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562B1 -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562B1
KR102181562B1 KR1020190045415A KR20190045415A KR102181562B1 KR 102181562 B1 KR102181562 B1 KR 102181562B1 KR 1020190045415 A KR1020190045415 A KR 1020190045415A KR 20190045415 A KR20190045415 A KR 20190045415A KR 102181562 B1 KR102181562 B1 KR 10218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vertical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571A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9004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5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1Screw-thread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문틀과 상기 수직문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서 상기 문짝을 상기 상부문틀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수단; 및 상기 문짝의 하부에서 상기 문짝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힌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힌지수단은, 상기 문짝의 수직문짝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문짝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힌지부를 구비하는 상부힌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을 상하로 연장하는 수직연장선은 상기 수직문짝의 공간부를 벗어나서 상기 수직문짝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진 위치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저면판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과 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문짝이 개방될 때, 상기 수직문틀의 전면판에 접근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수직문틀의 측면판에서 전면판에 이르는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Swing Type Door}
본 발명은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을 회전개방시킬 때 회전 중심이 되는 상부힌지핀이 상부문틀의 저면판에 결합되더라도 문짝이 수직문틀을 넘어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사무실이나 주택 등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는, 문틀을 구획하는 수직문틀에 설치된 경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문짝을 선회작동하면서 출입구를 여닫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위와 같은 경첩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을 갖는 여닫이 도어는, 그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닫이 도어를 금속재 즉,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를 가지는 문틀과 문짝으로 여닫이 도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수직문틀과 문짝을 위와 같은 경첩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제조되는 여닫이 도어는 문짝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를 문짝과 상부문틀의 접촉면, 및 문짝과 하부문틀의 접촉면에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가 문틀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되는 형태는 외부에서 볼 때 문짝과 문틀을 연결하기 위한 경첩과 같은 부분이 보이지 않아서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힌지는 통상적으로 문짝에 형성되는 힌지 돌출부와 상부문틀에 형성되는 힌지 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힌지 돌출부가 힌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문짝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여닫이 도어는 힌지 돌출부와 힌지 홈을 포함하는 전체 힌지 구조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문짝(1)은 힌지(7)의 중심이 되는 회전 중심점(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문짝(1)이 회전할 때 수직문틀(3)과 간섭되지 않도록 문짝(1)의 측단부는 라운드진 곡선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문짝(1)이 회전할 때 수직문틀(3)과 간섭되지 않도록 문짝(1)의 측단부와 수직문틀(3) 사이에는 화살표(P)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이 존재하며, 이러한 간극은 대략 1cm 이내가 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여닫이 도어는 문짝(1)을 개방시킬 때, 문짝(1)이 어느 정도 회전되게 되면, 수직문틀(3)에 부딪히면서 더 이상 회전시킬 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문짝(1)이 수직문틀(3)에 부딪혀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는 도어의 구조는 여러 가지의 불편함이 뒤따른다. 즉, 문짝(1)이 수직문틀(3)에 걸려서 더 이상 개방되지 않음으로 인해 도어의 개구부 크기에 맞는 물건은 문짝(1) 자체나 손잡이(9)에 걸려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문짝(1)이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작업에도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문짝을 회전개방시킬 때 회전 중심이 되는 상부힌지핀이 상부문틀의 저면판에 결합되더라도 문짝이 수직문틀을 넘어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를 금속재 즉,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를 가지는 문틀과 문짝으로 여닫이 도어를 구성하더라도 문짝이 수직문틀을 넘어서 개방되도록 하는 여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수직문틀; 상기 수직문틀의 상단에 상기 수직문틀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문틀; 상기 상부문틀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직문짝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문틀과 상기 수직문틀의 내부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 상기 문짝의 상부에서 상기 문짝을 상기 상부문틀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수단; 및 상기 문짝의 하부에서 상기 문짝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힌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힌지수단은, 상기 문짝의 수직문짝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문짝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힌지부를 