가동돌기(12)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최소화하여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상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나, 하단은 좌회전 디스크(20)에 고정되므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좌회전에 종속되어 회전됨으로써 비틀림이 야기되고, 게이트 도어(D)에 인가된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비틀림도 함께 해제되면서 복원력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D)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 게이트용 힌지(H)는 양방향 회동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므로 게이트 도어(D)의 좌회전 회동은 물론 우회전 회동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상 게이트용 힌지(H)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디스크(10), 좌회전 디스크(20), 고정 디스크(30) 및 좌회전 스프링(40)에 추가적으로 헤드 디스크(50), 우회전 디스크(60) 및 우회전 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디스크(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도어(D)의 회전에 종속되어 함께 회동하는 구성으로 중심에는 센터축(11)이 결합되어 상기 센터축(11)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회동 디스크(10)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도어(D)와 직접적으로 결속되어 회동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헤드 디스크(50)는 센터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우회전 가동돌기(52)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우회전 디스크(60)는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센터축(11)이 중심에 관통되어 상기 센터축(1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와 센터축(11)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의 상부에는 호형 홈(62)이 형성되어 우회전 가동돌기(52)가 위치하여 우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좌회전시에는 상기 우회전 가동돌기(52)가 상기 호형 홈(62)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우회전 디스크(60)는 회전력을 받지 않아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우회전 스프링(70)은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와 고정 디스크(30) 사이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디스크(30)에 상부로 중공형 실린더축(32)이 형성된 경우 상기 중공형 실린더축(3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회전 스프링(70)의 상단은 우회전 디스크(60)에 고정되고, 하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디스크(30)에는 걸림축(31)이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우회전 스프링(70)의 하단이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61)가 형성되어 우회전 스프링(70)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고정 디스크(30)와 우회전 디스크(60)에 끼움공을 형성하여 우회전 스프링(70)의 상하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도어(D)가 우회전되도록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게이트 도어(D) 및 회전 디스크(10)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상기 헤드 디스크(50)가 우회전 가동돌기(52)와 함께 우회전되고, 상기 우회전 가동돌기(52)는 우회전됨과 동시에 우회전 디스크(60)의 호형 홈(62)의 우측단부를 가압하므로써 상기 우회전 디스크(60)를 우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우회전 가동돌기(52)도 일정 길이만큼만 하향 돌출 형성되어 우회전 디스크(60)가 우회전되도록 가압함에 있어서 우회전 가동돌기(52)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최소화하여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우회전 스프링(70)의 하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나, 상단은 우회전 디스크(60)에 고정되므로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의 우회전에 종속되어 회전됨으로써 비틀림이 야기되고, 게이트 도어(D)에 인가된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우회전 스프링(70)의 비틀림도 함께 해제되면서 복원력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D)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비상 게이트용 힌지(H)에 의하면 게이트 도어(D)의 양방향 회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부속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제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가동축 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작 효율이 향상되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디스크(30)에 상하로 걸림축(31)이 형성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단에는 인가된 회전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림축(31)에 걸려 좌회전 디스크(20)가 기준 위치에 복귀하도록 회동 방지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축(31)은 고정 디스크(30)에 형성되므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나, 상기 좌회전 디스크(20)는 좌회전 이후에 회전력을 해제시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야 하나,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하여 야기되는 비틀림이 기준 위치와 다른 상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좌회전 