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393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393Y1
KR200237393Y1 KR2020010009172U KR20010009172U KR200237393Y1 KR 200237393 Y1 KR200237393 Y1 KR 200237393Y1 KR 2020010009172 U KR2020010009172 U KR 2020010009172U KR 20010009172 U KR20010009172 U KR 20010009172U KR 200237393 Y1 KR200237393 Y1 KR 200237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hinge hole
shaf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권병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393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 본체에 접하는 베이스판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이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제 1 힌지공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된 바디 플레이트; 김치냉장고 도어에 접하는 베이스판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이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의 하부측에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제 1 힌지공과 대응하는 제 2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힌지공과 제 2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메인핀에 의해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도어핀이 설치된 도어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메인핀의 중앙부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이르도록 설치된 스프링 샤프트;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개재된 압축코일 스프링;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이 스프링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도어핀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DEVICE}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대하여 유동부재를 회동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여닫이식 도어가 채용된 김치냉장고의 도어를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냉장고는 주부들이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김치냉장고는 상부 여닫이식 도어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무게에 의한 자중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데 애로점이 있다. 즉, 도어를 열고자 할 때 도어의 무게에 의한 자중을 극복하여야 하며, 또 닫을 때는 도어가 자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내려오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단순한 구조의 힌지돌기와 힌지공으로 이루어지는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의 힌지장치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사용 편리성 및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구조 및 작동을 나타낸 도 1의 측면도로써,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 그리고,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바디 플레이트 12a;제 1 힌지공
20;도어 플레이트 22a;제 2 힌지공
22b;제 3 힌지공 23;도어핀
24;메인핀 30;스프링 샤프트
40;압축코일 스프링 50;가이드 샤프트
60;링크 플레이트 70;쿠션캡
80;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본체에 접하는 베이스판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이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제 1 힌지공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된 바디 플레이트; 김치냉장고 도어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도어에 접하는 베이스판의 양측에 한 쌍의측판이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의 하부측에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제 1 힌지공과 대응하는 제 2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힌지공과 제 2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메인핀에 의해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도어핀이 설치된 도어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메인핀의 중앙부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이르도록 설치된 스프링 샤프트;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개재된 압축코일 스프링;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이 스프링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도어핀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것으로써 상부 일부분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스프링 샤프트를 따라 하강하는 가이드 샤프트를 완충 지지하기 위한 우레탄 고무를 내장한 쿠션캡이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구조 및 작동을 나타낸 도 1의 측면도로써,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 그리고,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바디 플레이트(10) 및 김치냉장고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도어 플레이트(20)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스프링 샤프트(30), 이 스프링 샤프트(30)에 개재된 압축코일 스프링(40), 상기 스프링 샤프트(30)을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50), 상기 가이드 샤프트(50)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링크 플레이트(60) 및 쿠션캡(70)을 아울러 구비한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10)는 김치냉장고 본체에 접하는 베이스판(11)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12)(12')이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11)에는 이를 김치냉장고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개의 나사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판(12)(12')의 상부측에는 제 1 힌지공(12a)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8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바디 플레이트(10)는 그의 베이스판(11)에 형성된 수개의 나사공(11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김치냉장고 본체에 결합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20)는 김치냉장고 도어에 접하는 베이판(21)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22)(22')이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21)에는 이를 김치냉장고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수개의 나사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판(22)(22')의 하부측에는 제 2 힌지공(22a)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3 힌지공(22b)에는 도어핀(2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도어 플레이트(20)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10)의 제 1 힌지공(12a)과 도어 플레이트(20)의 제 2 힌지공(2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메인핀(24)에 의해 바디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의 베이스판(21)에 구비된 수개의 나사공(21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개의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김치냉장고 도어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샤프트(30)는 그 양단부가 상기 