구비하는 상부힌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을 상하로 연장하는 수직연장선은 상기 수직문짝의 공간부를 벗어나서 상기 수직문짝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진 위치에서 상기 상부문틀의 저면판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과 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문짝이 개방될 때, 상기 수직문틀의 전면판에 접근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수직문틀의 측면판에서 전면판에 이르는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힌지수단은, 상기 상부문틀의 내부에 형성한 공간부에 상기 상부문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끼워지며, 내부에는 구멍부가 형성된 상부힌지핀 결합구; 및 상기 상부힌지판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힌지핀 결합구의 구멍부에 끼워져서 상기 수직문짝을 상기 상부문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힌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문틀은, 저면판의 일측에 상기 전면판과 이격져서 내부의 공간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돌출턱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턱과 상기 전면판 사이에는 상기 상부힌지핀 결합구가 상기 상부문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에 따르면, 문짝을 회전개방시킬 때 회전 중심이 되는 상부힌지핀이 상부문틀의 저면판에 결합되더라도 문짝이 수직문틀을 넘어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닫이 도어를 금속재 즉,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를 가지는 문틀과 문짝으로 여닫이 도어를 구성하더라도 문짝이 수직문틀을 넘어서 개방되도록 하는 여닫이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에 설치되는 문짝이 수직문틀을 넘어서 완전히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문의 개구부 폭이 더 넓어져 넓어진 개구부 폭에 맞춰 물건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 문짝을 상부문틀에 결합시킬 때, 문짝의 상단에서 문짝을 상부문틀에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문짝의 상단 전면에서 상부문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문짝과 문틀의 조립을 용이하게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를 열었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를 닫았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의 일부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를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분해한 일부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문작을 상부문틀에 조립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를 여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 문에서 문짝의 개방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30)이 개방되었을 때, 문짝(30)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수직문틀(10)의 전면판(14)을 포함하는 평면이 예각을 이룰 수 있도록 문짝(3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요소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문틀(10), 상부문틀(20), 문짝(30), 상부힌지수단, 및 하부힌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수직문틀(1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에는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2)가 형성된 돌출부(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개가 구비되며, 돌출부(13)의 요홈부(12)에는 상부문틀(2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83)가 끼워져서 수직문틀(10)과 상부문틀(20)이 결합되게 된다.
상부문틀(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문틀(10)의 상단에 수직문틀(10)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간부(29)가 형성되도록 전면판(21)과 후면판(22)과 저면판(23)과 상면판(24)이 구비된다.
저면판(23)은 일측에 전면판(21)과 이격져서 내부의 공간부(29)를 향하여 형성되는 돌출턱(25)과, 수직문틀(1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구멍(26)과, 상부힌지핀(50)을 끼우기 위한 힌지구멍(27)이 형성된다. 상면판(24)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문틀(10)과 상부문틀(20)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83)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미도시)가 끼워지는 공구구멍(28)이 형성된다.
수직문틀(10)과 상부문틀(20)은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문틀(10)의 상단에 상부문틀(20)이 직각되도록 위치시킨 다음에 상부문틀(20)의 나사구멍(26)과 수직문틀(10)의 요홈부(12)가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83)를 이용하여 상부문틀(20)과 수직문틀(10)을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나사(83)의 회전을 위한 공구(미도시)를 상면판(24)에 형성한 공구구멍(28)을 통과시켜 나사(83)를 회전시키면 상부문틀(20)과 수직문틀(10)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문틀(20)과 수직문틀(10)의 사이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관통구멍(17)이 형성된 중간판(16)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부문틀(20)과 수직문틀(10)을 체결하도록 하면, 상부힌지수단의 회전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중간판(16)의 일측에 후술하는 상부힌지판(40)의 관통구멍(44)과 연통되는 관통구멍(17)을 형성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힌지판(4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힌지핀(50)이 중간판(16)의 관통구멍(17)에도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상부힌지수단의 회전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문틀(20)에 문짝(30)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킬 때, 중간판(16)의 관통구멍(17)과 상부힌지판(40)의 관통구멍(44)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부힌지핀(50)을 결합시키게 되면, 문짝(30)을 상부문틀(20)에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부문틀(20)에 문짝(30)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미설명부호 18은 나사구멍이다.