디스크(20)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회동 방지돌기(23)에 의하여 걸림축(31)에 걸리게 되므로 기준 위치에 정확히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축(31)은 상기 회동 방지돌기(23)가 걸리도록 상하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의 하단에도 우회전 이후 복귀 시에 상기 걸림축(31)에 걸리도록 회동 방지돌기(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게이트 도어(D)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좌회전 디스크(20) 및 우회전 디스크(60)가 기준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기간 일정한 비틀림 탄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상부에 센터축(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센터축 멈춤몸체(8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는 고정 디스크(30)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포스트(P)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와 센터축(11) 사이에는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센터축(11)의 상대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멈춤턱(8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터축(11)의 상단에는 센터축 멈춤편(13)이 형성되어 상기 멈춤턱(82)에 걸려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고정 디스크(30)의 상하로 걸림축(31)을 형성하여 좌회전 디스크(20) 또는 우회전 디스크(60)에 형성된 회동 방지돌기(23)(63)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게이트 도어(D)의 회동 각도를 일정 이하로 제한할 수 있으나, 게이드 도어(D)의 회동 에너지가 매우 큼에 따라 상기 걸림축(31)에 과도한 모멘트가 가해져 변형 내지 파손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디스크(10)와 함께 회전되는 센터축(11)의 상단에 센터축 멈춤편(13)을 형성하고, 상기 센터축 멈춤편(13)이 양방향 회동함에 있어서 상기 멈춤턱(82)에 걸려 일정 각도 이하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도어(D)의 회동 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부속들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축 멈춤편(13)의 양측에는 코일 완충부재(14)가 결합함으로써 멈춤턱(82)에 맞닿음에 따라 발생되는 과도한 충격력을 흡수하여 상기 센터축 멈춤편(13)과 멈춤턱(82)의 변형 및 파손이 예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상부에는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51)이 대향되도록 이격 구비되고,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하부에도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상부 마그네틱(81)이 대향되도록 이격 구비되어 상기 헤드 디스크(50)와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상대적인 회전시 자력에 의하여 특정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 게이트용 힌지(H)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 도어(D)는 개방된 이후 스프링의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나, 게이트 도어(D)의 모멘트 하중에 의하여 장기간 진동 운동이 이루어진 후에 원위치로 복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타측 게이트 포스트(P)에 구비된 라킹부(L)에 의하여 자동으로 락킹되기 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하부 마그네틱(51)과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상부 마그네틱(81) 간의 상대적인 극성을 바탕으로 특정 위치로 빠르게 복원되도록 유도될 수 있으므로 게이트 도어(D)가 개방된 후 닫히는 과정에서 원위치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51) 사이에는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호형 공간부(53)가 형성되어 상부 마그네틱(81)과 하부 마그네틱(81)이 자력을 바탕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금속에 의한 부착현상을 방지하여 간섭 없이 보다 효율적인 원위치 유도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상부 마그네틱(81) 사이에도 한 쌍의 호형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게이트용 힌지(H)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게이트 포스트 D:게이트 도어
H:비상 게이트용 힌지 10:회전 디스크
11:센터축 12:좌회전 가동돌기
13:센터축 멈춤편 20:좌회전 디스크
30:고정 디스크 31:걸림축
40:좌회전 스프링 50:헤드 디스크
51:하부 마그네틱 52:우회전 가동돌기
53:호형 공간부 60:우회전 디스크
70:우회전 스프링 80:센터축 멈춤몸체
81:상부 마그네틱 82:멈춤턱
21,61:걸림돌기 22,62:호형 홈
23,63:회동 방지돌기

Claims (10)

  1. 게이트 포스트(P)와 게이트 도어(D) 사이에 구비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H)에 있어서,
    중심에는 상부로 센터축(1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 디스크(10);
    상기 회전 디스크(10)의 상부에 센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좌회전 가동돌기(12)가 위치하여 좌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부에 호형 홈(22)이 형성되는 좌회전 디스크(20);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부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디스크(30);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와 고정 디스크(30) 사이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되고, 하단은 좌회전 디스크(20)에 고정되는 좌회전 스프링(40);