메인핀(24)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8)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바디 플레이트(1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40)은 상기 스프링 샤프트(30)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50)는 상기 스프링 샤프트(30)에 이 스프링 샤프트(3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 플레이트(60)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20)의 도어핀(23)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5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링크 플레이트(60)를 통하여 도어 플레이트(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플레이트(60)는 도어 개폐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한편, 상기 쿠션캡(70)은 상기 바디 플레이트(10)의 가이드 플레이트(8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쿠션캡(70)은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스프링 샤프트(30)를 따라 하강하는 가이드 샤프트(50)를 완충 지지함으로써 도어가 울렁거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쿠션캡(70)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완충부재가 삽입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샤프트(30)에 삽입되어 있는 압축코일 스프링(40)이 링크 플레이트(60)에 연결된 가이드 샤프트(50)가 도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 도어 플레이트(20)의 도어핀(23) 위치가 바디 플레이트(10)의 메인핀(24) 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코일 스프링(4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링크 플레이트(60)에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폐쇄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도어를 들어 올리면, 도어 플레이트(20)가 메인핀(24)을 중심으로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데, 이 때, 도어 플레이트(20)의 도어핀(23) 위치가 상기 메인핀(24) 위치를 후방으로 벗어남과 동시에 압축코일 스프링(4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가이드 샤프트(50)를 도면에서 하측으로 밀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샤프트(50)에 일단이 연결된 링크 플레이트(60)가 가이드 샤프트(50)의 하강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4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도어 플레이트(20)에 작용하면서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도어의 개방시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도어에 작용하면서 보다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도어를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 되는데, 이 때, 도어가 점점 닫힘에 따라 이에 링크 플레이트(60)로 연결된 가이드 샤프트(50)가 압축코일 스프링(40)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스프링 샤프트(30)를 따라 도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어가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급하게 닫히지 않고 서서히 부드럽게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시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가이드 샤프트와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도어에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를 보다 쉽게 개폐시킬 수 있다. 즉, 도어 개폐 작동의 원활성을 도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나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김치냉장고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본체에 접하는 베이스판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이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제 1 힌지공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구비된 바디 플레이트;
    김치냉장고 도어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도어에 접하는 베이스판의 양측에 한 쌍의 측판이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의 하부측에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제 1 힌지공과 대응하는 제 2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힌지공과 제 2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메인핀에 의해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상부측에는 도어핀이 설치된 도어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메인핀의 중앙부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이르도록 설치된 스프링 샤프트;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개재된 압축코일 스프링;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이 스프링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 그리고,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도어핀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도어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것으로써 상부 일부분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도어의 완전 개방시 상기 스프링 샤프트를 따라 하강하는 가이드 샤프트를 완충 지지하기 위한 우레탄 고무를 내장한 쿠션캡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10009172U 2001-04-02 2001-04-02 힌지장치 KR200237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72U KR200237393Y1 (ko) 2001-04-02 2001-04-02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72U KR200237393Y1 (ko) 2001-04-02 2001-04-02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393Y1 true KR200237393Y1 (ko) 2001-10-10

Family

ID=7309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172U KR200237393Y1 (ko) 2001-04-02 2001-04-02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3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32535A1 (en) Home-b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7752710B2 (en) Sliding hinge
JP2002127750A (ja) トラック等のウイング開閉装置
US6100963A (en) Original-cover closer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CN111042684A (zh) 一种任意角度悬停的上翻门铰链
KR200237393Y1 (ko) 힌지장치
KR1005710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US20110120742A1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11818843U (zh) 一种任意角度悬停的上翻门铰链
KR200365112Y1 (ko) 슬라이딩 타입의 플립 개폐장치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253507Y1 (ko) 힌지장치
KR200279142Y1 (ko) 도어힌지
KR200334585Y1 (ko) 힌지 장치
WO2020124567A1 (zh) 铰杯组件及美式阻尼铰链
KR200501016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324654Y1 (ko) 끼임 방지용 도어체크
CN220645601U (zh) 一种发动机罩左铰链总成
US20020066160A1 (en) Auto-returning device of a hinge for a glass door
KR200355903Y1 (ko) 여닫이창용 키퍼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EP3903050B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door with an adjustable opening and closing force
KR100205115B1 (ko) 냉장고의 도어록킹장치
CN107401880B (zh) 一种冰箱的门体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