문짝(30)은 수직문틀(10)과 상부문틀(20)로 구성되는 문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문틀(20)과 수직문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며, 문짝(30)이 개방되었을 때, 문짝(30)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수직문틀(10)의 전면판(14)을 포함하는 평면이 예각을 이룰 수 있도록 문짝(3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다양한 형태의 문짝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서로 이격져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문짝(31)과, 한 쌍의 수직문짝(31) 사이에 서로 이격져서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문짝(37)이 이용될 수 있다.
수직문짝(3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34)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요홈부(32)가 형성된 돌출부(33)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돌출부(33)의 요홈부(32)는 수직문짝(31)의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부(34)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후술하는 상부힌지판(40)의 나사구멍(43)을 관통하는 나사(49)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부힌지판(40)과 수직문짝(31)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부힌지수단은 문짝(30)의 상부에서 문짝(30)을 상부문틀(2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힌지판(40)을 포함한다.
상부힌지판(40)은 수직문짝(31)의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판재로서, 고정부(41)와 힌지부(42)로 이루어진다.
고정부(41)는 문짝(30)의 수직문짝(31)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수직문짝(31)의 돌출부(33)에 형성한 요홈부(32)와 대응되는 나사구멍(43)이 형성되며, 수직문짝(31)의 요홈부(32)와 고정부(41)의 나사구멍(43)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49)로 상부힌지판(40)과 수직문짝(31)이 고정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힌지부(42)는 고정부(4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문짝(31)의 상단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는 후술하는 상부힌지핀 결합구(60)를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44)이 형성되고, 관통구멍(44)의 중심을 상하로 연장하는 수직연장선은 수직문짝(31)의 공간부(34)를 벗어나서 수직문짝(3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진 위치에서 상부문틀(20)의 저면판(23)을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41)의 일측면(45)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30)을 닫았을 때, 문짝(30)의 정면에서 고정부(41)가 보이는 일측면(45)과 힌지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문짝(30)이 개방될 때, 수직문틀(10)의 전면판(14)에 접근될 수 있도록 수직문틀(10)의 측면판(15)에서 전면판(14)에 이르는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이때, 수직문틀(10)의 측면판(15)과 전면판(14)의 표면이 평평한 상태가 아니라, 요홈부가 형성되어 굴곡이 져있는 경우에는 측면판(15)과 전면판(14)에 이르는 윤곽선은 요홈부의 윤곽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돌출된 부분들을 잇는 선이 윤곽선이 되게 된다. 또한, 고정부(41)의 후면쪽 즉 수직문짝(31)과 인접하는 쪽의 힌지부(42) 부분은 곡선의 형태로 만곡진 부분(46)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81과 82는 관통구멍(44)에 끼워지는 안내구와 부싱이다.
또한, 상부힌지수단은 상부힌지판(40) 이외에 상부힌지핀(50), 상부힌지핀 결합구(60)를 더 포함한다.
상부힌지핀(50)은 수직문짝(31)을 상부문틀(20)에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나사부(51)와, 머리부(52)로 이루어진다.
나사부(51)는 상부힌지판(40)의 힌지부(42)에 형성된 관통구멍(44)에 끼워져서 상부문틀(20)의 저면판(23)을 관통하여 공간부(29) 쪽으로 돌출되게 되며, 외주에는 후술하는 상부힌지핀 결합구(60)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52)는 나사부(51)의 일단에 형성되어 관통구멍(44)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관통구멍(44)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부힌지핀 결합구(60)는 상부문틀(20)의 저면판(23)을 관통하여 공간부(29)로 돌출된 상부힌지핀(50)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부문틀(20)의 전면판(21)과 돌출턱(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끼워지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부힌지핀 결합구(60)의 폭은 상부문틀(20)의 전면판(21)과 돌출턱(25) 사이의 폭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부힌지핀 결합구(60)는 하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구멍부(61)가 형성되며, 구멍부(61)에는 상부힌지핀(50)의 나사부(51)가 결합되어 상부문틀(20)에 대하여 문짝(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힌지핀 결합구(60)는 상부문틀(20)의 저면판(23)에서 상면판(24)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게 되면, 상부힌지핀(50)의 나사부(51)가 상부힌지핀 결합구(60)의 구멍부(61)에 결합될 때, 상부힌지핀(50)의 나사부(51)가 상부힌지핀 결합구(60)의 구멍부(61) 속으로 진입되더라도 상부힌지판 결합구(60)가 상면판(24)에서 지지를 받게 되어 상부힌지핀(50)이 상부힌지핀 결합구(6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힌지핀 결합구(60)는 상부문틀(20)의 전면판(21)과 돌출턱(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질 때, 상부힌지핀 결합구(60)가 상부문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문틀(20)의 일 지점에 스토퍼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스토퍼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일 예로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판(23)의 일 지점에 내부의 공간부(29)를 향하여 돌출되는 나사(78)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힌지핀 결합구(60)가 상부문틀(20)의 전면판(21)과 돌출턱(25)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질 때, 상부힌지핀 결합구(60)가 나사(78)에 접촉되면 상부힌지핀 결합구(60)의 이동이 멈추도록 하여 상부힌지핀 결합구(60)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할 수가 있게 된다.