    중심에는 센터축(11)이 결합되고, 상기 센터축(11)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우회전 가동돌기(52)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헤드 디스크(50);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하부에 센터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우회전 가동돌기(52)가 위치하여 우회전시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상부에 호형 홈(62)이 형성되는 우회전 디스크(60); 및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와 고정 디스크(30) 사이에 센터축(11)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단은 우회전 디스크(60)에 고정되고, 하단은 고정 디스크(30)에 고정되는 우회전 스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디스크(30)에는 걸림축(31)이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상단 또는 우회전 스프링(70)의 하단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단에는 회동 방지돌기(23)가 형성되어, 좌회전 후 복귀시 상기 회동 방지돌기(23)가 상기 걸림축(31)에 걸려 기준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전 디스크(60)의 하단에는 회동 방지돌기(63)가 형성되어, 우회전 후 복귀시 상기 회동 방지돌기(63)가 상기 걸림축(31)에 걸려 기준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회전 디스크(20)의 상부 또는 우회전 디스크(6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21)(61)가 형성되어 상기 좌회전 스프링(40)의 하단 또는 우회전 스프링(70)의 상단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상부에 센터축(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센터축 멈춤몸체(80)가 구비되되,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일측에 상부로 멈춤턱(8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센터축(11)의 상단에는 센터축 멈춤편(13)이 형성되어 상기 멈춤턱(82)에 걸려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축 멈춤편(13)의 양측에는 코일 완충부재(14)가 결합되어 멈춤턱(82) 사이에서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상부에는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51)이 대향되도록 이격 구비되고, 상기 센터축 멈춤몸체(80)의 하부에도 극성을 달리하는 한 쌍의 상부 마그네틱(81)이 대향되도록 이격 구비되어 상기 헤드 디스크(50)와 센터축 멈춤몸체(80)의 상대적인 회전시 자력에 의하여 특정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디스크(50)의 한 쌍의 하부 마그네틱(51) 사이에는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호형 공간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20200076725A 2020-06-23 2020-06-23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231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25A KR102314691B1 (ko) 2020-06-23 2020-06-23 비상 게이트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25A KR102314691B1 (ko) 2020-06-23 2020-06-23 비상 게이트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691B1 true KR102314691B1 (ko) 2021-10-20

Family

ID=7826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725A KR102314691B1 (ko) 2020-06-23 2020-06-23 비상 게이트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22Y1 (ko) * 2001-04-11 2001-10-11 장경일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KR20050118584A (ko) 2004-06-14 2005-12-19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역사내 비상도어용 고정펜스
KR100756641B1 (ko) 2007-07-03 2007-09-07 김국배 지하철 역사 양방향 비상 게이트
KR20140090547A (ko) * 2013-01-09 2014-07-17 송명호 자석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22Y1 (ko) * 2001-04-11 2001-10-11 장경일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KR20050118584A (ko) 2004-06-14 2005-12-19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역사내 비상도어용 고정펜스
KR100756641B1 (ko) 2007-07-03 2007-09-07 김국배 지하철 역사 양방향 비상 게이트
KR20140090547A (ko) * 2013-01-09 2014-07-17 송명호 자석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2751A1 (en) Poly-axial closure hinge mechanism
KR102314691B1 (ko) 비상 게이트용 힌지
CN104631971A (zh) 用于车辆的车门保持装置
JP2013146335A (ja) 遊技機
KR20090008685U (ko) 슬라이딩 도어 스토퍼
KR101504711B1 (ko) 양방향 개방식 게이트 회전장치
KR102167596B1 (ko) 철도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0718239B1 (ko) 도어용 경첩
CN109914955B (zh) 一种宠物窝双向开门铰链
JP3570238B2 (ja) 戸当り金具
KR200401595Y1 (ko) 회전개폐식 창호
KR100561088B1 (ko) 자성체를 이용한 회전식 방음판의 한계강도 잠금장치
CN114382366B (zh) 一种能顺序大角度开合的暗铰链
KR20200089475A (ko) 도어용 힌지 구조
KR20150085872A (ko) 힌지장치
JP2522579Y2 (ja) すべり出しヒンジ
JP3927431B2 (ja) 扉の緩衝装置
GB2383072A (en) Door joined to a rotatable door post
KR102626456B1 (ko) 복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양방향 개폐장치
US20230349214A1 (en) Gate hinge
JP4568873B2 (ja) ハンガードアのフリーストッパー
KR101254787B1 (ko) 시스템창호용 스테이바
KR200486873Y1 (ko) 자동 조심용 경첩
KR0139082B1 (ko) 셔터의 도아용 도아클로우저부 힌지장치와 밀폐장치
JP3899063B2 (ja) ドア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