하부힌지수단은 문짝(30)의 하부에서 문짝(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힌지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짝하부힌지판(71)과, 문틀하부브래킷(72)과, 하부힌지핀(73)이 이용될 수 있다.
문짝하부힌지판(71)은 수직문짝(31)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판재로서, 상부힌지판(4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문틀하부브래킷(72)은 수직문틀(1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브래킷으로서, 문틀하부고정부(74)와 문틀하부힌지부(75)로 이루어진다.
문틀하부고정부(74)는 문틀의 수직문틀(10)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수직문틀(10)의 돌출부(33)에 형성한 요홈부(32)와 대응되는 나사구멍(77)이 형성되며, 수직문틀(10)의 요홈부(32)와 문틀하부고정부(74)의 나사구멍(77)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로 문틀하부브래킷(72)과 수직문틀(10)이 고정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문틀하부힌지부(75)는 문틀하부고정부(74)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문틀(10)의 하단 전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는 하부힌지핀(73)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76)이 형성된다.
하부힌지핀(73)은 문짝하부힌지판(71)의 관통구멍과 문틀하부브래킷(72)의 관통구멍(76)에 끼워져서 수직문틀(10)에 대하여 문짝(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는 수직문짝(31)의 상부에 관통구멍(44)이 구비된 상부힌지판(40)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부문틀(20)과 수직문틀(10) 사이에는 관통구멍(17)이 구비된 중간판(16)이 끼워져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힌지판(40)의 관통구멍(44)과 중간판(16)의 관통구멍(17)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치를 시키고, 상부힌지판(40)의 관통구멍(44) 하부에서 상부힌지핀(50)을 상부힌지판(40)의 관통구멍(44)에 끼워서 상부문틀(20)의 내부 공간부(29)에 끼워진 상부힌지핀 결합구(60)에 결합시키면, 상부문틀(20)에 문짝(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완료되며, 문짝(30)의 하부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하부힌지판(71)의 관통구멍과 문틀하부브래킷(72)의 관통구멍(76)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하부힌지핀(73)으로 문짝하부힌지판(71)과 문틀하부브래킷(72)을 고정시키면, 문짝의 하부에서도 수직문틀(10)에 대하여 문짝(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문짝(30)의 상부와 하부에서 문짝(30)이 문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짝(30)을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문짝(30)의 상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힌지핀(50)에 의해서 회동지지되고, 문짝(30)의 하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힌지핀(73)에 의해서 회동지지되면서 문짝(30)이 회동되게 되고, 이때, 문짝(30)이 출입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개방되더라도 사용자가 문짝(30)을 잡아당기는 힘을 멈추지 않고, 더욱 개방을 시키게 되면, 문짝(30)은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에 대하여 직각을 초과하는 범위까지 개방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문짝(30)이 개방되었을 때는, 문짝(30)의 전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수직문틀(10)의 전면판(14)을 포함하는 평면이 예각을 이룰 수 있도록 문짝(3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수직문틀 11 : 공간부
14 : 전면판 15 : 측면판
20 : 상부문틀 21 : 전면판
22 : 후면판 23 : 저면판
24 : 상면판 25 : 돌출턱
26 : 나사구멍 27 : 힌지구멍
28 : 공구구멍 29 : 공간부
30 : 문짝 31 : 수직문짝
32 : 요홈부 33 : 돌출부
34 : 공간부 37 : 수평문짝
40 : 상부힌지판 41 : 고정부
42 : 힌지부 44 : 관통구멍
50 : 상부힌지핀 51 : 나사부
52 : 머리부 60 : 상부힌지핀 결합구
71: 문짝하부힌지판 72 ; 문틀하부브래킷
73 : 하부힌지핀 76 : 관통구멍
83 : 나사

Claims (3)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된 수직문틀(10);
    상기 수직문틀(10)의 상단에 상기 수직문틀(10)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간부(29)가 형성된 상부문틀(20);
    상기 상부문틀(20)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34)가 형성된 수직문짝(31)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문틀(20)과 상기 수직문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30);
    상기 문짝(30)의 상부에서 상기 문짝(30)을 상기 상부문틀(2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수단; 및
    상기 문짝(30)의 하부에서 상기 문짝(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힌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힌지수단은, 상기 문짝(30)의 수직문짝(31)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문짝(31)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관통구멍(44)이 형성된 힌지부(42)를 구비하는 상부힌지판(40)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멍(44)의 중심을 상하로 연장하는 수직연장선은 상기 수직문짝(31)의 공간부(34)를 벗어나서 상기 수직문짝(3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진 위치에서 상기 상부문틀(20)의 저면판(23)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41)의 일측면(45)과 힌지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문짝(30)이 개방될 때, 상기 수직문틀(10)의 전면판(14)에 접근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문틀(10)의 측면판(15)에서 전면판(14)에 이르는 윤곽선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수단은,
    상기 상부문틀(20)의 내부에 형성한 공간부(29)에 상기 상부문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끼워지며, 내부에는 구멍부(61)가 형성된 상부힌지핀 결합구(60); 및
    상기 상부힌지판(40)의 관통구멍(44)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힌지핀 결합구(60)의 구멍부(61)에 끼워져서 상기 수직문짝(31)을 상기 상부문틀(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힌지핀(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문틀(20)은, 저면판(23)의 일측에 상부문틀(20)의 전면판(21)과 이격져서 내부의 공간부(29)를 향하여 형성되는 돌출턱(25)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턱(25)과 상기 전면판(21) 사이에는 상기 상부힌지핀 결합구(60)가 상기 상부문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KR1020190045415A 2019-04-18 2019-04-18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KR10218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15A KR102181562B1 (ko) 2019-04-18 2019-04-18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15A KR102181562B1 (ko) 2019-04-18 2019-04-18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71A KR20200122571A (ko) 2020-10-28
KR102181562B1 true KR102181562B1 (ko) 2020-11-23

Family

ID=7301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415A KR102181562B1 (ko) 2019-04-18 2019-04-18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5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172A (ko) * 2017-05-25 2018-12-05 정영호 유압식 힌지가 상부에 설치되는 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571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164C1 (ru) Петл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ластиковых дверей и пластиковых окон
US5727289A (en) Hinge mounted adjustable door stop
US9382738B2 (en) Swing closure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US20180195328A1 (en) Door assembly and hinge therefor
US4286411A (en) Manual balanced door with door closer arm
PT1918498E (pt) Dobradiça oculta
CN107923202A (zh) 合叶及合叶用托架
US20210230916A1 (en) Concealed hinge with v-shaped rotating shafts
KR102181562B1 (ko)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KR101849986B1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JPH0243187Y2 (ko)
CN108699878B (zh) 淋浴房开关门结构
KR101015071B1 (ko) 도어힌지 하우징
CN110984744B (zh) 一种隐藏式铰链
CN109267868B (zh) 一种快速拆装的隐藏式铰链
CA2045302C (en) Hinge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200376958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JP2589363Y2 (ja) ヒンジ
KR200406889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
CN218467394U (zh) 一种铰接结构和转动门
CN215776527U (zh) 一种嵌入式酒柜
KR102465945B1 (ko) 도어의 힌지유닛 결합구조
KR200237622Y1 (ko) 회전각도 제한기능을 갖는 여닫이 도어용 힌지
KR20230127729A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